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55B1 -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55B1
KR101387455B1 KR1020120069928A KR20120069928A KR101387455B1 KR 101387455 B1 KR101387455 B1 KR 101387455B1 KR 1020120069928 A KR1020120069928 A KR 1020120069928A KR 20120069928 A KR20120069928 A KR 20120069928A KR 101387455 B1 KR101387455 B1 KR 10138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hydration
dewatering
water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169A (ko
Inventor
김성일
박기호
이계중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6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2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01D63/062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membranes on a surface of a support tube
    • B01D63/065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membranes on a surface of a support tube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whereby the filtration and squeezing-out take place between at least two filtering b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26Absorption or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49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99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3Specific conn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미세입자가 피탈수물에 포함된 현탁액만을 유입시키는 유입관(10);과,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펌핑된 현탁액을 일정 높이까지 안내하는 이송관(20);과, 상기 이송관(20)과 연결되어 펌핑된 현탁액을 탈수하여 함수율을 낮춘 피탈수물을 자중에 의해 하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탈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수관(30)은 유입된 현탁액 중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외주면에 맴브레인필터(31)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맴브레인필터(31)에는 현탁액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탈수수단(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A PRE-TREATMENT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OF DEWATERING}
본 발명은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조류와 같은 마이크로입자가 포함된 함수율이 높은 현탁액을 탈수하기에 앞서, 피탈수물의 함수율을 낮춰 본 탈수단계에서 목표함수율까지 탈수속도 증가와 탈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수는 피탈수물질에서 물을 제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탈수의 대상은 채취된 광물에서부터 하수슬러지, 미세조류, 목재펄프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미세조류의 탈수는 최근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중요해지고 있다.
미세조류는 해양이나 민물에서 광합성을 통해 성장하는 조류의 일종으로 크기는 대략 50㎛에서 100㎛에 이른다.
탈수에 쓰이는 장치는 원심식("입형원심 슬러리 탈수기" 등록실용 제0259737호), 벨트프레스식, 진공여과식, 가압여과식 등이 있으며 이들 탈수장치는 대부분 하수슬러지나 광물의 탈수에 사용되고 있다. 하수슬러지나 광물의 탈수에 쓰이는 장치는 주로 물과 비교하여 비중이 큰 고체입자의 탈수에 적합하다.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조류가 포함된 해수나 민물은 희박한 현탁액과 같고 함수율은 약 99.99 wt%이다. 그러므로 기존 탈수장치를 이용할 경우 탈수를 위한 막대한 에너지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미세조류가 포함된 현탁액과 같이 함수율이 높은 피탈수물을 일정한 함수율로 낮출 경우 본 탈수과정에서 보다 적은 에너지와 저렴한 에너지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미세조류와 같은 마이크로입자가 포함된 함수율이 높은 현탁액을 탈수하기에 앞서, 피탈수물의 함수율을 낮춰 본 탈수단계에서 목표함수율까지 탈수속도 증가와 탈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피탈수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수수단을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증축할 수 있도록 구성요소를 단순화한 구조의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피탈수물을 탈수시키고, 자중에 의해 피탈수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구성된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피탈수물에 포함된 입자가 마이크로 단위로 작거나 입자의 비중이 1에 근접할 경우에도 탈수가 가능한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미세입자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미세입자가 피탈수물에 포함된 현탁액만을 유입시키는 유입관(10);과,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펌핑된 현탁액을 일정 높이까지 안내하는 이송관(20);과, 상기 이송관(20)과 연결되어 펌핑된 현탁액을 탈수하여 함수율을 낮춘 피탈수물을 자중에 의해 하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탈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수관(30)은 유입된 현탁액 중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외주면에 맴브레인필터(31)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맴브레인필터(31)에는 현탁액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탈수수단(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유입관(10)에는 협잡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여과망(11)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이송관(20)과 탈수관(30)은 탈수관(30) 및 이송관(20)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플랙시블관(5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탈수관(30)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맴브레인필터(31)는 탈수관(30)의 원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4발명은, 상기 탈수수단(40)은 상기 맴브레인필터(3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수분흡수부재(42)와,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압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분흡수부재(4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분흡수부재(42)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시키는 스퀴지롤러(43)와, 상기 스퀴지롤러(43)에 의해 탈수된 수분을 별도로 유도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탈수관(30)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지 않게 배치되는 탈수라인(4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탈수관(3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병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맴브레인필터(31)는 탈수관(30)의 하부 외주면에 탈수관(30)과 교차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되되, 탈수관(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만곡시켜 구성되고, 상기 탈수수단(40)은 현탁액의 수분을 흡수하도록 상기 맴브레인필터(31)와 밀착되는 수분흡수부재(42)가 외장된 니들롤러(41)와,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압박에 의해 강제 회전시켜 수분을 탈수시키는 스퀴지롤러(4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따르면, 미세조류와 같은 마이크로입자가 포함된 함수율이 높은 현탁액을 탈수하기에 앞서, 피탈수물의 함수율을 낮춰 본 탈수단계에서 목표함수율까지 탈수속도 증가와 탈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요소를 단순화하여 피탈수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수수단을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증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탈수물을 탈수시키고, 자중에 의해 피탈수물을 이송시킬 수 있어 이송에 따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피탈수물의 입자가 마이크로 단위로 작거나 입자의 비중이 1에 근접할 경우에도 탈수가 가능한 기능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탈수관과 결합된 탈수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탈수관과 결합된 탈수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조류와 같은 마이크로입자가 포함된 함수율이 높은 현탁액을 탈수하기에 앞서, 피탈수물의 함수율을 낮춰 본 탈수단계에서 목표함수율까지 탈수속도 증가와 탈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는 크게 3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유입관(10)과, 이송관(20) 및 탈수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관(10)은 여과망(11)이 장착되어 미세입자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미세입자가 피탈수물에 포함된 현탁액만을 유입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입관(10)은 실시예로 양단부에 여과망(11)을 구비하여 여과망(11)을 통해 수거하고자하는 피탈수물 만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다른 일례로 유입관(10) 전체를 여과망(11)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유입관(10)을 여러 갈래로 분기시켜 성분이 서로 다른 피탈수물을 일정한 입자로 균일하게 수거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입관(10)에는 펌프(P)가 연결되어 현탁액을 강제 흡입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20)은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펌핑된 현탁액을 일정 높이까지 안내하는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구조는 펌프(P)를 통해 이송관(20)에 말단부 높이까지 현탁액을 유입시키고, 이후에는 자중에 의해 현탁액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탈수관(30)은 상기 이송관(20)과 연결되어 펌핑된 현탁액을 탈수하여 함수율을 낮춘 피탈수물을 자중에 의해 하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는 탈수관(30) 및 이송관(20)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이송관(20)과 탈수관(30)의 사이에 연결되는 플랙시블관(50)을 통해 가능하다.
아울러 탈수관(30)은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맴브레인필터(3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맴브레인필터(31)에는 현탁액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할 수 있도록 탈수수단(4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탈수관(30)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이송관(20)과 베어링(B)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맴브레인필터(31)는 탈수관(30)의 원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맴브레인필터(31)는 현탁액에 포함된 50㎛ 내지 100㎛ 정도의 피탈수물이 탈수관(30)의 내부에 잔존하도록 하고, 다만 수분만을 맴브레인필터(3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수단(40)은 맴브레인필터(31)를 통해 미세입자(피탈수물)가 걸러진 수분을 모세관 작용에 의해 흡수하는 수분흡수부재(42)와,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탈수시키는 스퀴지롤러(43)와, 탈수된 수분을 배출하는 탈수라인(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분흡수부재(42)는 다중 기공을 포함하고 있어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수분을 강제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피탈수물의 입자가 마이크로 단위로 작거나 입자의 비중이 1에 근접할 경우에도 탈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탈수 후 탄성복원력이 뛰어난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흡수부재(42)는 각 맴브레인필터(31)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회전하는 탈수관(30)에 의해 현탁액에 포함된 수분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퀴지롤러(43)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탈수관(3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스퀴지롤러(43)는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압박하여 자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분흡수부재(4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분흡수부재(42)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수라인(44)은 회전하는 탈수관(30)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탈수관(30)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지 않게 배치되어 탈수된 수분이 맴브레인필터(31)를 통해 낙하되면 이를 별도로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탈수관(30)에서 탈수된 피탈수물은 수분이 경사진 탈수관(30)을 따라 자중에 의해 하부로 배출되어 함수율이 낮아진 형태로 수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맴브레인필터(31)와 수분흡수부재(42)가 부착되어 있어 묽은 현탁액의 함수율을 능동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수분흡수부재(4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4 영역에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구간이 형성되고, 1/4 영역에서는 수분을 탈수할 수 있는 구간이 형성되어 수분제거 효율이 상승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확장성이 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현탁액의 펌핑량은 수분흡수부재(42)의 흡수량 보다 작고, 또한 탈수관(30)의 경사도는 탈수관(30)의 내부에서 수분흡수부재(42)의 흡수량에 따른 현탁액의 체류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야 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 1실시예에서 탈수수단이 단일로 구성되어 설명되었지만, 직렬로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작동도이다.
먼저 현탁액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망(11)을 통해 걸러지고, 피탈수물이 포함된 현탁액만이 유입관으로 유입된다.
여과망(11)을 통해 유입된 묽은 현탁액은 펌프(P)의 펌핑력에 의해 이송관(20)의 말단부까지 압송되고, 압송된 현탁액은 하향 경사진 탈수관(30)의 내부로 자중에 의해 유입되거나 또는 펌프(P)의 압력에 의해 유입된다.
탈수관(30)으로 유입된 현탁액의 수분이 탈수관(30)에 형성된 맴브레인필터(31)를 지나게 되면 맴브레인필터(31)에 외주면에 부착된 수분흡수부재(42)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강제로 흡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탈수관(30)은 회전하는 스퀴지롤러(43)의 회전력에 의해 동반 회전하는 바, 상기 각 맴브레인필터(31)에 부착된 수분흡수부재(42)는 동일한 수분흡수율을 갖게 된다.
또한 회전하는 탈수관(30)의 위치에 따라 탈수관(30)의 하부에 위치되는 수분흡수부재(42)는 수분을 흡수하고, 동시에 탈수관(30)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분흡수부재(42)는 스퀴지롤러(43)에 의해 압착되어 탈수된다.
여기서 수분흡수부재(42)에서 흡수된 수분은 다시 맴브레인필터(31)를 통해 탈수관(30)의 내부로 낙하되어 별도로 수거된다.
그리고 상기 피탈수물은 탈수관(30)의 하부로 갈수록 함수율이 점차 낮아지게 되는 바, 탈수관(30)의 말단부로 낙하되는 피탈수물은 수분이 제거된 고농축 상태의 현탁액으로 낙하되어 별도로 수거된다.
이렇게 수거된 고농축 피탈수물은 본 탈수공정을 거쳐 고형물함유량 기준으로 약 20 ~ 25%까지 고농축 탈수된 후 바이오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거나 유기질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상기 탈수관(30)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병렬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랙시블관(50)과 탈수관(30)의 사이에는 이송관(20)에서 배출되는 현탁액을 분기시켜 상기 각 탈수관(30)으로 유도 배출할 수 있는 분기관(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분기관(60)은 각각 탈수관(30)에 베어링(B) 결합되고, 상기 각 탈수관(30)은 상호 밸트(V) 연결되어 단일 모터(M)로 상기 각 탈수관(3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실시예의 구조는 한번에 많은 양의 현탁액을 처리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맴브레인필터(31)는 탈수관(30)의 하부 외주면에 탈수관(30)과 교차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맴브레인필터(31)는 후술되는 수분흡수부재(42)을 감싸면서 면접촉될 수 있도록 탈수관(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만곡시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탈수수단(40)은 현탁액의 수분을 흡수하도록 수분흡수부재(42)가 외장된 니들롤러(41)와,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압박에 의해 강제 회전시켜 수분을 탈수시키는 스퀴지롤러(43)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탈수수단(40)의 수분흡수부재(42)가 탈수관(3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수분흡수부재(42)와의 접촉부위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탈수관(30)의 형태는 장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수단(40)은 상기 니들롤러(41)를 탄력성으로 압박하여 수분흡수부재(42)가 일정 장력으로 상기 맴브레인필터(31)에 밀착되게 장력조절스프링(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실시예의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의 작동은 도 7과 같다.
피탈수물이 포함된 현탁액은 하향 경사진 탈수관(30)의 내부로 유입된다.
탈수관(30)으로 유입된 묽은 현탁액의 수분이 탈수관(30)에 형성된 맴브레인필터(31)를 지나게 되면 수분흡수부재(42)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분을 강제로 흡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탈수수단(40)의 수분흡수부재(42)는 니들롤러(4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바, 상기 수분흡수부재(42)의 전면에 걸쳐 수분을 고르게 흡수하게 된다.
수분이 흡수된 수분흡수부재(42)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스퀴지롤러(43)의 압박에 의해 수분을 탈수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분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낙하되고, 수분이 제거된 고농축 상태의 피탈수물만이 탈수관(30)의 말단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제 3실시예의 탈수수단은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 보다 쉽게 증축할 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에 따르면, 하수슬러지, 목재펄프, 광물의 전처리 탈수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유입관 11: 여과망
20: 이송관 P: 펌프
30: 탈수관 31: 맴브레인필터
40: 탈수수단 41: 니들롤러 42: 수분흡수부재
43: 스퀴지롤러 44: 탈수라인
50: 플랙시블관
60: 분기관
V: 밸트 M: 모터 B: 베어링

Claims (7)

  1. 미세입자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미세입자가 피탈수물에 포함된 현탁액만을 유입시키는 유입관(10);과
    상기 유입관(10)을 통해 펌핑된 현탁액을 일정 높이까지 안내하는 이송관(20);
    상기 이송관(20)과 연결되어 펌핑된 현탁액을 탈수하여 함수율을 낮춘 피탈수물을 자중에 의해 하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탈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수관(30)은 유입된 현탁액 중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외주면에 맴브레인필터(31)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맴브레인필터(31)에는 현탁액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탈수할 수 있도록 탈수수단(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0)에는 협잡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여과망(11)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0)과 탈수관(30)은 탈수관(30) 및 이송관(20)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플랙시블관(50)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관(30)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맴브레인필터(31)는 탈수관(30)의 원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40)은 상기 맴브레인필터(31)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수분흡수부재(42)와,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압박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분흡수부재(4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밀착되어 수분흡수부재(42)에 흡수된 수분을 탈수시키는 스퀴지롤러(43)와, 상기 스퀴지롤러(43)에 의해 탈수된 수분을 별도로 유도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탈수관(30)의 내측 상부에 밀착되지 않게 배치되는 탈수라인(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관(3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맴브레인필터(31)는 탈수관(30)의 하부 외주면에 탈수관(30)과 교차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되되, 탈수관(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만곡시켜 구성되고,
    상기 탈수수단(40)은 현탁액의 수분을 흡수하도록 상기 맴브레인필터(31)와 밀착되는 수분흡수부재(42)가 외장된 니들롤러(41)와, 상기 수분흡수부재(42)를 압박에 의해 강제 회전시켜 수분을 탈수시키는 스퀴지롤러(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KR1020120069928A 2012-06-28 2012-06-28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KR10138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28A KR101387455B1 (ko) 2012-06-28 2012-06-28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928A KR101387455B1 (ko) 2012-06-28 2012-06-28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69A KR20140002169A (ko) 2014-01-08
KR101387455B1 true KR101387455B1 (ko) 2014-04-21

Family

ID=5013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928A KR101387455B1 (ko) 2012-06-28 2012-06-28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808B2 (ja) * 1988-06-29 1997-05-2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懸濁物質含有水の脱水材の再生方法
KR100541718B1 (ko) * 2005-06-24 2006-01-10 임보람 이동식 침전물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8023551A (ja) * 2006-07-20 2008-02-0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ベルトプレス式脱水機
JP2011174633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フィルタ乾燥装置及びフィルタ乾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808B2 (ja) * 1988-06-29 1997-05-2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懸濁物質含有水の脱水材の再生方法
KR100541718B1 (ko) * 2005-06-24 2006-01-10 임보람 이동식 침전물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2008023551A (ja) * 2006-07-20 2008-02-0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ベルトプレス式脱水機
JP2011174633A (ja) * 2010-02-23 2011-09-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フィルタ乾燥装置及びフィルタ乾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69A (ko)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688B2 (ja) 液体から粒子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486477B1 (ko) 흡수식 현탁액 농축장치
KR101408301B1 (ko) 유기성폐기물의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
CN108479142A (zh) 一种污泥脱水装置
CN108751664A (zh) 一种污泥处理用高效挤压脱水干燥装置及其污泥处理系统
JP4183740B1 (ja) 固液分離装置
KR101425025B1 (ko) 탈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효율 원심탈수기
CN205473016U (zh) 一种污水快速处理装置
KR101387455B1 (ko) 고효율 탈수를 위한 전처리 장치
KR102092805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CN108585116A (zh) 一种环保型玻璃钢隔油池
KR101437908B1 (ko)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CN104230139A (zh) 一种污泥脱水干化一体装置
JP5487258B2 (ja) 固液分離装置
KR20120132651A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및 슬러지 탈수기 연결장치
CN204079747U (zh) 一种污泥脱水干化一体装置
CN113244690A (zh) 一种振动式的污水分离装置
KR101549832B1 (ko) 회전식 진공 농축장치
CN104310727A (zh) 一种二沉池污泥处理装置
CN110183085A (zh) 一种废水污泥无害化环保处理装置
CN208562111U (zh) 真空盘式淤泥脱水系统
KR100543079B1 (ko)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의 전처리 방법
JP6703765B2 (ja) ドラム型濃縮機
KR101844470B1 (ko) 고액분리장치
KR0127140Y1 (ko) 난탈수성 스러지의 여과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