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090B1 - 금형 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090B1
KR101386090B1 KR1020120050889A KR20120050889A KR101386090B1 KR 101386090 B1 KR101386090 B1 KR 101386090B1 KR 1020120050889 A KR1020120050889 A KR 1020120050889A KR 20120050889 A KR20120050889 A KR 20120050889A KR 101386090 B1 KR101386090 B1 KR 10138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re
disc
hole
mol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159A (ko
Inventor
연규현
배순곤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09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베이스 판넬인 상 고정판; 상기 상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 코어를 구비한 상 원판; 상기 상 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하 코어를 구비한 하 원판; 상기 하 원판의 하부에서 밀핀을 구비하여 상기 상 원판과 상기 하 원판이 분리되도록 하는 밀판; 상기 밀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 고정판; 상기 하 고정판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밀판이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 상기 상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상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상측 러너 플레이트; 및 상기 하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하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하측 러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금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원판, 러너 플레이트 및 코어 구조물을 독립적으로 가공하여, 사출 제품의 형상과 상관없이 일부 부품들을 공용화함으로써, 금형 조립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조립체{Mold Assembly}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금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판, 러너 플레이트 및 코어 구조물을 독립적으로 가공하여, 사출 제품의 형상과 상관없이 일부 부품들을 공용화함으로써, 금형 조립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금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 조립체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특정 형상을 가지는 제품을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금형 조립체에는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캐비티를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에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동일한 형상의 제품을 반복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금형 조립체는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으로 구성되는 바, 성형된 제품을 인출할 때, 상하 금형이 1개 또는 복수개의 파팅 라인으로 분리된다.
도 1은 종래의 금형 조립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금형 조립체는 상부측 베이스 판넬인 상 고정판(1)과, 상 고정판(1)의 하층부에서 제품 상측 부분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상 원판(3)과, 상 원판(3)의 하층부에서 제품 하측 부분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하 원판(4)과, 상 원판(3) 및 하 원판(4)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는 받침판(5)과, 받침판(5) 하층부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이젝팅부(6)가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7)와 다리(7)의 하층부에서 금형의 하측 베이스 판넬인 하 고정판(8)을 포함한다.
그리고, 종래의 금형 조립체는 상 고정판(1)과 상 원판(3)의 사이에 런너를 제공하며, 사출 성형된 제품과 붙어 있는 굳어진 런너를 이젝팅시키는 런너 스트리퍼판(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젝팅부(6)는 밀핀(9)을 위치시키는 핀 지지판(10)과, 핀 지지판(10)에 밀착 고정되어 밀핀(9)을 지지하는 밀판(1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금형 조립체는 금형이 폐쇄된 상태에서 액화된 사출액의 사출이 이루어지고, 사출액의 냉각 후에 1차적인 금형의 개방으로 상 고정판(3) 및 런너 스트리퍼판(13)이 상 원판(3)으로부터 분리되어 제품과 붙어있던 굳어진 런너가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2차적인 금형의 개방으로 상 원판(3)과 하 원판(4)이 분리되면서 성형된 제품을 노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런너 스트리퍼판(13)과 연결된 당김핀을 당겨서 런너 스트리퍼판(13)을 상 고정판(1)과 분리시키면서 록크핀에 붙어 굳어진 런너를 탈락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 원판(4)측에 붙어 있는 제품이 핀 지지판(10)과 밀판(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밀핀(9)의 전진에 의해 떨어져 나와 제품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출작업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금형 조립체는, 10만개 이상의 제품을 성형하는 대량 생산용 금형으로서, 한 번 제작되면 몇 달 또는 몇 년씩 사용되는 고가의 금형이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매우 빠른 주기로 새로운 모델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개발을 위해 형상에 따라 매번 금형 조립체를 제작하여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잦은 금형 조립체의 제작 및 금형 조립체의 부속품 제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사출 제품의 형상과 상관없이 일부 부품들을 공용화함으로써, 금형 조립체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금형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부 베이스 판넬인 상 고정판; 상기 상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 코어를 구비한 상 원판; 상기 상 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하 코어를 구비한 하 원판; 상기 하 원판의 하부에서 밀핀을 구비하여 상기 상 원판과 상기 하 원판이 분리되도록 하는 밀판; 상기 밀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 고정판; 상기 하 고정판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밀판이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 상기 상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상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상측 러너 플레이트; 및 상기 하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하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하측 러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러너 플레이트는 상기 상 코어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의 사출액 유입공을 구비하고,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사출액 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사출액 유입로의 양측단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상측 사출액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러너 플레이트는 상기 하 코어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측 사출액 유입로와 대응되는 하측 사출액 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유입로의 양측단에는 상기 상측 사출액 배출공과 대응되는 하측 사출액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면에 사출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상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상 코어 구조물; 및 상면에 사출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하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하 코어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 코어 구조물은 사출 제품의 도장용 스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상측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구멍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측 코어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 코어 구조물은 상기 상측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구멍의 하부에서 상부로 하측 코어 핀이 삽입되며, 상기 하측 코어 핀은 상기 상측 구멍까지 삽입되어 사출 제품이 상 코어 구조물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 코어 구조물의 측면에 사출액이 주입되는 게이트가 터널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 원판은 밀판의 밀핀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밀핀 구멍은 복수의 밀핀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판은 상 밀판 및 하 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 밀판은 복수의 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상 밀판은 상기 밀핀이 통과하는 밀핀 통과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밀핀 통과 구멍은 상 코어 구조물 및 하 코어 구조물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러너 플레이트, 원판 및 코어 구조물을 독립적으로 가공하여 금형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제품을 사출할 때마다 코어 내부에 러너 플레이트 및 코어 구조물을 직접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러너 플레이트, 원판 및 코어 구조물을 독립적으로 가공하여 금형 조립체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형상에 관계없이 코어 구조물을 제외한 다른 부품들을 재사용할 수 있어, 금형 부품의 공용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금형 조립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상 원판을 상하 반전시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상측 러너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하 원판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하 원판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하측 러너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상 코어 구조물 및 하 코어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상 코어 구조물을 상하 반전시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상 밀판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는 상부 베이스 판넬인 상 고정판(100), 상 원판(200), 하 원판(300), 상 원판(200) 및 하 원판(300)이 분리되도록 하는 밀판(400), 하부 베이스 판넬인 하 고정판(500), 밀판(400)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600),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 및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를 포함한다.
상 고정판(100)은 금형 조립체의 최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베이스 판넬로서, 하부에 설치된 상 원판(200) 측으로 사출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스프루(미도시)를 구비한다.
상 원판(200)은 상 고정판(1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루를 통해 주입된 사출액이 상 원판(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로(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 원판(200)은 저면에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소정 깊이의 상 코어(220, 도 3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상 원판(20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230)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230)은 후술되는 하 원판(300)의 결합 돌부(330)와 결합되어 상 원판(200)과 하 원판(300)이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 원판(300)은 상 원판(200)의 하부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소정 깊이의 하 코어(32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 원판(200)과 하 원판(300)의 결합 시, 상 코어(220)와 하 코어(320)는 사출액이 주입되어 사출 제품이 형성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 원판(30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 원판(200)의 관통공(230)에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결합 돌부(330)를 구비하고, 이 관통공(230)과 결합 돌부(330)의 결합에 의해 상 원판(200)과 하 원판(300)이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분리 및 결합된다.
또한, 하 원판(300)은 테두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340)을 더 구비한다. 이 추가적인 관통공(340)은 후술되는 밀판(400)의 이젝터(43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밀판(400)은 하 원판(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 밀판(410) 및 상 밀판(4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 밀판(420)으로 이루어진다.
상 밀판(410)은 각 모서리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이젝터(430)를 구비하고, 이젝터(430)는 상기 하 원판(30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340)에 삽입되어 상 원판(200)을 밀어줌으로써, 상 원판(200)과 하 원판(300)이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 밀판(420)은 하 코어(3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출 제품이 하 코어(320)로부터 취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밀핀(421)을 구비한다.
하 고정판(500)은 하 밀판(42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금형 조립체를 지지하는 하부 베이스 판넬이다.
다리(600)는 하 고정판(500)의 양측단에서 하 고정판(500)의 결합 핀(510)에 의해 고정되어 상 밀판(410) 및 하 밀판(420)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는 상 원판(200)과 분리 가공되어 상 원판(200)의 상 코어(220) 내부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는 상 코어(220)의 깊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는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사출액 유입공(211)이 형성되고,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사출액 유입로(212)가 형성되고, 상측 사출액 유입로(212)의 양측단에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상측 사출액 배출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는 상 코어(220)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상 코어(220)의 중앙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조립된다.
즉,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는 상 원판(200)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개별 부품으로서, 제품의 형상에 따라 상 원판(200)의 상 코어(200) 내부에 러너 플레이트를 매번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는 하 원판(300)과 분리 가공되어 하 원판(300)의 하 코어(320) 내부에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는 하 코어(320)의 깊이와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 사출액 유입로(312)가 형성되고, 하측 사출액 유입로(312)의 양측단에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하측 사출액 배출공(3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는 하 코어(320)의 내부 공간을 양분하도록 하 코어(320)의 중앙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조립되고, 상술한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와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의 상측 사출액 유입로(212) 및 하측 사출액 유입로(312)로 사출액이 유입되고,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와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의 상측 사출액 배출공(213) 및 하측 사출액 배출공(313)을 통해 측방향으로 사출액이 배출되어, 상 코어(220) 및 하 코어(32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로 사출액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캐비티로 사출액을 공급하는 상측 러너 플레이트(210)와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가 상 원판(200) 및 하 원판(300)과 별도로 가공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제품의 형상에 따라 상 코어(220) 및 하 코어(320) 내부에 러너 플레이트를 매번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 조립체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 코어(220)의 내부에는 상 원판(200)과 분리 가공되는 상 코어 구조물(250)이 설치된다.
도 7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코어 구조물(250)은 저면에 사출 제품의 상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부(251)가 가공되어, 사출 제품의 상부를 사출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 코어 구조물(250)은 사출 제품의 형상에 따라 상 원판(200)과 독립적으로 가공되어, 상 코어(220) 내부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조립된다.
또한, 하 코어(320)의 내부에는 하 원판(300)과 분리 가공되는 하 코어 구조물(350)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코어 구조물(350)은 상면에 사출 제품의 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부(351)가 가공되어, 사출 제품의 하부를 사출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 코어 구조물(250)과 마찬가지로, 하 코어 구조물(350)은 사출 제품의 형상에 따라 하 원판(300)과 독립적으로 가공되어, 하 코어(320) 내부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조립된다.
즉, 상 원판(200)과 하 원판(3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 코어 구조물(250)과 하 코어 구조물(350) 사이의 공간이 사출 제품이 성형되는 공간이 된다.
이와 같이, 사출 제품을 직접 성형하는 상 코어 구조물(250) 및 하 코어 구조물(350)이 상 원판(200) 및 하 원판(300)과 독립적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사출 제품에 따라 상 원판(200) 및 하 원판(300)을 다시 제작할 필요 없이, 상 코어 구조물(250)과 하 코어 구조물(350) 만을 새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 코어 구조물(250)과 하 코어 구조물(350)은 복수개가 캐비티 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코어 구조물(250, 350)은 사출액의 유입을 위해 러너 플레이트(210, 3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출액의 유입을 위해 하 코어 구조물(350)에 형성된 게이트(352) 역시 하측 러너 플레이트(310)의 하측 사출액 배출공(313)과 접할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게이트(352)는 하 코어 구조물(350)의 측면에 터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터널 형태의 게이트(352)는 사출 제품의 취출 시 사출 제품이 코어 구조물(350)에서 강제로 탈락되도록 할 수 있어, 사출 작업 후 가공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다시 도 7a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 코어 구조물(250)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상측 구멍(252)을 구비하고, 사출 가공시 상측 구멍(252)에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상측 코어 핀(253)이 삽입된다.
이때, 상측 코어 핀(253)과 상측 구멍(252)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품의 사출시 상측 구멍(252)과 상측 코어 핀(253) 사이의 틈까지 사출액이 유입되어, 제품의 상부로 연장된 중공의 원통 형상 삽입부가 성형된다.
상기 삽입부는 사출이 완료된 제품을 도장할 때, 도장용 스핀들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하 코어 구조물(350)은 하 밀판(420)의 밀핀(421)이 삽입되는 밀핀 삽입공(353)을 구비하고, 상 코어 구조물(250)의 상측 구멍과 대응되도록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하측 구멍(354)을 구비한다.
사출 가공 시 하측 구멍(354)에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하측 코어 핀(355)이 삽입된다. 그리고, 하측 구멍(354)에 삽입되는 하측 코어 핀(355)은 상측 구멍(252)의 일부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사출이 완료된 후, 상 코어 구조물(250)과 하 코어 구조물(350)이 분리될 때, 하측 코어 핀(355)에 의해 사출 제품이 하방으로 힘을 받아 상 코어 구조물(250)에 들러붙지 않는다.
한편, 도 5 및 도 5a를 참조하면, 하 원판(300)은 하 밀판(420)에 구비된 밀핀(421)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핀 구멍(360)을 구비한다.
상기 밀핀 구멍(360)은 개별 밀핀(421)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지 않고, 복수의 밀핀(421)이 한꺼번에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즉, 하 원판(300)은 하 코어 구조물(350)이 설치되는 하부에 밀핀 구멍(360)을 구비하고, 이 밀핀 구멍(360)은 하 원판(300)의 저면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게 된다.
이러한 하 원판(300)의 구조에 의해, 제품 형상에 따라 새롭게 가공되는 코어 구조물(350)의 밀핀 삽입공(353)과 대응하도록 하 원판(300)의 밀핀 구멍(360)을 매번 새롭게 가공해야 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의 상 밀판(410)은 하 밀판(420)의 밀핀(421)이 통과하는 밀핀 통과 구멍(411)을 구비한다.
상기 밀핀 통과 구멍(411)은 하 코어 구조물(35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 밀판(410)의 구조 역시, 하 원판(300)과 마찬가지로, 제품 형상에 따라 새롭게 가공되는 하 코어 구조물(350)의 밀핀 삽입공(353)과 대응하도록 상 밀판(410)의 밀핀 통과 구멍(411)을 매번 새롭게 가공해야 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는 러너 플레이트(210, 310)와 원판(200, 300)을 독립적으로 가공하여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제품을 사출할 때마다 코어 내부에 러너 플레이트를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원판(200, 300) 내부의 코어(220, 320)에 코어 구조물(250, 350)을 직접 가공하지 않고, 별도로 가공함으로써, 새로운 제품을 사출할 때마다 코어 구조물(250, 350)만을 가공하면 되므로, 상 원판, 하 원판을 새롭게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조립체는 사출 제품과 상관없이 일부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 고정판 200: 상 원판
210: 상측 러너 플레이트 220: 상 코어
250: 상 코어 구조물 300: 하 원판
310: 하측 러너 플레이트 320: 하 코어
350: 하 코어 구조물 400: 밀판
410: 상 밀판 420: 하 밀판
430: 이젝터 500: 하 고정판
600: 다리

Claims (9)

  1. 상부 베이스 판넬인 상 고정판;
    상기 상 고정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 코어를 구비한 상 원판;
    상기 상 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하 코어를 구비한 하 원판;
    상기 하 원판의 하부에서 밀핀을 구비하여 상기 상 원판과 상기 하 원판이 분리되도록 하는 밀판;
    상기 밀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 고정판;
    상기 하 고정판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밀판이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
    상기 상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상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상측 러너 플레이트; 및
    상기 하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하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하측 러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러너 플레이트는 상기 상 코어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의 사출액 유입공을 구비하고,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 사출액 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사출액 유입로의 양측단에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상측 사출액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러너 플레이트는 상기 하 코어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상측 사출액 유입로와 대응되는 하측 사출액 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유입로의 양측단에는 상기 상측 사출액 배출공과 대응되는 하측 사출액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저면에 사출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상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상 코어 구조물; 및
    상면에 사출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 원판과 분리 가공되어 상기 하 코어 내부에 설치되는 하 코어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 코어 구조물은 사출 제품의 도장용 스핀들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상측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구멍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측 코어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 코어 구조물은 상기 상측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측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구멍의 하부에서 상부로 하측 코어 핀이 삽입되며, 상기 하측 코어 핀은 상기 상측 구멍까지 삽입되어 사출 제품이 상 코어 구조물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 코어 구조물의 측면에 사출액이 주입되는 게이트가 터널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 원판은 밀판의 밀핀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밀핀 구멍은 복수의 밀핀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상 밀판 및 하 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 밀판은 복수의 밀핀을 구비하고, 상기 상 밀판은 상기 밀핀이 통과하는 밀핀 통과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밀핀 통과 구멍은 상 코어 구조물 및 하 코어 구조물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조립체.
KR1020120050889A 2012-05-14 2012-05-14 금형 조립체 KR10138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89A KR101386090B1 (ko) 2012-05-14 2012-05-14 금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89A KR101386090B1 (ko) 2012-05-14 2012-05-14 금형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159A KR20130127159A (ko) 2013-11-22
KR101386090B1 true KR101386090B1 (ko) 2014-04-16

Family

ID=4985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889A KR101386090B1 (ko) 2012-05-14 2012-05-14 금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870B1 (ko) * 2020-12-18 2021-10-06 재단법인 자연드림씨앗재단 재활용수지를 이용한 성형금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772U (ko) * 1997-11-14 1999-06-05 전주범 3 플레이트 금형구조
KR20000009688A (ko) * 1998-07-28 2000-02-15 신경섭 사출금형의 러너 스트리퍼 플레이트 이형구조
KR100320608B1 (ko) * 2000-06-02 2002-02-06 나우주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KR200444792Y1 (ko) * 2007-11-03 2009-06-05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사출성형장치의 밀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772U (ko) * 1997-11-14 1999-06-05 전주범 3 플레이트 금형구조
KR20000009688A (ko) * 1998-07-28 2000-02-15 신경섭 사출금형의 러너 스트리퍼 플레이트 이형구조
KR100320608B1 (ko) * 2000-06-02 2002-02-06 나우주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KR200444792Y1 (ko) * 2007-11-03 2009-06-05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사출성형장치의 밀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159A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287Y1 (ko) 사출성형장치의 이젝팅 겸용 벤트 코어
KR101221408B1 (ko) 적층형 벤트코어가 장착된 사출성형 금형
KR101386090B1 (ko) 금형 조립체
US20210166893A1 (en) Monolithic remote control
JP2009143009A (ja) 2色成形方法
KR101646640B1 (ko) 내, 외측으로 이동되는 언더컷성형링을 갖는 사출금형
KR100909682B1 (ko) 오일 필터 성형용 금형
KR20070047160A (ko) 보조 성형부가 구비된 3단 사출금형
KR101797640B1 (ko) 좌우측방향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수직분할된 원판구조와 이의 록킹구조를 구비한 금형
CN211729971U (zh) 一种二次注塑模具
CN212241993U (zh) 一种悬浮式拼装地板用注塑模具
US11192178B2 (en) Mold
CN210148637U (zh) 一种汽车壳体模具
CN208529614U (zh) 一种拉环生产模具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KR200444792Y1 (ko) 사출성형장치의 밀핀
CN214645410U (zh) 顶针模具
KR101124343B1 (ko) 분할가능한 립형성코어를 가지는 사출금형
CN214026978U (zh) 多用型抽屉式注塑模架
WO2001078960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moulage par injection
KR101229309B1 (ko) 사출 금형
KR20200001229U (ko) 일체형 광학렌즈 몰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작된 광학 렌즈
CN205800067U (zh) 一种注塑模模架
KR20060090079A (ko) 사출금형의 배출장치
KR101402803B1 (ko) 내부구조를 가지는 금속부재 사출 성형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내부구조 성형틀,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속부재 사출 성형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금속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