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278B1 -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278B1
KR101389278B1 KR1020130148381A KR20130148381A KR101389278B1 KR 101389278 B1 KR101389278 B1 KR 101389278B1 KR 1020130148381 A KR1020130148381 A KR 1020130148381A KR 20130148381 A KR20130148381 A KR 20130148381A KR 101389278 B1 KR101389278 B1 KR 10138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r
cord
mouthpiece
lea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혜림
Original Assignee
손병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건 filed Critical 손병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278B1/ko
Priority to EP14178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49176A1/en
Priority to US14/451,605 priority patent/US9183817B2/en
Priority to CN201410424276.2A priority patent/CN104424920A/zh
Priority to JP2014172643A priority patent/JP201504586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10D9/035Re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8Material for manufacturing win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이 발명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는, 마우스피스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마우스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중공이 형성된 풀러를 갖는 풀러수단과; 줄 형태로 구성되어 풀러의 일측에서 일방향 나선 형태로 복수의 중공을 통과해 리드와 마우스피스를 다수회 감으며, 풀러의 양단부 쪽에 각각 형성된 첫번째 중공과 마지막 중공에 각각 고정되는 코드와; 풀러수단의 일측에 체결되어 리드를 마우스피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다수회 감긴 코드에 각각 밀착 접촉된 상태로 리드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각각 설치되어, 리드와의 간격조절을 통해 소리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발명은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을 통해 리드의 교환없이 필요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소리로 편리하게 변경해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 발명은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해 원하는 정확한 음색을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WIND INSTRUMENT}
이 발명은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색소폰이나 클라리넷 등을 포함하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드(reed)는 색소폰이나 클라리넷 등을 포함하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진동에 의해 악기의 소리를 내는 발음체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리드는 두께, 재질 등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많고, 낼 수 있는 음색 또한 다양하여 클래식, 재즈, 팝 등 연주곡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리드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연주자들은 개인의 취향이나 연주하는 곡의 특성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소리를 필요로 한다. 이때, 연주자들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소리를 만드는 두꺼운 리드 또는 밝은 소리를 만드는 얇은 리드로 교체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리드를 교체해 이용하더라도 해당 연주자가 원하는 소리의 색깔로 선택해 이용하지 못하고, 단지 리드의 두께에 따라 정해지는 음색(소리의 색깔)으로 연주 할 수밖에 없다.
또한, 현존하는 마우스피스는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그런데,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리가춰(LIGATURE)의 코드(줄)는 특정 마우스피스에 적합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렇게 현재 판매되는 리가춰는 코드의 길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의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다.
더 나아가, 현존하는 마우스피스는 다양한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각도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정확한 위치 및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리가춰가 필요하다.
한편, 미국 특허등록 제5,648,623호에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목관악기용 리가춰(LIGATURE WOODWIND INSTRUMENTS)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즉,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코드로 감아 고정하는 목관악기용 리가춰(LIGATURE WOODWIND INSTRUMENTS)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는 필요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소리로 변경할 수 있는 음색 조절기능이 전혀 없다. 또한, 상기 기술에는 마우스피스의 크기에 따라 코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이 전혀 없어 사용할 수 있는 마우스피스의 종류가 매우 한정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에는 다양한 각도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정확한 위치 및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 조절구조를 구비하지 못함에 따라, 각도가 큰 마우스피스를 이용할 경우 리가춰가 리드를 부정확한 위치 및 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연주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등록 제5,648,623호(1997. 07. 15.)
이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소리로 변경할 수 있는 음색 조절기능을 갖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마우스피스의 크기에 따라 코드의 길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마우스피스에 사용할 수 있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개별 마우스피스의 각도와 상관없이 미세 각도조절을 통해 풀러를 마우스피스의 표면에 대해 수직상태로 정확한 위치 및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중공이 형성된 풀러를 갖는 풀러수단과; 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풀러의 일측에서 일방향 나선 형태로 상기 복수의 중공을 통과해 상기 리드와 상기 마우스피스를 다수회 감으며, 상기 풀러의 양단부 쪽에 각각 형성된 첫번째 중공과 마지막 중공에 각각 고정되는 코드와; 상기 풀러수단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리드를 상기 마우스피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에 각각 밀착 접촉된 상태로 상기 리드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리드와의 간격조절을 통해 소리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가 각각 밀착 접촉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일측에 각각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동일 형태 및 동일 표면적과 상기 소리 조절부재의 타측면까지의 동일 거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중공이 형성된 풀러를 갖는 풀러수단과; 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풀러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양방향 나선 형태로 상기 복수의 중공을 통과해 상기 리드와 상기 마우스피스를 다수회 감으며, 상기 풀러의 양단부 쪽에 각각 형성된 첫번째 중공과 마지막 중공에 각각 고정되는 코드와; 상기 풀러수단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리드를 상기 마우스피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에 각각 밀착 접촉된 상태로 상기 리드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리드와의 간격조절을 통해 소리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가 각각 밀착 접촉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일측에 각각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동일 형태 및 동일 표면적과 상기 소리 조절부재의 타측면까지의 동일 거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풀러수단은 상기 첫번째 중공 및 상기 마지막 중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직교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인입공과, 상기 한 쌍의 인입공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코드를 눌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풀러수단은 상기 풀러의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함몰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레버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은 구 또는 반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와 그 굵기가 다른 여러 가지 굵기의 복수의 코드와, 상기 여러 가지 굵기의 코드에 맞는 복수의 중공을 각각 갖는 복수의 풀러수단을 더 구비해, 연주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이나 악기의 종류에 맞는 코드와 그에 따른 풀러수단으로 교체해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결합되어 그 단부를 상기 첫번째 중공 또는 상기 마지막 중공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풀러는 양단부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분기되는 한 쌍의 조절판을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조절판 사이로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첫번째 중공과 상기 마지막 중공이 외부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풀러수단은 상기 풀러의 상부 양측에 위치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조절판 사이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한 쌍의 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중공은 바닥을 이루는 하부면에 곡면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중공의 천장을 이루는 상부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코드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 코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우스피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코드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코드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고정되어 그 단부를 상기 첫번째 중공 또는 상기 마지막 중공에 걸쳐져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소리 조절부재를 통해 리드의 교환없이 필요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소리로 편리하게 변경해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 발명은 소리 조절부재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해 원하는 정확한 음색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코드의 양 단부를 편리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마우스피스의 크기에 따라 코드 길이의 편리한 조절이 가능해 다양한 종류의 마우스피스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개별 마우스피스의 각도와 상관없이 미세 각도조절을 통해 풀러를 마우스피스의 표면에 대해 수직상태로 정확한 위치 및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연주자가 최적의 환경에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서 풀러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서 풀러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그 풀러수단에 고정되는 슬리브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재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4e 내지 도 4h는 도 4d 및 다른 고정부재가 풀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서 코드가 나선형태로 중공을 통과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서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이용한 진동흡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이용해 실험한 소리의 주파수 변동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서 브릿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서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도 및 결합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고정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리드(100)와 마우스피스(200)를 감는 코드(10)와, 마우스피스(200)의 상부에 위치되며 코드(10)가 일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복수 관통되는 풀러수단(20), 및 풀러수단(20)에 체결되어 리드(100)를 마우스피스(2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관악기는 색소폰이나 클라리넷 등을 포함하는 기구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드(100)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코드(1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종단면이 원형 형태를 이루는 줄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자는 코드(10)의 굵기에 따라서 악기 소리가 밝고 어두워지는 현상을 여러 프로 연주자들과 테스트를 진행하여 검증 받은 바가 있다. 즉, 이 발명은 코드(10)의 굵기를 변경함으로써 소리의 색깔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코드 굵기에 따른 코드의 전단면이 리드의 진동폭을 제한함과 더불어 코드와 리드가 접촉하는 면적을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코드의 굵기를 변경함으로써, 리드의 진동폭과 진동흡수면적을 변경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굵은 코드의 경우에는 리드의 진동폭이 작고 진동흡수면적이 넓어 어두운 소리를 내고, 얇은 코드의 경우에는 리드의 진동폭이 크고 진동흡수면적이 작아 밝은 소리를 내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은 코드(10)의 굵기 조절을 통해 연주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에 맞는 밝은 소리나 어두운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코드(10)의 굵기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굵기에 맞는 복수의 중공(22)이 형성된 풀러(21)을 갖는 풀러수단(20)을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여러 가지 굵기의 복수의 코드와 그에 맞는 복수의 풀러수단을 별도로 더 구비함으로써, 연주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이나 악기의 종류에 맞는 코드와 그에 따른 풀러수단으로 교체해 사용할 수가 있다.
풀러수단(20)은 양단부가 마우스피스(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중공(22)이 형성되는 풀러(21)를 포함한다. 여기서, 풀러(21)는 마우스피스(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양단부 중 타단부가 관악기를 향하고, 일단부가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러(21)는 상,하부면 및 양측면을 가지며, 그 하부면은 마우스피스(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접한다. 그리고, 복수의 중공(22)은 풀러(21)의 양측면을 관통한다. 또한, 복수의 중공(22)은 각각 풀러(21)의 양측면을 관통하므로 그 풀러(22)의 양측면에는 각각 중공(22)의 양단부가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코드(10)는 타단부가 수직 즉, 세로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되면서 풀러(21)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전진한다. 그 전진에 따라 코드(10)의 타단부가 복수의 중공(22)을 순차적으로 통과되면서 마우스피스(200)와 리드(10)를 나선 형태로 감는다. 즉, 코드(10)는 타단부가 복수의 중공(22) 중 풀러(21)의 일단부 방향에 위치되는 첫번째 중공(22a)으로부터 리드(1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세로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되어 마우스피스(200)와 리드(100)를 동시에 감는 한편, 그 풀러(21)의 타단부 방향에 위치되는 마지막 중공(22b)으로 순차적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코드(10)는 그 양단부가 각각 첫번째 중공(22a)과 마지막 중공(22b)에 각각 고정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0)의 양단부가 중공(22a,22b)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열융합 등에 의해 그 중공(22a,22b)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에는, 첫번째 중공(22a)과 마지막 중공(22b)은 각각 코드(10)의 양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첫번째 중공(22a)과 마지막 중공(22b)은 풀러(20)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상호 정반대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풀러(2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분기되는 한 쌍의 조절판(23)을 구비하되, 그 한 쌍의 조절판(23) 사이로 이격공간(24)이 형성되어 첫번째 중공(22a)과 마지막 중공(22b)이 외부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풀러수단(20)은 한 쌍의 조절판(23) 사이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기 위한 한 쌍의 조절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조절구(25)는 일반적인 형태의 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풀러(21)의 양단부 상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다. 한편, 한 쌍의 조절판(23)에는 조절구(25)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인입공(2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구(25)는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조절판(23)에 나사 결합되면서 그 한 쌍의 조절판(23)의 이격된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그 조절에 의해 코드(10)의 양단부는 가압되어 조이거나, 가압 해제되어 풀린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마우스피스(200)의 크기 등에 따라 조절구(25)를 조절하여 코드(1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해 가면서 다양한 마우스피스에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200)의 크기가 크면 조절구(25)의 조절에 따라 첫번째 중공(22a) 및 마지막 중공(22b)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코드(10)의 양단부 길이가 짧게 된다. 이와 반대로, 마우스피스(200)의 크기가 작으면, 조절구(25)의 조절에 따라 첫번째 중공(22a) 및 마지막 중공(22b)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코드(10)의 양단부 길이가 길게 된다.
한편, 풀러(21)는 도 4a와 같이 한 쌍의 조절판(23) 및 한 쌍의 조절구(25)를 이용해 첫번째 중공(22a) 및 마지막 중공(22b)을 변형시킴에 따라 중공(22a,22b) 내에 코드를 고정하는 대신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중공(22a) 및 마지막 중공(22b)과 각각 연통하도록 직교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한 쌍의 인입공(23b)과, 한 쌍의 인입공(23b)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코드(10)를 눌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구(25a)를 이용해 중공(22a,22b) 내에 코드를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 실시예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를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50)는 양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로 유동공간(51)을 형성하는 원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유동공간(51)은 슬리브(50)가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면서 축소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코드(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는 슬리브(50)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에 억지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로 인해, 코드(10)는 마우스피스(200)의 크기 등에 따라 슬리브(50)를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으로부터 인출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단부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고정되어 그 단부를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에 걸쳐져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60)는 일측 외측면에 나사산을 갖는 중공 스크류(61)와, 중공 스크류(61)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캡(65)으로 구성된다. 중공 스크류(61)는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의 일부분에 끼워지는 삽입부(62)와,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 둘레의 풀러(21)의 표면에 밀착되는 플랜지(63)와, 플랜지(63)를 기준으로 삽입부(62)와 대향하는 쪽에 형성되며 나사산을 외측면에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2개의 슬롯을 갖는 결합부(64)로 구성된다.
캡(65)은 결합부(64)에 결합되어 점점 결합됨에 따라 결합부(64)를 점점 오므라지게 하여 결합부(64)의 내부에 끼워지는 코드(10)를 조여 고정시키는 내측 나사산을 갖는다.
한편, 이 발명의 고정부재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동일 개념으로 구성하되 도 4f와 같이 중공 스크류의 결합부와 캡이 나사산 결합방식이 아닌 원터치 걸림구조로 구성하거나, 도 4g와 같이 중공 스크류의 결합부를 캡을 사용하지 않고 공구를 사용해 오므려 구성하거나, 도 4h 및 도 4i와 같이 코드(10)의 단부가 캡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도 4e 및 도 4f의 중공 스크류의 결합부와 캡의 형상을 일부 변형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e 내지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0)가 코드(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고정되어 첫번째 중공(22a) 또는 마지막 중공(22b)에 걸쳐져 고정됨에 따라, 마우스피스(200)의 크기 등에 따라 코드(1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절단한 후 편리하게 마감 처리할 수가 있다.
복수의 중공(22)은 각각 코드(10)가 나선 형태로 자연스럽게 통과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그 복수의 중공(22)을 통과하는 코드(10)로 균등한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풀러(21)의 길이방향과 직교를 이루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중공(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풀러(21)의 길이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상태를 기준으로 그 상태로부터 풀러(2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는, 코드(10)가 나선 형태로 감겨지면서 자연스럽게 풀러(21)의 길이방향과 직교인 상태로부터 그 풀러(21)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이루기 때문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중공(22)은 각각 코드(10)가 꺾임현상 없이 통과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외측으로 라운딩되어 곡면(B)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중공(22)은 각각 곡면(B)을 이루는 반경(r)이 코드(10)가 나선 형태의 원을 이루는 반경(R)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험에 의한 것으로, 반경(r)이 반경(R)보다 크게 형성되면, 코드(10)가 불균등한 힘의 분배로 인해 리드(100)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없었다. 따라서, 이 발명은 반경(r)이 반경(R)보다 작게 형성될 때, 코드(10)가 힘의 균등한 분배로 인해 리드(100)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효과가 크다.
한편, 복수의 중공(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바닥을 이루는 하부면에 곡면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22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c)로부터 중공(22)의 천장을 이루는 상부면까지의 높이(C)는 코드(10)의 직경과 동일 또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드(10)가 복수의 중공(22)의 각 양단부를 통과할 때 꺾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그 꺾임에 의해 느슨한 부분이 생기면서 힘의 불균등한 분배로 인해 리드(100)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00)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각각 설치되어, 리드(100)와의 간격조절을 통한 코드(10)의 진동흡수구간의 조절을 통해 소리의 색깔을 조절하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코드(10)는 리드(100)에서 나오는 소리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소리의 색깔은 진동을 흡수하는 코드(1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즉, 긴 진동흡수구간을 갖는 코드(10)의 경우에는 리드(100)에서 나오는 진동을 많이 흡수하는 반면에, 짧은 진동흡수구간을 갖는 코드(10)의 경우에는 리드(100)에서 나오는 진동을 적게 흡수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는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는 코드의 진동흡수구간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를 리드(100)쪽으로 밀어내리면 리드의 진동을 적게 흡수하고,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를 리드(100)에서 멀리 밀어올리면 리드의 진동을 많이 흡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b)와 같이 리드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구간의 길이를 짧게 할 경우에는, 리드의 양쪽 단부에서 일어나는 진동을 억제함에 따라 소리가 중앙에 집중되어 밝은 소리를 내게 된다. 그런데, 도 6의 (c)와 같이 리드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구간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에는, 리드의 양쪽 단부에서 나오는 진동이 억제되지 않아 소리가 넓게 퍼져 어두운 소리를 내게 된다.
그런데, 각각의 진동흡수구간의 코드가 일정하게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소리 조절부재(40)와 코드(10)가 접촉하는 형태와 각 코드에서의 소리 조절부재(40)의 크기가 동일해야 한다. 즉, 각 코드와 만나는 소리 조절부재(40)의 표면적이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각각의 코드(10)가 관통하여 접촉하는 복수의 관통공(41)을 일측에 각각 구비하되, 이러한 복수의 관통공(41)의 형태 및 표면적이 동일하고, 또한 복수의 관통공(41)에서 소리 조절부재(40)의 타측면까지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공(41)은 일측이 개구된 원형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는 복수의 관통공(41)을 통해 코드(10)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나선 형태로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발명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40) 이외에 코드(10)가 등간격을 유지하면서 나선 형태로 감겨지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부재를 더 구비해, 각자의 역할만을 각각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따르면, 소리 조절부재(40)는 그 관통공(41)의 표면이 최소 3.5mm*3.5mm의 면적을 가져야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길이는 코드의 구간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최소 2.5mm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소리 조절부재(40)의 재질로는 진동의 흡수와 가공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SUS 또는 Bronze를 사용해도 특별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이용해 실험하되,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이용해 코드의 진동흡수구간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른 소리의 주파수 변동을 실험한 그래프이다.
이들 실험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것이다.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는 코드와 접촉하는 관통공을 일측에 5개 갖도록 구성하되, 이때 관통공의 표면적은 대략 20mm2(2.5mm*3.14*70%*3.5mm)을 갖도록 구성했다. 여기서, 관통공은 그 크기가 크면 소리를 조절하는데 효과가 더 좋으나 외관 구조상 최소 면적에서 실험하였다.
한편, 실험장치로는 recording studio용 오실로 스코프에서 실험하되, 그 실험방법은 동일한 A440에서 튜닝을 하고, 유효 주파수 범위 내의 다수 주파수에서 sampling하여 시중에 유통 중인 다른 리가춰와 비교하고, 또한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설치한 경우와 설치하지 않는 경우를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리드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구간의 길이변동(Low Position, Middle Position, High Position)에 따라 소리의 색깔이 많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중간 이상으로 올릴 경우, 소리가 확연히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정수단(30)은 풀러(21)가 마우스피스(200)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풀러수단(20)은 풀러(21)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바(26)를 더 포함하며, 고정수단(3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26)에 결합되는 브릿지(31)와, 가이드바(26)와 나사결합되며 브릿지(31)를 가압하여 풀러수단(20)을 마우스피스(200)에 고정하는 가압레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31)는 양단부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풀러(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바(26)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가이드공(33a)이 형성되는 상판(33)과, 상판(33)의 양측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나선 형태를 이루는 코드(10)가 인입되는 복수의 삽입홈(35)이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34)을 포함한다. 또한, 브릿지(31)는 한 쌍의 측판(34) 및 상판(33)에 의해 양측 및 상측이 차단되면서 내측으로 풀러(21)가 인입되는 인입공간(36)을 갖는다. 즉, 한 쌍의 측판(34)은 하부가 마우스피스(200)에 안착되며, 인입공간(36)으로 풀러(21)가 인입된다.
복수의 삽입홈(3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34)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상판(33)의 양단부 방향과 직교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그 상태로부터 상판(33)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선 형태로 감겨되는 코드(10)의 방해 없이 마우스피스(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33)은 중앙부에 하방향으로 함몰되는 결합홈(33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합홈(33b)의 중앙부에는 가이드공(3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레버(3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가이드바(26)에 나사결합되는 가압편(37)과, 가압편(37)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바(38), 및 가압편(37)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결합홈(33b)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8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압레버(32)는 조임회전에 의해 가이드바(26)를 따라 하강되면서 브릿지(31)를 가압하여 풀러수단(20)이 마우스피스(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가압레버(32)는 풀림회전에 의해 가이드바(26)를 따라 승강되면서 브릿지(31)의 가압을 해제하여 풀러수단(20)이 마우스피스(200)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코드(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레버(32)를 조임하는 회전방향과 반대로 풀러수단(10)에 나선 형태로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레버(32)가 우회전에 의해 조임되면 코드(10)는 좌회전되면서 풀러수단(20)에 나선 형태로 통과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가압레버(32)를 돌려 조임할 때, 잠그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회전모멘트가 생겨 코드(10)를 잡고 있는 풀러수단(20)가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발명은 가압레버(32)를 조임하면 마우스피스(200)의 하부면에서 코드(10)와 접촉되는 마찰부위가 생기고 코드(10)의 양단부에서 회전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의 저항이 발생되어 풀러수단(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돌기(38a)는 구 또는 반구 형태를 이루며, 결합홈(33b)은 이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결합돌기(38a)가 결합홈(33b)에 위치되어 전,후,좌,우로 일정부분 유동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다른 각도에서도 체결이 가능해, 개별 마우스피스의 각도와 상관없이 풀러(21)를 마우스피스(200)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가이드공(33a)은 직경이 가이드바(2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유로이 유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26)는 하부에 반구 형태를 이루는 접촉돌기(27)가 구비되며, 그 접촉돌기(27)는 인입공간(36)에 위치되면서 브릿지(31)가 마우스피스(200)의 표면 상태에 따라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200)의 상부 표면상태나 크기 등에 따라 브릿지(31)가 일정부분 유동되면서 위치 조정됨으로써, 가압에 의한 브릿지(31)는 물론 마우스피스(200)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A)는, 리드(100)와 마우스피스(200)를 감는 코드(10A)와, 마우스피스(200)의 상부에 위치되며 코드(10A)가 풀러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양방향 나선 형태로 복수 관통되는 풀러수단(20A), 및 풀러수단(20A)에 체결되어 리드(100)를 마우스피스(2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A)을 포함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A)는, 코드(10A)가 풀러수단(20A)의 중앙 부근에서 양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리드(100)와 마우스피스(200)를 감도록 구성됨에 따라, 풀러수단(20A), 고정수단(30A) 및 소리 조절부재(40A)의 일부 형태가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관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이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이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리드 고정장치 10 : 코드
20 : 풀러수단 21 : 풀러
22 : 중공 22a : 첫번째 중공
22b : 마지막 중공 22c : 돌출부
23 : 조절판 24 : 이격공간
25 : 조절구 26 : 가이드바
30 : 고정수단 31 : 브릿지
32 : 가압레버 33 : 상판
33a : 가이드공 34 : 측판
35 : 삽입홈 36 : 인입공간
37 : 가압편 38 : 조절바
40 : 소리 조절부재 41 : 관통공
50 : 슬리브
100 : 리드 200 : 마우스피스

Claims (10)

  1.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중공이 형성된 풀러를 갖는 풀러수단과;
    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풀러의 일측에서 일방향 나선 형태로 상기 복수의 중공을 통과해 상기 리드와 상기 마우스피스를 다수회 감으며, 상기 풀러의 양단부 쪽에 각각 형성된 첫번째 중공과 마지막 중공에 각각 고정되는 코드와;
    상기 풀러수단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리드를 상기 마우스피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에 각각 밀착 접촉된 상태로 상기 리드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리드와의 간격조절을 통해 소리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가 각각 밀착 접촉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일측에 각각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동일 형태 및 동일 표면적과 상기 소리 조절부재의 타측면까지의 동일 거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2.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중공이 형성된 풀러를 갖는 풀러수단과;
    줄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풀러의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양방향 나선 형태로 상기 복수의 중공을 통과해 상기 리드와 상기 마우스피스를 다수회 감으며, 상기 풀러의 양단부 쪽에 각각 형성된 첫번째 중공과 마지막 중공에 각각 고정되는 코드와;
    상기 풀러수단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리드를 상기 마우스피스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에 각각 밀착 접촉된 상태로 상기 리드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리드와의 간격조절을 통해 소리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소리 조절부재는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회 감긴 코드가 각각 밀착 접촉하는 복수의 관통공을 일측에 각각 구비하되,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동일 형태 및 동일 표면적과 상기 소리 조절부재의 타측면까지의 동일 거리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수단은 상기 첫번째 중공 및 상기 마지막 중공과 각각 연통되도록 직교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인입공과, 상기 한 쌍의 인입공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코드를 눌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수단은 상기 풀러의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바에 나사결합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함몰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레버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은 구 또는 반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와 그 굵기가 다른 여러 가지 굵기의 복수의 코드와, 상기 여러 가지 굵기의 코드에 맞는 복수의 중공을 각각 갖는 복수의 풀러수단을 더 구비해, 연주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이나 악기의 종류에 맞는 코드와 그에 따른 풀러수단으로 교체해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결합되어 그 단부를 상기 첫번째 중공 또는 상기 마지막 중공에 억지끼움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는 양단부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분기되는 한 쌍의 조절판을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조절판 사이로는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첫번째 중공과 상기 마지막 중공이 외부와 각각 연통되고,
    상기 풀러수단은 상기 풀러의 상부 양측에 위치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조절판 사이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한 쌍의 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공은 바닥을 이루는 하부면에 곡면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중공의 천장을 이루는 상부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코드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 코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코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코드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한 단부에 고정되어 그 단부를 상기 첫번째 중공 또는 상기 마지막 중공에 걸쳐져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KR1020130148381A 2013-08-27 2013-12-02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KR10138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78010.6A EP2849176A1 (en) 2013-08-27 2014-07-22 Reed affixing device for wind instruments
US14/451,605 US9183817B2 (en) 2013-08-27 2014-08-05 Reed affixing device for wind instruments
CN201410424276.2A CN104424920A (zh) 2013-08-27 2014-08-26 管乐器的簧片固定装置
JP2014172643A JP2015045865A (ja) 2013-08-27 2014-08-27 管楽器用リード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763 2013-08-27
KR20130101763 2013-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278B1 true KR101389278B1 (ko) 2014-04-25

Family

ID=5065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381A KR101389278B1 (ko) 2013-08-27 2013-12-02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83817B2 (ko)
EP (1) EP2849176A1 (ko)
JP (1) JP2015045865A (ko)
KR (1) KR101389278B1 (ko)
CN (1) CN1044249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2882B2 (en) * 2015-07-07 2020-09-01 Leto R&D Corporation Ligature for a wind instrument
JP6701293B2 (ja) * 2018-09-18 2020-05-27 株式会社石森管楽器 管楽器用金属製アタッチメン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604A (en) * 1979-03-19 1981-03-31 Giokas Dennis G Ligature
JPS6044190B2 (ja) * 1981-09-03 1985-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液体タンク付車体フレ−ム
US4796507A (en) * 1986-01-28 1989-01-10 Stibal Terry L Reed holding device
US5648623A (en) * 1995-10-13 1997-07-15 Silverstein; Steven Ligature for woodwind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5535A (en) * 1978-12-11 1980-01-29 Lorenzini Robert A Reed-holding device
JPH0644190B2 (ja) 1983-08-08 1994-06-08 カル−ス,ジヨン 弦楽器の糸巻
FR2641109B1 (ko) * 1988-12-23 1991-05-24 Petit Roger
IT1245163B (it) * 1991-02-15 1994-09-13 Emilio Barbaglia Dispositivo di fissaggio dell'ancia sul bocchino degli strumenti musicali a fiato
JPH0644190A (ja) 1991-09-12 1994-02-18 Hokkaido Nippon Denki Software Kk マルチプロセッサ方式
US5728957A (en) * 1994-05-25 1998-03-17 Valtchev; Konstantin L. Clarinet ligature and mouthpiece grasping ring
US6130376A (en) * 1999-04-03 2000-10-10 Shun-Hwa Chang Ligature for reed instruments
DE20104617U1 (de) * 2000-11-30 2001-06-28 Phonosound Musikproduktions GmbH, 82239 Alling Vorrichtung zur Halterung des Blattes am Mundstück eines Musikinstruments
JP2006163382A (ja) * 2004-11-11 2006-06-22 Ishimori Kangatsuki:Kk リガチャ
FR2888657B1 (fr) * 2005-07-13 2007-09-14 Henri Selmer Paris Sa Nouvelle ligature pour bec d'instrument de musique a anche
US7982112B2 (en) * 2008-03-03 2011-07-19 Philip Lee Rovner Ligature for woodwind instruments
JP5320836B2 (ja) * 2008-06-12 2013-10-23 ヤマハ株式会社 シングルリード楽器用リガチャ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8604A (en) * 1979-03-19 1981-03-31 Giokas Dennis G Ligature
JPS6044190B2 (ja) * 1981-09-03 1985-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液体タンク付車体フレ−ム
US4796507A (en) * 1986-01-28 1989-01-10 Stibal Terry L Reed holding device
US5648623A (en) * 1995-10-13 1997-07-15 Silverstein; Steven Ligature for woodwind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83817B2 (en) 2015-11-10
EP2849176A1 (en) 2015-03-18
US20150059552A1 (en) 2015-03-05
CN104424920A (zh) 2015-03-18
JP2015045865A (ja)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249B1 (ko) 네크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기타
CN105264594B (zh) 提供顺畅和隔离的共振的鼓安装和调谐系统
JPS6186797A (ja) 弦楽器のトレモロ装置
JPS634297A (ja) ギタ−のビブラ−ト・アッセンブリ
KR101389278B1 (ko) 관악기용 리드 고정장치
US7145064B2 (en) Acoustic amplifier and tone controll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070006712A1 (en) Stringed instrument that maintains relative tune
US5196641A (en) Vibrato tailpiece for guitar
US20040011183A1 (en) Device for securing the reed on the mouthpiece of a musical instrument
US7157634B1 (en) String instrument
US11455977B2 (en) Acoustical musical devices
US8729372B2 (en) Adjuster for string instruments
BG111644A (bg) Тремоло устройство за струнен музикален инструмент
US11501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ailpiece
ES2654138T3 (es) Instrumentos musicales de metal con tonalidad modificable
US5808216A (en) Simplified tremolo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150068386A1 (en) Vibrato block
KR101631808B1 (ko) 현악기용 음색조정장치
US3410170A (en) Ligature for reed instruments
KR200303192Y1 (ko) 해금
CA2266172C (en) Bagpipe reed
CA2631599C (en) Combination pitched flute
KR20170042002A (ko) 마우스피스용 리가쳐
JP5320836B2 (ja) シングルリード楽器用リガチャー
TWI612515B (zh) 樂器音色改良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