KR101390006B1 - 봉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봉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006B1
KR101390006B1 KR1020130081702A KR20130081702A KR101390006B1 KR 101390006 B1 KR101390006 B1 KR 101390006B1 KR 1020130081702 A KR1020130081702 A KR 1020130081702A KR 20130081702 A KR20130081702 A KR 20130081702A KR 101390006 B1 KR101390006 B1 KR 10139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envelope
coupling
coupling por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13008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006B1/ko
Priority to CA2916933A priority patent/CA2916933A1/en
Priority to JP2016525288A priority patent/JP2016523787A/ja
Priority to PCT/KR2014/006233 priority patent/WO2015005710A2/ko
Priority to EP14823765.4A priority patent/EP3020643A4/en
Priority to CN201480038822.7A priority patent/CN105555670A/zh
Priority to US14/900,615 priority patent/US9676550B2/en
Priority to AU2014287919A priority patent/AU201428791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5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positively acting means for stretching the mouth of the sack into the open condition, e.g.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Bag Fram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봉투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형상 변형에 의해서 봉투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봉투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그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봉투결합부를 포함하고, 봉투결합부는 봉투의 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다.

Description

봉투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SACK}
본 발명은 봉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봉투의 입구를 벌려서 봉투를 지지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봉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쓰레기 봉투 또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와 같은 비닐 봉투는 일정한 용량을 갖고, 그 용량이 모두 채워진 경우 봉투의 상단을 묶어서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비닐 봉투의 용량이 모두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는, 용량이 모두 채워질 때까지 봉투의 상단을 열고 쓰레기를 넣은 후 다시 묶어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쓰레기 봉투 또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입구를 벌려서 지지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장치가 있는 경우, 쓰레기를 봉투에 버릴 때마다 봉투의 상단 묶음을 풀고 다시 묶지 않아도 되어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쓰레기에서 나는 냄새도 단속할 수 있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7418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봉투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형상 변형에 의해서 봉투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봉투의 입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그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봉투결합부를 포함하고, 봉투결합부는 봉투의 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봉투결합부는, 그 일부가 탄성적으로 수축 및 확대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봉투결합부의 외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는 지지부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의 내부에는 커버가 삽입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봉투결합부는 그 이동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봉투결합부는 회전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봉투결합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그 양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에는 걸림부재가 결합되고, 걸림부재는 지지부에 구비된 후크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의 외면에는, 회전 가능한 결합날개와, 결합날개가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봉투결합부의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걸림돌기 사이에 삽입되어서 봉투결합부를 외측으로 확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봉투결합부를 포함하고, 봉투결합부의 외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날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결합날개가 외면에 결합할 때, 결합날개 및 외면의 사이에 봉투가 개재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면에는 결합날개가 결합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날개는 외면의 하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날개의 내측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봉투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에서 봉투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가 수축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봉투결합부가 팽창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에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봉투결합부가 팽창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에서 봉투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에서 결합날개의 결합에 의해 봉투가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서 봉투결합부 및 결합날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결합날개가 봉투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서 봉투결합부 및 결합날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가압부재가 봉투결합부에 삽입되어 봉투결합부가 외측으로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내부, 외부 그리고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봉투는 입구를 가지는 주머니 형상으로서, 합성수지, 종이, 실리콘, 섬유 등 다양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봉투의 측면 및 바닥은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크고 작은 구멍이 형성된 그물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은 봉투(170) 및 커버부(14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고, 도 2는 봉투(170) 및 커버부(14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봉투(170)는 편의상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는, 봉투(170)의 입구와 결합하는 봉투결합부(120)와, 봉투결합부(120)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50)와, 지지부(150)의 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60)와, 봉투결합부(120) 및 봉투(17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커버부(140)를 포함한다.
봉투결합부(120)는 그 일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데,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서 봉투결합부(120)의 외경이 확대 또는 축소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봉투결합부(120)의 외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봉투(170)를 봉투결합부(120)에 삽입(봉투결합부(120)의 둘레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함)한 후 봉투결합부(120)의 외경을 도 2와 같이 확대하면, 봉투(170)의 입구가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봉투(170)는 봉투결합부(120)에 의해서 그 입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는 봉투결합부(120) 일부의 탄성적인 변형에 의해서 봉투(170)와 결합을 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는 도 1과 같이 봉투결합부(120)의 일부에 해당하는 가압부재(134)를 수축시킨 상태에서 봉투(170)를 봉투결합부(120)에 삽입한 후, 도 2과 같이 봉투결합부(120)의 일부에 해당하는 가압부재(134)를 탄성적으로 확대시키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함께 갖는다.
도 3은 봉투결합부(120)의 가압부재(134)가 수축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봉투결합부(120)의 가압부재(134)가 탄성 변형하여 외측으로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100)의 봉투결합부(120)에 커버부(14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 둘레에는 봉투(170)의 입구가 삽입된다. 봉투결합부(120)는 가압부재(134)를 갖는데, 가압부재(134)의 탄성적인 변형(내측으로 축소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확대)에 의해서 봉투(170)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봉투(170)는 그 입구가 봉투결합부(120)에 의해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 둘레에 위치 고정된다.
봉투결합부(120)는 타원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그 중앙에는 관통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봉투결합부(120)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외면(122) 및 내면(128)을 갖는다. 또한, 봉투결합부(120)의 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가압부재(134)에 해당한다.
봉투결합부(12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다면 그 재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봉투결합부(120)의 일 측에 형성된 가압부재(134)는 탄성력을 가져서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부재(134)는 도 3의 상태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도 4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재(134)의 양단부에는 그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된 회동점(136)이 구비되어 있다. 가압부재(134)는 회동점(136)을 기준으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가압부재(134)는 회동점(136)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가압부재(134) 부분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가압부재(134) 이외의 부분은 탄성력을 갖지 않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134)와 가압부재(134) 이외의 부분의 연결부는, 가압부재(134)를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가압부재(134)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120)의 가압부재(134)가 도 3과 같이 내측으로 수축된 경우, 봉투결합부(120)의 둘레 길이가 축소되기 때문에, 일정한 입구 크기를 갖는 봉투(170)를 용이하게 봉투결합부(120)의 둘레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은 봉투(170)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상태에 있는 봉투결합부(120)의 둘레에 봉투(170)를 삽입한 후, 가압부재(134)를 도 4와 같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 봉투결합부(120)의 둘레 길이가 확대된다. 이로 인해,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은 봉투(170)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봉투(170)는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에 밀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134)가 외측으로 확대되는 형상 변형에 의해서, 봉투결합부(120)의 둘레에 삽입된 봉투(170)의 입구가 확대되는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의 봉투결합부(120)는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봉투결합부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봉투결합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봉투결합부(120)에서 가압부재(134)는 원호(arc) 형상을 갖고 봉투결합부(120)의 일 측에 하나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부재도 그 형상 및 개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압부재는 2개 이상의 절곡 지점을 갖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봉투결합부(120)에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에는 마찰부재(124)가 형성되어 있다. 마찰부재(124)는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에서 그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다. 마찰부재(124)의 표면은 마찰력을 가져서, 봉투결합부(120)의 외면에(122)에 밀착되어서 위치 고정된 봉투(17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찰부재(124)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거나,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 중 일부에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 또는 홈(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찰부재(124)는 봉투결합부(120)의 외측과 봉투(170)의 내측면 사이에 존재하면서 그 틈새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마찰부재(124)는 쓰레기 냄새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봉투결합부(120)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곡선 처리된 라운드(126)가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126)는 봉투결합부(120)의 둘레에 봉투(170)의 입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봉투결합부(120)의 내면(128)은 관통공(132)을 규정한다. 관통공(132)은 봉투결합부(1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봉투결합부(120)에 삽입된 봉투(170)와 연통된다. 따라서 봉투결합부(120) 및 이에 결합된 봉투(170)는 일종의 쓰레기통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데, 이때 봉투결합부(120)의 관통공(132)은 쓰레기통의 입구에 해당한다.
봉투결합부(120)는 일정한 높이를 가져서, 그 외면(122)에 밀착되는 봉투(170)와의 일정한 결합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봉투결합부(120)는 지지부(150)에 의해서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된다. 지지부(150)는 봉투결합부(120)의 일 측 상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수평부재(152) 및 수직부재(154)를 갖는다. 수직부재(154)는, 지면에 위치하는 베이스부(160)로부터 봉투결합부(120)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한다.
지지부(15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져서 봉투결합부(1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부(160)는 수직부재(154)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지지부(150) 및 봉투결합부(12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베이스부(160)의 하면에는 그 위치 고정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 패드(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마찰력을 갖는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60)는 바닥과의 지지 접촉면을 상황에 따라서 가변하여 넓게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받침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커버부(140)는 봉투결합부(120) 및 봉투(17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서 그 입구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는, 커버부(140)가 봉투결합부(120)를 통과하여 봉투(17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커버부(140)는 커버본체(142), 패킹(144) 및 손잡이(146)를 구비한다.
커버본체(142)는 봉투결합부(120)와 동일한 타원 형상을 갖고, 그 크기는 봉투결합부(120)에 비해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본체(142)의 둘레에는 패킹(144)이 삽입되고, 그 상면에는 손잡이(146)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4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봉투결합부(1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패킹(144)은 봉투결합부(120)의 내면(128)에 밀착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봉투(170)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이 악취를 유발하는 쓰레기(도시하지 않음)가 버려진 경우에도, 커버부(140)에 의해서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커버부(140)는, 봉투결합부(120)를 통과하여 봉투(17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봉투(170)에 버려진 쓰레기의 양이 적은 경우에 해당할 수 있고, 패킹(144)은 봉투(170)의 내면에 밀착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146)는 커버부(140)를 봉투(170) 또는 봉투결합부(120)로부터 용이하게 외부로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40)는 봉투결합부(120)를 통과하여 봉투(17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는 봉투결합부(120)의 상단부에 걸려서 봉투결합부(120)를 통과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봉투결합부(120)에 봉투(170)를 삽입하기 위해서, 봉투결합부(120)의 가압부재(134)를 도 1 및 도 3과 같이 내측으로 절곡 시킨다. 이로 인해, 봉투결합부(120)의 둘레 길이가 감소해서 입구가 일정한 크기를 갖는 봉투(170)를 용이하게 봉투결합부(12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의 상태에서, 봉투(170)를 봉투결합부(120)의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다. 봉투결합부(120)의 하부에는 라운드(12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투(170)의 입구는 봉투결합부(1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120)에 봉투(170)를 삽입한 후 가압부재(134)를 도 2 및 도 4와 같이 외측으로 절곡 시킨다. 가압부재(134)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외측으로 당기기만 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확대될 수 있다. 가압부재(134)가 도 2 및 도 4와 같이 외측으로 확대됨으로써,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은 봉투(170)의 입구 내부 둘레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 인해, 봉투(170)는 봉투결합부(120)의 둘레에 밀착되어서 위치 고정되고, 그 입구도 봉투결합부(120)에 의해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봉투결합부(120)에 봉투(170)를 결합함으로써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봉투결합부(120)에 의해서 입구가 벌려진 상태에 있는 봉투(170) 내부에 쓰레기를 용이하게 버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봉투(170)에 쓰레기가 채워진 경우, 커버부(140)를 이용하여 봉투(170)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
봉투(170)에 쓰레기가 적정 정도 채워진 경우, 가압부재(134)를 도 2 및 도 4의 상태에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내측으로 절곡시킨다. 이로 인해, 봉투(170)의 입구의 내부 둘레를 외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봉투결합부(120)는 그 둘레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봉투(170)는 봉투결합부(1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22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6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지지부(25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고, 한 쌍의 봉투결합부(220)가 각각 상호 반대의 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봉투(170)와 결합하는 한 쌍의 봉투결합부(2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봉투결합부(220)는 각각 반원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되도록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두 개의 봉투결합부(220)는 상호 결합하여 일정한 크기의 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봉투결합부(220)는 지지부(25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봉투(170)를 봉투결합부(220)에 삽입한 후 한 쌍의 봉투결합부(220)를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밀어서(즉, 봉투결합부(220)의 형상 변경을 통해서) 봉투결합부(220)에 봉투(170)의 입구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봉투결합부(220)는 측방향 이동에 의한 형상 변경에 의해서 봉투(170) 입구의 내면을 외측으로 적정한 강도로 가압하여 그 입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봉투(170)가 그 둘레에 밀착되어 위치 고정되게 한다.
봉투결합부(220)는 측방향으로 이동한 후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지지부(25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봉투결합부(220)에서 하나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지지부(250)에 고정되어 있고 하나의 봉투결합부(220)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320, 322)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참고로, 도 7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지지부(350)의 일부만을 도시하였고, 하나의 봉투결합부(322)가 회전에 의해 이동한 것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봉투(170)와 결합하는 한 쌍의 봉투결합부(320, 3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봉투결합부(320, 322)는 각각 반원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되도록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두 개의 봉투결합부(320, 322)는 상호 결합하여 일정한 크기의 원을 형성할 수 있다.
두 개의 봉투결합부(320, 322) 중에서 하나(322)는 회전중심(32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봉투결합부(320, 32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서 봉투결합부(320, 322)의 전체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변형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봉투(170)를 봉투결합부(320, 322)에 삽입한 후 하나의 봉투결합부(322)를 외측으로 회전시켜서 봉투결합부(320, 322)의 전체 형상을 확대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봉투결합부(320, 322)의 둘레에는 봉투(170)의 입구가 밀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322)는 일정 각도로 회전을 한 후 그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봉투결합부(320, 322) 모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420, 424)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420, 424)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예시된 봉투결합부(420, 424)가 상호 결합하여 외측으로 팽창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봉투결합부(420, 424)는 각각 반원 형상을 가지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봉투결합부(420, 424)는 그 일부가 중첩(overlap) 되어 그 크기가 축소된 상태에 있다. 또한, 한 쌍의 봉투결합부(420, 424)의 일단부는 지지부(450)에 고정되어 있고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봉투결합부(420)의 단부에는 결합돌기(42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봉투결합부(424)의 단부에는 결합돌기(422)가 삽입되는 결합홈(4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봉투(170)를 봉투결합부(420, 424)의 하부에 삽입한 후 각각의 봉투결합부(420, 424)를 외측으로 확대해서 도 9와 같이 결합돌기(422)가 결합홈(426)에 삽입되게 한다. 결합돌기(422)가 결합홈(426)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봉투결합부(420, 424)는 그 선단부가 상호 결합하여 원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봉투결합부(420, 424)의 크기가 확대되어서 봉투(170)의 입구 내측면을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는, 봉투(170)와 결합하는 봉투결합부(120), 봉투결합부(120)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50), 지지부(450)의 단부에 결합된 베이스부(160)를 포함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의 봉투결합부(120) 및 베이스부(16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에서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봉투결합부(120)에는 손잡이에 해당하는 걸림부재(138)가 결합되어 있다. 걸림부재(138)는 지지부(450)에 구비되어 있는 후크(45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500)는 봉투(170) 및 봉투결합부(120)를 지지부(45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봉투(170)에 쓰레기(도시하지 않음) 등이 모두 채워진 경우, 걸림부재(138)를 잡고 이를 후크(452)에서 분리한 후 쓰레기통(도시하지 않음) 등에 용이하게 버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는 봉투결합부(120)만을 구비하고 지지부(150, 450) 및 베이스부(16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봉투결합부(120)에는 손잡이 또는 걸림부재(138)가 결합되어 지지부(150)를 대신하는 다른 부분(도시하지 않음)에 걸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를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1은 결합날개(624)가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2는 결합날개(624)가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13은 도 11에 예시된 봉투 지지장치(600)에서 결합날개(624)의 결합에 의해 봉투(170)가 고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1 내지 도 12에서 봉투(170)는 편의상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는 봉투(170)와 결합하는 봉투결합부(620)를 갖는다. 그리고 봉투결합부(620)에는 후크(도시하지 않음) 등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재(640)가 결합되어 있다.
봉투결합부(620)는 그 외면(622)에 다수 개의 결합날개(624)를 구비한다. 결합날개(624)는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있으며, 회전에 의해서 결합돌기(632)와 결합을 한다. 결합날개(624)와 결합돌기(632)의 결합에 의해서 봉투(170)가 그 사이에 개재되어서 봉투결합부(620)의 둘레에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는, 봉투결합부(620)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날개(624)가 봉투결합부(620)와 결합을 함으로써, 봉투(170)가 봉투결합부(620)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봉투결합부(620)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봉투결합부(620)는 외면(622) 및 내면(634)를 갖는다. 외면(622)은 봉투(170)의 입구 내면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결합날개(624) 및 결합돌기(6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면(634)은 관통공(636)을 규정한다. 이와 같이, 봉투결합부(620)는 입구가 벌려진 사각 형상의 띠 또는 벨트 등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 상단부에는 결합날개(6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날개(624)는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형성된 결합돌기(632)에 결합을 하여서 봉투(170)가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밀착되게 한다. 결합날개(624)는 결합홀(626) 및 탄성부재(628)를 구비한다.
결합홀(626)은 결합날개(624)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구멍에 해당한다. 결합홀(626)에는 결합돌기(632)가 삽입된다. 그리고 결합홀(626)의 내부 둘레면 중 하나는 가압면(627)에 해당한다. 가압면(627)은,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날개(624)가 결합돌기(632)에 결합하는 경우 그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봉투(170)를 상향 가압하는 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가압면(627)의 상향 가압에 의해서 봉투(170)가 봉투결합부(620)의 둘레에 고정된다.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과 결합날개(624)의 연결 부분에는 탄성부재(628)가 구비되어 있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28)는 결합날개(624)가 결합돌기(632)와 결합하는 경우 결합날개(624)에 의해서 압착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결합날개(624)를 위로(도 13의 화살표 방향) 밀어 올리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결합날개(624)의 결합홀(626)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면(627)도 탄성부재(628)에 의해서 상향 가압되면서 봉투(170)를 결합돌기(632)에 대해서 상향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면(627)의 상향 가압에 의해서 봉투(170)는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위치 고정된다.
결합돌기(632)는 결합날개(624)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ㄱ 형상을 갖는다. 결합돌기(632)는 결합날개(624)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626)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결합날개(624)가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위치 고정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봉투(170)를 봉투결합부(620)의 하부에 먼저 삽입한다. 이때, 봉투결합부(620)의 각 면에 구비되어 있는 결합날개(624)는 결합돌기(63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따라서 봉투(170)는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대해 고정되지 않고 삽입만 되어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봉투(170)를 봉투결합부(620)의 둘레에 위치 고정하기 위해서, 도 11의 상태에서 결합날개(624)를 회전시켜서 결합돌기(632)에 결합되게 한다. 도 1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날개(624)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626)에는 결합돌기(632)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결합날개(624)는 봉투결합부(620)의 외면(622)에 밀착되어 위치 고정되고, 이와 함께 봉투(170)도 외면(622)에 밀착 고정된다.
봉투(170)를 봉투결합부(62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결합날개(624)를 결합돌기(632)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는 결합날개(624)와 결합돌기(632)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봉투(170)를 봉투결합부(620)의 둘레에 고정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는 사각 형상의 봉투결합부(620)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봉투결합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기타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에서 봉투결합부(620)는 각 면에 하나의 결합날개(62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각 면에 두 개 이상의 결합날개(624)를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결합날개(624)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의 결합날개(624) 및 결합돌기(632)의 구성을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날개(624) 및 결합돌기(632)의 구성을,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100)의 봉투결합부(120)에 추가로 적용하여, 봉투(170)는 가압부재(134)의 변형에 의해서 그 입구 내부면이 외측으로 가압되고, 결합날개(624) 및 결합돌기(632)에 의해서 봉투결합부(120)의 외면(122)에 밀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에서 봉투결합부(720)의 결합날개(724)가 외면(722)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에서 결합날개(724)가 회전에 의해서 봉투결합부(720)의 외면(722)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720)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의 봉투결합부(62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결합돌기(632)를 구비하지 않고 결합날개(724)가 봉투결합부(7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732)에 결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봉투(170)는 결합날개(724)와 봉투결합부(720)의 외면(722)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서 위치 고정된다.
봉투결합부(720)의 외면(722)에는 결합날개(724)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결합날개(724)의 내측에는 결합돌기(7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면(722)과 결합날개(724)의 연결 부분에는 탄성부재(728)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728)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600)의 탄성부재(628)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봉투결합부(720)의 외면(722)의 하단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73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날개(724)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726)는 결합홈(732)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도 1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날개(724)가 외면(722)에 결합된다. 결합날개(724)가 봉투결합부(720)의 외면(722)에 결합됨으로써, 봉투(170)도 그 사이에 개재되어서 봉투결합부(720)에 대해서 위치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결합날개(624, 724)가 봉투결합부(620, 720)에 결합하는 것은 다양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날개(624, 724)가 봉투결합부(620, 720)에 결합하는 구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82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8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820)는 그 외면(822)에 결합날개(8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날개(824)의 내면에는 제1 자성체(826)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자성체(826)에 대향하는 위치의 외면(822)에는 제2 자성체(828)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외면(822)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제1 자성체(826) 및 제2 자성체(828) 중 어느 하나는 영구자석에 해당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금속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자성체(826) 및 제2 자성체(828) 사이에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날개(824)와 외면(822) 사이에 봉투(도시하지 않음)를 위치시킨 후, 결합날개(824)를 외면(822) 방향(도 16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착시키면 자기력에 의해서 결합날개(824)를 외면(822)에 대해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봉투도 외면(822)에 밀착시켜서 위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봉투결합부(92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가압부재(928)가 걸림돌기(922) 사이에 결합하여 봉투결합부(920)가 외측으로 확대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9 실시예에 따른 봉투 지지장치의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는 반원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서 하나의 원을 형성한다.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의 일 단부는 지지부(950)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에는 걸림돌기(922)가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의 내측에는 가압부재(928)가 연결라인(93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걸림돌기(922)는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의 단부에서 외측 수직으로 형성된 것으로, 가압부재(928)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17에서와 같이, 가압부재(928)가 걸림돌기(922)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는 벌려지지 않은 상태에 있다. 그리고 도 18에서와 같이, 가압부재(928)가 한 쌍의 걸림돌기(922)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 경우, 가압부재(928)는 봉투결합부(920)를 외측으로 확대한다. 이로 인해, 봉투(도시하지 않음)는 가압부재(928)에 의해 확대된 봉투결합부(9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걸림돌기(922)의 단부에는 경사면(926)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926)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가압부재(928)의 가압돌기(932)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걸림돌기(922)의 내측에는 걸림홈(924)이 형성되어 있는데, 걸림홈(924)에는 가압부재(928)의 가압돌기(932)가 삽입된다. 걸림홈(924)에 가압돌기(932)가 삽입됨으로써, 가압부재(928)는 한 쌍의 걸림돌기(92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걸림돌기(922)는 봉투결합부(9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봉투결합부(92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가압부재(928)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한 쌍의 걸림돌기(922) 사이에 삽입되어 봉투결합부(920)를 외측으로 확대한다. 가압부재(928)의 좌우 양측에는 가압돌기(9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돌기(932)는 걸림돌기(9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924)에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부재(928)는 연결라인(934)에 의해서 봉투결합부(920)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라인(934)은 변형이 가능한 스프링 또는 실리콘 재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봉투결합부(920)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936)가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936)는, 한 쌍의 봉투결합부(920)가 도 18과 같이 벌어져서 확대되는 경우, 걸림돌기(922)가 가압부재(928)를 가압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물론, 탄성부재(936)를 구비하지 않고 봉투결합부(920)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재(928)는 봉투결합부(920)와 연결라인(93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부재(928)는 봉투결합부(920)와 연결되지 않고 독립된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600: 봉투 지지장치
120, 220, 320, 420, 520, 620, 720: 봉투결합부
140: 커버부 150, 250, 350, 450: 지지부
160: 베이스부 170: 봉투

Claims (15)

  1. 형상 변형에 의해서 봉투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봉투의 입구가 벌려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봉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결합부는, 봉투의 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과, 그 일부가 수축 및 확대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봉투 지지장치.
  2. 형상 변형에 의해서 봉투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봉투의 입구가 벌려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봉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결합부는 봉투의 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봉투결합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봉투결합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그 양단부가 결합하는 봉투 지지장치.
  3. 형상 변형에 의해서 봉투의 입구 내면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봉투의 입구가 벌려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외면에 밀착되게 하는 봉투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결합부는 봉투의 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봉투결합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봉투결합부의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서 상기 봉투결합부를 외측으로 확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봉투 지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결합부의 상기 외면에는 마찰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지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결합부는 지지부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지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결합부에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지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결합부에는 걸림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지지부에 구비된 후크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지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81702A 2013-07-11 2013-07-11 봉투 지지장치 KR10139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702A KR101390006B1 (ko) 2013-07-11 2013-07-11 봉투 지지장치
CA2916933A CA2916933A1 (en) 2013-07-11 2014-07-11 Bag supporting device
JP2016525288A JP2016523787A (ja) 2013-07-11 2014-07-11 袋支持装置
PCT/KR2014/006233 WO2015005710A2 (ko) 2013-07-11 2014-07-11 봉투 지지장치
EP14823765.4A EP3020643A4 (en) 2013-07-11 2014-07-11 Bag support device
CN201480038822.7A CN105555670A (zh) 2013-07-11 2014-07-11 袋子支撑装置
US14/900,615 US9676550B2 (en) 2013-07-11 2014-07-11 Bag supporting device
AU2014287919A AU2014287919B2 (en) 2013-07-11 2014-07-11 Bag suppor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702A KR101390006B1 (ko) 2013-07-11 2013-07-11 봉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006B1 true KR101390006B1 (ko) 2014-04-30

Family

ID=5065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702A KR101390006B1 (ko) 2013-07-11 2013-07-11 봉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76550B2 (ko)
EP (1) EP3020643A4 (ko)
JP (1) JP2016523787A (ko)
KR (1) KR101390006B1 (ko)
CN (1) CN105555670A (ko)
AU (1) AU2014287919B2 (ko)
CA (1) CA2916933A1 (ko)
WO (1) WO201500571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49B1 (ko) * 2015-12-07 2017-11-22 강희연 봉투를 묶어주는 쓰레기수거대
KR102531360B1 (ko) * 2023-04-07 2023-05-12 민서은 쓰레기봉투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6668B (zh) * 2020-03-31 2021-05-21 南通利安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袋撑袋机构
US11358791B1 (en) * 2020-12-07 2022-06-14 Owen Lee Alberson EZ fill bag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78Y1 (ko) * 2004-04-21 2004-07-02 이태희 쓰레기 봉투 거치대
KR200362972Y1 (ko) * 2004-07-12 2004-09-22 송원순 쓰레기 봉투 지지장치
KR20090006309U (ko) * 2007-12-21 2009-06-25 임흥호 쓰레기봉투 거치구
KR101107781B1 (ko) * 2011-09-08 2012-01-25 신재민 투입구 가변형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318A (en) * 1880-02-10 Bag-holder
US1468709A (en) * 1922-03-06 1923-09-25 Grandeur Alfred J La Bag-mouth expander
US1922938A (en) * 1931-11-05 1933-08-15 William B Phillips Bag holder
US2162113A (en) * 1937-07-03 1939-06-13 Fred P Noffsinger Bag holder
US2383366A (en) * 1943-07-05 1945-08-21 Fmc Corp Bag holder
US2995329A (en) * 1960-09-02 1961-08-08 Jr Louie R Talcott Sack holder
US3142465A (en) * 1961-06-19 1964-07-28 Hellner Karl Gustaf Supporting means for bags or sacks
US3768763A (en) * 1971-03-11 1973-10-30 R Hembree Supporting device for open topped receptacle
GB2111937B (en) * 1981-12-07 1985-07-10 Ass Sprayers Ltd A bag holder
JPS61200310U (ko) * 1985-06-05 1986-12-15
DE8907061U1 (de) * 1989-06-09 1989-10-05 Löbbert, Johannes, 48301 Nottuln Sack mit Sackkragen und Deckel
CA2001175C (en) * 1989-10-20 1996-10-29 Patrick J. Larkin Garbage bag and utility holder
JPH0449103U (ko) * 1990-08-28 1992-04-24
US5478152A (en) * 1992-12-14 1995-12-26 Bogle; David M. Locking system for holding open a plastic film bag
CN2199138Y (zh) * 1994-04-19 1995-05-31 高巍 方便架
US20010032911A1 (en) * 1998-04-24 2001-10-25 Gabl Frank S. Adjustable device for maintaining yard waste bags in open positions
JP2000168902A (ja) * 1998-12-07 2000-06-20 Tadashi Shiozawa 臭い漏れ防止生ゴミ容器
US6367822B1 (en) * 2000-07-11 2002-04-09 William B. Hutchins Bag expander
US6554810B1 (en) * 2000-07-12 2003-04-29 Peter J. Wilk Collapsible emesis container
US6431503B1 (en) * 2001-08-24 2002-08-13 Tom Horan Lawn bag holder
US6705575B1 (en) * 2003-01-17 2004-03-16 Marian A. Hoy Disposable bag with stand
US6698474B1 (en) * 2003-03-07 2004-03-02 William J. Trsek Bag handling apparatus
US7350547B2 (en) * 2005-04-19 2008-04-01 Quiring Frank K Refuse bag tensioner and method of use
JP2007314296A (ja) * 2006-05-25 2007-12-06 Takeda:Kk ごみ収納補助具
JP3155847U (ja) * 2009-09-23 2009-12-03 有限会社 新美工業 ゴミ袋保持具及びこれを用いたゴミ容器
US8100370B1 (en) * 2010-07-08 2012-01-24 Ross Robert Kramer Bag mouth holder and opener
CN201971361U (zh) * 2010-12-25 2011-09-14 王昀 多功能长槽齿口式垃圾桶
CN202124255U (zh) * 2011-06-26 2012-01-25 谭全清 塑料袋活动垃圾筐架
BR112015026562B1 (pt) * 2013-04-23 2021-08-10 Vishaal Boehm Verma Dispositivo para reter de maneira seletiva uma abertura de uma embalagem e embalag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78Y1 (ko) * 2004-04-21 2004-07-02 이태희 쓰레기 봉투 거치대
KR200362972Y1 (ko) * 2004-07-12 2004-09-22 송원순 쓰레기 봉투 지지장치
KR20090006309U (ko) * 2007-12-21 2009-06-25 임흥호 쓰레기봉투 거치구
KR101107781B1 (ko) * 2011-09-08 2012-01-25 신재민 투입구 가변형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649B1 (ko) * 2015-12-07 2017-11-22 강희연 봉투를 묶어주는 쓰레기수거대
KR102531360B1 (ko) * 2023-04-07 2023-05-12 민서은 쓰레기봉투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76550B2 (en) 2017-06-13
EP3020643A4 (en) 2017-02-08
CN105555670A (zh) 2016-05-04
CA2916933A1 (en) 2015-01-15
WO2015005710A2 (ko) 2015-01-15
JP2016523787A (ja) 2016-08-12
EP3020643A2 (en) 2016-05-18
US20160376100A1 (en) 2016-12-29
WO2015005710A3 (ko) 2015-03-26
AU2014287919A1 (en) 2016-02-04
AU2014287919B2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006B1 (ko) 봉투 지지장치
ES2942462T3 (es) Elemento de reciclaje de cápsulas de café
US20180118410A1 (en) Storage container
JPWO2008023411A1 (ja) ごみ箱および容器の蓋
DE60214729D1 (de) Beutelbehältereinsatz für eine kosmetikpackung und damit hergestellte packung
CN109229763A (zh) 一种针灸针包装结构及方法
US2900779A (en) Tool for opening and expanding the mouth of a flexible receptacle
CN205770845U (zh) 自封口包装袋
CN207773890U (zh) 伞形钻头的真空锁紧装置
CN104528224B8 (zh) 一种多用途套环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US991081A (en) Sack-holder.
KR20140018167A (ko) 봉투 지지장치
CN207141993U (zh) 一种可固定垃圾袋的垃圾桶
KR101391115B1 (ko) 스프링 컵
US20070210218A1 (en) Garbage bag support
CN217970072U (zh) 一种真空包装机
JP2018058638A (ja) 袋封止用クリップ
CN217576450U (zh) 一种便携式可重复使用的鞋盒
JP3212536U (ja) 折畳式バケツ
KR20170066131A (ko) 자동 포장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CN218369714U (zh) 一种垃圾桶
KR20110008994U (ko) 쓰레기봉투 지지대
CN203740308U (zh) 简便式瓶口封口器
KR20240112185A (ko) 봉투 개방구를 밀폐하는데 사용하는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