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57B1 -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 Google Patents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57B1
KR101389557B1 KR1020120067639A KR20120067639A KR101389557B1 KR 101389557 B1 KR101389557 B1 KR 101389557B1 KR 1020120067639 A KR1020120067639 A KR 1020120067639A KR 20120067639 A KR20120067639 A KR 20120067639A KR 101389557 B1 KR101389557 B1 KR 10138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
vegetation
och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6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0513A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57B1/en
Publication of KR201400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토조성물을 이용한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은 식물이 생장가능하게 중앙부분에 상하를 관통하는 식생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일 측의 본체와 인접하는 타 측의 본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에 의하면 시멘트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블록을 제작하므로 시멘트의 독성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생태계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에 의해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간을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강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ft block and a raft block unit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ft block having an eco-friendly, durable and plant growth using an ocher composition and a raft block unit having the same.
The ophthalmic block using the och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hthalmic block unit having the same are formed vegetation holes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center of the plant to grow, and through holes penetrating to the other side facing from one side. A main bod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mean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interconnecting a main body on one side and a main body on the other side adjacent thereto.
According to the rafting block and the rafting block unit provided with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ck is manufactured using the ocher composition containing no cement at all, it prevent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toxicity of the cement and is equipped with an eco-friendly rafting block which is harmless to the ecosystem. One shore block unit can be provided.
In addition, by the connecting means can be firmly bound between the bank of the banks and the banks of the banks having the same, it is structurally strong and easy to construct.

Description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A revetment block and a revetment block unit provided with the same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본 발명은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식물의 생육이 가능하도록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ft block and a raft block unit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logical and durable using an ocher composition, and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for the growth of plants, and a raft block having the same. It is about a unit.

일반적으로 호안블록은 토사의 유실, 침식을 방지하여 경사면을 보호하도록 하천변, 해안변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의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은 생태계 보호와 미관 향상이라는 측면보다는 주로 경사면의 사석 유실이나, 경사면의 침식 및 붕괴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the raft block is installed on the slope of the riverside, coastal side and the like to protect the slope by preventing the loss and erosion of the earth and sand, the conventional raft block and the raft block unit provided with it is mainly on the slope rather than the aspect of ecosystem protection and aesthetic improvement It has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oss of dead stones, erosion and collapse of slopes.

예컨대, 종래 기술의 호안블록은 경사면에 앵커 등에 의해 고정되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대개 사각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므로 구조적으로 식물의 식생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여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For example, the prior art block is made of a concrete block fixed to the inclined surface by an anchor or the like. Since such concrete blocks are usually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ructurally provide a vegetation space of a plant and thus create a natural environmen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블럭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호안블럭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205-0077980호에는 중앙에 식생홀이 형성된 호안블록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ake block has been proposed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for plants to grow. As an example of such a relief block,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205-0077980 discloses a relief block having a vegetation hole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호안블록은 콘크리트를 재질로 하면서 내부에 식물의 생육을 위한 식생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은 식생공간에 식물이 식재됨으로써 호안의 경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The revetment blo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vegetation space for growing plants is formed while using concrete as a material. Such a raft block and a raft block unit having the same have a positive aspect that can keep the landscape of the raft beautifully and protect the ecosystem by planting the vegetation space.

그러나 상기 호안블록은 콘크리트를 소재로 하고 있어 콘크리트에서 여전히 시멘트의 독성이 배출되기 때문에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일으키고,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의 식생홀 및 그 주변에서 자라는 식물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revetment block is made of concrete, the toxicity of cement is still emitted from the concrete, causing pollution of water quality and soil, and harmful effects on the vegetation holes of the revetment block and the revetment block having the same and the plants growing in the vicinity. There is a problem giving.

또한, 호안블록 간에 단순한 요철구조로만 결합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결속력이 미약하여 쉽게 유실되며, 이로 인한 유지보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t is structurally weak because it is coupled only between the relief block between simple relief, weak binding force is easily lo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caused thereb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안블록을 제작하는 데 있어 시멘트를 배제함으로써 시멘트의 독성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식물에 무해한 친환경적이고 내구성이 강한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toxicity of cement by excluding the cement in the manufacture of the revetment block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and durable revetment block harmless to plants.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식생공간을 제공하면서, 인접하는 블록들 간 결합이 견고하여 홍수 또는 지반침하에도 유실이 방지되는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capable of growing plants, while providing a secured block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blocks is firmly prevented from being lost even in flood or ground subsiden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은 식물이 생장가능하게 중앙부분에 식생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일 측면으로부터 대향 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일 측의 본체와 인접하는 타 측의 본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geta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so that plants can grow, a through hole penetrating to the other side facing from one side of the edge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mean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interconnecting the main body on one side and the main body on the other side adjacent thereto.

상기 본체는 인접하는 타 측 본체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grooves are introduc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edge side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in which plants can grow between adjacent main body.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일 측면 하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이 형성된 측면과 대향하는 타 측면에는 인접하는 본체의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coupling grooves of an adjacent body are formed at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edge of the main body, and a coupling groove introduc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body, an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본체는 제1 내지 제4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상기 제3측면을 향하여 관통된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과 교차하도록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제4측면을 향하여 관통된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formed to have first to fourth side surfaces, and the through hole has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oward the third side surface facing from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o intersect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from the side toward the opposing fourth side.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유닛은 식물이 생장가능하게 중앙부분에 형성된 식생구멍과, 가장자리 일 측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과,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을 구비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본체와; 내부에 상기 본체를 다수 개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배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된 상기 본체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된 상기 본체들을 상기 지지부에 구속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 측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본체들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지지부의 타 측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vetment block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geta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o enable the plant to grow, a through hole penetrating to the other side facing from one side of the edge, and a retracting groove drawn inwardly from the edge, and mutually A main body disposed adjacently; An arranging space is formed therein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and a support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ies disposed in the arranging space; Connection means fixed at one en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main bodies so as to restrain the main bodies disposed at the support part to the support part;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본체는 인접하는 타 측 본체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모퉁이에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주식생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인접하는 타 측의 지지부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 모퉁이에 상기 지지부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보조식생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지지부들 상호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stock grooves drawn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t the corners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for plant growth between the adjacent main body, the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drawn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 at the edge corner of the support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for plant growth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of the other side Auxiliary vegetation grooves are each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clamp for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는 소성황토 또는 비소성된 생황토 분말 5 내지 30중량%, 소석회 3 내지 10 중량%, 분말도 6000 내지 8000㎠/g의 고로 슬래그 5 내지 20 중량%, 부순 자갈 및 부순 모래 30 내지 65 중량%, 나프탈렌계와 리그닌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 감수제 0.2 내지 1.0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수지 0.1 내지 10 중량%,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portion 5 to 30% by weight of calcined ocher or unfired raw ocher powder, 3 to 10% by weight of hydrated lime, 5 to 20% by weight of blast furnace slag of 6000 to 8000 cm2 / g powder, crushed gravel and crushed sand 30 to 65% by weight, any one natural reduc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phthalene-based and lignin-based and polycarboxylic acid-based, 0.2 to 1.0% by weight of urethane acrylate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and hydroxyethyl methacrylate 0.1 to 10% by weight of any one binder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idual amount of water.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은 중앙에 식생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네 측면에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가장자리 즉, 모퉁이 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본체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때 본체의 모퉁이 부분 사이에도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생태계 보호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ft block unit provided therewith is a raf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ft block unit provided with the same, the vegeta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inlet grooves are formed on the four sides, the plant is grown In addition to providing a vegetation space, the edge of the body, that is, the corner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reby providing a vegetation space in which plants can grow between the corner portions of the body when the bodies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This can improve ecosystem protection and aesthetics.

또한, 연결수단에 의해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간을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어 구조적으로 강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시멘트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블록을 제작하므로 시멘트의 독성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생태계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bind between the revetment block and the revetment block unit provided by the connecting means, which is structurally strong and easy to construct, and makes the block using the ocher composition which does not contain any c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friendly revetment block and a revetment block unit having the same that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re harmless to the eco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호안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ief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tment block shown in Figure 1 is install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ief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tment block shown in Figure 2 is install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lief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tment block shown in FIG. 5 is installed.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 block uni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vetment block uni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bank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illustrate a relief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은 본체(10)와, 연결수단(20)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ank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connecting means 20.

본체(10)는 하천변, 해안변 등의 경사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황토를 포함하는 황토조성물을 성형하여 제1측면 내지 제4측면을 갖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으로 만들어지며, 모퉁이 부분은 곡선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은 제3측면과 마주하고, 제2측면은 제1측면과 제3측면과 인접하면서 제4측면과는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adjacent to a slope such as a riverside, a coastal side, etc.,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having a first side to a fourth side by molding an ocher composition including ocher, and the corner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do. The first side face faces the third side face, and the second side fac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ourth side face while being adjacent to the first side face and the third side face.

이와 달리 상기 본체(10)는 삼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도 각각의 모퉁이 부분은 곡선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를 만들기 위한 황토조성물은 후술한다. On the contrary, the main body 10 may be made of various shapes and sizes, such as polygons, circles, such as triangles, pentagons, hexagons, etc. In this case, each corner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tructure. The ocher composition for making the body 10 will be described later.

본체(10)의 중앙부분에는 식물이 생장가능하게 상하를 관통하는 식생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 일 측면에는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본체(10)의 구조적인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강돌기(14)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vegetation hole 11 penetrates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a plant can grow in the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through-hole 13 which penetrates to the other side which is opposite is formed in the one side of the edge, The upper surface Reinforcing protrusions 14 for increas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상기 식생구멍(11)은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본체(10)를 경사지에 설치할 때, 식생구멍(11)에서 생육하는 식물의 뿌리가 경사지 내부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getation holes 11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ut when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on the slope, the roots of the plants growing in the vegetation holes 11 may extend into the slope. It is preferable to form so as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관통홀(13)은 본체(10)들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연결수단(20)이 통과하는 부분으로 제1측면으로부터 대향하는 제3측면을 향하여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구멍(11)과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식생구멍(11)과 교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The through hole 13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means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firmly couple the main bodies 10 to each other is formed to penetrate toward the third side facing away from the first side. The through hole 13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intersect the vegetation hole 11, as shown, may be formed to intersect the vegetation hole 11, as shown.

본체(10)의 제1측면 내지 제4측면에는 각각 인접하는 타 측 본체(10)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17)을 제공하도록 본체(10)의 네 측면으로부터 본체(10)의 내측 또는 식생구멍(11)측을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들을 상호 인접되게 배치하면 상기 인입홈(12)은 인접하는 본체(10)의 인입홈(12)과 함께 식생공간(17)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main body 10 from the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to the fourth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17 through which the plants can grow between the adjacent main body 10. An inlet groove 12 drawn in toward the inner side or the vegetation hole 11 side is formed,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main bodies 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inlet grooves 12 form the vegetation space 17 together with the inlet grooves 12 of the adjacent main body 10.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의 제1측면 내지 제4측면을 제외한 각 모통이 부분에는 인입홈과는 별도로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식생연결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식생연결홈은 네 방향에서 모퉁이 부분이 맞닿게 배치되는 본체(10)들에 의해 식생공간을 형성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each of the trunks except for the first side to the fourth side of the main body may form a vegetation connecting groove drawn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separately from the inlet groove. The vegetation connecting groove is formed in the vegetation space by the main body 10 is the corner portion is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four directions.

연결수단(20)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본체(10)들 상호 간을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제1측면에 마련된 관통홀(13)에 진입되어 제3측면의 관통홀(13)로 진출하며, 인접하는 제1측면으로 진입되어 타 측의 제3측면으로 진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수단(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블록들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관통홀(13)이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 측의 본체(1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이 작용하는 일 측의 본체(10)가 인접하는 타 측의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들을 관통홀(13)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반듯하게 정렬시킬 수 있게 한다. The connecting means 20 is to firmly connect the main bodies 1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means 20 enters the through holes 13 provided on the first side, and the through holes 13 on the third side. And enters the adjoining first side and is installed to advance to the third side of the other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rnal means acts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main body 10 on one si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s 13 are form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block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ain body 10 on one side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0 on the other side, and thus the main bodies 10 are straigh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3. To be able to sort it.

상기 연결수단(20)은 금속 또는 섬유질로 만들어진 로프를 적용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20 may be applied to a rope made of metal or fiber.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은 중앙에 식생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네 측면에 인입홈(12)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식생공간(17)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의 가장자리 즉, 모퉁이 부분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본체(10)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때 본체(10)의 모퉁이 부분 사이에도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18)을 제공함으로써 생태계 보호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with a vegetation hole 11 in the center, the inlet grooves 12 are formed on the four sides, the vegetation space (17) that plants can grow In addition to providing a vegetation, the edges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corner portions,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plants can grow between the corner portions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main bodies 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Providing space 18 can enhance ecosystem protection and aesthetics.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호안블록은 본체(10)와, 연결수단(20)을 구비한다. 연결수단(20)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체(10) 역시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10)의 제1측면으로부터 제3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3) 이외에도 제2측면으로부터 제4측면을 향하여 관통하는 관통홀(15)이 하나 더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 3 and Figure 4 shows a relief b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revetment block has a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means 20. Since the connecting means 2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main body 1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n this embodiment, the penetrating penetrates from the second side toward the fourth side in addition to the through hole 13 penetrating the third side from the first 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one more hole 15 is provided.

이하에서는 제1측면으로부터 제3측면을 관통하는 것을 제1관통홀(13)이라 하고, 제2측면으로부터 제4측면으로 관통하는 것을 제2관통홀(15)이라 한다. Hereinafter, what penetrates from the first side surface to the third side surface is called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penetrates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to the fourth side surface is called the second through hole 15.

상기 제2관통홀(15)은 제1관통홀(13)과 마찬가지로 연결수단(20)을 통해 본체(10)들 상호를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관통홀(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홀(13)과 제2관통홀(15)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본체(10)의 상부측과 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1관통홀(13)을 통과하는 연결수단(20)과, 제2관통홀(15)을 통과하는 연결수단(21)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The second through hole 15 is for connecting the main bodies 10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through hole 13. It is formed.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not to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at is, the connecting means 20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the connecting means 21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5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so as not to meet each other.

이와 같이 상호 직교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13)과 제2관통홀(15)에 연결수단(20, 21)을 각각 삽입하여 본체(10) 상호 간을 지지 및 연결하는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1관통홀(13)의 연장방향 또는 제2관통홀(15)의 연장방향 또는 제1관통홀(13)과 제2관통홀(15)의 연장방향이 이루는 사이의 방향으로 일 측의 본체(1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일 측의 본체(10)가 타 측의 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본체(10)들이 정렬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홍수에 의한 유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등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침하가 발생하지 않은 주변의 본체(10)들에 삽입된 연결수단(20, 21)에 의해 하방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e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connecting the main body 10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connecting means 20 and 21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 form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13 of the main body 10 or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through hole 15 or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1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 is achiev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main body 10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main body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0 on the other side, the main body 10 is alig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loss due to the flooding, but also to prevent being hit downward by the connecting means 20 and 21 inserted into the main bodies 10 of the surroundings in which the subsidence does not occur. Will be.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안블록은 본체(30)와, 연결수단(20)을 구비한다. 연결수단(20)은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체(30) 역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본체(10)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호 인접하는 본체(30)들 상호 간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결합홈(31)과, 결합돌기(32)가 상호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Meanwhile, FIG. 5 and FIG. 6 illustrate a relief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the relief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30, the connecting means 20. Since the connecting means 2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main body 30 is also the same as the main body 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groove 31 and the coupling protrusion so as to increase the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in bodies 30 adjacent to each o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32) is formed on the side facing each other.

본체(30)의 가장자리 제1측면 하부에는 제3측면을 향하여 인입된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31)이 형성된 제1측면과 대향하는 제3측면에는 인접하는 본체(30)의 결합홈(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3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결합돌기(32)는 본체(30)를 상호 인접하게 결합시킬 때 먼저 설치된 본체(30)의 결합홈(31)으로 삽입된다.Coupling grooves 31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edge first side of the main body 30 toward the third side surface, and the main body 30 adjacent to the thir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on which the coupling groove 31 is formed. Coupling projection 32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hird sid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1) of. The coupling protrusion 3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1 of the main body 30 installed first when the main body 30 i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체(30)는 다수를 인접하게 배치하였을 때 상호가 결합돌기(32) 및 결합홈(3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강한 결속력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20) 또한 본체(30) 상호를 연결시키고 있으므로 더욱 강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3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protrusion 32 and the coupling groove 31 when a plurality of adjacently arranged, as well as having a strong binding force as shown in FIG. The means 20 may also have a stronger bonding force since the main body 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유닛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안블록유닛은 식물이 생장가능하게 중앙부분에 식생구멍(1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일 측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3)이 형성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본체(10)를 다수 개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배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상기 본체(10)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에 배치된 상기 본체(10)들을 상기 지지부(100)에 구속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지지부(100)의 일 측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본체(10)들의 관통홀(13)을 통과하여 지지부(100)의 타 측에 고정된 연결수단(20)과, 지지부(100)들 상호를 결합시키는 고정클램프를 구비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bank eye block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the shore block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vegetation holes 11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nt so that plants can grow, and through holes 13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edge to the other side are formed and mutually formed. The main body 1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 and an interior spac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10 can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in the layout space The support part 100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nd the support part 100 at one end to constrain the main body 10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100 to the support part 100. Fixed to one side of the other end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13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means 20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00, the fixing to couple the mutual support A clamp is provided.

본 실시 예에서 적용한 블록유닛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을 적용하였지만, 이와 다르게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및 제3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연결수단(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한다.The block unit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but differently from FIGS. 3 and 4 and 5 and 5. It may have a structur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6.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0 and the connecting means 2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bank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지지부(100)는 내부가 빈 직사각 또는 정 사각의 프레임으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고, 황토를 포함하는 황토조성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지지부(100)를 형성하는 황토조성물은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부(100) 내의 배치공간에는 다수의 본체(10)들이 서로 맞닿게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들이 맞닿는 부분에는 인입홈(12)에 의해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생식공간들이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100 is an empty rectangular or square frame,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s made of an ocher composition including ocher. The ocher composition forming the support part 100 will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n arrangement space in the support part 100, and reproductive spaces ar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main bodies 10 abut so as to grow plants by the inlet grooves 12.

지지부(100)의 테두리 상면에는 하방으로 관통된 고정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101)에는 고정클램프가 결합되며, 고정클램프를 통해 인접하는 지지부(100)들 상호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fixing groove 101 penetrated down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of the support part 100. A fixing clamp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101, and the support members 100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ing clamp.

상기 고정클램프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양단부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경사부(111)를 구비하며, 경사부(111)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111)는 상호 인접한 고정홈(101)에 각각 삽입되며 고정홈(101)의 내주면을 가압하면서 지지부(100)들 상호를 밀착결합시킨다.The fixing clamp has a pair of inclined portions 111 extending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from both ends of the base 110 and the base 110, the bent projections bent inward at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111 112 is formed. The inclined portions 111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01 adjacent to each other, and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101 to closely couple the support portions 100 to each other.

지지부(100)의 일 측 내주면에는 연결수단(2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일 측 내주면과 대향되는 타 측 내주면에는 다수의 본체(10)를 통과한 연결수단(20)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100)는 연결수단(20)을 통해 다수의 본체(10)들을 유닛화하게 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means 20 is fixed to one sid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ans 20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is fixed to the oth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pposite to the on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have. The support part 100 unitizes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10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20.

상기와 같은 호안블록유닛은 지지부에 의해 다수의 본체(10)들이 하나의 개체로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경사지에 설치하는 경우에, 본체(10)를 하나씩 따로따로 설치하면서 정렬하는 작업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지반침하가 발생하더라도 개별적으로 본체를 설치한 것보다는 균일한 정렬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00)들 또한 고정클램프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상호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vetment block unit has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 unitized by a single support unit, and thus, when installed on an incline, the work time is compared with the work of arranging the main units 10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shorten, and even if ground subsidence occur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uniform alignment state than installing the body individually.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arts 100 are also fixed by the fixing clamps, the support parts 100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external force.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호안블록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호안블록유닛은 본체(40)와, 지지부(200)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8 is a bank block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Referring to FIG. 8, the bank block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40 and a support part 200.

본체(40)는 중앙부분에 식생구멍(41)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타 측 본체(40)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가장자리 모퉁이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주식생홈(4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서 대향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43)이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40 has a vegetation hole 41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the stock grooves drawn inward from the edge corners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in which the plants can grow between the adjacent main body 40. 42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through-hole 43 which penetrates to the other side which opposes from one side is formed.

지지부(200)는 본체(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인접하는 타 측의 지지부(200)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가장자리 모퉁이에 지지부(200)의 내측 즉, 배치공간을 향하여 인입된 보조식생홈(20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Support portion 2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edge corners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for plant growth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portion 200 on the other side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200, that is, the auxiliary vegetation groove 201 drawn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is formed,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호안블록유닛은 본체(40)에 형성된 식생구멍(41)과, 주식생홈(42)에 의해 본체(40)들 사이뿐만 아니라, 지지부(200)의 모퉁이에 형성된 보조식생홈(201)에 의해 지지부(200)들 사이에도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호안이나 경사지의 토사 유출을 방지하면서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The revetment block unit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 vegetation hole 41 formed in the main body 40 and the auxiliary vegetation groove formed in the corner of the support part 200 as well as between the main bodies 40 by the stock fresh groove 42. By 201 it can provide a vegetation space in which plants can grow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00 to creat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tmosphere while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earth or lake slope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호안블록 본체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형태 즉, 본체의 상면을 평편하게 형성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0)의 외주면 더욱 상세하게는 상면을 자연석 형태로 울퉁불퉁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연석 형태를 갖는 호안블록 본체(50)는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고, 호안블록 본체(50)의 상부에 흙이나 모래 등을 충진할 수도 있어 식물이 생장할 수 있게 한다.In the above-described protection block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shape shown in Figures 1 to 8,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flat, as shown in Figure 9 in more detail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50 The surface may be roughly formed in the form of natural stone. As described above, the revetment block body 50 having a natural stone form may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ay be filled with soil or sand on the upper part of the revetment block body 50 to allow plants to grow.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본체(10, 30, 40)와, 지지부(100, 200)를 이루는 황토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ch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30, 40 and the support parts 100,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10, 30, 40)를 성형하기 위한 황토조성물은 소성황토 또는 비소성된 생황토 분말 5 내지 30중량%, 소석회 3 내지 10 중량%, 분말도 6000 내지 8000㎠/g의 고로 슬래그 5 내지 20 중량%, 부순 자갈 및 부순 모래 30 내지 65 중량%, 나프탈렌계와 리그닌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 감수제 0.2 내지 1.0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수지 0.1 내지 10 중량%, 잔량의 물로 조성될 수 있다. 물은 잔량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물의 첨가량은 다른 재료들의 함량에 따라 5 내지 15중량% 포함된다. The ocher composition for molding the main body 10, 30, 40 is 5 to 30% by weight of calcined ocher or unfired raw ocher powder, 3 to 10% by weight of slaked lime, blast furnace slag with a powder degree of 6000 to 8000 cm2 / g. 20 wt%, 30 to 65 wt% of crushed gravel and crushed sand, 0.2 to 1.0 wt% of any natural water reduc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phthalene-based and lignin-based and polycarboxylic acid-based, urethane acrylate resin and polymethylmethacrylate And 0.1 to 10% by weight of any one binder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a balance of water. Water is included in the balance. Therefore, the addition amount of water is included 5 to 15% by weigh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other materials.

황토는 탄산칼슘(CaCO3),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 철분,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리(K2O) 등을 포함하며 주로 0.05~0.01mm 실트(silt) 입자로 구성된 황색의 광물질로서,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기 때문에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며 시멘트 독성 등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Ocher contains calcium carbonate (CaCO 3 ), silica (SiO 2 ), alumina (Al 2 O 3 ), iron, magnesium (Mg), sodium (Na), kali (K 2 O), etc., mainly 0.05 ~ 0.01mm As a yellow mineral composed of silt particles, it emits a large amount of far-infrared rays and thus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human body such as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metabolism and neutralizes cement toxicity.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황토는 소성된 소성황토 또는 비소성된 생황토가 이용될 수 있다. 비소성된 생황토는 토양에서 채취한 황토를 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분쇄한 분말 형태로 이용한다. 그리고 소성황토는 토양에서 채취한 황토를 소성로 투입하여 500∼800℃의 온도에서 약 20분간 소성시킨 후 이를 밀로 갈아서 자동 스크린 채망을 이용하여 걸러낸 분말 형태를 이용한다. 이러한 소성 가공을 거친 황토는 생황토에 비해 경화성이 더 우수해진다. 한편, 소성 온도가 500℃ 미만이면 경화도가 낮은 황토분말을 얻을 수 있고, 소성 온도가 800℃를 초과하면, 충분한 경화도를 획득한 이후이므로, 경화도 확보를 위해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The loe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lcined calcined ocher or non-baked raw ocher. Unfired raw ocher is used in the form of powder ground in a crusher after drying the ocher collected from the soil. The calcined ocher is put into the calciner, and the calcined ocher is calcined at a temperature of 500 to 800 ° C. for about 20 minutes, and then ground into a mill to use a powder form filtered using an automatic screen sieve. The loess which has undergone such plastic processing is more curable than the raw loess. On the other hand, if the firing temperature is less than 500 ℃ can obtain a low-hardness ocher powder, and if the firing temperature exceeds 800 ℃, since the sufficient degree of curing is obtained, unnecessary energy may be consumed to secure the degree of curing.

황토분말의 함량은 전체 황토조성물 중에 5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황토 분말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황토 분말이 포함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에, 황토 분말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따른 기대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수 있으며 강도 등의 기대 효과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조성물이 첨가될 양이 줄어들 수 있어, 후에 형성될 황토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될 수도 있다.The content of ocher powder may be 5 to 30% by weight in the total ocher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ocher powd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eco-friendly effect obtained by the inclusion of the ocher powder may be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the ocher powder exceeds 30% by weight may not increase the expected effect by increasing the content any m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economic feasibility to meet the expected effects such as strength. In addition, the amount to which other compositions are added may be reduced, so that the strength of the ocher composition to be formed later may be lowered.

황토조성물의 산성도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소석회가 포함된다. 소석회는 주로 산화칼숨(CaO)을 포함할 수 있는데, 황토조성물에 알칼리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laked lime is included to neutralize the acidity of the ocher composition. Slaked lime may contain mainly calcium oxide (CaO), which serves to supply alkali to the ocher composition.

소석회의 함량은 3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소석회의 함량이 3중량% 미만이면, 황토조성물에 알칼리를 공급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황토조성물이 전체적으로 알칼리성을 나타낼 수 있다.The content of slaked lime may be 3 to 1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slaked lime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effect of supplying alkali to the ocher composition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10% by weight, the ocher composition may be generally alkaline.

물과 함께 혼합될 때 금속이온의 화학적 이온치환 작용에 의한 중화 및 수화반응을 통해 황토조성물을 고화시키기 위해 고로 슬래그가 포함된다. 이때, 분말도가 6000 내지 8000㎠/g인 고로 슬래그가 사용될 수 있다. 고로 슬래그의 분말도가 6000㎠/g 미만이면, 황토조성물로 형성될 블록의 압축강도가 약해질 수 있어, 쉽게 깨지거나 크랙 등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분말도가 8000㎠/g을 초과하면, 블록 제품의 압축강도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아니하므로, 공정의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Blast furnace slag is included to solidify the ocher composition through neutralization and hydration by chemical ion substitution of metal ions when mixed with water. At this time, slag may be used as the blast furnace having a powder degree of 6000 to 8000 cm < 2 > / g. If the blast furnace slag powder is less than 6000 cm 2 / 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lock to be formed into the ocher composition may be weakened, so that it may be easily broken or cracked. And when the powder degree exceeds 8000 cm 2 / g, sinc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block product is no longer increased, there is an undesirable aspect in terms of economics of the process.

고로 슬래그의 함량은 5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다. 고로 슬래그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황토조성물을 고화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강도가 낮은 블록 제품이 형성될 수 있다. 고로 슬래그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고화가 너무 과하게 이루어져 황토조성물의 전체 물성이 약화될 수 있다. The content of blast furnace slag is preferably 5 to 2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blast furnace slag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effect of solidifying the ocher composition may not be sufficiently exhibited. As a result, a block product having a low compressive strength can be formed. If the blast furnace slag content exceeds 20% by weight, the solidification may be excessively excessive and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ocher composition may be weakened.

황토조성물에 포함된 골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골재로 부순자갈 및 부순 모래를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부순 자갈은 최대 입경 13mm 이하의 콘크리트용 부순 굵은 골재의 품질에 적합한 자갈이 적절하고, 부순 모래는 최대 입경 5mm이하의 콘크리트용 부순 모래의 품질에 적합한 모래가 적절하다. 또한, 황토조성물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골재 중 일부를 규사, 맥반석, 옥 등의 친환경 골재로 대체 함으로써 친환경성을 높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type of aggregate contained in the ocher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mixture of crushed gravel and crushed sand can be used as the aggregate. Crushed gravel is suitable for the quality of crushed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with a maximum particle diameter of 13mm or less, and crushed sand is suitable for the quality of crushed sand for concrete with a maximum particle diameter of 5mm or less. In addi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cher composition by replacing some of the aggregates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aggregates such as silica sand, ganban stone, jade can be used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friendliness.

부순 자갈 및 부순 모래로 이루어진 골재의 함량은 30~65 중량%일 수 있다. 부순자갈 및 부순 모래의 혼합은 중량비로 1~2:1일 수 있다. 골재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블록 제품의 골격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타 재료의 투입량이 증가되어 경제성이 낮아질 수 있다. 골재의 함량이 65중량%를 초과할 경우, 조성물의 강도가 낮아지거나 표면마무리 등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골재의 함량은 황토조성물 전체에 대해 30 내지 65중량% 정도의 범위 내에서 요구조건에 맞는 적절한 함량 조정을 통해 강도 확보와 시공성이 향상된 황토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The content of aggregate consisting of crushed gravel and crushed sand may be 30 to 65% by weight. The mixture of crushed gravel and crushed sand may be 1 to 2: 1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aggregate is less than 30% by weight, the skeleton of the block product may not be properly formed, and the input of other materials may be increased and the economic efficiency may be lowered. When the content of the aggregate exceeds 65%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may be lowered or difficulty such as surface finishing may occur. For this reason, the content of the aggregate can be produced in the ocher composition with improved strength and construction properties by adjusting the appropriate content within the range of about 30 to 65% by weight based on the entire ocher composition.

황토조성물의 고화를 돕기 위하여 천연 감수제가 포함될 수 있다. 천연 감수제는 예를 들어, 나프탈렌계, 리그닌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Natural water reducing agents may be included to aid in the solidification of the ocher composition. The natural water reducing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naphthalene-based, lignin-based and polycarboxylic acid-based.

황토조성물의 전체에 대한 천연 감수제의 함량은 0.2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천연 감수제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감수효과가 떨어지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감수효과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시공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natural water reducing agent in the whole of the ocher composition may be 0.2 to 1.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natural water-reducing agent is less than 0.2% by weight, the water-reducing effect is lowered. If the content of the water-reducing agent is more than 1.0% by weight, the water-reducing effect is excessively increased, which may cause problems in construction. .

황토조성물의 내구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바인더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황토조성물 내에 포함된 다른 조성물들 간의 결합력과 내염해성 내동해성 내황산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binder resin is used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ocher composition. In addition, the binder resin may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ther compositions included in the ocher composition, salt resistance, copper resistance, sulfuric acid resistance, and the like.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우레탄의 특성과 아크릴레이트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는 하이브리드(hybride)수지이다.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우레탄 프리폴리머(urethane prepolymer)와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중합반응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중합 반응에 의해서 형성되며, 그 종류는 다양하다. The binder resin can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urethane acrylate resins, polymethyl methacrylates and hydroxyethyl methacrylates. Here, the urethane acrylate resin is a hybride resin having both urethane and acrylate characteristics. Such urethane acrylate resins can generally be prepared by polymerization of a urethane prepolymer with a hydroxyalkyl acrylate. The urethane prepolymer is formed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a polyol and isocyanate, and the types thereof are various.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황토조성물 전체에서 0.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일 경우, 황토조성물 내에 다른 조성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효과가 미미하다. 친환경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황토조성물 내에 다른 조성물 간의 결합력이 강화되나, 가공성이 저하되어, 황토조성물 제조시 추가의 공정이 필요하게 될 수 있어, 공정의 전체적인 경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may be 0.1 to 10% by weight in the whole ocher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other compositions in the ocher composition is insignificant. When the content of the eco-friendly binder resin exceeds 10% by weigh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different compositions in the ocher composition is strengthened, but the workability is reduced, so that an additional process may be required in the manufacture of the ocher composition, so that the overall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rocess May not be desirable.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황토조성물에는 물이 포함될 수 있는데, 물과 바인더 수지의 혼합비(물:바인더 수지)는 2:1 ~ 5:1일 수 있다. 황토조성물에 포함된 조성물 간의 전체적인 결합 세기와 가공성을 고려할 경우 상기의 범위로 사전에 물과 바인더 수지를 혼합 후 다른 조성물과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cher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ater, the mixing ratio (water: binder resin) of the water and the binder resin may be 2: 1 to 5: 1.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bonding strength and processability between the compositions contained in the ocher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mix water and binder resin in advance within the above ranges and then mix with other compositions.

그리고 황토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 및 지지부의 강도와 균열 저항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추가로 보강재가 포함될 수 있다. 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crack resistance of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formed by the ocher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reinforcement.

상기 보강재로는 토목섬유 및 친환경 수지로 형성한 보강재,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중에서 통상 사용되는 보강재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보강재는 결합력의 견고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블록의 균열을 저감하고, 블록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As the reinforc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reinforcing material formed of geotextil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resins, for example, cellulose. However, a reinforcing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market may be arbitrarily selected and used within the range of not impairing the present invention. .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not only improve the firmness of the bonding force, but also reduce the crack of the block and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block.

보강재의 함량은 황토조성물 전체에서 0.2 내지 1중량% 일 수 있다. 보강재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일 경우, 보강재의 투입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보강재의 함량이 1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른 조성과의 관계에서 과다하게 첨가되어 전체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0.2 to 1% by weight in the whole ocher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less than 0.2% by weight, the effec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insignificant. When the content of the reinforcing material exceeds 1% by weight, it may be excessively added in relation to other compositions to low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ntire composition.

상술한 황토조성물 외에도 통상적인 흙 조성물을 이용하여 본체를 성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cher compos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main body can be molded using a conventional soil composi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ain body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easily.

먼저, 배합단계에서 소성황토 또는 비소성된 생황토 분말 5 내지 30중량%, 소석회 3 내지 10 중량%, 분말도 6000 내지 8000㎠/g의 고로 슬래그 5 내지 20 중량%, 부순 자갈 및 부순 모래 30 내지 65 중량%, 나프탈렌계와 리그닌계 및 폴리카르본산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천연 감수제 0.2 내지 1.0 중량%,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바인더 수지 0.1 내지 10 중량%, 잔량의 물을 배합하여 반죽함으로써 황토조성물을 조성한다. First, 5 to 30% by weight of calcined ocher or unfired raw ocher powder, 3 to 10% by weight of hydrated lime, 5 to 20% by weight of blast furnace slag of 6000 to 8000 cm2 / g powder, crushed gravel and crushed sand 30 To 65% by weight, any one natural reduc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phthalene-based and lignin-based and polycarboxylic acid-based, 0.2-1.0% by weight, a group consisting of urethane acrylate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and hydroxyethyl methacrylate The ocher composition is formed by kneading by mixing 0.1 to 10% by weight of any one of the binder resins selected from the balance, and remaining water.

그리고 황토조성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수행한다. 성형은 진동 가압 성형기의 성형틀에 반죽물을 투입하여 가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유압프레스의 성형틀에 투입하여 성형할 수 있다. 성형 후 건조시켜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을 제조한다. 건조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일 예로 5 내지 30일 정도 자연건조시키거나, 4 내지 6시간 동안 증기 양생한 후 자연 건조시킬 수 있다. And the ocher composition is carried out in a molding step for molding. Molding may be press-molded by putting the dough into the mold of the vibration pressure molding machine. Moreover, it can shape | mold by putting into the shaping | molding die of a hydraulic press. After molding, it is dried to prepare a rake block and a rake block unit having the same. Drying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it may be naturally dried for about 5 to 30 days, or naturally dried after steam curing for 4 to 6 hours.

또한, 성형틀로 거푸집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거푸집에 반죽물을 투입한 후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Moreover, formwork can be used as a molding die. In this case, the main body can be manufactured by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uring after putting the dough in the formwork.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 예1 내지 5)(Examples 1 to 5)

하기 표 1처럼 조성(단위: 중량%)된 5종류의 황토조성물을 조성하였다. Five kinds of ocher compositions were prepared as shown in Table 1 (unit: wt%).

실시예Example water 바인더 수지(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Binder Resin (Urethane Acrylate Resin) 소성황토Calcined loess 감수제(나프탈렌계)Water reducing agent (naphthalene system) 소석회Lime lime 슬래그Slag 부순 모래Crushed sand 부순 자갈Crushed pebbles system 1One 6.46.4 3.23.2 6.56.5 0.50.5 6.56.5 7.97.9 31.731.7 37.337.3 100100 22 6.36.3 3.33.3 6.56.5 0.50.5 6.56.5 10.710.7 31.731.7 34.534.5 100100 33 6.26.2 3.13.1 6.56.5 0.60.6 6.56.5 14.414.4 30.230.2 32.532.5 100100 44 6.16.1 3.13.1 6.16.1 0.60.6 6.56.5 19.619.6 2828 3030 100100 55 1111 00 6.56.5 0.50.5 6.46.4 14.114.1 29.629.6 31.931.9 100100

<실험예1: 강도실험>Experimental Example 1: Strength Test

상기 실시 예 1 내지 5의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KS F 2403-'10에 의해 제작하여 압축강도시험방법 KS F2405-'10과 휨강도시험방법 KS F2408-'10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Using the ocher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5 wer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test specimen for strength test KS F 2403-'10 and measured by the compressive strength test method KS F2405-'10 and the flexural strength test method KS F2408-'10.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구분

division
압축강도(MPa)Compressive strength (MPa) 휨강도(MPa)
Flexural strength (MPa)
7일7 days 14일14 days 28일28th 실시예 1Example 1 22.8422.84 24.9424.94 25.7925.79

4.5 이상



4.5 or more

실시예 2Example 2 24.7724.77 26.3226.32 32.3432.34 실시예 3Example 3 24.8224.82 31.8331.83 39.4539.45 실시예 4Example 4 32.7132.71 38.6338.63 46.0146.01 실시예 5Example 5 25.3125.31 27.227.2 29.9129.91

상기 표 2의 결과를 통해, 상기 실시 예들의 황토조성물로 제작된 공시체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Through the results in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specimen prepared from the ocher composition of the embodiments.

<실험예 2:유해물질 방출시험결과><Experimental Example 2: Hazardous Substance Release Test Results>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황토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블록의 유해물질방출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hazardous material release test of the block produced using the ocher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 2 is shown in Table 3 below.

시험항목Test Items 결과result 환경기준치 (1지역기준)Environmental standard value (based on 1 area) 적정성Adequacy 시험기관Test institute 유해 중금속Harmful heavy metals 카드뮴(Cd)Cadmium (Cd) 검출안됨Not detected 1212 적정proper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토양오염 공정 시험기준)
Korea Chemical Fusion Test Institute
(Soil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6가크롬(Cr)Hexavalent chromium (Cr) 검출안됨Not detected 1515 적정proper 구리(Cu)Copper (Cu) 13.8mg/kg13.8 mg / kg 450450 적정proper 수은(Hg)Mercury (Hg) 3.03mg/kg3.03 mg / kg 12 12 적정proper 납(Pb)Lead (Pb) 14.5mg/kg14.5 mg / kg 600 600 적정proper 아연(Zn)Zinc (Zn) 52.0mg/kg52.0 mg / kg 900900 적정proper 니켈(Ni)Nickel (Ni) 1.39mg/kg1.39 mg / kg 300 300 적정proper 유해화학물질Hazardous Chemicals 유기인Organic phosphorus 검출안됨Not detected -- 적정proper 페놀phenol 검출안됨Not detected 1010 적정proper 벤젠benzene 검출안됨Not detected 33 적정proper 톨루엔toluene 검출안됨Not detected 6060 적정proper 에틸벤젠Ethylbenzene 검출안됨Not detected 150150 적정proper 자일렌Xylene 검출안됨Not detected 4545 적정proper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ethylene 검출안됨Not detected 2424 적정proper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ethylene 검출안됨Not detected 1212 적정proper 벤조피렌Benzopyran 검출안됨Not detected 22 적정proper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며, 환경 기준치에 부합하는 블록을 제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in Table 3, it was confirmed that no harmful substances were detected and a block meeting the environmental standard could be manufactured.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 본체
11 : 식생구멍
12 : 인입홈
13 : 관통홀
17, 18 : 식생공간
20, 21 : 연결수단
31 : 결합홈
32 : 결합돌기
100 : 지지부
10: Body
11: vegetation hole
12: Inlet Home
13: through hole
17, 18: vegetation space
20, 21: connecting means
31: Coupling groove
32: engaging projection
100: Support

Claims (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식물이 생장가능하게 중앙부분에 형성된 식생구멍과, 가장자리 일 측면으로부터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과,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인입홈을 구비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본체와;
내부에 상기 본체를 다수 개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배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된 상기 본체들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된 상기 본체들을 상기 지지부에 구속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 측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본체들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지지부의 타 측 내주면에 고정된 연결수단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지지부들 상호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인접하는 타 측 본체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 모퉁이에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주식생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인접하는 타 측의 지지부와의 사이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 모퉁이에 상기 지지부의 내측을 향하여 인입된 보조식생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유닛.
A main body having a vegetation hole formed in a central part so that the plant can grow, a through hole penetrating from one side of the edge to the other side, and a retracting groove drawn inwardly from the edge;
An arranging space is formed therein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and a support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ies disposed in the arranging space;
Connecting means fixed at one en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to be pass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so as to constrain the main bodies disposed at the support part to the support part;
And fixing clamps for engaging the support por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stock grooves drawn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t the corners of the main body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for plant growth between the adjacent main body,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portion at the edge corner of the support portion to provide a vegetation space in which plants can grow between adjacent support portions on the other side. Revetment block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vegetation grooves introduced toward the inside of each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67639A 2012-06-22 2012-06-22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KR101389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39A KR101389557B1 (en) 2012-06-22 2012-06-22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639A KR101389557B1 (en) 2012-06-22 2012-06-22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13A KR20140000513A (en) 2014-01-03
KR101389557B1 true KR101389557B1 (en) 2014-04-25

Family

ID=5013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639A KR101389557B1 (en) 2012-06-22 2012-06-22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696B1 (en) * 2014-02-07 2015-01-05 서원종합건설(주) A Stepped Revetment Block with a Hole for Carrying and a Mould for Forming the Sam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se
KR101629833B1 (en) * 2015-09-22 2016-06-13 주식회사 에코글로벌테크 Revetment block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978643B1 (en) * 2018-08-09 2019-05-15 에스에스이 주식회사 Assembly Block for concrete mattre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69B1 (en) * 2003-03-21 2003-07-23 Nature & Environment Co Ltd Porous vegetation block for stabilizing slope
KR100445216B1 (en) * 2004-05-04 2004-08-21 주식회사 우신공영 Shore protecting block which plants grow well
KR200383843Y1 (en) * 2005-02-07 2005-05-10 곽해식 Front vegetation blo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069B1 (en) * 2003-03-21 2003-07-23 Nature & Environment Co Ltd Porous vegetation block for stabilizing slope
KR100445216B1 (en) * 2004-05-04 2004-08-21 주식회사 우신공영 Shore protecting block which plants grow well
KR200383843Y1 (en) * 2005-02-07 2005-05-10 곽해식 Front vegetation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13A (en)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491B1 (en) Water permeable unsintered cement block with photocatalyst coat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526286B1 (en) Road paving structure
KR101128424B1 (en) A process of preparing water permeable block by using unsintered cement and water permeable block thus prepared
KR100917452B1 (en) The methods to manufactur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ly durable and high-functional concrete utilizing multi-component-blended cement, na type - artificial zeolite and new-material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KR101518443B1 (en) Compositions of pervious concrete products by using the aggregates from industrial wastes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89557B1 (en)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amd the planting revetment block unit
KR100873996B1 (en) Porous greening vegetation block for liver ecosystem protection
KR101241820B1 (en) Retaining wall block using unsintered c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126301B1 (en) Eco-friendly street tree protection plate laminated with acrylic polymer concrete grating and water permeable concret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r construction thereof
KR100582770B1 (en) Manufacturing methods of environmental friendly high performance concrete for retaining wall using waste concrete powder, recycled aggregates and industrial by-products and environmental friendly retaining wall block manufactured by using it
KR101215935B1 (en) Environment friendly of embankment block including illite
KR101069249B1 (en) Non-sintering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49674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concrete block using for vegetation and fish place from the environment affinity ceramic and the functional concrete block thereby
KR101873528B1 (en) Block composition with excellent perm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806625B1 (en) Porous block for slope protection
KR101241818B1 (en) Plantable block for retaining wall using unsintered c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57126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olidified body
KR20090068865A (en) Ecological of a breast wall block
KR101366834B1 (en) planting block for breast wall using yellow soil composition
KR101161420B1 (en) Composition of yellow soil and pav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389561B1 (en) planting revetment block using yellow soil composition
KR101398206B1 (en) An artificial granito block and a vegetation grass block having an undercurrent function,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m,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KR20090068864A (en) Blocks for a ridge
KR101500978B1 (en) Eco Friendly Pressure Blocks, Cement Mortar Composi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0540160B1 (en) porous concrete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