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601B1 - 음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601B1
KR101388601B1 KR1020120144766A KR20120144766A KR101388601B1 KR 101388601 B1 KR101388601 B1 KR 101388601B1 KR 1020120144766 A KR1020120144766 A KR 1020120144766A KR 20120144766 A KR20120144766 A KR 20120144766A KR 101388601 B1 KR101388601 B1 KR 10138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measuring
unit
sound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렬
방승주
이태호
전득찬
이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to KR102012014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으로 작용하는 검사 대상물에서 생성되는 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로서, 상기 음향 측정 장치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음향 측정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음향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값 및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즉정된 결과값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 측정 장치{ACOUSTIC SENSOR}
본 발명은 음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으로 작용하는 검사 대상물에서 생성되는 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로서, 상기 음향 측정 장치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음향 측정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음향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값 및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즉정된 결과값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리는 인간이 생활하는 영역의 모든 곳에서 발생한다. 음악과 같은 소리는 인간 생활을 윤택하게 하기도 하나, 원치 않는 장소 및 상황에서 발생하는 소리는 소음으로서 인간의 생활을 불편하게 하고, 특히 상기 소음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심각한 삶의 질 저하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비행장, 공사장 등 소음원을 둘러싼 법적 분쟁이 비일비재하며, 따라서 이러한 소음에 관한 기술적, 법적 대책 마련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소음을 포함한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발달되어 왔다. 단순히 소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에서 잠수함의 소너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음향 측정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세기가 작아지는 소리의 특성상, 어느 거리에서 소리의 세기를 측정하는지가 측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 요소가 된다.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S)으로부터의 거리가 A 인 곳에서 측정한 음향 측정 장치(1)에서 측정한 음의 세기와, 음원(S)으로부터의 거리가 B 인 곳에서 측정한 음향 측정 장치(2)에서 측정한 음의 세기는 A 와 B 의 크기가 상이할수록 그 결과 차이가 크게 된다. 이에 따라서, 예컨대 소음의 세기와 관련한 분쟁에 있어서, 단순히 소음의 세기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어느 위치에서 측정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소음의 세기가 상이하게 측정되므로, 정확한 측정 거리를 명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음향 측정 장치의 경우 단순히 정해진 위치에서의 음의 세기만을 측정하므로 거리에 대한 안배가 없으며, 이는 음향 측정 장치를 이용한 음향의 측정에 있어 상당한 불편을 야기한다.
공개특허 10-2011-012558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원으로 작용하는 검사 대상물에서 생성되는 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로서, 상기 음향 측정 장치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음향 측정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음향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값 및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즉정된 결과값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가 도출되는 음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는, 음원으로 작용하는 검사 대상물에서 생성되는 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로서, 상기 음향 측정 장치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음향 측정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음향 측정부에서 측정된 결과값 및 상기 거리 측정부에서 즉정된 결과값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거리 측정부는, 광학식 거리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식 거리 측정 모듈은, 광을 생성하는 발신부, 및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부에서 생성된 광이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에 수광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거리 측정부는, 초음파 거리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거리 측정 모듈은, 초음파를 생성하는 발신부, 및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부에서 생성된 초음파가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음향 측정부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음향 측정부와 상기 거리 측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연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검사 대상물의 이격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출력부; 및 입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는 제어부에서 도출된 측정값을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되, 상기 검사 대상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따른 결과값을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사 대상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가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거리 측정부는, 제1 거리 측정부, 및 제2 거리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리 측정부와 제2 거리 측정부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거리 측정부와 상기 음향 측정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리 측정부와 제2 거리 측정부에서 측정된 거리가 동일한 순간에 상기 음향 측정부에서 측정된 음의 세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음향 측정부 및 거리 측정부가 구비되므로, 음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정확히 측정되며 상기 거리에 위치할 때의 음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별도의 거리 측정 및 거리 측정 장치가 필요 없이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의 세기가 거리에 따라서 정확히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측정 등과 같은 음의 세기의 측정이 더욱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가 개선되며 정확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서, 음원에서 생성되는 음의 세기를 특정 거리에서 측정하지 않고, 임의의 거리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거리에서의 음의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임의의 거리에서 측정된 결과값이 제어부에 포함된 소정의 연산 장치 등을 통해 소정의 감쇠 보정 작업을 거침에 따라서, 상기 임의의 거리 외에 타 거리에서의 음의 세기 또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향 측정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며, 사용자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비교적 위험 반경이 큰 기계의 소음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다소 원거리에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에 포함된 연산 장치의 감쇠 보정을 통해 소정 기준에서 마련된 거리에서의 소음의 세기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측정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검사 대상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산 장치 및 상기 측정값을 출력하는 출력부가 구비됨에 따라서, 측정자의 편의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거리 측정부는 제1 거리 측정부, 및 제2 거리 측정부를 포함하므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와 검사 대상물 사이의 거리가 더욱 정확히 측정되며, 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의 측정값이 더욱 정확하게 도출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의 측정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의 출력부에 의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는 도 5 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를 사용한 음향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각 용어가 지칭하는 각 부분, 또는 부재를 배열하여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로, "제1", "제2" 라는 용어에 의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의 출력부(400)에 의해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는 도 5 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사용한 음향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는 음향 측정부(100), 및 거리 측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 측정부(100)는 소정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미도시)는 예컨대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미도시)는, 두 개의 전극이 마주보고 있는 콘덴서의 원리를 응용하며, 하나의 전극은 기판 상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전극은 공중에 부양되어 진동판으로 외부의 음압에 반응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미도시)는 박막인 다이어프램과 백 플레이트에 설치된 고정 전극막을 미소한 에어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킴으로써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음향 진동에 의해 다이어프램이 진동하면, 그 진동에 의해 다이어프램과 고정 전극막의 갭 거리가 변화하기 때문에, 그 때의 다이어프램과 고정 전극막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음향 진동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음향 측정부(100)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는 상기와 같은 정전 용량 방식 외에도 압전형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거리 측정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와 검사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광 반사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광학식 거리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거리 측정 모듈은 광을 생성하는 발신부(202), 검사 대상물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신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거리 측정부(200)는 발신부(202)에서 방출된 광이 검사 대상물에 의해서 반사되어 수신부(204)에 검출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와 검사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발신부(202)에서 생성된 광을 출광하는 시각과, 수신부(204)가 검사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하는 시각을 감지함으로써,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이러한 이동 시간에서 음향 측정 장치(10)와 검사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신부(202)에서 생성된 광은 소정의 집광 장치에서 생성되는 레이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신부(202)에서 생성된 광에 의해서 상기 수신부(204)가 직접 영향을 받지 아니하며 상기 수신부(204)는 검사 대상물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만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발신부(202)와 상기 수신부(204) 사이에는 소정의 차폐벽(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을 이용하는 광학식 거리 측정 모듈 외에,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거리 측정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발신부(202)는 소정의 초음파를 생성하는 초음파 발생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신부(204)는 상기 초음파를 수신하는 소정의 초음파 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거리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결과에 관한 신호, 및 상기 음향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결과에 관한 신호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거리 측정부(200) 및 음향 측정부(100)는 측정값을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도출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소정의 연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에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연산 장치 등에 입력된 소정의 수식, 연산식, 및 보간법 등에 제공함에 따라서 검사 대상물과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 사이의 거리, 및 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식, 연산식, 및 보간법 등은 제어부(300)에 포함되는 소정의 연산 장치에 입력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측정부(200)와 음향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를 감안하여, 더욱 정확한 음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거리 측정부(200)와 음향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를 보간하는 수식에 따라서 음원의 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연산 장치는 거리 측정부(200)의 위치에 따라서 정확한 음의 세기가 도출될 수 있는 보간법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형태에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 측정부(200)의 위치는 가변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리 측정부(200)의 위치는 상기 제어부(300)에 전달되어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 측정부(200)의 위치 가변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마이크로미터와 같은 소정의 정밀 나사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변 나사를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도출된 결과값은 소정의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출력부(400)는 상기 측정값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음향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음의 세기는 데시벨(Db) 값으로 출력하고, 거리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거리값은 미터(m) 값으로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400)는 음의 세기에 관한 결과값을 거리에 따라서 나타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이용할 경우, 음원으로부터 이격된 특정 거리에서 측정을 할 경우에도 상기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300) 내에 포함된 연산 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특정 거리 외에 임의의 이격 거리에서의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400)는 검사 대상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따른 결과값을 도표와 같이 출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측정 편의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입력부(50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500)는 상기 이격거리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입력부(500)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검사 대상물에서의 거리 간격이 가변하며 상기 가변되는 거리 간격에 따른 음의 세기가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물로부터 1 m 간격의 이격거리에 따른 결과값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물로부터 5 m 간격의 이격거리에 따른 결과값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도 2 에서는 상기 출력부(400), 및 입력부(500)가 상기 제어부(300)와 소정의 라인에 의해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로 구분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하는 소형 장치에 소정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출력부(400) 및 입력부(500)가 구비되는 형태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음향 측정부(100) 및 거리 측정부(200)가 구비되므로, 음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정확히 측정되며 상기 거리에 위치할 때 음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별도의 거리 측정 및 거리 측정 장치가 필요 없이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의 세기의 거리에 따른 측정값이 정확히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소음 측정 등과 같은 음의 세기의 측정이 더욱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가 개선되며 정확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음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소정의 세기 이하의 소음이 허용되는 기준에 따른 기계 장치를 마련할 때, 상기 기계 장치가 상기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가 정확하게 도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서, 음원에서 생성되는 음의 세기를 특정 거리에서 측정하지 않고, 임의의 거리에서 측정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거리에서의 음의 세기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임의의 거리에서 측정된 결과값이 제어부(300)에 포함된 소정의 연산 장치 등을 통해 소정의 감쇠 보정 작업을 거침에 따라서, 상기 임의의 거리 외에 타 거리에서의 음의 세기 또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향 측정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며, 사용자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비교적 위험 반경이 큰 기계의 소음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다소 원거리에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한 후, 상기 제어부(300)에 포함된 연산 장치의 감쇠 보정을 통해 소정 기준에서 마련된 거리에서의 소음의 세기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측정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도 5 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이용한 음향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는 거리 측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와 검사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부(202)에서 생성된 레이저를 출광하는 시각과, 수신부(204)가 검사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하는 시각을 감지함으로써, 이동 시간을 계산하고, 이러한 이동 시간에서 음향 측정 장치(10)와 검사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도출하는 방식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거리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가 구비됨에 따라서, 보다 정확한 거리 측정 및 그에 따른 보다 정확한 음향 세기 측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가 상기 검사 대상물에 대해서 연직 방향으로 위치하지 아니하고 소정의 기울기 각을 가질 때, 거리 측정부(200)에 의해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정확하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거리 측정부(200)가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를 포함함에 따라서,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의 거리 측정값이 동일해지도록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를 배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가 상기 검사 대상물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는 상기 음향 측정부(100)를 사이에 두고 연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상기 음향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L1) 및 상기 제2 거리 측정부(220)와 상기 음향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L2)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물(S)의 위치와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 제2 거리 측정부(220)의 위치, 및 상기 음향 측정부(100)를 이은 선은 삼각형을 나타내되, 상기 검사 대상물(S)과 상기 음향 측정부(100)를 이은 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측정 장치(10)와 검사 대상물(S) 사이의 거리가 더욱 정확히 측정되며, 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의 측정값이 더욱 정확하게 도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300)는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제2 거리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거리가 동일한 순간에 상기 음향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음의 세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제2 거리 측정부(220)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동일하도록 세밀한 조작을 할 필요 없이,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제2 거리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결과가 동일한 순간에서의 음의 세기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제2 거리 측정부(220)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동일하여 음의 세기가 기록되면 소정의 소리와 같은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음향 측정 장치 2: 음향 측정 장치
10: 음향 측정 장치 100: 음향 측정부
200: 거리 측정부 202: 발신부
204: 수신부 210: 제1 거리 측정부
220: 제2 거리 측정부 300: 제어부
400: 출력부 500: 입력부

Claims (8)

  1. 음원으로 작용하는 검사 대상물에서 생성되는 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음향 측정 장치(10)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100); 및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음향 측정 장치(10)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200);
    상기 음향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결과값 및 상기 거리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처리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상기 음향 측정부(100)에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음향 측정부(100)와 상기 거리 측정부(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게 구성되는 음향 측정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광학식 거리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식 거리 측정 모듈은,
    광을 생성하는 발신부(202), 및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신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부(202)에서 생성된 광이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204)에 수광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초음파 거리 측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거리 측정 모듈은,
    초음파를 생성하는 발신부(202), 및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발신부(202)에서 생성된 초음파가 상기 검사 대상물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204)에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10).
  4. 삭제
  5. 음원으로 작용하는 검사 대상물에서 생성되는 음을 측정하는 음향 측정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음향 측정 장치(10)는,
    음의 세기를 측정하는 음향 측정부(100); 및
    상기 검사 대상물과 상기 음향 측정 장치(10)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200);
    상기 음향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결과값 및 상기 거리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처리하는 제어부(300);
    출력부(400); 및
    입력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장치는,
    상기 검사 대상물로부터의 이격거리에 따른 음의 세기를 도출하며,
    상기 출력부(400)는 제어부(300)에서 도출된 측정값을 소정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되, 상기 검사 대상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에서의 결과값을 출력하며, 상기 검사 대상물로부터의 이격거리는 복수이되, 상기 각각의 이격거리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상기 입력부(500)의 입력에 따라서 상기 간격이 가변할 수 있는 음향 측정 장치(10).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부(200)는,
    제1 거리 측정부(210), 및 제2 거리 측정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제2 거리 측정부(22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상기 음향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거리 측정부(220)와 상기 음향 측정부(100)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음향 측정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1 거리 측정부(210)와 제2 거리 측정부(220)에서 측정된 거리가 동일한 순간에 상기 음향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음의 세기를 저장하는 음향 측정 장치(10).
KR1020120144766A 2012-12-12 2012-12-12 음향 측정 장치 KR10138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66A KR101388601B1 (ko) 2012-12-12 2012-12-12 음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66A KR101388601B1 (ko) 2012-12-12 2012-12-12 음향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601B1 true KR101388601B1 (ko) 2014-04-23

Family

ID=5065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66A KR101388601B1 (ko) 2012-12-12 2012-12-12 음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6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704A (ja) * 1993-03-02 1994-09-09 Nec Corp 移動体騒音監視システム
JP3000540B2 (ja) * 1993-12-27 2000-0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騒音・距離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9704A (ja) * 1993-03-02 1994-09-09 Nec Corp 移動体騒音監視システム
JP3000540B2 (ja) * 1993-12-27 2000-01-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騒音・距離測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5166B2 (en) Environmental parameter sensor
CN104781766B (zh) 对物体的触敏表面上的至少一个接触进行检测和定位的系统和方法
JP2013123605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方法
KR101667276B1 (ko) 소형 개구 음향 센서를 이용하는 디지털 전사 시스템
KR101825363B1 (ko) 진동막의 고유 주파수 획득 방법 및 시스템
JP2007292667A (ja) 音響特性測定装置
EP3199946B1 (en) Deformation detecting device
US92613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coustic coefficients and acoustic power
JP4422066B2 (ja) 膜スチフネス測定装置および膜スチフネス測定方法
CN104048746A (zh) 便携式振动计中的振动传感器
KR102030451B1 (ko) 초음파 센서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71587A (ja) ウーハーの音声生成ユニットの変位量および動き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388601B1 (ko) 음향 측정 장치
US11480547B2 (en) Liquid immersion sensor
Koukoulas et al. Uncertainty contributions in the optical measurement of free-field propagating sound waves in air and water
JP5516238B2 (ja) 温度検出装置
JP2007333545A (ja) 吸音特性測定方法および吸音特性測定装置
CN111198282B (zh) 用于校准扬声器的集成体积加速度传感器的方法和系统
Piper et al. Sensing sound pressure in an anechoic chamber using backscattered laser light
JP2012185078A (ja) 超音波探触子及び管状対象物の周長測定方法
Rodrigues et al.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center of acoustic transducers
RU123163U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толщиномер-дефектоскоп
Guidorzi et al. Reflection index measurement on noise barriers with the Adrienne method: source directivity investigation and microphone grid implementation
Piper et al. Measuring MEMS microphone freefield performance using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JP2017112582A (ja) 超音波マイクロフォン装置及び超音波マイクロフォンの出力信号を電気単位のボルトから音響単位のパスカル又はデシベルに変換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