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342B1 -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342B1
KR101388342B1 KR1020130021763A KR20130021763A KR101388342B1 KR 101388342 B1 KR101388342 B1 KR 101388342B1 KR 1020130021763 A KR1020130021763 A KR 1020130021763A KR 20130021763 A KR20130021763 A KR 20130021763A KR 101388342 B1 KR101388342 B1 KR 10138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action
reactivity index
blast furnace
pred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
최주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2Fuels; Explosives
    • G01N33/222Solid fuels, e.g. co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은,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의 내부에 제철원료와 연료를 교대로 장입하여 기설정된 온도 및 CO2 분압 조건 및 시간에 의해 제철원료와 연료를 반응시키는 반응단계;와,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이 완료된 연료의 양을 반응 전의 연료의 양으로 나누어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알면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에 대한 반응성 지수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METHOD FOR PREDICTING OF COKES REACTIVITY INDEX}
본 발명은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알면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에 대한 반응성 지수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는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을 상부에서 반복 장입하면서 하부로는 풍구를 통해 열풍을 불어넣어 장입된 철광석을 녹여 용선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고로는 풍구를 통해 미분탄 뿐 아니라 열풍이 고로 내부로 공급되고, 가스의 흐름이 제어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4386호(발명의 명칭:고로 모사장치용 장입물 선별기, 공개일자:2011년 04월 05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알면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에 대한 반응성 지수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 반응성 지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실험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실험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은,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의 내부에 제철원료와 연료를 교대로 장입하여 기설정된 온도 및 CO2 분압 조건 및 시간에 의해 제철원료와 연료를 반응시키는 반응단계;와,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이 완료된 연료의 양을 반응 전의 연료의 양으로 나누어 연료 반응성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되는 연료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가지며, 상기 산출단계 이후에는 상기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산출 연료의 반응성 지수와 상기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또 다른 연료의 예측 반응성 지수를 예측하는 예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응단계에서는 반응온도 400℃~900℃, CO2 분압 0.1기압에서 5시간 동안 반응 또는 반응온도 400℃~1100℃, CO2 분압 0.1기압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가 400℃~900℃일 경우 상기 예측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수학식]
y=1.3784x-28.02
(y=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 x=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가 400℃~1100℃일 경우 상기 예측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수학식]
y=0.8681x-13.244
(y=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 x=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알면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에 대한 반응성 지수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 반응성 지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실험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실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고로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고로 반응성 모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고로 반응성 모사장치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고로 반응성 모사장치의 케이싱부재의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고로 반응성 모사장치의 반응관과 발열부 및 온도측정부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 400℃~900℃, CO2 분압 0.1기압에서 5시간 동안 반응하여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 400℃~1100℃, CO2 분압 0.1기압에서 6시간 동안 반응하여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고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고로는 크게 상측으로부터 스로트부(10), 샤프트부(20), 벨리부(30), 보쉬부(40), 노상부(50)로 나뉘는데, 고로 몸체를 인체구조에 비유하면, 목에 해당하는 스로트부(throat)(10), 가슴에 해당하는 샤프트부(shaft)(20), 복부에 해당하는 벨리부(belly)(30), 하복부에 해당하는 보쉬부(bosh)(40) 및 용철과 슬래그가 고이는 노상부(hearth)(50)로 구성된다.
후술할 본 발명은 고로의 샤프트부(20)에서의 연료 반응성을 예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참고로, 실제 고로의 스로트부(10)의 온도는 약 400℃이며, 샤프트부(20)의 온도는 약 900~1100℃ 이다.
도 2에는 고로 반응성 모사장치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고로 반응성 모사장치는 케이싱부재(100), 반응관(200) 및 온도설정부(30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부재(100)는 실제 고로의 외관을 모사한 부재로서, 본 발명의 케이싱부재(100)는 실제 고로를 상하로 반전시킨 것이며, 이러한 케이싱부재(100)는 별도의 승강수단(110)에 의해 승하강 된다.
실제 고로에서는 상부에서 제철원료와 연료가 하부로 낙하되므로 이러한 실제 고로의 환경을 반전되게 재연되려면 본 발명의 구동시 승강수단(110)은 케이싱부재(100)를 하향이동시켜야 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철원료는 예컨대, 소결광 또는 철광석을 사용하고, 연료는 코크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제 고로를 상하반전시킨 케이싱부재(100)는 고로 내부의 온도와 동일한 조업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재연하기 위해 복수의 발열부(120)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이러한 발열부(120)는 케이싱부재(100)의 내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데,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발열부(120)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10개의 구역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서로 다른 온도를 갖는 10개의 구역은 발열부들 사이의 공간 8개, 가장 높은 곳에 배치되는 발열부 상부의 공간 1개 및 가장 낮은 곳에 배치되는 발열부 하부의 공간 1개이다.
상기와 같은 발열부(12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발열부(120)는 후술할 반응관(200)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반응관(200)의 내부에 장입되는 소결광과 코크스를 승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0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101)에는 후술할 반응관(200)이 끼워진다.
한편, 상기 케이싱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2)가 개폐되고, 케이싱부재(100)의 절반이 좌우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면부(102)는 경첩을 매개로 개폐되어 케이싱부재(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한다.
또한, 케이싱부재(100)는 2개로 분할되되, 경첩을 매개로 일측이 연결되어 좌우로 개방되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01)도 절반으로 분할되어 케이싱부재(100)와 반응관(200)의 결합시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2개로 분할되는 케이싱부재(100)는 서로 같은 크기로 좌우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102)는 예컨대, 경첩을 매개로 케이싱부재(100)의 전면을 개폐되도록 하여 케이싱부재(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케이싱부재(100)가 좌우로 개폐되면, 후술할 반응관(200)과 케이싱부재(100)의 결합시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100)는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120)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내벽에 내화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내화재는 발열부(120)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채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반응관(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철원료와 연료가 상하로 차례차례 장입되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이러한 반응관(200)은 상술한 케이싱부재(100)의 관통공(101)에 끼워져 케이싱부재(100)를 상하로 관통한다.
상기와 같은 반응관(200)은 케이싱부재(100)의 하강에 의해 하부에 적층된 제철원료와 연료부터 순차적으로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관(200)의 내부로는 열풍이 유입되는데, 이러한 열풍은 열풍공급기에서 생성되며, 생성된 열풍은 반응관(200)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열풍은 실제 고로의 내부로 제공되는 열풍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열풍은 실제 고로의 하부에서 공급되어 고로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임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부재(100)가 반전됨으로 인하여 열풍의 진행방향도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된다.
상기 온도설정부(300)는 상술한 케이싱부재(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120)의 온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온도설정부(300)는 케이싱부재(100) 내부의 환경이 실제 고로의 환경이 반전된 상태와 일치하도록 발열부(120)의 온도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설정부(300)는 발열부(120)의 온도가 상부에서 가장 높게 설정하고, 하부에서 가장 낮게 설정한다.
만약, 상기와 같이 발열부(120)의 온도를 하부에서 가장 높게, 상부에서 가장 낮게 설정한다면, 하측의 발열부(120)에서 상측으로 복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영향을 주게되므로 정확한 온도의 설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온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발열부(120)에 의해 케이싱부재(100)의 내부는 온도에 의해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높은 곳에 배치되는 발열부(120)를 1200℃로 설정하고, 가장 낮은 곳에 배치되는 발열부(120)를 400℃로 설정하되, 높은 곳에 위치한 발열부(120)를 기준으로 바로 아래의 발열부(120)는 100℃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반응관(200)이 400℃에서부터 900℃까지, 400℃에서부터 1100℃까지 각각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100)의 내부 또는 반응관(200)의 외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계(410)가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되는데, 발열부(120)에 의해 온도별로 구역이 설정된 지점의 온도를 온도계(410)를 매개로 측정하여 케이싱부재(100)의 내부가 실제 고로 내부와 동일한 온도로 설정이 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온도계(410)는 정확한 온도의 값이 측정되도록 반응관(200)의 외주에 밀착되게 배치되되, 상하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온도계(410)로 측정된 값은 도 2에 도시된 온도측정부(400)로 전송되어 측정된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의 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케이싱부재(100)의 관통홀(101)에 반응관(200)을 설치한 후, 온도설정부(300)를 조작하는데, 온도설정부(300)에 의해 케이싱부재(100)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발열부(120)는 기설정된 온도(섭씨 400~1200도)로 설정된다.
이후, 반응관(200)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소결광과 코크스가 실제 고로에 투입되는 장입물과 동일한 순서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승강수단(110)은 케이싱부재(100)를 하강시키며, 이와 동시에 반응관(200)의 상부로는 열풍을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110)은 반응관(200)의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소결광과 코크스가 차례차례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케이싱부재(100)를 하강시켜 실제 고로의 샤프트부와 동일한 환경이 되도록 한다.
이후, 케이싱부재(100)가 기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게되어 반응관(200) 내부의 소결광과 코크스의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관(200)과 케이싱부재(100)를 분리한 후, 반응관(200) 내부에 있는 반응물들을 샘플링하는데, 샘플링이 용이하도록 상기 반응관(200)은 2단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를 이용하여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은, 반응단계, 산출단계 및 예측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반응단계는 실제 고로 내부의 조업조건을 상하로 반전시킨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를 이용하여 제철원료와 연료를 반응시키는 단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응관(200)이 반응온도 400℃~900℃, 반응온도 400℃~1100℃의 구간에서 각각 반응되도록 한다.
또한, CO2 분압은 0.1기압,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400℃에서부터 900℃의 경우 5시간, 반응온도 400℃에서부터 1100℃의 경우 6시간의 반응시간을 각각 갖는다.
상기와 같이 반응관(200)이 반응하는 온도를 2가지 경우로 나누어 반응을 시키는 이유는, 고로 샤프트부(900~1100℃)에서 900℃일 경우 열보존대의 시작점에서의 연료의 반응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1100℃일 경우 연화융착대가 형성되기 바로 직전의 연료의 반응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반응단계에서 반응되는 연료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갖는데, 이러한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CRI)는, 제철원료와 연료를 장입한 다음 반응온도 400℃~1100℃, CO2 분압 1기압 하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여 잔류한 연료의 중량 반응 전의 연료의 중량으로 나누어 구해진 값(단위:%)이며, 이렇게 구해진 값은 일반적으로 판매시 별도로 표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의 실험조건과 반응단계에서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의 실험조건은 서로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이한 두 실험조건의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하여 수식화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혀 새로운 연료, 즉, 또 다른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갖는 연료의 반응성 지수를 별도의 실험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여기서, 또 다른 연료의 반응성 지수(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또는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산출단계는 상술한 반응단계에서 반응이 완료된 후 잔류하는 연료의 양을 반응 전의 연료의 양으로 나누어 산출 연료의 반응성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이러한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산출 연료의 반응성 지수는 후술할 예측단계에서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비교될 수 있다.
상기 예측단계는 상술한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의 상관관계를 수학식으로 도출하는 단계로서,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를 비교한다.
연료종류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A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B
연료1 24.3% 6.1% 7.4%
연료2 22.7% 3.2% 6.6%
연료3 25.6% 7.2% 8.7%
연료4 22.2% 2.6% 5.7%
연료5 23.1% 3.4% 6.8%
연료6 24.2% 2.7% 8.0%
연료7 24.5% 5.6% 8.4%
연료8 25.9% 7.5% 9.2%
연료9 22.6% 3.2% 6.3%
연료10 23.4% 3.1% 8.3%
연료11 23.2% 4.9% 6.1%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A: 반응관이 반응온도 400~900℃까지 노출되는 경우의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B: 반응관이 반응온도 400~1100℃까지 노출되는 경우의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
상기와 같은 [표 1]에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를 이용하여 2가지 환경에서 실제로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에 대한 값을 알 수 있다.
도 6에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 400℃~900℃, CO2 분압 0.1기압에서 5시간 동안 반응하여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와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 400℃~1100℃, CO2 분압 0.1기압에서 6시간 동안 반응하여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반응시간이 5시간과 6시간으로 1시간의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가 900℃에서 1100℃의 구간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이동시간 때문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하기와 같은 2개의 수학식을 얻을 수 있으며, 가로축(x축)은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이며, 세로축(y축)은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이다.
[수학식 1]
y=1.38784x-28.02
(y=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 x=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수학식 2]
y=0.8681x-13.244
(y=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 x=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상기와 같은 수학식은 [표 1]을 바탕으로 구해진 것이며, 이러한 수학식을 이용하면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아는 경우, 반응온도 400℃~900℃에서의 연료 반응성 지수와 반응온도 400℃~1100℃에서의 연료 반응성 지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학식 1]과 [수학식 2]의 상관관계는 각각 0.9051, 0.8013이다.
여기서, 상관관계는 두 변위량 x, y에 있어서, x의 변화와 y의 변화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을 때, 이러한 관계를 상관관계라 하고, 두 변위량 x, y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상기와 같은 수학식에 의해 본 발명은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알면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 반응성 지수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제 고로 샤프트 부에서의 연료 반응성 지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실험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실험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쓰로트부 20-샤프트부
30-벨리부 40-보쉬부
50-노상부
100-케이싱부재 101-관통공
102-전면부 110-승강수단
120-발열부
200-반응관
300-온도설정부
400-온도측정부 410-온도계

Claims (5)

  1. 고로의 반응성 모사장치의 내부에 제철원료와 연료를 교대로 장입하여 기설정된 온도 및 CO2 분압 조건 및 시간에 의해 제철원료와 연료를 반응시키는 반응단계;와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이 완료된 연료의 양을 반응 전의 연료의 양으로 나누어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를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되는 연료는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를 가지며,
    상기 산출단계 이후에는 상기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산출 연료 반응성 지수와 상기 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또 다른 연료의 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를 예측하는 예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응단계에서는 반응온도 400℃~900℃, CO2 분압 0.1기압에서 5시간 동안 반응 또는 반응온도 400℃~1100℃, CO2 분압 0.1기압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가 400℃~900℃일 경우 상기 예측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수학식]
    y=1.3784x-28.02
    (y=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 x=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가 400℃~1100℃일 경우 상기 예측단계에서는 하기의 수학식
    [수학식]
    y=0.8681x-13.244
    (y=예측 연료 반응성 지수(%), x=기준 연료 반응성 지수(%))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KR1020130021763A 2013-02-28 2013-02-28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KR10138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63A KR101388342B1 (ko) 2013-02-28 2013-02-28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763A KR101388342B1 (ko) 2013-02-28 2013-02-28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342B1 true KR101388342B1 (ko) 2014-04-22

Family

ID=5065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763A KR101388342B1 (ko) 2013-02-28 2013-02-28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23A (ko) * 2015-08-18 2017-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반응성 예측방법
KR101848181B1 (ko) * 2016-12-27 2018-05-2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내 수소 투입에 따르는 코크스 품질 평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13B1 (ko) * 2010-05-28 2012-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열간강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225370B1 (ko) * 2009-08-27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의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370B1 (ko) * 2009-08-27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의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KR101121813B1 (ko) * 2010-05-28 2012-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열간강도 예측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23A (ko) * 2015-08-18 2017-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반응성 예측방법
KR101715493B1 (ko) * 2015-08-18 2017-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반응성 예측방법
KR101848181B1 (ko) * 2016-12-27 2018-05-24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로 내 수소 투입에 따르는 코크스 품질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139B1 (ko) 용광로에서의 공기 유동 분포 검출 방법
KR101475582B1 (ko) 수직형 샤프트로, 페로 코크스 제조 설비, 및 페로 코크스의 제조 방법
KR101320809B1 (ko) 고로 샤프트부의 반응성 모사장치
KR101388342B1 (ko) 고로 샤프트부의 코크스 반응성 지수 예측방법
KR101848183B1 (ko) 고로 내 가스 이용률 예측방법
CN202403530U (zh) 多功能铁矿物高温冶金性能测试炉
KR102308614B1 (ko) 함수소 가스 취입에 따른 고로 조업 예측모델 생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175504B1 (ko) 코크스 제조용 시험 장치
Sterneland et al. Comparison of iron ore reduction in experimental blast furnace and laboratory scale simulation of blast furnace process
KR102167985B1 (ko) 고로의 출선구 폐쇄 시점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7517B1 (ko) 고로 모사장치
CN113025347B (zh) 试验焦炉
Fu Numerical simulation of ironmaking blast furnace shaft
CN211771400U (zh) 一种高炉中下部物料运行模拟实验装置
CN204439833U (zh) 一种焦炉护炉铁件的自动测距系统
US316000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urnace temperatures
CN209673586U (zh) 一种预焙阳极二氧化碳反应性测试装置
CN203550520U (zh) 马弗炉
Lyalyuk et al. Determining the gas trajectory in blast-furnace injection of pulverized coal
JP6256312B2 (ja) 竪型炉の羽口部構造及び竪型炉並びに乾留生成物の製造方法
Gerasimov et al. Ignition hearths in sintering machines
JP2015203546A (ja) 竪型炉の羽口部構造及び竪型炉並びに乾留生成物の製造方法
CN113362904B (zh) 一种高炉风口回旋区形状的检测方法
TWI818869B (zh) 用於評估焦爐最適橫向爐溫之方法及裝置
TWI506140B (zh)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re - Drilling Size of a New Furnace in a New Blast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