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602B1 -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 Google Patents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602B1
KR101384602B1 KR1020130017938A KR20130017938A KR101384602B1 KR 101384602 B1 KR101384602 B1 KR 101384602B1 KR 1020130017938 A KR1020130017938 A KR 1020130017938A KR 20130017938 A KR20130017938 A KR 20130017938A KR 101384602 B1 KR101384602 B1 KR 10138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ngle
unit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웨어
Priority to KR102013001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조절부 및 각도조절부에 의해 터치스크린 테이블의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되어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테이블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터치스크린이 수용되는 스크린수용부, 스크린수용부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 스크린수용부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의 평행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수용부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동일하게 구성된 위치신축유닛과 각도신축유닛에 의해 테이블의 위치와 각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하다.

Description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ELECTRIC MULTI TOUCH TABLE}
본 발명은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조절부 및 각도조절부에 의해 테이블의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되어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테이블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그 위치가 파악되어 입력되는 스크린을 말한다.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없이 손으로 스크린을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그 사용분야가 스마트폰 중심의 소형 분야에서 태블릿, 노트북, TV, 터치스크린 테이블 등의 중, 대형 분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 중 터치스크린 테이블은 상면에 테이블 모양의 대형 터치패널이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테이블로, 테이블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의 테이블 및 메뉴선택이 가능한 식당 테이블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터치스크린 테이블은 단순하게 테이블 상면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테이블의 상단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한 예로서, 터치스크린 테이블을 회의테이블로 적용할 경우 소수의 인원이 테이블에 앉아서 테이블 상면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회의를 할 수는 있지만 다수의 인원이 회의에 참석할 경우 모든 인원이 테이블 상면의 터치스크린을 볼 수 없어 그 사용에 제약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테이블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6101호에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조절 및 높낮이조절을 위한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각도조절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의 고정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0)의 저면에 로터리샤프트(22), 회전블럭(23) 및 유압실린더(24)가 설치된다.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후진하면 회전블럭(23)의 가이드핀(23a)이 로터리샤프트(22)의 가이드홈(22a)을 따라 이동하여 로터리샤프트(22)가 회전하고, 로터리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의 고정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다단으로 된 하우징(31)내에 유압실린더(33)와 크로스링크(32)가 설치된다.
하우징(31)은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다단으로 되어있고 하우징(31)내에는 유압실린더(33)의 로드 전후진에 따라 절첩되는 크로스링크(32)가 있어 크로스링크(32)의 승하강에 따라 다단의 하우징(31)이 함께 승하강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기계적 구성의 복잡함, 사고가능성, 동작의 한계성 등을 보유하고 있는데 먼저 기계적 구성을 살펴보면, 주요하게 로터리샤프트, 회전블럭, 유압실린더, 크로스링크, 유압라인 및 유압펌프로 구성된다.
즉,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로터리샤프트, 회전블럭 및 유압실린더가 구비되고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유압라인 및 유압펌프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
그리고 크로스링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각도조절부 및 하우징을 승하강하기 때문에 크로스링크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링크의 크기가 커지고 고압의 유압실린더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크로스링크와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유압라인 및 유압펌프를 하우징 내부에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사고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면, 높낮이조절부에서 크로스링크와 다단의 하우징은 절첩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힌지 연결부에서의 고장이 발생하기 쉬우며 힌지 연결부 고장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가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유압라인의 누유 등에 의해 공급된 유압이 급격히 상쇄되는 경우 낙하하여 파손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동작의 한계성에 대해 살펴보면, 디스플레이가 수평인 상태 또는 수직인 상태에서의 높낮이만 조절가능하고 경사진 상태에서 경사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높낮이는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절첩된 크로스링크와 다단의 하우징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다단의 힌지연결부가 구성되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성이 단순하여 테이블의 각도 및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터치스크린(110)이 수용되는 스크린수용부(100), 스크린수용부(100)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00), 스크린수용부(100)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100)의 평행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300), 일단은 상기 지지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수용부(100)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동일하게 구성된 각도신축유닛과 위치신축유닛에 의해 테이블의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되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하다.
또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와 신축유닛을 통해 테이블의 각도와 위치가 조절되어 구동시 소음 발생이 현저히 감소되며, 이에 따라 구동에 따른 기계적 메커니즘이 단순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구동장치에 필요한 공간이 크지 않아 소형화 및 다양한 형상으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경사진 상태에서 경사면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테이블의 설치환경 및 사용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 하단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낮이조절을 위한 구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조립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조립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위치신축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조절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각도조절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구성이 단순하여 터치스크린 테이블의 각도 및 높이에 따른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조립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조립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스크린수용부(100), 지지부(200), 위치조절부(300), 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테이블이라 명칭한다.
스크린수용부(100)는 터치스크린이 수용되어 테이블의 상면을 이루는 것으로 터치스크린(110), 스크린지지대(120), 프레임(130), 환기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스크린(110)은 손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크린으로 공지된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린지지대(120)는 터치스크린(11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내부에 터치스크린(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스크린지지대(120)의 상면이 열려있고 측면과 하면에는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다.
스크린지지대(120)는 스크린고정앵글(121) 및 스크린고정바(122)에 의해 터치스크린(110)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고정앵글(121)은 단면이 L자 모양으로 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측면은 터치스크린(110)의 측면에 연결되고 하면은 스크린지지대(120)의 바닥면에 볼트로 결합된다.
또한 스크린고정앵글(121)은 두 개로 구성되어 터치스크린(110)의 양측면에 연결된다.
스크린고정바(122)는 스크린고정앵글(121)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스크린지지대(120)의 바닥면에 볼트로 결합된다.
이때 스크린고정바(122)는 두개 이상 설치되어 터치스크린(110)이 지지되도록 한다.
프레임(130)은 스크린지지대(120)의 측면을 감싸서 테이블의 외형을 이루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30)의 일측면에 탭홀이 형성되어 스크린지지대(120)와 볼트로 결합되며, 프레임(130)의 단면은 반달모양 또는 직사각형 모서리가 둥근모양 등으로 형성되어 테이블의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도록 한다.
환기구(140)는 스크린지지대(120)의 하면에 결합되어 터치스크린(110)의 발열을 해소한다.
바람직하게, 스크린지지대(120)의 하면에 환기구(140)를 설치하여 터치스크린(110)의 배면에서 발생하는 열이 스크린고정바(122)에 의해 생긴 공간으로부터 환기구(140)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200)는 스크린수용부(100) 하부에 설치되며 제어박스(210), 고정다리(220) 및 이동바퀴(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박스(210)는 내부에 각도조절부(400)가 수용되며, 위치조절부(300), 각도조절부(400) 및 터치스크린(11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박스이다.
위치조절부(300) 및 각도조절부(400)는 아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박스(210)의 정면에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를 형성하고 제어박스(210)의 상면에는 각도조절부(400)의 이동범위와 케이블의 두께 및 수량을 고려하여 홀(211)을 형성한다.
제어박스(210)의 배면에는 위치조절부(300), 각도조절부(400) 및 터치스크린(110)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각도조절부(400)의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이 제어박스(210)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환기구를 형성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제어박스(210) 내부에 수용되는 각도조절부(400) 및 케이블의 위치에 따라 한 개 이상의 도어를 형성하거나 제어박스(210)의 배면에도 도어를 형성하여 사용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210)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하단 플레이트(212)의 일부분이 아래로 튀어나오도록 형성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도조절부(400)의 각도신축유닛(420)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튀어나오도록 형성된 부분에 다수의 탭홀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하브래킷(41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다리(220)는 제어박스(21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제어박스(210) 및 스크린수용부(100)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고정다리(220)는 양끝단이 둥글고 일정두께를 가지면서 내부가 비어있도록 형성되어 무게가 무겁지 않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사각형이나 원형 단면을 가진 파이프가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된 형상 등 고정다리의 형상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동바퀴(230)는 고정다리(220) 하부에 네 개 이상 결합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이동바퀴(230)에 바퀴의 회전을 막을 수 있는 스타퍼를 장착하거나 지면이 수평하지 않은 곳에 테이블을 설치시 테이블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높이조절바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치조절부(300)는 스크린수용부(100)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100)의 평행이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이드(310,311), 가이드고정대(312,313), 위치고정대(320), 고정바(330), 회전바(340), 위치조절부연결바(350) 및 위치신축유닛(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310,311)는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탭홀이 형성된다.
가이드고정대(312,313)는 단면이 ㄱ자 모양으로 되어 가이드(310,311)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면과 측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가이드(310,311) 및 가이드고정대(312,313)는 각각 두 개씩 구성되고 가이드(310)은 가이드고정대(312)와 볼트로 결합되고 가이드(311)은 가이드고정대(313)과 볼트로 결합된다.
결합된 가이드(310,311)와 가이드고정대(312,313)는 가이드고정대(312,313)의 상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스크린지지대(120) 하부에 볼트로 결합되어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가이드(310,311)와 가이드고정대(312,313)는 한 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대(320)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두 개로 구성되고 가이드(310,311)에 각각 맞물려 가이드(310,311)를 따라 이동된다.
고정바(330)는 위치고정대(320)와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다수의 탭홀이 형성되며,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위치고정대(320)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고정바(330)는 고정바(330)의 일측면이 위치고정대(320)의 끝단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서 결합되며, 고정바(330)의 타측면에는 다수의 탭홀이 형성되어 우브래킷(331)과 볼트로 결합된다.
우브래킷(331)은 ㅓ자 단면으로 되어 일정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을 통해 고정바(330)의 일측면에 볼트로 결합되고, 상면에 홀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위치신축유닛(360)과 결합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고정바(330)의 일측면이 위치고정대(320)의 끝단에 맞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바(340)는 위치고정대(320)와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정두께를 가지며 양측면에 힌지홀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회전바(340)는 두 개로 구성되어 고정바(330)가 연결된 방향에 있는 위치고정대(320)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위치조절부연결바(350)는 고정바(330)가 설치되지 않은 방향의 위치고정대(320) 끝단에 맞닿아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위치조절부연결바(350)는 사각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탭홀을 통해 스크린지지대(120) 하부에 볼트로 결합된다.
또한 위치조절부연결바(350)의 일측면에는 좌브래킷(351)이 볼트로 결합된다.
좌브래킷(351)은 ㅏ자 단면으로 되어 일정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측면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위치조절부연결바(350)의 일측면에 볼트로 결합되고, 상면에 홀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위치신축유닛(360)과 결합된다.
이때 좌브래킷(351)은 우브래킷(331)과 수평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위치신축유닛(36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드가 신축되어 길이조절되는 것으로 모터(361), 축기어(362), 로드(363) 및 하우징(3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위치신축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모터(361)는 전압이 인가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모터의 일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다.
축기어(362)의 일단에는 모터(361)의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기어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로드(363)의 일단에는 축기어(362)의 암나사와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위치조절부연결바(35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좌브래킷(35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하우징(364)은 내부에 축기어(362), 로드(363), 모터(361)의 피니언 기어가 수용되는 것으로, 하우징(364) 일단의 측면에서 베어링, 스냅링 및 볼트를 이용하여 모터(361)와 연결된다.
그리고 하우징(364)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 및 스냅링을 이용하여 축기어(362)와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364)의 하부에는 돌출부(365)가 구비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우브래킷(33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위치신축유닛(36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모터(361)가 회전되면 축기어(362)가 모터(361)의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고 축기어(362)의 회전에 의해 로드(363)도 회전된다.
하지만 로드(363)의 일단이 좌브래킷(351)과 볼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363)는 회전 대신 직선이동된다.
즉, 모터(361)의 회전력이 축기어(362)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축기어(362)에 의해 축기어(362)에 나사결합된 로드(363)가 하우징(364)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어 신축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위치신축유닛(360)의 구성 및 구동방법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와 축기어가 직접 연결되어 로드를 신축시키거나, 랙과 피니언, 베벨기어 및 웜과 웜기어로 구성되어 로드를 신축시킬 수 있다.
인커버(370)와 아웃커버(371)는 가이드(310,311), 가이드고정대(312,313),
위치고정대(320), 고정바(330), 회전바(340), 위치조절부연결바(350) 및 위치신축유닛(360)을 내부에 포함하는 케이스이다.
바람직하게, 인커버(370)는 위치고정대(320)에 결합되고 아웃커버(371)는 스크린지지대(120)에 결합된다.
각도조절부(400)는 스크린수용부(100)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브래킷(410), 하브래킷(411), 각도신축유닛(420), 받침대(430) 및 회전지지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브래킷(410)은 ㅜ자 단면으로 되어 일정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상면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고정바(330)의 하면에 결합되고 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도신축유닛(420)과 결합된다.
하브래킷(411)은 ⊥자 단면으로 되어 일정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측면에 홀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각도신축유닛(420)과 결합된다. 또한 하면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제어박스(210)의 하단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결합되는데 이때 하브래킷(411)은 상브래킷(410)과 수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각도신축유닛(42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로드가 신축되어 길이조절되는 것으로 모터, 축기어, 로드 및 하우징을 포함하며, 위치신축유닛(360)과 동일하게 구성 및 구동된다.
다만, 로드의 일단에 형성된 홀은 상브래킷(410)과 힌지결합되고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에 형성된 홀은 하브래킷(411)과 힌지결합된다.
받침대(430)는 단면이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어박스(2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때 받침대(430)의 길이는 제어박스(210) 정면부의 가로길이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며, 받침대(430)의 길이방향 일측면이 제어박스(210)의 정면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받침대(430)는 제어박스(210)와 용접결합되거나 L자 형상의 브래킷으로 볼트결합될 수 있다.
회전지지대(440)는 받침대(430)의 상면에 결합되고 위치조절부(300)의 회전바(340)와 힌지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지지대(440)는 단면이└┘형상으로 되어 일정높이를 가지며 회전지지대의 양측면에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회전바(340)와 힌지결합된다.
또한 회전지지대(440)는 회전바(340)와 동일 수량으로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회전바(340)와 회전지지대(440)는 두 개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위치 조절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위치조절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을 참고로 설명한다.
위치신축유닛(360)의 일단은 고정바(330)와 결합되고 타단은 위치조절부연결바(350)와 결합된다.
고정바(330)는 위치고정대(320)와 결합되고 위치고정대(320)는 회전바(340)및 회전지지대(440)의 힌지결합부를 통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어박스(210)와 연결된다.
즉 위치신축유닛(360)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길이조절되면, 고정바(330)는 제어박스(210)와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조절부연결바(350)가 이동된다.
한편 가이드(310,311), 가이드고정대(312,313) 및 위치조절부연결바(350)는 스크린지지대(120) 하부에 결합되어 스크린지지대(120)가 포함되는 스크린수용부(100)와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바(330)가 결합된 위치고정대(320)는 가이드(310,311) 및 가이드고정대(312,313)와 맞물려 이동된다.
따라서 위치신축유닛(360)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길이조절되면, 위치조절부연결바(350)와 연결되어 있는 스크린수용부(100)가 가이드(310,311)와 맞물려있는 위치고정대(320)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의 각도 조절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각도조절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고로 설명한다.
각도신축유닛(420)의 일단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제어박스(210)와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바(330)에 힌지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각도신축유닛(420)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길이조절되면, 제어박스(21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바(330)가 이동된다.
한편 고정바(330)는 위치고정대(320)와 결합되고 위치고정대(320)는 스크린수용부(100)와 결합된 가이드(310,311) 및 가이드고정대(312,313)와 맞물려있다. 따라서 고정바(330)가 이동되면 스크린수용부(100)가 이동된다.
또한 스크린수용부(100)와 제어박스(210)는 회전바(340)와 회전지지대(440)의 힌지결합부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각도신축유닛(420)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길이조절되면, 고정바(330) 및 스크린수용부(100)는 회전바(340)와 회전지지대(440)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이동되어 테이블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은 위치조절부(300) 및 각도조절부(400)에 의해 테이블의 위치 및 각도가 조절되어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테이블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3 내지 도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스크린수용부 110: 터치스크린
120: 스크린지지대 121: 스크린고정앵글
122: 스크린고정바 130: 프레임
140: 환기구 200: 지지부
210: 제어박스 211: 홀
212: 하단 플레이트 220: 고정다리
230: 이동바퀴 300: 위치조절부
310,311: 가이드 312,313: 가이드고정대
320: 위치고정대 330: 고정바
331: 우브래킷 340: 회전바
350: 위치조절부연결바 351: 좌브래킷
360: 위치신축유닛 361: 모터
362: 축기어 363: 로드
364: 하우징 365: 돌출부
370: 인커버 371: 아웃커버
400: 각도조절부 410: 상브래킷
411: 하브래킷 420: 각도신축유닛
430: 받침대 440: 회전지지대

Claims (5)

  1. 터치스크린(110)이 수용되는 스크린수용부(100);
    상기 스크린수용부(100)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00);
    상기 스크린수용부(100)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100)의 평행이동을 조절하는 위치조절부(300);
    일단은 상기 지지부(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린수용부(100)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크린수용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절부(300)와 각도조절부(400)는 모터(361)의 구동에 의해 로드(363)가 신축되어 길이조절되며,
    위치조절부(300)는 회전바(340)를 포함하고,
    각도조절부(400)는 상기 회전바(340)와 힌지연결되는 회전지지대(44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수용부(100)는 각도조절부(400)에 의해 회전바(340)와 회전지지대(440)의 힌지연결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각도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300)는
    ㄷ자 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310, 311);
    상기 한 쌍의 가이드(310, 311)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수용부(100)에 구성된 스크린지지대(120)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고정대(312, 313);
    상기 한 쌍의 가이드(310, 311)에 각각 슬라이딩되는 위치고정대(320);
    상기 위치고정대(320)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바(330);
    상기 고정바(3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위치고정대(32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어 길이조절되는 위치신축유닛(360);
    상기 위치신축유닛(360)의 타단에 연결되고 스크린지지대(120) 하부에 결합되는 위치조절부연결바(350);
    상기 위치고정대(320)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회전지지대(440)에 힌지연결되는 회전바(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각도조절부(400)가 수용되는 제어박스(210);
    상기 제어박스(210)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하단 플레이트(212); 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상기 고정바(330) 하부에 연결되는 상브래킷(410);
    상기 하단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연결되되 상기 상브래킷(410)과 수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하브래킷(411);
    상기 상브래킷(410)과 하브래킷(411)에 힌지결합되는 각도신축유닛(4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치신축유닛(360)과 각도신축유닛(420)은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가 구비되는 모터(361);
    상기 모터(361)의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축기어(362);
    상기 축기어(362)에 연결되는 로드(363);
    상기 모터(361)의 피니언 기어, 축기어(362) 및 로드(363)가 수용되는 하우징(36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하부에 이동바퀴(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KR1020130017938A 2013-02-20 2013-02-20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KR10138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38A KR101384602B1 (ko) 2013-02-20 2013-02-20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938A KR101384602B1 (ko) 2013-02-20 2013-02-20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602B1 true KR101384602B1 (ko) 2014-04-11

Family

ID=5065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938A KR101384602B1 (ko) 2013-02-20 2013-02-20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0154A1 (fr) * 2014-04-17 2015-10-23 Naaman Boutighane Surface tact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0682A (ja) 2004-10-15 2006-04-27 Sankyo Mfg Co Ltd 回転テーブル装置
JP2008512133A (ja) 2004-08-12 2008-04-24 ボーベル,ウィースロー 電動式リフト装置
KR100904493B1 (ko) 2008-10-01 2009-06-24 탐투스 주식회사 테이블용 모니터 틸팅장치
KR20120034522A (ko) *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2133A (ja) 2004-08-12 2008-04-24 ボーベル,ウィースロー 電動式リフト装置
JP2006110682A (ja) 2004-10-15 2006-04-27 Sankyo Mfg Co Ltd 回転テーブル装置
KR100904493B1 (ko) 2008-10-01 2009-06-24 탐투스 주식회사 테이블용 모니터 틸팅장치
KR20120034522A (ko) *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스크린 프린터 작업 테이블의 상하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0154A1 (fr) * 2014-04-17 2015-10-23 Naaman Boutighane Surface tact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3292B2 (en) Electric lifting media wall
KR100814059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조절장치
CN205432741U (zh) 一种多功能计算机课桌
US20180295982A1 (en) Furniture having height-adjustable top panels
KR101384602B1 (ko) 전동 멀티 터치 테이블
CN205606101U (zh) 一种超薄液晶显示器升降一体机
KR101164483B1 (ko) 테이블형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16081A (ja) 薄型モニターを備えたボード
KR200430156Y1 (ko) 컴퓨터용 책상
KR101229933B1 (ko) 모니터의 스탠드 구조
CN210691864U (zh) 多功能媒体墙
CN203676430U (zh) 讲桌
CN110469755B (zh) 一种显示装置
CN210662097U (zh) 一种高度以及角度调整的计算机显示器支架
JP6692127B2 (ja) 天板昇降式什器
CN203969657U (zh) 三段式操作台
KR20160071020A (ko)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CN202548797U (zh) 一种触摸屏图像捕获模组及触摸屏
CN203809968U (zh) 多显示器多角度壁挂架
CN211672933U (zh) 思想政治教学用讲台
CN214927021U (zh) 机架、折线治具及折线设备
CN203606735U (zh) 一种双转轴可翻转的上架式显示器
CN215215655U (zh) 一种160度超广视角led显示屏
CN215294482U (zh) 一种触摸屏人机交互一体机
CN203733035U (zh) 平板电子产品及其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