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982B1 - 석유 코크스 보일러 - Google Patents

석유 코크스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982B1
KR101385982B1 KR1020120139985A KR20120139985A KR101385982B1 KR 101385982 B1 KR101385982 B1 KR 101385982B1 KR 1020120139985 A KR1020120139985 A KR 1020120139985A KR 20120139985 A KR20120139985 A KR 20120139985A KR 101385982 B1 KR101385982 B1 KR 101385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mbustion gas
boiler
petroleum cok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환
최효길
박만규
고정돈
서일황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9/00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 F22B9/10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the boiler body being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at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6Flue or fire tubes; Accessories therefor, e.g. fire-tube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9/00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 F22B9/18Component part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e.g. stay-bolt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7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returning solid combustion residues to the combustion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유 코크스를 원료로 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튜브에 점착되는 슬래그를 줄이고, 연소 중에 발생하는 미연탄을 재연소시켜,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석유 코크스 보일러{Petroleum Cokes Boiler}
본 발명은 석유 코크스를 원료로 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튜브에 점착되는 슬래그를 줄이고, 연소 중에 발생하는 미연탄을 재연소시켜,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 열병합발전소 등에 이용되는 보일러는 대부분 벙커-C유와 같은 중질유나 석탄 등을 사용한다. 벙커-C유는 석탄에 비해 열량이 높으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석탄은 벙커-C유에 비해 열량이 낮으나 가격이 싸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열량도 높은 석유 코크스(Petroleum Cokes, 이하 PC)를 이용하여 보일러를 운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저급 연료인 PC는 석유의 찌꺼기를 격렬하게 열분해(乾溜)시켜서 만든 다공질의 광택이 있는 코크스이다.
통상의 보일러는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가스를 통해 물이 유동하는 스크린 튜브를 가열하여 물을 증기로 상변화 시킨다. 상술된 PC를 원료로 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소가스의 온도가 섭씨1400~1600도이며, 상기 연소가스를 통해 스크린 튜브를 섭씨200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스크린 튜브 내를 유동하는 물의 온도를 섭씨 170~180도까지 가열하여 스팀화 하게 된다.
이때 PC 보일러의 연소가스에는 회분(ash)과 바나듐(vanadium)이 용해되어 유동하며, 연소가스가 스크린 튜브를 통과할 때, 낮은 온도의 스크린 튜브에 맞닿은 상기 회분과 바나듐이 응고하여 스크린 튜브에 슬러지 형태로 점착하게 된다. 스크린 튜브에 슬러지가 점착되고, 축적되면, 연소가스의 유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보일러 효율이 감소하고, 주기적인 슬러지 제거 작업이 요구되어 운용 효율 또한 감소된다.
또한, 석유 코르스를 연소시키게 되면 보일러 내부에 미연탄(Unburned Coal) 발생하여 적층되기 때문에 미연탄으로 인한 보일러 효율 감소 및 미연탄 제거 및 처리로 인한 운용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크린 튜브에 슬러지 점착을 방지하고, 미연탄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의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1122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가스의 온도를 1차적으로 낮출 수 있는 보조 튜브를 구비하여 스크린 튜브 도달 전에 슬러지를 응고시켜 제거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로워를 통해 미연탄의 적층을 방지하고, 미연탄을 순환시키기 위한 경로를 구비하여 미연탄을 재연소시키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연소가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스크린 튜브 배열 구조를 갖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석유 코크스 보일러는, 석유 코크스가 연소되며,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석유코크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가 생성되고 유동하는 유입 라인; 상기 유입라인의 하류단에 연통되며, 증기 발생을 위한 스크린 튜브가 배치되는 열교환 라인; 상기 열교환 라인의 하류단에 연통되며, 열교환된 상기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 및 상기 열교환 라인으로 유동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유입라인 상에 구비되는 보조 튜브;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 튜브의 상류단에 형성되는 상기 열교환 라인의 상류측은, 상기 스크린 튜브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튜브는, 상기 유입 라인의 하류측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류측은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며, 상류측이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하류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유입 라인 상의 상기 보조튜브의 상류단에는, 상기 연소가스에 추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2차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라인의 상류단과, 상기 스크린 튜브 사이의 바닥면에는, 퇴적되는 미연탄을 상방으로 분산시키도록 블로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석유 코크스 보일러는, 상기 미연탄을 연소시키기 위한 리사이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리사이클 수단은, 상기 유입라인과, 열교환 라인 사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호퍼; 일단이 상기 호퍼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라인의 상류단에 연통되는 리사이클 라인; 상기 호퍼로 유입되는 미연탄을 상기 리사이클 라인을 통해 상기 유입라인의 상류단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리사이클 라인 상에 구비되는 사이클론; 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스크린 튜브는, 복수 개가 배치되되,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가 직선을 이루도록, 연소 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간격보다, 연소 가스의 유동방향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PC 보일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크린 튜브의 슬러지 생성을 억제하여 연소가스의 유동이 원활해져 보일러의 효율이 상승한다. 또한 슬러지 생성으로 인한 제거 작업이 줄어들어 보일러 운용 효율도 상승한다.
둘째, 미연탄을 최소화 하여 연료 효율이 높아지고, 미연탄 제거 및 처리로 인한 비용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를 최우선으로 하는 스크린 튜브의 배열 구조를 통해 연소가스의 유동이 원활해져 보일러의 효율이 추가적으로 상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PC 보일러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PC 보일러의 연소가스 유입부 작동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PC 보일러의 미연탄 순환 작동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PC 보일러 열교환부 작동 단면도
석유 코크스 연소 시 연소가스에는 회분과 바나듐이 포함된다. 보일러 내에서의 연소가스 온도는 섭씨 1400~1550도이고, 회분의 용해온도는 섭씨 1200도, 바나듐은 섭씨 650도이기 때문에 보일러 내부를 유동하는 연소가스에 회분과 바나듐이 용해된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연소가스에 포함된 회분과 바나듐은 섭씨200~300도의 스크린 튜브를 만나면 용해온도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응고되며, 끈끈한 성질의 바나듐이 스크린 튜브에 점착되고, 바나듐에 회분이 점착되어 축적된다. 스크린 튜브에 응고되는 바나듐과 회분은 슬러지로 통칭되며, 스크린 튜브에 축적되는 슬러지로 인해 연소가스의 유동을 막아 보일러 효율 저하될 뿐 아니라 보일러의 가동을 중단해야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일러 내 스크린 튜브의 전단에 추가적인 보조 튜브를 구비한다. 상기 보조 튜브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대략 섭씨 800~900도 정도로 냉각시키게 되며, 이를 이용해 추가적인 스팀의 생산도 가능하다. 스크린 튜브에 연소가스가 도달하기 전에 연소가스의 온도가 상기와 같이 떨어지면, 섭씨 1200도의 용해 온도를 갖는 회분이 응고하여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며, 스크린 튜브에 바나듐이 응고하여 점착된다 하더라도 슬러지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회분이 점착되지 않아 슬러지의 생성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석유 코크스 연소 시에는 연소되지 않은 미연탄이 보일러 내에 퇴적되는데, 미연탄 퇴적부에 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를 구비하여 미연탄의 연소를 촉진시키고, 블로워에 의해 이동된 미연탄을 수집하고 연소기 인근으로 재유입시키기 위한 리사이클 경로를 구비하여 미연탄 발생을 최소화하고, 보일러 효율을 높이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크린 튜브를 배열함에 있어서, 열교환 면적을 넓이기 위한 지그재그식 배치를 배제하고, 연소가스의 유동경로를 최대한 확보하여 슬러지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열교환 면적을 넓힘으로 인해 증가되는 열교환 효율보다 우수한 열교환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PC 보일러의 일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PC 보일러(100)는, 유입라인(L10)과, 유입라인(L20)의 하류단에 형성되는 열교환 라인(L20)과, 열교환 라인(L20)의 하류단에 형성되는 배출라인(L30)을 포함한다. 유입라인(L10) 상에는 연료유입구(101), 1차 공기주입구(103), 2차 공기주입구(104), 보조 튜브(110) 및 블로워(130)가 형성된다. 유입라인(L10)과 열교환 라인(L20) 사이에는 리사이클 수단(120, 121, 122)이 형성된다. 열교환 라인(L20) 상에는 스크린 튜브(150)가 배치된다. 배출라인(L30)의 하류단에는 연소가스 배출구(102)가 형성된다.
유입라인(L10)은 연소 가스를 생성하여 하류단에 형성되는 열교환 라인(L20)으로 연소가스의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입라인(L10)은 수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유입라인(L10)은 상류단에 형성되는 연료 유입구(101)로부터 석유 코크스를 공급받는다. 상기 연료는 유입라인(L10) 상의 상류단 인접부에 형성되는 1차 공기주입구(103)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가스를 생성한다. 또한 1차 공기주입구(103)에서 하류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2차 공기 주입구(104)에서 추가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가스를 추가 연소시킨다. 이는 유입라인(L10)상의 공기 주입을 분배하고, 순차적으로 주입시켜 연료가스의 초기 점화 시 급격한 온도 상승을 막아 유입라인(L10) 상류측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입라인(L10)의 하류측에는 보조 튜브(110)가 구비된다. 유입라인(L10)을 통해 유동하는 연소가스는 보조튜브(110)와 접촉하여 1차 열교환 함으로써 회분의 용해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회분이 응고된 연소가스가 열교환 라인(L20)으로 공급된다.
열교환 라인(L20)은 응고된 회분을 연소가스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류측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형성되는 상류단이 유입라인(L10)의 하류단에 연통되고, 상측에 스크린 튜브(150)가 배치된다. 따라서 연소가스 보다 비중이 높은 회분은 열교환 라인(L20)의 상류단 하측 바닥면에 수집되며, 회분이 제거된 연소가스가 상방으로 회동 스크린 튜브(150)를 통과한다. 스크린 튜브(150)와 열교환된 연소가스는 열교환 라인(L20)의 하류단에 연통되는 배출 라인(L30)을 따라 배출라인(L30)의 하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라인(L30)은 연소가스를 하방으로 유도한 후 절곡부를 통해 상방으로 다시 유도하여 배출구(102)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단면이 'U' 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PC 보일러(100)의 세부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유입라인(L10) 파트, 리사이클 수단(120, 121, 122) 파트 및 스크린 튜브(150) 파트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입라인(L10) 상에는 연소 가스가 도면상의 우측(상류측)에서 좌측(하류측)으로 유동된다. 주입된 연료는 1차 공기주입구(103)로 공급되는 소량의 공기를 통해 퓨일리치(Fuel Rich) 상태로 생성되고, 2차 공기주입구(140)로 공급되는 공기를 통해 추가 연소된다. 이때 연소가스는 유입라인(L10)의 하류측에 형성되는 보조 튜브(110)와 1차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 보조 튜브(110)는 물을 증기로 상변화 시키기 위한 통상의 수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튜브(110) 다수의 튜브 열로 이루어지며, 상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튜브(111)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튜브(1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튜브(112)는 유입라인(L10)의 하류측 바닥면을 따라 상류측으로 일정거리 배치될 수 있다. 제1 튜브(111)는 제2 튜브(112)의 상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하류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튜브(111)의 구성을 통해 연소되지 않은 미연탄이 보조튜브(110)의 상류측에만 적층되도록 하고, 제1 튜브(111)를 통과하는 연소가스 및 미연탄이 와류현상으로 인해 제2 튜브(112)의 상단에 적층되기 않고, 유입라인(L10)의 하류로 전달되도록 한다. 보조 튜브(110)를 통과한 연소가스는 회분이 응고될 정도의 온도로 냉각되며, 회분이 응고된 상태의 연소가스를 열교환 라인(L20)에 공급한다.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열교환 라인(L10)의 상류측에 공급된 회분과 연소가스 중 회분은 열교환 라인(L20)의 상류단 바닥면에 수집되고, 연소가스는 열교환 라인(L10)의 하류측을 향해 상승한다. 보조 튜브(110)의 상류측에 적층되는 미연탄은 유입라인(L10) 상의 보조 튜브(110) 상류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블로워(130)를 통해 상방으로 분산된다. 블로워(130)는 압력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블로워가 적용되며, 다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블로워(130)를 통해 상승된 미연탄은 연소가스와 혼합되어 연소되거나, 열교환 라인(L20)의 상류단 바닥에 회분과 함께 수집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PC 보일러(100)는 스크린 튜브(150) 까지 회분이 전달되는 것을 막아 스크린 튜브(150)에 생성되는 슬러지를 억제하여 슬러지 청소에 따른 비용과 시간 손실 방지 및 연소 가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보일러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튜브(110)를 통해 추가적인 증기 생산이 가능한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열교환 라인(L20)의 상류측 바닥면에 수집되는 회분과, 미연탄을 유입라인(L10)의 상류단으로 재공급하기 위한 리사이클 수단(120, 121, 122)이 도시되어 있다. 리사이클 수단은 호퍼(120), 사이클론(121) 및 리사이클 라인(122)으로 구성된다. 호퍼(120)는 열교환 라인(L20)의 상류측 바닥면에 형성된다. 호퍼(120)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통상의 호퍼가 적용될 수 있다. 호퍼(120)의 하단은 리사이클 라인(122)의 일단에 연통된다. 리사이클 라인(122)은 상기 회분과 미연탄을 유입라인(L10)의 상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상의 관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리사이클 라인(122) 타단(122b)은 유입라인(L10)의 상류단에 연통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라인(L10)의 원료 유입구(101)에 인접하여 연통될 수 있다. 리사이클 라인(122) 상에는 사이클론(121)이 구비된다. 사이클론(121)은 회분과 미연탄을 리사이클 라인(12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통상의 사이클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130)를 통해 상승 분산된 미연탄은 연소되거나, 연소가스를 따라 유동하여 호퍼(120)에 수집되고, 호퍼(120)에 수집된 미연탄 및 회분은 사이클론을 통해 리사이클 라인(122)을 따라 유입라인(L10)의 상류단으로 재공급되고, 재연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PC 보일러(100)는 미연탄의 생성을 감소시켜 미연탄 처리에 따른 비용 및 시간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미연탄 재연소를 통해 보일러 효율 증대라는 부수적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연소가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스크린 튜브(150)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열교환 라인(L20)을 따라 상승한 연소가스는 스크린 튜브(150)를 통과한 후 배출 라인(L30)을 따라 하강하며, 이때 스크린 튜브(150)는 연소가스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스크린 튜브(150)는 다수 개가 열을 이루어 배치된다. 스크린 튜브(150)는 제1 열튜브 내지 제4 열튜브(151, 152, 153, 154)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열튜브 내지 제4 열튜브(151, 152, 153, 154)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제1 열튜브 내지 제4 열튜브(151, 152, 153, 154)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에 직교하여 일정거리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열튜브 내지 제4 열튜브(151, 152, 153, 154)의 이격거리 만큼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크린 튜브(150)와 연소가스의 열교환 면적을 넓이기 위해 튜브를 지그재그 형으로 배치될 때보다, 연소가스의 유동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더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튜브의 열을 4개, 각 열당 튜브의 수가 3개로 도시하였으나, 연소가스의 열량 및 수증기 요구량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석유 코크스 보일러
101 : 연료 유입구 102 : 연소가스 배출구
103 : 1차 공기주입구 104 : 2차 공기주입구
110 : 서브 튜브
120 : 호퍼 121 : 사이클론
122 : 리사이클 라인
130 : 블로워
150 : 스크린 튜브
L10 : 유입라인 L20 : 열교환 라인
L30 : 배출라인

Claims (8)

  1. 삭제
  2. 석유 코크스가 연소되며,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석유코크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가 생성되고 유동하는 유입 라인;
    상기 유입라인의 하류단에 연통되며, 증기 발생을 위한 스크린 튜브가 배치되는 열교환 라인;
    상기 열교환 라인의 하류단에 연통되며, 열교환된 상기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 및
    상기 열교환 라인으로 유동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유입라인 상에 구비되는 보조 튜브;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튜브의 상류단에 형성되는 상기 열교환 라인의 상류측은, 상기 스크린 튜브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3. 석유 코크스가 연소되며, 연소가스의 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석유코크스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가 생성되고 유동하는 유입 라인;
    상기 유입라인의 하류단에 연통되며, 증기 발생을 위한 스크린 튜브가 배치되는 열교환 라인;
    상기 열교환 라인의 하류단에 연통되며, 열교환된 상기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라인; 및
    상기 열교환 라인으로 유동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유입라인 상에 구비되는 보조 튜브;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튜브는,
    상기 유입 라인의 하류측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류측은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튜브는,
    상류측이 상방으로 연장 배치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하류측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라인 상의 상기 보조튜브의 상류단에는,
    상기 연소가스에 추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2차 공기 주입구가 형성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의 상류단과, 상기 스크린 튜브 사이의 바닥면에는,
    퇴적되는 미연탄을 상방으로 분산시키도록 블로워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 코크스 보일러는, 상기 미연탄을 연소시키기 위한 리사이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리사이클 수단은,
    상기 유입라인과, 열교환 라인 사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호퍼;
    일단이 상기 호퍼에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라인의 상류단에 연통되는 리사이클 라인;
    상기 호퍼로 유입되는 미연탄을 상기 리사이클 라인을 통해 상기 유입라인의 상류단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리사이클 라인 상에 구비되는 사이클론;
    을 포함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8.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튜브는,
    복수 개가 배치되되, 연소가스의 유동 경로가 직선을 이루도록, 연소 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간격보다, 연소 가스의 유동방향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되는, 석유 코크스 보일러.
KR1020120139985A 2012-12-05 2012-12-05 석유 코크스 보일러 KR101385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85A KR101385982B1 (ko) 2012-12-05 2012-12-05 석유 코크스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85A KR101385982B1 (ko) 2012-12-05 2012-12-05 석유 코크스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982B1 true KR101385982B1 (ko) 2014-04-16

Family

ID=5065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985A KR101385982B1 (ko) 2012-12-05 2012-12-05 석유 코크스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6734A (zh) * 2018-05-08 2018-10-09 阜阳安固锅炉压力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锅炉压力容器排污余热回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23B2 (ja) * 1987-04-09 1994-03-02 ゼネラル モータ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石炭燃焼装置
KR20030024544A (ko) * 2002-03-12 2003-03-26 표안설 쌍둥이 코크스 보일러
KR100713242B1 (ko) * 2005-12-12 2007-05-02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증기 보일러
KR101153930B1 (ko) 2012-01-13 2012-06-08 주)썬텍에너지 석유코크스 연소 시스템 및 그 연소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23B2 (ja) * 1987-04-09 1994-03-02 ゼネラル モータ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石炭燃焼装置
KR20030024544A (ko) * 2002-03-12 2003-03-26 표안설 쌍둥이 코크스 보일러
KR100713242B1 (ko) * 2005-12-12 2007-05-02 주식회사리젠코리아 증기 보일러
KR101153930B1 (ko) 2012-01-13 2012-06-08 주)썬텍에너지 석유코크스 연소 시스템 및 그 연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6734A (zh) * 2018-05-08 2018-10-09 阜阳安固锅炉压力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锅炉压力容器排污余热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2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Firing of Biomass and Other Solid Fuels for Steam Production and Gasification
RU2459659C1 (ru) Котел с циркулирующим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US7461604B2 (en) Starved air inclined hearth combustor
US9958153B2 (en) Upside-down type low NOx boiler
JP4859798B2 (ja) ボイラ装置及びボイラ装置の改造方法
KR100910644B1 (ko) 고형연료 연소장치
KR101385982B1 (ko) 석유 코크스 보일러
CN102537941A (zh) 一种纯烧低热值煤矸石的循环流化床锅炉技术
CN205979803U (zh) 交替运动式炉排垃圾焚烧炉
CN202647697U (zh) 中型燃水煤浆锅炉
CN207674464U (zh) 一种水冷炉排的水路布置结构
JP6315178B2 (ja) 排煙脱硝装置
CN201521950U (zh) 带内置式旋风上排气高温分离器的循环流化床锅炉
CN210568368U (zh) 一种生物质成型燃料半气化燃烧承压锅炉
KR20160008283A (ko) 보일러 일체형 기포유동층 연소로
CN102818247A (zh) 一种高效煤粉气化与煤粉复合燃烧蒸汽锅炉
CN202470044U (zh) 低速流化床和低热值废气混燃装置
JP5498434B2 (ja) バイオマス燃焼ボイラ
CN201983257U (zh) 循环流化床炉膛内置式分离器
JP4756154B2 (ja) 流動床炉
EP2997307B1 (en) Arrangement and method in boiler using fluidized-bed technology
CN220958446U (zh) 一种快装新型生物质流化床气化锅炉
KR101496299B1 (ko) 열매체 보일러와 스팀 보일러 복합형 고형연료 보일러
CN203148019U (zh) 一种高效煤粉气化与煤粉复合燃烧热水锅炉
CN202598493U (zh) 一种纯烧低热值煤矸石的循环流化床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