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416B1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416B1
KR101389416B1 KR1020130000038A KR20130000038A KR101389416B1 KR 101389416 B1 KR101389416 B1 KR 101389416B1 KR 1020130000038 A KR1020130000038 A KR 1020130000038A KR 20130000038 A KR20130000038 A KR 20130000038A KR 101389416 B1 KR101389416 B1 KR 101389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se
spring
reaction means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일전자
Priority to KR102013000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로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따라 N극과 S극을 띠는 자기회로가 반응하여 진동 특히, 직선 경로에서 왕복 운동과 함께 호(제한된 좌우 회전)를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번신호가 흐르는 진동유발수단(12);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음 내지는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반응수단(13); 진동방향의 케이스(11) 양단에 케이스와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진동반응수단(13)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10)이다.

Description

진동모터{THE VIBRATOR}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로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따라 N극과 S극을 띠는 자기회로가 반응하여 진동 특히, 직선 경로에서 왕복 운동과 함께 호(제한된 좌우 회전)를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바이브레이터라고도 칭한다.
진동모터의 구동에 관한 물리적인 원리는 자기장 내에 놓여 있는 도체는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바탕으로 하고 있고,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에서의 전자계 중개에 의하여 전기에너지가 토크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진동모터는 크기와 그 용도에 따라 적용되는 분야가 매우 다양하고, 특히 정보 통신 산업의 성장에 부응하여 통신 단말기의 진동호출용 진동 모터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용화되고 있는 대표적인 진동모터로는 코인형(Coin type)과 실린더 또는 바형(Cylinder or Bar type)으로 대별된다.
주 원리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계(磁界)속에 있으면 힘을 받는다는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코일과 철심(마그네트)에 의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즉, 여러 주파수가 포함된 전류신호가 고정된 코일에 인가되면, 코일은 전류의 방향과 전류의 세기 및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진동자인 마그네트를 포함한 자기회로를 운동시켜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모터의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본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는 국내 특허출원 제 2006-12517호(전자음향변환기)에 적용된 진동모터의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전자음향변환기에 적용된 진동모터의 구조는 간격을 두고 양단에 마련되는 양방향 듀얼형 코일(13 ; 코일의 권취방향이 반대인 유격진 한 쌍의 코일)로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대응 작용하여 진동하는 진동체2(14 ; 마그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동모터는 코일(13)에 교번신호가 인가되어, 예컨대, 상기 양단 각각의 코일(13) 극성이 S-N/N-S로 형성되고, 진동체2(14)의 자극이 N-S이면, 코일(13)의 N극 부분과 접한 진동체2(14)의 N극과, 코일(13)의 S극과 접한 진동체2(14)의 S극은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체2(14)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돌함으로써 진동음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상기 코일(13) 자극이 N-S-S-N으로 형성되고, 진동체2(14)의 자극이 N-S이면, 코일(13)의 N극과 접한 진동체2(14)의 N극과, 코일(13)의 S극 부분과 접한 진동체2(14)의 S극은 척력이 작용하여, 진동체2(14)가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충돌함으로써 진동음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진동모터의 경우, 상기 코일(13)로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 진동체2(14)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힘이 상실되어, 진동체2(14)의 자중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진동모터의 구조를 손상시키거나, 주변 구성물과의 충돌에 의해 전기적 특성에 의한 정상적인 진동음이 아닌 기계적으로 비정상적인 진동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동모터가 휴대폰과 같은 휴대기기에 적용된 경우, 사용자가 휴대폰을 가지고 걸어다니거나, 휴대폰의 위치(높이나 각도)가 변경되면, 상기 진동체2(14)가 자중에 의해 낮은 위치로 움직이게 되어 진동음 또는 진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진동음 또는 진동력은 휴대폰 내지는 진동모터의 정상적인 동작이 아닌 비정상적인 동작이나, 이러한 비정상 동작이 사용자에게 정상동작으로 오인 혼동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진동모터의 경우, 진동체2(14)가 양방향 듀얼형 코일(13)의 양단을 왕복 운동하면서 각 단부의 단일 부분에서만 진동음 내지는 진동력이 발생되므로, 이와 관련하여 출력이 발생되는 부분이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국내 특허 공보 제10-2009-0085977호(수평 리니어 진동모터)가 소개되었다. 이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00)와 브라켓(300); 상기 케이스(200) 또는 브라켓(300)에 설치된 중공형 코일(400); 상기 중공형 코일(4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마그넷부(520)와 상기 중공형 코일(400)을 포함하여 상기 마그넷부(520)를 감싸도록 형성된 요크(530)로 구성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계부(510), 및 상기 자계부(510)에 장착되는 중량체(540)를 포함하는 진동자(500); 상기 중공형 코일(400)과 상기 요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600); 및 일단이 상기 케이스(200) 또는 브라켓(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500)에 고정되어 상기 진동자(500)가 수평운동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부재(700)를 포함하는 수평 리니어 진동자이다.
그러나, 상기 최근의 선행기술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700)가 일단은 상기 케이스(200) 또는 브라켓(3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진동자(500)에 고정되는 구조 즉 끼움 결합을 통해 고정되거나 용접을 통해 고정되어야 하므로 스프링부재(700)의 고정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을 통한 제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최근의 선행기술은 적어도 케이스(200) 또는 브라켓(300)과 진동자(500) 및 스프링부재(700)라는 3개의 구성요소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구성요소 내지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진동모터와 관련한 도면 부호는 본원인의 선출원 특허 제 2006-12517호(전자음향변환기)의 공보상에 도시된 도면 부호이므로, 이를 인용하였을 뿐, 다음에 기재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의 도면 부호 및 첨부 도면의 도면 부호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이들은 별개의 부호로 여겨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종래 진동모터의 문제점 내지는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창출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로 인가되는 교번신호에 따라 N극과 S극을 띠는 자기회로가 반응하여 진동 특히, 직선 경로에서 왕복 운동과 함께 호(제한된 좌우 회전)를 그리면서 왕복 운동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체1(11a)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부 개방형 케이스 본체로서,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장축 단축을 갖는 타원 포함)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1a)의 외부 일측에는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단말을 외부와 연결하는 단자가 마련된 인쇄회로기판(P)을 안착 고정시키는 안착부재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를 구성하는 본체2(11b)는 상기 본체1(1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단판으로서, 상기 본체1(11a)과 커링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도 있고 스냅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번신호가 흐르는 진동유발수단(12);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음 내지는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반응수단(13); 진동방향의 케이스(11) 양단에 케이스와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진동반응수단(13)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10)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모터(10)에 진동방향의 케이스(11) 내부 양 측면에 돌출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14)의 탄발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편 스프링의 반발 포인트를 제공하는 스토퍼(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10)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케이스(11)가 펀칭을 통해 절결되면서 케이스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스프링(14) 즉 판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별도로 판스프링을 고정시키는 구성 내지 구조를 갖거나 조립 내지 고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구성 내지 구조를 극히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조립작업 또한 간소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회로인 진동반응수단(13)을 양측에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4)이 일측은 좌측, 타측은 우측을 탄발 지지하도록 하여, 진동반응수단(13)이 직선 왕복운동과 함께 미세한 호 운동이 동반되도록 함으로써, 입체적인 진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14)이 수축하는 부분에서 스토퍼(15)가 수축 저항력과 함께 반대로 반발의 포인트를 제공함으로써, 전기적 진동력에 기계적 진동력을 더하여 진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유발수단(12)에 교번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비 동작 상태에서 스프링(14)이 진동반응수단(13)을 케이스(11) 내의 자유공간상에 지지하면서 유동(비정상 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정상 동작을 정상 동작으로 오인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으며, 이러한 비정상 동작의 잦은 발생에 의해 진동구조의 손상 내지는 수명 단축 요인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최근의 선행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진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분리 사시도.
상기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재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번신호가 흐르는 진동유발수단(12);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음 내지는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반응수단(13); 진동방향의 케이스(11) 양단에 케이스와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진동반응수단(13)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하는 진동모터(10)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케이스(11)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이 상향 절곡된 "└─"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본체1(11a); 양측 단이 하향 절곡된 "┌─┐"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스프링(14)의 형성 부위를 제공하되, 상기 본체1(11a)의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2(11b); 상기 본체1(11a)과 본체2(11b)가 결합되면서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단을 차단시키면서 스프링(14) 형성을 위해 절결된 본체2(11b)의 절곡된 양측 면을 보호하도록 "]"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본체3(1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체1(11a)은 상향 절곡된 단부와 바닥면 전ㆍ후단부에 절곡 결합을 위한 절결부가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평의 평판 좌측 단에 수직으로 상향 절곡된 측면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11b)는 하향 절곡된 양 단부와 상부면 전ㆍ후단부에 본체1(11a)과 본체3(11c)의 상기 절결부에 대응 결합되는 돌출편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수평의 평판 전ㆍ후단부에 수직으로 하향 절곡된 전ㆍ후면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2(11b)의 절곡된 양단 부분에 스프링(14)이 펀칭을 통해 절결되면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1c)은 수직의 평판 전ㆍ후단부가 좌측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3(11c)의 절곡된 전ㆍ후단부 중간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14)의 탄발 움직임을 제한하는 한편 스프링의 반발 포인트를 제공하는 스토퍼(15)가 스프링(14) 방향으로 돌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은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교류신호(주파수 신호)에 따라 전류의 흐름 방향이 반대로 교번하는 링 형태의 코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은 케이스(11)의 바닥면이 절결된 상태로 직립하는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케이스(11)는 본체1(11a)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은 양단이 돌출된 "└┘" 형상의 블록체로 이루어진 요크(13a); 상기 요크(13a)의 돌출된 양단 사이에 진동유발수단(12)이 위치하도록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요크(13a)와의 공극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마그네트(13b)와 탑플레이트(13c) 적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요크(13a)는 마그네트(13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탑플레이트(13c)는 공극 사이에 자력을 집중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스프링(14)은 진동 방향의 마주하는 케이스(11) 양단 면이 각각 펀칭 절결되어, 일측 단은 케이스(11)와 동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공간상에 위치하는 타측 단은 진동반응수단(13)과 결합되어지는 직선의 판스프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14)은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을 탄발 지지하는 것으로, 자유공간상에 위치하는 타측 단은 각각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동일 선상과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반대 측과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스프링(14)과 진동반응수단(13)의 결합은 용접 결합일 수도 있고, 스프링(14) 단부의 돌기와 진동반응수단(13)의 홈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을 구성하는 마그네트(13b)의 상단이 N극 요크(13a)에 접한 하단이 S극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에 인가되는 교번 신호에 의해 코일 상하 양단에 각각 S극과 N극이 형성되면,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인 마그네트의 N극과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N극은 척력 작용하고, 마그네트의 S극과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N극 및 마그네트의 N극과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S극은 각각 인력 작용하여,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반응수단(13)이 진동유발수단(12)과 멀어지는 방향(도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에 인가되는 교번 신호에 의해 코일 상하 양단에 각각 N극과 S극이 형성되면,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인 마그네트의 N극과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N극 및 마그네트의 S극과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S극은 척력 작용하고, 마그네트의 N극과 진동유발수단(12)인 코일의 S극은 인력 작용하여,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반응수단(13)이 진동유발수단(12)과 가까워지는 방향(도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의 교번 신호의 극성 방향에 따라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이 반응하여 상호 밀고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가운데, 진동반응수단(13)이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음과 진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4) 중 진동유발수단(12)이 위치하는 방향의 스프링(14)과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스프링(14)의 선단부는 각각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반대 측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가운데 양단이 왕복 호 운동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진동력과 진동음이 발생된다.
또한, 이때,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이 상기와 같은 왕복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케이스(11)의 본체3(11c)에 마련된 스토퍼(15)에 스프링(14)이 접하게 되면, 스토퍼(15)는 스프링(14)이 더 이상 케이스(11)의 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저항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그에 따른 반대 방향으로의 반발력을 제공하는 포인트로 작용하여 진동력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4)이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을 탄발 지지하되, 자유공간상에 위치하는 타측 단이 각각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동일 선상과 결합되어, 진동반응수단(13)을 탄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은 일측 즉, 도시된 좌측 단 부분이 스프링(14)에 의해 탄발 지지되므로, 진동반응수단(13)이 직선 왕복 운동 시 스프링(14)에 의해 탄발 지지된 반대 방향의 단부가 추 운동하면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직선 왕복 운동과 추 운동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므로, 입체적인 진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반응수단(13)을 구성하는 요크(13a)의 양측 면에 금속판체(16)를 적층시켜서 자기장의 외부 확장을 방지하여 자력을 요크(13a)와 마그네트(13b)에 집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은 마그네트(13b)가 위치하는 요크(13a)의 일측 단에 중량체(13d)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14)은 "
Figure 112013000016375-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곽 단부는 케이스(11)와 동일체로 연결되고, 중앙 단부는 진동반응수단(13)의 양측 단 중앙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스프링(14)의 중앙 단부가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중앙 부분을 탄발 지지하게 되어, 호 운동 또는 추 운동하지 않는 가운데 일직선의 왕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 상부 개방형 함체로 이루어진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덮개(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14)은 케이스본체(11')의 마주하는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진동모터 11 : 케이스
11a : 본체1 11b : 본체2
11c : 본체3 11' : 케이스본체
11" : 덮개 12 : 진동유발수단
13 : 진동반응수단 13a : 요크
13b : 마그네트 13c : 탑플레이트
13d : 중량체 14 : 스프링
15 : 스토퍼 16 : 금속판체

Claims (9)

  1. 일측 단이 상향 절곡된 "└─"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본체1(11a) 및 양측 단이 하향 절곡된 "┌─┐"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져, 스프링(14)의 형성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본체1(11a)의 상부에 결합되는 본체2(11b)를 포함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번신호가 흐르는 진동유발수단(12);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의 교번 신호에 반응하여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진동음 내지는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반응수단(13);
    진동방향의 케이스(11) 양단에 케이스와 동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내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진동반응수단(13)을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1a)과 본체2(11b)가 결합되면서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단을 차단시키면서 스프링(14) 형성을 위해 절결된 본체2(11b)의 절곡된 양측 면을 보호하도록 "]"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진 본체3(11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발수단(12)은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교류신호(주파수 신호)에 따라 전류의 흐름 방향이 반대로 교번하는 링 형태의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은 양단이 돌출된 "└┘" 형상의 블록체로 이루어진 요크(13a); 상기 요크(13a)의 돌출된 양단 사이에 진동유발수단(12)이 위치하도록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요크(13a)와의 공극 사이에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마그네트(13b)와 탑플레이트(13c) 적층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은 진동 방향의 마주하는 케이스(11) 양단 면이 각각 펀칭 절결되어, 일측 단은 케이스(11)와 동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공간상에 위치하는 타측 단은 진동반응수단(13)과 결합되어지는 직선의 판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은 자유공간상에 위치하는 타측 단은 각각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동일 선상과 결합되거나,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의 양단 반대 측과 각각 결합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을 구성하는 요크(13a)의 양측 면에 금속판체(16)를 적층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반응수단(13)은 마그네트(13b)가 위치하는 요크(13a)의 일측 단에 중량체(13d)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14)은 "
    Figure 112013000016375-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곽 단부는 케이스(11)와 동일체로 연결되고, 중앙 단부는 진동반응수단(13)의 양측 단 중앙부분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 상부 개방형 함체로 이루어진 케이스본체(11')와 케이스본체(11')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덮개(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14)은 케이스본체(11')의 마주하는 양단에 각각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20130000038A 2013-01-02 2013-01-02 진동모터 KR101389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38A KR101389416B1 (ko) 2013-01-02 2013-01-02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038A KR101389416B1 (ko) 2013-01-02 2013-01-02 진동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416B1 true KR101389416B1 (ko) 2014-04-28

Family

ID=5065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038A KR101389416B1 (ko) 2013-01-02 2013-01-02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5791A (zh) * 2017-09-30 2018-01-09 重庆市灵龙电子有限公司 两级振动线性马达
WO2021116385A1 (en) * 2019-12-11 2021-06-17 Lofelt Gmbh Linear vibration actuator having moving coil and moving magn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174A (ko) * 2006-04-18 2007-10-23 강윤규 진동발생장치
KR20100004622A (ko) * 2008-07-04 2010-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KR101067211B1 (ko) 2010-05-03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자
KR20120050301A (ko) * 2010-11-10 2012-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3174A (ko) * 2006-04-18 2007-10-23 강윤규 진동발생장치
KR20100004622A (ko) * 2008-07-04 2010-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KR101067211B1 (ko) 2010-05-03 2011-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자
KR20120050301A (ko) * 2010-11-10 2012-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5791A (zh) * 2017-09-30 2018-01-09 重庆市灵龙电子有限公司 两级振动线性马达
CN107565791B (zh) * 2017-09-30 2024-01-30 重庆市灵龙电子有限公司 两级振动线性马达
WO2021116385A1 (en) * 2019-12-11 2021-06-17 Lofelt Gmbh Linear vibration actuator having moving coil and moving magnet
US11784548B2 (en) * 2019-12-11 2023-10-10 Meta Platforms, Inc. Vibrating actuator with two resonant frequencies and two moving pa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3662B (zh) 动磁式线性振动电机
KR101255914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018451B1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101969438B1 (ko) 선형진동모터
JP6991046B2 (ja) 振動モータ
JP3866593B2 (ja) 多機能アクチュエータ
US10141826B2 (en) Linear vibration motor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il coupled thereto is positioned to cover the coil, such that the coil does not directly contact a stator part,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that the coil is unwound or disconnected and in which there are two ring-shaped damping members aligned with, spaced apart from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coil
US20180236487A1 (en) Linear vibration motor
JP2019201486A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US20180229270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20130120040A (ko) 선형진동모터
KR101389416B1 (ko) 진동모터
KR101858969B1 (ko) 자기 브레이크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JP2017212793A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431779B1 (ko) 진동모터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US11658554B2 (en) Vibrating with stop magnets, mandrel and guiding member
WO2018008280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190109010A (ko) 수평 사각 진동모터
CN111921828B (zh) 振动产生装置
KR101404601B1 (ko) 진동모터
KR20100065894A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101462970B1 (ko) 진동모터 및 진동모터의 진동 지지 스프링
JP2004305865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