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568B1 -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568B1
KR101510568B1 KR20130161082A KR20130161082A KR101510568B1 KR 101510568 B1 KR101510568 B1 KR 101510568B1 KR 20130161082 A KR20130161082 A KR 20130161082A KR 20130161082 A KR20130161082 A KR 20130161082A KR 101510568 B1 KR101510568 B1 KR 101510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tand
steel plate
section
st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성준
이덕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6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568B1/ko
Priority to CN201410808520.5A priority patent/CN10472257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4Automatic variation of thicknes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5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by ho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Abstract

본 출원은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는, 복수개의 압연스탠드 중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개수의 압연스탠드를 이용하여 강판을 압연하고, 강판에 대한 압연을 통하여 강판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가공하는 마무리 압연부와, 입력되는 목표두께에 따라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설정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마무리 압연부는,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의 압연롤과 강판 사이의 간격을 기 설정된 이격 간격 이상 증가시켜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dummy) 스탠드로 전환하되, 강판이 마무리 압연부로 진입하기 전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압연롤을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이동시켜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Apparatus for endless rolling and method for the same }
본 출원은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박물재 압연코일와 후물재 압연코일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는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열간압연 분야에서 주목받는 기술들 중 하나로 연연속 열간 압연이 있다. 이는 종래에 슬래브를 1매씩 압연하던 것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권취기 전에서 절단하는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즉, 연연속 열간 압연 시스템은 연주와 압연 설비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연주기와 압연기를 직결하여 열연코일을 생산한다.
다만, 연주기와 압연기가 직결되므로, 압연 속도가 연주기의 주조속도에 의하여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연주기의 주조속도는 압연기의 압연속도보다 느리므로, 상기 주조속도에 따라 압연속도도 함께 느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압연기로 공급된 강판이 냉각되어 압연에 필요한 기준압연온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생성하는 강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압연속도가 더 느려져 상기 강판의 온도 하락이 크게 나타나므로, 종래의 연연속 압연에서는 두께가 얇은 박물재 압연 코일만이 생산가능하였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0237호 (2013.06.27)
본 출원은, 박물재 압연코일과 후물재 압연코일을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는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는, 복수개의 압연스탠드 중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개수의 압연스탠드를 이용하여 강판을 압연하고, 상기 강판에 대한 압연을 통하여 상기 강판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가공하는 마무리 압연부; 및 입력되는 목표두께에 따라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의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을 기 설정된 이격 간격 이상 증가시켜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dummy) 스탠드로 전환하되,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연롤을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무리 압연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상기 강판의 압연에서 제외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을 제1 목표두께를 가지는 강판과 제2 목표두께를 가지는 강판으로 나누는 가상구분선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구분선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서 배출되면, 상기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최소간격 미만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제1 속도로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을 이격시키고,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이 상기 최소간격 이상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제2 속도로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을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방법은, 마무리 압연부가 압연을 통하여 생성하는 강판의 목표두께를 설정하는 목표두께설정단계; 상기 목표두께에 기초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압연스탠드 중에서 상기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압연스탠드설정단계; 및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의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상기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더미 전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전환 단계는,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연롤을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에 의하면, 얇은 박물재 압연 코일 이외에도 두꺼운 후물재 압연코일을 생산할 수 있으며, 박물재와 후물재를 번갈아가며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에 의하면, 연연속 압연동작 중에도 압연스탠드와 더미스탠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치입 횟수 감소에 따라 사고율이 줄어들게 되며, 코일의 단부 절사로 인한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에 포함되는 마무리압연기의 위치에 따른 강판의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에서, 더미 스탠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는, 마무리 압연부(10) 및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를 설명한다.
연주기(1)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을 일정한 형상으로 초기 응고시켜 철강반제품(slab, bloom, billet, lngot) 형태의 강판(S)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강판(S)은 조압연기(2)에서 1차로 압연될 수 있다. 이후, 가열기(3)에서 상기 강판(S)을 가열할 수 있으며, 마무리 압연부(10)에서 상기 강판(S)을 압연하여 목표로 하는 목표두께를 가지는 강판(S)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강판(S)은 권취기(5)에서 코일(coil) 형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의 권취가 완료되면 절단기(4)가 상기 강판(S)을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압연기(2)나 가열기(3)가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마무리압연부(10)에 구비되는 압연스탠드(f1 내지 f5)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연속 압연(Endless Rolling)은 연주기(1)에서부터 마무리 압연부(10)까지 강판(S)을 직결하여 열연코일을 생산한다. 즉, 상기 강판(S)을 코일 단위로 끊어서 압연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해서 압연하는 것이므로, 균일한 품질의 코일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연주기(1)와 마무리 압연부(10)가 직결되므로, 압연 속도가 연주기(1)의 주조속도에 의하여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연주기(1)의 주조속도는 마무리 압연부(10)의 압연속도보다 느리므로, 상기 주조속도에 따라 압연속도도 함께 느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마무리 압연부(10)로 공급된 강판(S)은 냉각되어 압연에 필요한 기준압연온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압연 스탠드(f1 내지 f5)에서의 압연속도는
Figure 112013117473821-pat00001
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Vfn은 fn 번째 압연 스탠드의 압연속도, Hfn은 fn 번째 압연 스탠드에서 압연된 강판(S)의 두께를 나타낸다. 또한, Qcast는 연주기(1)가 공급하는 질량유량으로, 상기 철강반제품의 두께와 주조 속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식을 살펴보면, 상기 압연 스탠드(f1 내지 f5)에서 압연되어 생성된 강판(S)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압연속도(Vfn)은 더 하락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연속도(Vfn)가 하락하게 되면 상기 강판(S)의 온도 하락도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연주기(1)에서 마무리 압연부(10)까지 직결된 연연속 압연은, 두께가 얇은 박물재의 생산에는 용이하나, 두꺼운 후물재의 경우에는 압연속도가 하락(Vfn)하므로, 마무리 압연부(10)에서의 압연온도 확보 등에 어려움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는, 박물재 압연시에는 모든 압연 스탠드를 사용하여 압연하고, 후물재 압연시에는 목표두께에 따라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 스탠드부터 순차적으로 더미(dummy) 스탠드로 전환하여 압연온도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는, 압연 조업 중에 압연 스탠드(f1 내지 f5)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박물재와 후물재를 번갈아 생산하는 경우에도 끊어짐이 없이 연속적으로 압연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장치의 마무리 압연부(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압연스탠드(f1 내지 f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압연을 수행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개수의 압연스탠드로 상기 강판(S)을 압연하여, 상기 강판(S)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10)는,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압연에서 제외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압연속도는 느려질 수 있으며, 상기 압연속도가 느려질수록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에서 압연되는 상기 강판(S)의 온도는 낮아질 수 있다.
즉, 도2의 그래프와 같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10) 내부로 유입된 강판(S)의 온도분포가 나타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H1, H2, H3는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의미하고, f1 내지 f5는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에 포함된 압연 스탠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각각의 강판의 두께는 H1 < H2 < H3의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f1 내지 f5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무리 압연부(10)의 전단에서부터 후단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H1의 경우에는 마무리 압연부(10)의 압연스탠드(f1 내지 f5) 전부에 대하여 기준압연온도(t0) 이상을 만족하지만, H2의 경우에는 압연스탠드 f5부터 기준압연온도(t0) 이하로 떨어지고, H3의 경우에는 압연스탠드 f4에서부터 기준압연온도(t0) 이하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10)는 상기 목표두께에 따라,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압연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H1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에 대하여는 전체 압연 스탠드(f1 내지 f5) 이용하여 압연을 수행할 수 있으나, H2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에 대하여는 전체 압연 스탠드 중에서 f5를 압연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H3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에 대하여는 전체 압연 스탠드 중에서 f4 및 f5를 상기 압연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무리 압연부(10)는, 상기 압연에서 제외되는 압연스탠드에 포함된 압연롤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S) 사이의 간격을 기 설정된 이격간격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연롤은 상기 강판(S)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강판(S)에 대한 압연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압연롤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도3(a)의 압연스탠드 f5와 같이, 상기 압연스탠드 f5의 압연롤과 상기 강판(S) 사이의 간격을 일정한 이격간격 이상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압연스탠드 f5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마무리 압연부(10)의 더미 스탠드 전환은, 강판(S)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강판(S)이 마무리 압연부(10)에 공급되기 이전에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강판(S)이 마무리 압연부(10)에 공급된 이후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제어를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a)와 같이, 강판(S)이 마무리 압연부(10)의 내부로 진입하기 이전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즉시 상기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아직 강판(S)이 진입하기 전이기 때문에, 상기 더미 스탠드로의 전환에 따른 영향이 없으며, 이후 강판(S)의 공급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즉시 상기 압연 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강판(S)이 마무리 압연부(10) 내부로 공급된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강판(S)을 제1 목표두께에 해당하는 제1 강판(S1)과 제2 목표두께에 해당하는 제2 강판(S2)으로 나누는 가상구분선(P)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구분선(P)이 상기 압연 스탠드 f4를 통과하면 상기 압연 스탠드 f4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고, 상기 가산구분선(P)이 상기 압연 스탠드 f5를 통과하면 상기 압연 스탠드 f5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강판(S2)에 대하여는 압연스탠드 f4 및 f5가 모두 압연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제1 강판(S1)에 대하여는 압연스탠드 f4 및 f5를 모두 더미 스탠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 스탠드를 압연 스탠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제어방식을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더미 스탠드 전환시에는, 상기 마무리 압연부(10)가 상기 강판(S)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먼저, 강판(S)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연스탠드의 압연롤을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강판(S)이 진입하기 전이기 때문에, 상기 더미 스탠드로의 전환이 강판(S)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므로, 상기 압연롤을 단일속도로 신속하게 이동시켜 상기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강판(S)이 마무리 압연부(10) 내부로 공급된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연롤과 강판(S)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나 상기 강판(S)과 압연롤 사이의 간격에 따른 통판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연롤과 강판 사이의 거리를 롤 갭(g)이라 하고, 압연동작시의 압연롤의 위치를 압연롤갭(g0), 더미 스탠드로 동작할 때의 압연롤의 위치를 더미롤갭(g1)이라 할 수 있다.
먼저,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연 스탠드에서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압연롤갭(g0)에서 기 설정된 최소간격에 도달할 때까지는 기 설정된 제1 속도(a)로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을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압연롤과 강판이 접촉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최소화하여 상기 롤 갭의 증가에 의한 강판의 통판 불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롤 갭이 상기 최소간격 이상 이격되면, 기 설정된 제2 속도(b)로 상기 압연롤을 이동시켜 상기 더미 스탠드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 b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미 스탠드를 압연 스탠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더미롤갭(g1)에서 압연롤갭(g0)에 도달할 때까지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상기 압연롤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속도(c)는 압연롤을 신속하게 이동시켜 상기 롤 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4 속도(d)는 압연롤이 강판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 통판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5 속도(e)는 롤 갭 감소에 따른 상기 강판의 통판 불안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e < d < c의 관계가 성립할 수 있다.
도4(a) 및 도4(b)에서는 구간을 2개 내지 3개로 나누어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3개 이상의 복수개의 속도로 구간을 나누어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0)는, 입력되는 목표두께에 따라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f1 내지 f5)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압연스탠드(f1 내지 f5)의 개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표두께는 작업자가 별도로 구비된 인터페이스부 등을 통하여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작업스케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필요한 압하량이 적기 때문에 상기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감소시켜 압하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목표두께가 얇을수록 필요한 압하량이 많기 때문에 상기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압연속도가 하락하게 되며, 특히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강판(S)부터 기준압연온도(t0)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마무리 압연부(10)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마무리 압연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방법은 목표두께설정단계(S10), 압연스탠드설정단계(S20) 및 더미 전환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연속 압연방법을 설명한다.
목표두께설정단계(S10)는, 마무리 압연부가 압연을 통하여 생성하는 강판의 목표두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표두께는, 별도로 구비된 인터페이스부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작업스케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압연스탠드설정단계(S20)는, 상기 목표두께에 따라,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압연스탠드 중에서 상기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 스탠드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필요한 압하량이 적기 때문에, 상기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압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마무리 압연부에서의 압연속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마무리 압연부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강판부터 기준압연온도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상기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스탠드로 설정할 수 있다.
더미 전환단계(S30)는,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의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상기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상기 더미 스탠드의 압연롤은 상기 강판과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더미 스탠드는 더 이상 상기 강판에 대한 압연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더미 전환단계(S30)는, 상기 마무리 압연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압연에서 제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더미 전환단계(S30)는, 상기 강판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더미 스탠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강판이 마무리 압연부의 내부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즉시 상기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더미 스탠드로의 전환이 강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므로, 즉시 상기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강판이 마무리 압연부의 내부로 진입한 이후에는, 제1 목표두께에 해당하는 제1 강판과 제2 목표두께에 해당하는 제2 강판으로 나누는 가상구분선을 이용하여 상기 더미 스탠드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구분선이 통과할 때 상기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도록 하여, 상기 가상구분선이 통과하기 전까지는 상기 압연스탠드가 압연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전환단계(S30)는, 상기 강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강판이 마무리 압연부의 내부로 진입하기 이전에는,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신속하게 상기 압연롤을 이동시켜 상기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의 내부로 진입한 이후에는, 압연롤과 강판의 접촉에 따른 충격이나 상기 강판과 압연롤 사이의 간격에 따른 통판 불안정성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4와 같이,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연롤의 이동속도를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제어하는 것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연주기 2: 조압연기
3: 가열기 4: 절단기
5: 권취기 10: 마무리 압연부
20: 제어부
S: 강판
S10: 목표두께설정단계 S20: 압연스탠드설정단계
S30: 더미전환단계

Claims (9)

  1. 복수개의 압연스탠드 중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되는 개수의 압연스탠드를 이용하여 강판을 압연하고, 상기 강판에 대한 압연을 통하여 상기 강판의 두께를 목표두께로 가공하는 마무리 압연부; 및
    입력되는 목표두께에 따라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설정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의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을 기 설정된 이격 간격 이상 증가시켜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dummy) 스탠드로 전환하되,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연롤을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연연속 압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입력되는 목표두께가 얇을수록 상기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연연속 압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마무리 압연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스탠드부터 상기 강판의 압연에서 제외하는 연연속 압연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강판을 제1 목표두께를 가지는 강판과 제2 목표두께를 가지는 강판으로 나누는 가상구분선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구분선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서 배출되면, 상기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연연속 압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 압연부는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진입한 이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이 기 설정된 최소간격 미만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제1 속도로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을 이격시키고,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이 상기 최소간격 이상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제2 속도로 상기 압연롤과 상기 강판을 이격시키는 연연속 압연장치.
  9. 마무리 압연부가 압연을 통하여 생성하는 강판의 목표두께를 설정하는 목표두께설정단계;
    상기 목표두께에 기초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마무리 압연부에 포함된 복수개의 압연스탠드 중에서 상기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스탠드의 개수를 설정하는 압연스탠드설정단계; 및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의 압연롤과 상기 강판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 상기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더미 전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전환 단계는, 상기 강판이 상기 마무리 압연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압연롤을 기 설정된 단일속도로 이동시켜 상기 압연에서 제외된 압연스탠드를 상기 더미 스탠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방법.
KR20130161082A 2013-12-23 2013-12-23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KR10151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082A KR101510568B1 (ko) 2013-12-23 2013-12-23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CN201410808520.5A CN104722576B (zh) 2013-12-23 2014-12-22 用于无头轧制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1082A KR101510568B1 (ko) 2013-12-23 2013-12-23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568B1 true KR101510568B1 (ko) 2015-04-08

Family

ID=5303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1082A KR101510568B1 (ko) 2013-12-23 2013-12-23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0568B1 (ko)
CN (1) CN10472257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385B1 (ko) * 2016-11-24 2018-03-02 주식회사 포스코 중간더미스탠드 압연제어장치 및 방법
KR20180073024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1020A (ko) * 2020-01-10 2021-07-21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플랫 금속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814B1 (ko) * 2014-12-24 2016-10-25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압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515249B (zh) * 2020-04-15 2022-03-18 首钢京唐钢铁联合有限责任公司 基于mccr的连轧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6376A1 (en) 2005-04-07 2006-10-12 Giovanni Arvedi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etal strips and sheets without solution of continuity between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KR20100009649A (ko) * 2007-08-04 2010-01-28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강재 스트립 제조 방법
KR20110124110A (ko) * 2010-05-10 2011-11-16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평탄압연제품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플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8703A (en) * 1981-04-08 1982-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Roll changing method for rolling mill
JPH05309405A (ja) * 1992-05-08 1993-11-22 Nippon Steel Corp タンデム圧延機の走間板厚変更方法
JP4323273B2 (ja) * 2003-09-18 2009-09-0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連続圧延機の負荷配分制御装置
WO2012111151A1 (ja) * 2011-02-18 2012-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制御装置および圧延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6376A1 (en) 2005-04-07 2006-10-12 Giovanni Arvedi Process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etal strips and sheets without solution of continuity between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KR20100009649A (ko) * 2007-08-04 2010-01-28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강재 스트립 제조 방법
KR20110124110A (ko) * 2010-05-10 2011-11-16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평탄압연제품의 생산을 위한 방법 및 플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385B1 (ko) * 2016-11-24 2018-03-02 주식회사 포스코 중간더미스탠드 압연제어장치 및 방법
KR20180073024A (ko) *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9085B1 (ko) * 2016-12-22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연속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1020A (ko) * 2020-01-10 2021-07-21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플랫 금속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2313670B1 (ko) * 2020-01-10 2021-10-19 다니엘리 앤드 씨. 오피시네 메카니케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플랫 금속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22576A (zh) 2015-06-24
CN104722576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568B1 (ko) 연연속 압연장치 및 연연속 압연방법
US8087449B2 (en) Method and plant for the production of flat rolled products
CN1972764B (zh) 连续铸造与轧制间非连续金属带材及板材制造工艺与设备
CN109922904B (zh) 铸造-轧制-复合设备和用于连续地制造热轧的成品带钢的方法
CN103079719B (zh) 用于通过全连续轧制制造带钢的方法
KR101630911B1 (ko) 연주압연방법
TWI615210B (zh) 根據csp-槪念的設備以及用於操作此種設備的方法
KR101726046B1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US5915457A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inuous casting plant
KR20150080942A (ko) 연속주조기의 제어방법
KR101514625B1 (ko) 연속 주조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예비 스트립을 연속 오스테나이트 압연하기 위한 방법 및 그러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조합된 주조 및 압연 설비
KR101778483B1 (ko) 연주압연장치 및 방법
KR20120063713A (ko) 연속주조설비의 롤 세그먼트
KR101736573B1 (ko)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KR101435034B1 (ko) 후판 압연 제어 방법
JP6599462B2 (ja) エンドレス・配置圧延転換連鋳及び圧延設備並びにエンドレス・配置圧延転換連鋳及び圧延方法
KR101529189B1 (ko) 열연코일 제조방법 및 열연코일 에지부 결함 예측방법
JP2013215778A (ja) 連続鋳造方法
CN107597846A (zh) 带钢生产方法
KR20050013576A (ko) 응고 후에 필요에 따라 소정 길이로 절단되는 금속 빌렛,특히 강 빌렛의 주조에 의한 반 연연속 압연 또는 연연속압연 방법 및 그를 위한 연속 주조 압연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