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451B1 -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451B1
KR101018451B1 KR1020080131933A KR20080131933A KR101018451B1 KR 101018451 B1 KR101018451 B1 KR 101018451B1 KR 1020080131933 A KR1020080131933 A KR 1020080131933A KR 20080131933 A KR20080131933 A KR 20080131933A KR 101018451 B1 KR101018451 B1 KR 10101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yoke
coil
base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301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인하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5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18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12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windage losses or windage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부가 자석과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 장착되고 상기 진동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된 자석과;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상기 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일과;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측으로 유도하는 요크와; 하부가 상기 진동부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진동부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상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기 판스프링 방향으로 상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동모터, 샤프트,

Description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 VIBRATION MOTOR }
본 발명은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부가 자석과 코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전체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중 하나인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휴대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모터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을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하이동식 진동모터(3)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81)와, 하부면에 하부플레이트(83)가 장착되고, 수직으로 착자된 마그네트(82), 상기 하부플레이트(83), 마그네트(82)와 더불어 자기회로를 형성하도록 마그네트(82)가 장착되는 요크(84)및 상기 요크(84)에 장착되는 웨이트(85)를 포함하는 진동체를 상하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싱(81)과 요크(84)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86)및 상기 케이싱(81)의 하부를 밀폐하는 브라켓(88)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진동발생용 코일(87)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3)의 작동은,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87)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마그네트(82), 하부플레이트(83)및 요크(84)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87)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마그네트(82), 하부플레이트(83), 요크(84)및 웨이트(85)를 포함하는 진동체가 스프링부재(86)를 매개로 하여 케이싱(81)내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이동식 진동모터(3)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형상이 복잡하여 이를 제조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진동체의 하부와 브라켓(88) 사이에 빈공간이 있어 상기 진동체가 임의로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체의 상하이동시 좌우로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동시에 전자기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하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임의로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 장착되고 상기 진동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된 자석과;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상기 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일과;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측으로 유도하는 요크와; 하부가 상기 진동부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진동부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상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기 판스프링 방향으로 상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자석 및 코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중심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돌출부와; 상기 상면부의 원주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외곽돌출 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돌출부와 외곽돌출부 사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자석, 코일, 요크가 배치된다.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요크가 장착되고, 상기 코일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의 내측에서 상기 코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석은 상기 진동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극성이 분할되어 있다.
상기 요크는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곡요크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자석 및 코일은 상기 절곡요크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자석 및 코일의 측면은 각각 상기 절곡요크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에는 상기 샤프트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마찰감소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중심부가 상기 진동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진동부에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판스프링 높이와 상기 진동부의 높이를 합한 전체 높이는 상기 커버의 높이보다 작아,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판스프링은 가압되고, 가압된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진동부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중심돌출부와 접하는 탄성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은 다공질 스폰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성요소들의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고, 조립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샤프트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진동부가 상하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진동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진동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에 의해 진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진동부의 상부와 하부가 다른 구성요소에 면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진동부가 임의로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의 하부에 스폰지를 장착함으로써, 진동부가 상하이동할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진동부를 가압한 상태로 장착하기 때문에, 진동모터의 높이를 보다 작게 하여 제품의 슬림화를 이룰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는, 베이스(110)와, 진동부(120)와, 샤프트(128)와, 자석(140)과, 코일(130)과, 요크와, 판스프링(160)과, 커버(170)와, 스폰지(1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FPCB와 같은 기판(11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진동부(12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부(120)는, 상기 자석(140) 및 코일(1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160)의 하부가 결합되는 상면부(121)와, 상기 상면부(121)의 중심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중심돌출부(122)와, 상기 상면부(121)의 원주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외곽돌출부(12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심돌출부(122)와 외곽돌출부(123) 사이에는 안착홈(1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124)에는 상기 자석(140), 코일(130), 요크가 배치된다.
상기 안착홈(124)은 상기 중심돌출부(122)를 중심으로 중공 원통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28)는 상기 진동부(120)의 중심을 상하방향 즉 상기 진동부(12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부(120)는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샤프트(128)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진동부(120)의 중심부에 상기 샤프트(128)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진동부(1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진동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진동부(120)의 상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120)에는 상기 샤프트(128)와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128)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마찰감소홈(12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동부(120)의 중심돌출부(12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마찰감소홈(125)을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128)와 상기 진동부(120)의 면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상기 자석(140)은 상기 진동부(120)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130)은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된다.
물론, 본 실시예와 반대로, 상기 자석(140)이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130)이 상기 진동부(12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요크는 상기 자석(1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130)측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코일(130)을 통과한 자기장을 다시 상기 자석(140)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요크는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곡요크(151)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24)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절곡요크(151)의 형상은 중공 원통 형상을 이루어지고, 아랫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절곡요크(151)의 내부에는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이 상호 약간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코일(130)은 중공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심돌출부(122)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110) 또는 기판(111)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코일(130)은 상기 기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자석(140)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요크(151)의 내측에서 상기 코일(130)에 대해 인접하게 상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절곡요크(151)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은 상기 절곡요크(15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140)은 상기 절곡요크(151)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진동부(120)에 결합되고, 상기 코일(130)은 상기 자석(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자석(140)은 상기 진동부(120)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극성이 분할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자석(140)의 저면과 코일(130)의 상면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자석(140)의 측면과 코일(130)의 측면은 각각 상기 절곡요크(151)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즉,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절곡요크(151)의 내부에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이 배치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을 모두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상함으로써, 중량을 줄이면서 단위면적당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140)에서 발생한 자기력은 상기 코일(130)에 전달되고, 이를 통과한 자기력은 상기 절곡요크(151)를 따라서 상기 자석(140)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의 상호작용은 플레밍의 왼속법칙에 의해, 상기 코일(130)에 전류를 인가하면 상기 자석(140)이 장착된 상기 진동부(120)는 상하방향 즉 상기 판스프링(16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곡요크(151)의 측면이 상기 자석(140)과 코일(13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바, 상기 코일(130)을 통과한 자기장은 곧바로 상기 절곡요크(151)를 통해 상기 자석(140)으로 복귀하게 되는바, 자기장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상기 진동부(120)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160)은 하부가 상기 진동부(120)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진동부(120)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판스프링(160)은 중심부가 상기 진동부(12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진동부(120)에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170)는 상기 판스프링(160)의 상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128)의 상부는 상기 커버(170)에 면접촉하거나 관통하도록 하 여, 상기 샤프트(128)의 상부가 상기 커버(170)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가 상기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60) 높이와 상기 진동부(120)의 높이를 합한 전체 높이는 상기 커버(170)의 높이보다 작아, 상기 커버(170)가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할 때 상기 판스프링(160)은 가압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170)에 의해 가압된 상기 판스프링(1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진동부(120)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11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부(120)는 상면이 상기 판스프링(160)에 밀착 접촉하고, 하면이 상기 베이스(110)에 밀착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다공질 스폰지(112)로 이루어진 탄성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진동부(120)의 하면에 접촉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스폰지(112)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진동부(120)가 상하운동을 할 때 상기 스폰지(112)가 상기 진동부(120)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부(120)가 상기 판스프링(160)에 의해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가압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자유상태에서 상기 진동부(120)가 임의로 흔들리거나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잦은 진동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부(120)의 상면이 상기 판스프링(16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종래와 같이 상기 진동부(120)의 하면이 다른 구성에 밀착됨이 없이 떨어져 있다면, 상기 판스프링(160)으로부터 상기 진동부(120)가 분리되면 더 이상 상기 진동부(120)가 상하운동을 할 수 없게 되어 부품을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진동부(120)가 상기 판스프링(160)에 의해 가압되어 상하가 밀착되어 있고, 상기 진동부(120)를 상기 샤프트(128)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면, 상기 판스프링(160)으로부터 상기 진동부(120)가 분리되더라도, 상기 판스프링(160)에 의해 상기 진동부(120)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샤프트(128)에 의해 좌우유동이 방지되는바, 상기 진동부(120)는 상하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요크의 형성이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는, 베이스(110)와, 진동부(120)와, 샤프트(128)와, 자석(140)과, 코일(130)과, 요크와, 판스프링(160)과, 커버(170)와, 스폰지(1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는 상기 안착홈(124)의 측면에 장착되는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석(140) 및 코일(130)은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 사이에 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자석(140) 및 코일(130)의 양측면은 각각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자석(140)의 양측면은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에 각각 접하고 있고, 상기 코일(130)의 양측면은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자석(14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자석(140)의 안쪽에 S극을 바깥쪽에 N극을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 자석(140)의 N극에서 발생한 자기력은 상기 외측요크(153)를 따라 상기 코일(130)로 전달되고, 상기 코일(130)을 통과한 자기력은 상기 내측요크(152)를 따라 상기 자석(140)의 S극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7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요크의 형성과 그에 따른 자석의 배치가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는, 베이스(110)와, 진동부(120)와, 샤프트(128)와, 자석(140)과, 코일(130)과, 요크와, 판스프링(160)과, 커버(170)와, 스폰지(11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는 상기 안착홈(124)의 측면에 장착되는 내측요크(152)와 외측요 크(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 중 상기 자석(140)의 N극에 접촉하는 절곡요크는 상기 자석(140)의 하부에 접촉하고, 상기 자석(140)의 S극에 접촉하는 절곡요크는 상기 자석(140)의 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코일(130)은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 사이에서 상기 자석(1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자석(140)을 상기 진동부(120)에 장착하고, 상기 코일(130)을 상기 베이스(110)에 장착하며, 상기 자석(140)의 안쪽에 S극을 바깥쪽에 N극을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 내측요크(152)는 상기 자석(140)의 S극이 배치되는 측면에 접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외측요크(153)는 상기 자석(140)의 N극이 배치되는 측면 하부에 접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요크(152)의 길이는 상기 외측요크(153)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상기 코일(130)의 양측면은 상기 내측요크(152)와 외측요크(153)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자석(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석(140)의 N극에서 발생한 자기력은 하부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외측요크(153)를 따라 상기 코일(130)로 전달되고, 상기 코일(130)을 통과한 자기력은 상기 내측요크(152)를 따라 상기 자석(140)의 S극의 측면으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N극에 접하는 외측요크(153)의 크기를 작게 하여 상기 자 석(14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N극에서 발생한 자기력이 외측요크(153)를 따라 이동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코일(130)에 많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요크(152)는 상기 자석(140)의 S극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130)을 통과한 자기력이 S극에 보다 잘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 111 : 기판, 112 : 스폰지,
120 : 진동부, 121 : 상면부, 122 : 중심돌출부, 123 : 외곽돌출부, 124 : 안착홈, 125 : 마찰감소홈, 128 : 샤프트, 130 : 코일, 140 : 자석, 151 : 절곡요크, 152 : 내측요크, 153 : 외측요크, 160 : 판스프링, 170 : 커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 장착되고 상기 진동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된 자석과;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상기 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일과;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측으로 유도하는 요크와; 하부가 상기 진동부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진동부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상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기 판스프링 방향으로 상하 진동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자석 및 코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중심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돌출부와; 상기 상면부의 원주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외곽돌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돌출부와 외곽돌출부 사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자석, 코일, 요크가 배치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요크가 장착되고,
    상기 코일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자석은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요크의 내측에서 상기 코일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자석은 상기 진동부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극성이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곡요크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자석 및 코일은 상기 절곡요크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 치되며,
    상기 자석 및 코일의 측면은 각각 상기 절곡요크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안착홈의 측면에 장착되는 내측요크와 외측요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 및 코일은 상기 내측요크와 외측요크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자석 및 코일의 양측면은 각각 상기 내측요크와 외측요크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안착홈의 측면에 장착되는 내측요크와 외측요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요크와 외측요크 중 상기 자석의 N극에 접촉하는 요크는 상기 자석의 하부에 접촉하고, 상기 자석의 S극에 접촉하는 요크는 상기 자석의 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내측요크와 외측요크 사이에서 상기 자석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7. 삭제
  8.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진동부와; 상기 베이스에 수직 장착되고 상기 진동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와;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고정 장착된 자석과; 상기 진동부 또는 베이스 중 상기 자석이 장착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자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코일과;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기 코일측으로 유도하는 요크와; 하부가 상기 진동부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진동부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상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상기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장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부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기 판스프링 방향으로 상하 진동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자석 및 코일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중심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심돌출부와; 상기 상면부의 원주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외곽돌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돌출부와 외곽돌출부 사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자석, 코일, 요크가 배치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중심부가 상기 진동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진동부에 아랫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판스프링 높이와 상기 진동부의 높이를 합한 전체 높이는 상기 커버의 높이보다 작아,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할 때 상기 판스프링은 가압되고, 가압된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진동부의 저면은 상기 베이스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중심돌출부와 접하는 탄성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다공질 스폰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1020080131933A 2008-12-23 2008-12-23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10101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33A KR101018451B1 (ko) 2008-12-23 2008-12-23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33A KR101018451B1 (ko) 2008-12-23 2008-12-23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301A KR20100073301A (ko) 2010-07-01
KR101018451B1 true KR101018451B1 (ko) 2011-03-02

Family

ID=4263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933A KR101018451B1 (ko) 2008-12-23 2008-12-23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297B1 (ko) 2011-06-16 2013-01-31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716B1 (ko) 2017-09-11 2019-05-09 주식회사 블루콤 개선된 내부 공기 흐름성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1951715B1 (ko) 2017-09-11 2019-05-09 주식회사 블루콤 리벳팅 결합구조를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KR102049335B1 (ko) 2018-03-16 2020-01-08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사각 진동모터
KR101987068B1 (ko) 2019-03-04 2019-09-27 주식회사 블루콤 리니어 진동 엑츄에이터
KR102049343B1 (ko) * 2019-06-07 2019-11-27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KR102145495B1 (ko) 2019-12-10 2020-08-18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단축방향 수평 진동모터
KR102144888B1 (ko) 2020-03-24 2020-08-28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리니어 진동모터
KR102234342B1 (ko) 2020-10-20 2021-03-3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햅틱 엑추에이터
KR102316854B1 (ko) 2021-01-26 2021-10-25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KR102401415B1 (ko) 2021-11-09 2022-05-25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단축방향 수평 리니어 진동 액추에이터
KR102401417B1 (ko) 2022-01-14 2022-05-25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단축방향 수평리니어 진동액추에이터
KR102497968B1 (ko) 2022-06-27 2023-02-10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할바흐 구조를 갖는 수평 리니어 진동 액추에이터
KR102497962B1 (ko) 2022-06-27 2023-02-10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누설자속 차폐구조를 갖는 수평리니어 진동액추에이터
KR102588272B1 (ko) 2023-02-03 2023-10-12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리니어 타입 상,하 진동모터
KR102557860B1 (ko) 2023-02-03 2023-07-2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햅틱 액추에이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091A (ko) * 2005-03-16 2006-09-20 강윤규 개인 통신 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JP2007229584A (ja) * 2006-02-28 2007-09-13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091A (ko) * 2005-03-16 2006-09-20 강윤규 개인 통신 단말기용 진동발생장치
JP2007229584A (ja) * 2006-02-28 2007-09-13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297B1 (ko) 2011-06-16 2013-01-31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301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451B1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101242525B1 (ko) 햅틱 액추에이터
KR101079448B1 (ko) 수평 진동자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US9800126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8237314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1354773B1 (ko) 선형진동모터
US80134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354867B1 (ko) 리니어진동장치
KR101250288B1 (ko) 햅틱 엑추에이터
KR101109284B1 (ko) 리니어 진동모터의 스프링부재
KR101101330B1 (ko) 리니어 진동 디바이스
KR20060120859A (ko) 수평진동형 리니어 타입 진동모터
KR101079409B1 (ko) 수평 진동자
KR100593917B1 (ko) 수직진동자
KR20110004562A (ko) 수평형 진동모터
KR20100108963A (ko) 리니어 진동 모터
KR20100088290A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KR20130025636A (ko) 진동발생장치
KR20110011117A (ko) 선형 진동기
KR20100065894A (ko) 상하이동식 진동모터
JP2010029744A (ja) 振動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100994999B1 (ko) 선형 진동 액츄에이터
KR101198077B1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101266793B1 (ko) 햅틱 엑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