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140B1 -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140B1
KR101386140B1 KR1020110124335A KR20110124335A KR101386140B1 KR 101386140 B1 KR101386140 B1 KR 101386140B1 KR 1020110124335 A KR1020110124335 A KR 1020110124335A KR 20110124335 A KR20110124335 A KR 20110124335A KR 101386140 B1 KR101386140 B1 KR 10138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redetermined range
load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365A (ko
Inventor
임병로
임기승
Original Assignee
㈜퓨레코이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레코이즘 filed Critical ㈜퓨레코이즘
Priority to KR102011012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1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Device for removing stand-by power, system for management of stand-by power using the same device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stand-by pow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기 전력(standby power)란, 각종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즉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리모콘 등의 외부의 입력으로부터 전자기기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기시에 각종 전자기기에서 소비하고 있는 전력을 말한다. 이러한 대기 전력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전자기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낭비되는 전력이나 다름이 없으며, 따라서 이러한 비효율성 때문에 수년전부터 에너지 낭비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대기전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컴퓨터, TV 등에 경고 표시를 하고 있는 등 대기 전력을 감소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각종 기술이 발달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대기전력차단장치는 단순히 전원에서 부하로 공급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나, 특정한 부하, 예를 들어 TV,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 등이 어느 정도의 대기전력을 소모하고 있는지, 또는 일정한 공간, 예를 들어 특정 방, 부엌 또는 하나의 가택 내에서 어느 정도의 전력이나, 대기전력이 소모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대기전력이 차단된 경우 어느 정도의 전력이 절약되고 그에 따라서 어느 정도 전기사용료가 절감되는지 여부도 일반인이 명쾌하기 판단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부하, 예를 들어 가전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대기전력의 소모량도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기전력의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전력 소모량 등을 파악함에 있어서 일반인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대기전력 등을 포함하는 전력 관리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된 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차단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차단된 전력량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하나 이상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은, 전력관리장치,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치값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력관리장치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신호와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정보처리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된 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차단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차단된 전력량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방법은, 일 실시예로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어 전력, 일반적인 전력 공급 또는 대기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제A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제B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방법은 다른 실시예로 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어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시스템에서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전력관리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제3 단계, 상기의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전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에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방법은, 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및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제a 단계, 상기 전력관리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b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에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제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관리장치, 전력관리시스템 및 전력관리방법을 통하여, 전력, 일례로 대기전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부하의 전력 소모량 및 대기전력의 소모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이러한 전력 소모량 등을 파악함에 있어서 일반인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전력관리에 대한 일반인, 예를 들어 아동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도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상 사용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관리장치, 그 자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외부의 전원은 일반 가정 내의 전원 콘센트를 통하여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전원연결부는 상기 전원 콘센트에 결합가능한 플러그 단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의 부하는 댁내 일반적인 가전기기, 예를 들어 TV, 냉장고, 개인용 컴퓨터 등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는, 상기 댁내 일반적인 가전기기에 구비된 상기 전원 콘센트와 연결되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콘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예를 들어 소정의 하우징 중 일 측면에 플러그 단자가 착설되고, 타 측면 등에는 콘센트가 착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콘센트 사이에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가 위치하여,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측정된 전력이 높은 수치를 가지는 경우에는 외부에 일정한 메시지, 예를 들어 상기 부하, 일례로 가전기기가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내용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일정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예를 들어 아동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특정한 캐릭터의 표정 또는 움직임 등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주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일정한 메시지 또는 일정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부하, 일례로 가전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일반인이 용이하게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아동에게 친숙한 캐릭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동들에게 전력 소비량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줄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측정된 전력을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일반 사용자는 별도의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개인용 컴퓨터 등 각종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근하여, 각각의 부하, 일례로 가전기기에 의한 전력 소비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예를 들어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칩, 모뎀, LAN 카드 등일 수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무선 통신칩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무선 통신의 수단은, 예를 들어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근거리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력차단부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공급되는 전원이 일정한 수치 이하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부하의 사용이 종료되고 상기 부하로 대기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럼으로써 대기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된 전력량을 연산하고 상기 차단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소정의 대기전력이 흐르고 있는 경우 상기 전력차단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전력의 최대값 또는 평균값과, 상기 전원이 차단된 경우의 전력 간의 차이(단순 계산으로는 상기 대기전력의 최대값 또는 평균값)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단된 전력량이 소정의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되는 메시지 또는 소정의 이미지나 동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되는 동영상은, 아동들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캐릭터의 영상을 표출하도록 하되, 차단된 전력량에 따라서 캐릭터가 각각 특유의 행동 또는 표정을 취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동들에게 대기전력차단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하나 이상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관리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은, 전력관리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치값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신호 또는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기상술한 전력관리장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기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된 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차단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차단된 전력량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전력관리장치에 의한 기능은 모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일정한 신호와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일례로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하여 측정된 전력량 또는 차단된 전력량을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측정된 전력량 또는 차단된 전력량을 구분하고, 소정의 시간마다 기록하도록 하고, 또한 소정의 기간마다 이들에 대한 평균값을 연산하여 별도로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연결된 출력부, 예를 들어 모니터를 통하여 표시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력관리장치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단말기는, 예를 들어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각종 전자기기,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퍼스널 컴퓨터, 피디에이(PDA)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관리방법의 다양한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먼저 전력관리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두 단계를 포함한다.
(A)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제A 단계
(B) 상기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제B 단계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을 관리 및 제어하는 방법은, 먼저 전원과 부하에 동시에 연결된 전력관리장치가 내부의 측정부를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전력량이 기정해진 일정한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일정한 범위 내의 메시지, 예를 들어 "전기기기가 매우 많의 양의 전력을 소모", "전기기기가 다른 전기기기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전력을 소모" 등의 메시지를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착설된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력사용량에 따라 일종의 아동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캐릭터 등의 표정 또는 행동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전력사용량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또한 상기 전력관리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어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관리방법은 다음의 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2) 상기 전력관리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3)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4) 상기의 단말기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여 전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에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측정되는 전력은, 부하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공급받는 전력인 대기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전력관리장치를 통하여 측정된 전력량, 또는 차단된 전력량(대기전력의 전력량)을 본인의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을 통해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방법은, 표시수단을 구비한 단말기 및 전원과 부하에 연결되어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관리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상기 전력관리장치에 의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전력관리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전력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력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범위에 따라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단계.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 없이 단순히 전력관리장치 및 단말기만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력량 또는 대기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측정된 복수의 전력량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부, 예를 들어 메모리소자 등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전력관리장치,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전력관리장치,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는 각각 복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특히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과부하를 방지하여 위하여 각각의 기능을 복수의 정보처리장치에 분산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것은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대기전력차단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지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플로피디스크, CD, DVD, 하드디스크, 각종 메모리 장치 등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각종 전자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균등 범위 내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력에 대한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된 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차단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차단된 전력량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하나 이상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장치.
  6. 전력관리장치;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외부전원연결부;
    외부의 부하에 연결되는 부하연결부;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시지 또는 상기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전력관리장치 또는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에 표시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신호와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외부전원연결부 및 상기 부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인 경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된 전력을 연산하고 상기 차단된 전력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는 차단된 전력량 또는 상기 소정의 범위에 할당된 소정의 영상을 외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정보처리장치 또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서 측정된 전력량 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연산된 차단된 전력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리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124335A 2011-11-25 2011-11-25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KR10138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335A KR101386140B1 (ko) 2011-11-25 2011-11-25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335A KR101386140B1 (ko) 2011-11-25 2011-11-25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365A KR20130058365A (ko) 2013-06-04
KR101386140B1 true KR101386140B1 (ko) 2014-04-17

Family

ID=4885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335A KR101386140B1 (ko) 2011-11-25 2011-11-25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487A (ko) 2017-11-23 2019-05-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전력량계용 전력신호를 검출을 이용한 신호분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271A (ja) * 2001-11-16 2003-05-21 Toyota Industries Corp 節約電力モニタ
JP2009180741A (ja) * 2004-03-26 2009-08-13 Cosmo Life Kk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
KR20110018192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평일 절전유도를 위한 전자제품의 소비전력 표시장치
KR20110118977A (ko) * 2010-04-26 2011-11-02 이형석 대기전력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9271A (ja) * 2001-11-16 2003-05-21 Toyota Industries Corp 節約電力モニタ
JP2009180741A (ja) * 2004-03-26 2009-08-13 Cosmo Life Kk 使用電力監視システム
KR20110018192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평일 절전유도를 위한 전자제품의 소비전력 표시장치
KR20110118977A (ko) * 2010-04-26 2011-11-02 이형석 대기전력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487A (ko) 2017-11-23 2019-05-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전력량계용 전력신호를 검출을 이용한 신호분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365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80948B2 (ja) スマート・センサの方法及び装置
KR10136243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US9501134B2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ical sockets with plugged applianc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KR20150109059A (ko)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US8352761B2 (en) Controlling a power state of a device
US20160330623A1 (en) Communication system, beac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liance
EP2648312A1 (en) Physical-quant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easurement apparatus, mobile information terminal, method of providing physical-quantity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measurement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KR20210032948A (ko) 근접장 상호 작용 장치를 갖는 측정 장치
WO2014128901A1 (ja) 電源制御案内装置、電源制御案内方法、電源制御案内プログラム
US20160370833A1 (en) Electrical Appliance Administration System
KR101386140B1 (ko) 전력관리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EP287413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20111210A (ko)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JP6482801B2 (ja) アドバイス生成装置、アドバイス生成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2039695A (ja) 接続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801808B1 (ko) 실내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78199B1 (ko) 전력관리기능을 구비한 전자기기, 상기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관리방법
US9104419B2 (en) Power sav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and fabrication thereof
JP2006017645A (ja) 電力使用状況表示装置,電力使用状況表示方法およびインターフォン
Saravanan et al. IoT based smart home design for power and security management
KR102138629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센트 관리 장치
JP6264197B2 (ja) コントローラ及び表示コントローラ
US8598742B2 (en) Server and method for detecting work state of power transformers
KR101272665B1 (ko) 실시간 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