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021B1 -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88021B1 KR101388021B1 KR1020120032555A KR20120032555A KR101388021B1 KR 101388021 B1 KR101388021 B1 KR 101388021B1 KR 1020120032555 A KR1020120032555 A KR 1020120032555A KR 20120032555 A KR20120032555 A KR 20120032555A KR 101388021 B1 KR101388021 B1 KR 1013880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 variable
- unit
- sensing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8—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 G01G11/086—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of feed or discharge of the loss-in-weight feeding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5—Regulation of the charge quant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35—Devices for monitoring the weight of quantities added to the charge
- F27D2021/0042—Monitoring the level of the solid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고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결합되고 저장고에 내장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와, 가변부에 장착되고 저장고에 저장되는 저장물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저장물의 저장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고 가변부와 연결되어 가변부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조절부 및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저장고에 저장된 저장물의 저장량에 대한 측정오류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고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저장량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저장고의 저장량을 인지하도록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연료나 원료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연료나 원료는 호퍼나 빈과 같은 저장고에 임시로 저장된 후 필요시마다 불출된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1135호(2005.04.06 공개, 발명의 명칭: 곡물저장고의 저장량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고에 공급되는 저장물과 접촉되어 저장물의 저장량을 감지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고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고에 내장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상기 가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고에 저장되는 저장물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의 저장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변부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조절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를 제공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물의 저장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는 상기 가변부에 설치되는 경고판;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경고판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고센서; 및 상기 경고센서의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생성하는 확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지지부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저장고를 관통하며, 상방으로 구부러진 제1하단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가변관; 상기 제1가변관을 감싸며, 상기 제1하단돌기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2상단돌기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구부러진 제2하단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가변관; 및 상기 제2가변관을 감싸며, 상기 제2하단돌기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3상단돌기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3바닥판에 의해 하단부가 폐쇄되는 제3가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저장물과 접촉되도록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통; 상기 회전통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감지판; 및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판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절축을 회전시키는 조절모터; 상기 조절축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고를 관통하는 조절케이블; 및 상기 가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조절케이블과 결합되는 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는 저장물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감지판을 감지하여 저장물의 저장량에 대한 감지오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는 표시부에 의해 현재 저장물의 저장량이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는 감지부가 순차적으로 상승하여 저장물의 저장량을 감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저장량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는 경고센서가 가변부의 과도한 상승을 감지하여 저장물이 저장고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가 저장고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저장고에 저장물이 저장되면서 감지부와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변부의 길이가 줄어들어 감지부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변부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고판이 경고센서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가 저장고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저장고에 저장물이 저장되면서 감지부와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변부의 길이가 줄어들어 감지부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가변부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고판이 경고센서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에서 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가 저장고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저장고에 저장물이 저장되면서 감지부와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가변부의 길이가 줄어들어 감지부가 상승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가변부의 길이가 줄어들어 경고판이 경고센서에 접촉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에는 지지부(10), 가변부(20), 감지부(30), 조절부(40) 및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지지부(10)는 저장고(100)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저장고(100)는 저장물(90)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면에는 저장물(90)이 공급되기 위한 투입홀(110)이 형성된다.
가변부(20)는 지지부(10)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변부(20)는 저장고(100)를 관통하여 저장고(100)에 내장되며, 조절부(40)와 연동되어 길이가 가변된다.
감지부(30)는 가변부(20)에 장착되고, 저장고(100)에 저장되는 저장물(90)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저장물(90)의 저장높이를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부(30)는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조절부(40)는 지지부(10)에 설치되고, 가변부(20)와 연결되어 가변부(20)의 길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제어부(50)는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조절부(40)의 구동을 제어하여, 가변부(20)의 길이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30)가 저장물(90)과 접촉되면, 가변부(20)의 길이가 줄어들어 감지부(30)가 저장물(90)가 접촉되지 않도록 상방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에는 표시부(60)가 더 구비된다.
표시부(60)는 제어부(50)와 연계되어 저장물(90)의 저장높이를 작업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60)로는 저장물(90)의 저장높이를 표시해주는 모니터 또는 계기판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에는 경고판(71), 경고센서(72) 및 확성기(73)가 더 구비된다.
경고판(71)은 가변부(20)에 설치되어, 가변부(2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높낮이가 변화된다.
경고센서(72)는 지지부(10)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고센서(72)는 저장고(100)를 관통하여 저장고(100)의 상측면 아래에 배치된다. 경고센서(72)는 경고판(71)이 상방 이동되어 접촉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확성기(73)에 전송한다.
확성기(73)는 경고센서(72)의 경고신호를 수신한 후 경고음을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저장물(90)이 저장고(100)에서 넘칠 수 있음을 경고한다.
한편, 경고센서(72)와 저장고(100)의 도어가 연계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수신한 도어는 투입홀(110)을 폐쇄할 수 있다.
그 외, 경고센서(72)와 저장고(100)에 저장물(90)을 공급하는 공급기가 연계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수신한 공급기는 저장물(90)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20)에는 제1가변관(21), 제2가변관(22) 및 제3가변관(23)이 구비된다(도 2 참조).
제1가변관(21)은 지지부(10)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저장고(100)를 관통한다. 이러한 제1가변관(21)의 하단부에는 상방으로 구부러진 제1하단돌기(211)가 형성된다.
제2가변관(22)은 제1가변관(21)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가변관(22)의 상단부에는 제1하단돌기(211)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2상단돌기(221)가 형성된다.
또한, 제2가변관(22)의 하단부에는 상방으로 구부러진 제2하단돌기(222)가 형성된다.
제3가변관(23)은 제2가변관(22)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3가변관(23)의 상단부에는 제2하단돌기(222)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3상단돌기(231)가 형성된다.
또한, 제3가변관(23)의 하단부에는 제3바닥판(232)이 장착된다. 이러한 제3바닥판(232)은 제3가변관(23)의 하단부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2가변관(22)과 제3가변관(23)은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제2상단돌기(221)가 제1하단돌기(211)에 걸리고, 제3상단돌기(231)가 제2하단돌기(222)에 걸려, 가변부(20)의 최대길이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0)에는 고정판(31), 회전통(32), 회전축(33), 감지판(34) 및 감지센서(35)가 구비된다.
고정판(31)은 가변부(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정판(31)은 가변부(20)의 제3바닥판(232)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판(31)은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회전통(32)은 한 쌍의 고정판(3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통(32)은 원통 형상을 하며, 외주면에는 저장물(90)과 접촉되도록 접촉돌기(321)가 돌출 형성된다.
회전축(33)은 회전통(32)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고, 각 고정판(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감지판(34)은 회전축(33)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감지센서(35)는 고정판(3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감지판(34)은 회전축(33)과 연동되어 회전되며, 감지센서(35)는 감지판(34)과 마주보는 경우 감지신호를 제어부(5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35)는 하방으로 지속적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감지판(34)이 회전되어 감지센서(35)에 근접되도록 위치될 때 감지판(34)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0)에는 조절모터(41), 조절케이블(42) 및 조절판(43)이 구비된다.
조절모터(41)는 지지부(10)에 고정 설치되고, 제어부(50)의 제어로 구동된다. 예를 들어, 조절모터(41)는 지지부(10)의 상측면에 결합되고, 조절모터(41)에 구비되는 조절축(411)은 제어부(50)의 구동신호에 따라 회전방향이 변경된다.
조절케이블(42)은 조절축(411)에 일단부가 결합된다. 이러한 조절케이블(42)은 조절축(411)에 감기고, 저장고(100)를 관통한다.
조절판(43)은 가변부(20)에 고정 설치되고, 조절케이블(42)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조절판(43)은 제3가변관(23)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조절축(41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절케이블(42)이 감겨 가변부(20)의 길이가 줄어들고, 조절축(41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절케이블(42)이 풀려 가변부(20)의 길이가 늘어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고(100)의 상측면에 지지부(10)가 고정 설치되고, 지지부(10)에 결합된 가변부(20)는 저장고(100)를 관통한다.
이때, 제1가변관(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하단돌기(211)에 제2가변관(22)의 제2상단돌기(221)가 걸리고, 제2가변관(22)의 제2하단돌기(222)에 제3가변관(23)의 제3상단돌기(231)가 걸려, 가변부(20)는 최대 길이를 갖는다(도 2와 도 3 참조).
한편, 지지부(10)에 결합된 조절모터(41)는 조절축(411)을 회전시키고, 조절축(411)에 감긴 조절케이블(42)의 하단부는 제3가변관(23)에 결합된 조절판(43)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3가변관(23)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제3바닥판(232)에는 저장물(90)과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부(30)가 장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저장물(90)이 저장고(100)에 저장되어 감지부(30)의 접촉돌기(321)와 접촉되면, 회전통(32) 및 감지판(34)이 회전되고, 감지판(34)을 감지한 감지센서(35)가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도 4 참조).
그리하면, 제어부(50)는 조절모터(41)를 구동시키고, 구동된 조절모터(41)에 구비된 조절축(411)의 회전방향에 의해 조절케이블(42)이 감긴다.
이와 같이 조절케이블(42)이 감기면, 가변부(20)의 길이가 줄어들어 감지부(30)가 저장물(90)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높이가 높아진다(도 5 참조).
이때, 제어부(50)는 저장물(90)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지도록 조절케이블(42)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감지부(30)가 저장물(90)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표시신호에 의해 감지부(30)가 감지한 저장물(90)의 저장높이가 표시부(60)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최초 감지부(30)는 저장물(90)이 50m에 도달될 때를 감지하도록 위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감지부(30)가 1차로 저장물(90)을 감지하면, 표시부(60)에 50m가 표시된다.
그리고, 조절케이블(42)이 감겨 감지부(30)는 저장물(90)이 60m에 도달될 때를 감지하도록 상승한다.
또한, 감지부(30)가 60m에 도달된 저장물(90)을 감지하면, 표시부(60)에 60m가 표시되고, 조절케이블(42)이 감겨 감지부(30)는 저장물(90)이 70m에 도달될 때를 감지하도록 상승한다.
한편, 저장물(90)이 저장고(100)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감지부(30)가 순차적으로 상승하다가 경고판(71)이 경고센서(72)와 접촉되면, 확성기(73)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어 작업자에게 경고를 한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는 저장물(90)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감지판(34)을 감지하여 저장물(90)의 저장량에 대한 감지오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는 표시부(60)에 의해 현재 저장물(90)의 저장량이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는 감지부(30)가 순차적으로 상승하여 저장물(90)의 저장량을 감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저장량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1)는 경고센서(72)가 가변부(20)의 과도한 상승을 감지하여 저장물(90)이 저장고(100)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부 20 : 가변부
21 : 제1가변관 22 : 제2가변관
23 : 제3가변관 30 : 감지부
31 : 고정판 32 : 회전통
33 : 회전축 34 : 감지판
35 : 감지센서 40 : 조절부
41 : 조절모터 42 : 조절케이블
43 : 조절판 50 : 제어부
60 : 표시부 71 : 경고판
72 : 경고센서 73 : 확성기
90 : 저장물 100 : 저장고
211 : 제1하단돌기 221 : 제2상단돌기
222 : 제2하단돌기 231 : 제3상단돌기
232 : 제2바닥판 321 : 접촉돌기
411 : 조절축
21 : 제1가변관 22 : 제2가변관
23 : 제3가변관 30 : 감지부
31 : 고정판 32 : 회전통
33 : 회전축 34 : 감지판
35 : 감지센서 40 : 조절부
41 : 조절모터 42 : 조절케이블
43 : 조절판 50 : 제어부
60 : 표시부 71 : 경고판
72 : 경고센서 73 : 확성기
90 : 저장물 100 : 저장고
211 : 제1하단돌기 221 : 제2상단돌기
222 : 제2하단돌기 231 : 제3상단돌기
232 : 제2바닥판 321 : 접촉돌기
411 : 조절축
Claims (6)
- 저장고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고에 내장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상기 가변부에 장착되고, 상기 저장고에 저장되는 저장물과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물의 저장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변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변부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조절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가변부에 설치되는 경고판;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고, 상기 경고판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고센서; 및
상기 경고센서의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경고음을 생성하는 확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저장물의 저장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지지부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저장고를 관통하며, 상방으로 구부러진 제1하단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가변관;
상기 제1가변관을 감싸며, 상기 제1하단돌기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2상단돌기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구부러진 제2하단돌기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2가변관; 및
상기 제2가변관을 감싸며, 상기 제2하단돌기에 걸리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제3상단돌기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3바닥판에 의해 하단부가 폐쇄되는 제3가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가변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상기 저장물과 접촉되도록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통;
상기 회전통과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감지판; 및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판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조절축을 회전시키는 조절모터;
상기 조절축에 결합되고, 상기 저장고를 관통하는 조절케이블; 및
상기 가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조절케이블과 결합되는 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2555A KR101388021B1 (ko) | 2012-03-29 | 2012-03-29 |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2555A KR101388021B1 (ko) | 2012-03-29 | 2012-03-29 |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529A KR20130110529A (ko) | 2013-10-10 |
KR101388021B1 true KR101388021B1 (ko) | 2014-04-22 |
Family
ID=4963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2555A KR101388021B1 (ko) | 2012-03-29 | 2012-03-29 |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802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76949B (zh) * | 2018-05-23 | 2020-01-10 | 深圳市天圳自动化技术有限公司 | 液力驱动高炉料面机械探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0471A (ja) * | 1995-03-01 | 1996-09-17 | Natsuku Kk | 界面レベル検出装置 |
JP2000221072A (ja) | 1999-01-29 | 2000-08-11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スクリュ式サウンディングレベル計 |
JP2008261781A (ja) | 2007-04-13 | 2008-10-30 | Alps Electric Co Ltd | 液面レベルセンサ |
KR20090052580A (ko) * | 2007-11-21 | 2009-05-26 | 주식회사 포스코 | 레벨 측정 장치 |
-
2012
- 2012-03-29 KR KR1020120032555A patent/KR1013880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0471A (ja) * | 1995-03-01 | 1996-09-17 | Natsuku Kk | 界面レベル検出装置 |
JP2000221072A (ja) | 1999-01-29 | 2000-08-11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スクリュ式サウンディングレベル計 |
JP2008261781A (ja) | 2007-04-13 | 2008-10-30 | Alps Electric Co Ltd | 液面レベルセンサ |
KR20090052580A (ko) * | 2007-11-21 | 2009-05-26 | 주식회사 포스코 | 레벨 측정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529A (ko) | 201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174261A1 (en) | Packaging material quality compensation | |
CA2964112C (en) | Load stability-based wrapping | |
US8453420B2 (en) | Film dispensing and wrapping apparatus or system using smart technology | |
KR101637244B1 (ko) | 힌지토션바 내구시험장치 | |
CN103787027B (zh) | 导向轮组件、传送装置及防止玻璃基板产生碎角的方法 | |
KR101388021B1 (ko) | 저장고용 저장량 감지장치 | |
US10875028B2 (en) | Stock level detector for roll machine for milling | |
EP3480363A3 (en) | Milling machine with a system for disabling the milling drum | |
US10315233B2 (en) | Flexible substrate treatment device | |
US11407536B2 (en) | Stretch wrapping machine with variable frequency drive torque control | |
JP2017224747A (ja) | 脚長可変支持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水平出しを必要とする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 |
JP6730509B2 (ja) | 電線矯正装置および電線矯正方法 | |
KR20160007032A (ko) | 와이어 권취 장치 | |
CN214165463U (zh) | 供料装置及包装机 | |
KR102628498B1 (ko) |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 |
US9669367B1 (en) | Stirring machine down auger protection system | |
KR101581544B1 (ko) | 슈트용 댐퍼장치 | |
JP6262103B2 (ja) | 魚釣用電動リール | |
CN103063281B (zh) | 一种电子皮带茶叶秤 | |
KR101377519B1 (ko)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 |
KR101456993B1 (ko) | 약제 포장지의 실시간 장력 제어 시스템 | |
KR101692763B1 (ko) | 잭 베이스용 높이 조절 장치 | |
JP5259255B2 (ja) | 種菌供給装置 | |
KR200461310Y1 (ko) |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판 이송축의 축변위 감지장치 | |
JP2020016090A (ja) | 水門開閉装置及びチェーン張力調整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