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055B1 -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8055B1 KR101388055B1 KR1020110098270A KR20110098270A KR101388055B1 KR 101388055 B1 KR101388055 B1 KR 101388055B1 KR 1020110098270 A KR1020110098270 A KR 1020110098270A KR 20110098270 A KR20110098270 A KR 20110098270A KR 101388055 B1 KR101388055 B1 KR 1013880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entration
- molten steel
- linear defect
- hot rolled
- to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5—Alkaline earth oxide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eryllium oxide
- C04B2235/3208—Calc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l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에서 추출된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아래 관계식1에 대입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지수(LDGI; Line Defect Generation Index)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산출된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이용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연코일 제조 시,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연주공정 이전의 단계에서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예측하고 대응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Ladle)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Tundish)에 받았다가 연속주조기용 몰드로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연속주조기는 용강을 저장하는 래들과, 턴디쉬 및 상기 턴디쉬에서 출강되는 용강을 최초 냉각시켜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연주주편으로 형성하는 연주용 몰드와, 상기 몰드에 연결되어 몰드에서 형성된 연주주편을 이동시키는 다수의 핀치롤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래들과 턴디쉬에서 출강된 용강은 몰드에서 소정의 폭과 두께 및 형상을 가지는 연주주편으로 형성되어 핀치롤을 통해 이송되고, 핀치롤을 통해 이송된 연주주편은 절단기에 의해 절단되어 소정 형상을 갖는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주편으로 제조된다.
이 후, 슬라브를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고 강판을 코일 형태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만든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특허공개 제1999-0035065호(공개일; 1999.05.15)가 있다.
본 발명은 열연코일 제조 시, 연주공정 이전에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 분석을 통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예측하고 용강의 성분을 조정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발생을 줄이기 위한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은,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에서 추출된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아래 관계식1에 대입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지수(LDGI; Line Defect Generation Index)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산출된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이용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계식1
여기서, Ca농도는 전체 용강 중 Ca의 함유량이고, total.Al농도는 용강 중 Al의 총 함유량이고, solute.Al농도는 용강 중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함유량이다.
상기 용강의 성분 중 solute.Al농도는 용강 내 CaO-Al2O3 복합개재물 상태로 존재하는 Al 함유량을 포함한다.
상기 예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0.8 미만인 경우, Ca농도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a농도를 재조정할 때, 용강 중 Ca농도가 아래 관계식2에 의해 산출되는 Ca목표농도 값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계식2
여기서, total.Al농도는 용강 중 Al의 총 함유량이고, solute.Al농도는 용강 중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함유량이다.
상기 용강으로 아래 관계식3에 의해 산출되는 Ca투입량 만큼 Ca를 더 투입하여 상기 용강 중 Ca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계식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에 따르면, 열연코일 제조 시, 연주공정 이전에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 분석을 통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예측하고 용강의 성분을 조정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발생을 줄임으로써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분 조정을 위한 Ca투입량을 산출하여 투입함으로써 Ca 원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용강 내 CaO-Al2O3 복합개재물의 2원계 상태도이다.
도 3은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제 조업 결과에 따른 선형결함 발생지수에 따른 선형결함 발생빈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용강 내 CaO-Al2O3 복합개재물의 2원계 상태도이다.
도 3은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제 조업 결과에 따른 선형결함 발생지수에 따른 선형결함 발생빈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유사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를 참조하면,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은 용강의 성분함량을 분석한 농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S1),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2), 및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용강의 성분함량을 분석한 농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S1)는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추출된 Ca농도는 전체 용강 중 Ca의 함유량이고, total.Al농도는 용강 중 Al의 총 함유량이고, solute.Al농도는 용강 중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함유량이다.
구체적으로는, Ca농도는 용강 중 CaO를 제외하고 Ca 형태로 존재하는 Ca의 농도이고, total.Al 농도는 Al과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을 모두 포함한 농도이고, solute.Al 농도는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농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solute.Al농도는 용강 내 CaO-Al2O3 복합개재물 상태로 존재하는 Al 함유량인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성분 함량 분석은 분광분석기를 통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2)는 상기에서 추출된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아래 관계식1에 대입하여 열연코일(10)의 선형결함 발생지수(LDGI; Line Defect Generation Index)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관계식1
열연코일(10)의 선형결함 발생지수(LDGI; Line Defect Generation Index)는 Ca농도 값에 1.399를 곱하여 용강 중 CaO의 비율을 계산한 값을, 용강 중 총 Al농도와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농도의 차에 1.890을 곱하여 Al2O3의 비율을 계산한 값으로 나누어 구한다.
상수값 1.399는 CaO의 질량을 Ca의 질량으로 나눈 값이고, 상수값 1.890는 Al2O3의 질량을 Al의 질량으로 나눈 값이다.
즉, 용강 중 전체 Ca 농도를 Ca질량으로 나누고 CaO질량을 곱하여, Ca성분이 용강 중 CaO로 존재하는 비율을 구하고, 용강 중 Al의 농도를 Al질량으로 나누고 Al2O3질량을 곱하여 용강 중 Al2O3로 존재하는 비율을 구하여, 이 두 값을 나누어 열연코일(10)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산출되는 것이다.
열연코일(10)의 선형결함(11)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S3)는 상기에서 산출된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이용하여 열연코일(10)의 선형결함(11)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선형결함 발생지수(LDGI)는 용강 중 CaO와 Al2O3가 결합하여 CaO-Al2O3 복합개재물을 형성 시 CaO-Al2O3 복합개재물의 성분 함량에 따라 녹는점이 다르게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O와 Al2O3의 비율이 50 대 50인 경우의 녹는 점이 가장 낮고, 이 때의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1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50 대 50의 함량으로 CaO-Al2O3 복합개재물이 형성된 경우 순수철의 녹는점인 1550℃보다 매우 낮아 CaO-Al2O3 복합개재물이 고상으로 되지 않고 액상으로 부상됨을 알 수 있다.
즉, CaO-Al2O3 복합개재물의 성분 함량비가 50 대 50의 범위를 벗어나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1이 아닌 경우, 녹는점이 높아져 CaO-Al2O3 복합개재물이 고상으로 존재할 확률이 높아지며, 이는 열연코일(10) 표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결함을 형성시킴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l2O3 대 CaO의 비율이 42 내 58 내지 58 대 42 범위 내에서 형성된 CaO-Al2O3 복합개재물은 순수철의 녹는점인 1550℃보다 녹는점이 낮아 CaO-Al2O3 복합개재물이 액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외 범위에서 형성된 CaO-Al2O3 복합개재물이 고상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0.8 내지 1.2 인 경우, CaO-Al2O3 복합개재물이 액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외 0.8 미만 또는 1.2 초과의 범위에서 형성된 CaO-Al2O3 복합개재물이 고상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특징적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실제 조업에서는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0.8 내지 1.1인 경우에 선형결함(11) 발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1 초과인 경우 이론적인 범위에 해당하더라도 실제 조업 결과 선형결함(11) 발생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형결함(11) 단면(aa')의 조직분석 결과, 선형결함(11) 부분은 (Al, Ca, Mg)Ox인 복합산화물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로써 선형결함(11)의 원인이 고상으로 존재하는 복합개재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결함 발생지수에 의하여 선형결함(11)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는,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허용범위인 0.8 내지 1.1 이내로 조정하거나 선형결함(11) 발생 후 대응방안을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연코일(10)의 선형결함(11)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0.8 미만인 경우, Ca농도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여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0.8 이상의 값으로 높인다.
상기 Ca농도를 재조정할 때, 용강 중 Ca농도가 아래 관계식2에 의해 산출되는 Ca목표농도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관계식2
여기서, total.Al농도는 용강 중 Al의 총 함유량이고, solute.Al농도는 용강 중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함유량임.
관계식2는 Ca목표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1로 하고 전술된 관계식1을 변형한 것이다. 즉, 즉 관계식1을 변형하여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1로 만족시키기 위한 Ca농도를 환산하고, 이를 목표값으로 하여 Ca농도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Ca농도를 재조정할 때, 용강으로 Ca를 더 투입하여 용강 중 Ca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는 Ca농도 재조정은 용강 중 다른 성분, 특히 관계식1의 인자로 작용하는 total.Al 농도를 조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Ca농도를 재조정하기 위하여 용강으로 Ca를 투입하는 경우, Ca의 투입량은 아래 관계식3에 의해 산출되며, 산출된 Ca투입량 만큼 Ca를 더 투입하여 상기 용강 중 Ca농도를 증가시킨다.
관계식3
관계식3을 통하여 계산된 Ca투입량은 0.8과 관계식1로써 산출된 선형결함 발생지수의 차이에 비례하고, 상기 차이 값 0.1 당 용강량의 0.0002wt% 만큼의 Ca투입량이 결정된다. 관계식3의 상수값 0.8은 전술된 선형결함 발생지수 허용범위의 하한 값에 해당된다.
즉, 선형결함 발생지수의 하한값인 0.8과 산출된 선형결함 발생지수의 차이값에 비례하도록 Ca투입량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관계식3에 의하면, 식에 대입되는 용강량의 단위에 따라 산출되는 Ca투입량의 단위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용강량이 ton 단위로 주어지면 산출되는 Ca투입량이 ton 단위로 결정되며, 재조정을 위한 공정시 관계식3에 의하여 산출된 단위 및 질량을 감안하여 Ca를 투입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연코일(10)의 선형결함(11)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1.1 초과인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Al을 투입하여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허용범위 이내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 조업에서는 용강 조성 변화, 및 용강 온도 감소 등의 우려로 인하여 Al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선형결함(11) 발생을 감안하고 조업을 진행하게 되며, 제품 품질관리를 강화하여 선형결함(11) 발생부분을 색출하여 해당 부분을 완화시키기 위한 공정을 더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에 따르면, 열연코일 제조 시, 연주공정 이전에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 분석을 통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예측하고 용강의 성분을 조정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을 발생을 줄임으로써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분 조정을 위한 Ca투입량을 산출하여 투입함으로써 Ca 원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열연코일
11: 선형결함
aa': 선형결함 단면
11: 선형결함
aa': 선형결함 단면
Claims (5)
-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에서 추출된 Ca 농도, total.Al 농도, 및 solute.Al 농도 값을 아래 관계식1에 대입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지수(LDGI; Line Defect Generation Index)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산출된 선형결함 발생지수를 이용하여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발생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관계식1
여기서, Ca농도는 전체 용강 중 Ca의 함유량이고, total.Al농도는 용강 중 Al의 총 함유량이고, solute.Al농도는 용강 중 Al2O3 형태로 존재하는 Al의 함유량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강의 성분 중 solute.Al농도는 용강 내 CaO-Al2O3 복합개재물 상태로 존재하는 Al 함유량을 포함하는 열연코일 선형결함 저감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측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형결함 발생지수가 0.8 미만인 경우, Ca농도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열연코일 선형결함 저감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8270A KR101388055B1 (ko) | 2011-09-28 | 2011-09-28 |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8270A KR101388055B1 (ko) | 2011-09-28 | 2011-09-28 |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4318A KR20130034318A (ko) | 2013-04-05 |
KR101388055B1 true KR101388055B1 (ko) | 2014-04-30 |
Family
ID=4843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8270A KR101388055B1 (ko) | 2011-09-28 | 2011-09-28 |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805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3015A (ja) | 2001-03-21 | 2002-10-02 | Kawasaki Steel Corp | 鋼の連続鋳造方法 |
JP2003164947A (ja) | 2001-11-30 | 2003-06-10 | Kawasaki Steel Corp | 鋼の連続鋳造法 |
JP2008272766A (ja) | 2007-04-25 | 2008-11-13 | Jfe Steel Kk | P含有鋼の連続鋳造方法 |
-
2011
- 2011-09-28 KR KR1020110098270A patent/KR1013880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3015A (ja) | 2001-03-21 | 2002-10-02 | Kawasaki Steel Corp | 鋼の連続鋳造方法 |
JP2003164947A (ja) | 2001-11-30 | 2003-06-10 | Kawasaki Steel Corp | 鋼の連続鋳造法 |
JP2008272766A (ja) | 2007-04-25 | 2008-11-13 | Jfe Steel Kk | P含有鋼の連続鋳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4318A (ko) | 2013-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15735B2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CN102632082A (zh) | 基于性能预报模型的热轧带钢力学性能的动态控制方法 | |
JP6484716B2 (ja) | リーン二相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4264051B (zh) | 一种屈服强度345Mpa以上低合金钢热轧卷板及其制备方法 | |
KR101757548B1 (ko) | 포정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 |
KR101510568B1 (ko) |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 |
JP2017131927A (ja) | 熱延鋼板の製造方法 | |
CN117226059B (zh) | 改善高碳低合金钢宏观和半宏观偏析的压下控制方法 | |
KR101388055B1 (ko) | 열연코일의 선형결함 저감방법 | |
KR101412537B1 (ko) | 보론 첨가 고탄소강의 크랙 저감 방법 | |
KR101727803B1 (ko) | 고탄소강의 슬라브 제조 방법 | |
KR101546266B1 (ko) | 가속냉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
KR101675672B1 (ko) | 보론강의 제조 방법 | |
KR101400034B1 (ko) | 턴디쉬의 용강온도 유지방법 | |
US4238230A (en) | Process for producing free-machining steel | |
KR20110071511A (ko)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 |
KR101529189B1 (ko) | 열연코일 제조방법 및 열연코일 에지부 결함 예측방법 | |
CN102764870A (zh) | 一种低合金钢连铸坯的质量改进方法 | |
JP7273307B2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KR101320359B1 (ko) | 열연코일의 에지결함 예측 장치 및 그 방법 | |
JP6651306B2 (ja) | 連続鋳造方法 | |
KR101160026B1 (ko) | 박슬라브 열연코일의 표면 결함 저감 방법 | |
KR101523968B1 (ko) | 열연코일 제조방법 및 열연코일 에지부 결함 예측방법 | |
JP2006021218A (ja) | 鋳片の溶削量決定方法 | |
KR101400047B1 (ko) | 극저탄소강 주조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