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393B1 -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 Google Patents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393B1
KR101384393B1 KR1020120015205A KR20120015205A KR101384393B1 KR 101384393 B1 KR101384393 B1 KR 101384393B1 KR 1020120015205 A KR1020120015205 A KR 1020120015205A KR 20120015205 A KR20120015205 A KR 20120015205A KR 101384393 B1 KR101384393 B1 KR 10138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letter
japanese
alphabe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3943A (ko
Inventor
백형종
Original Assignee
백형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형종 filed Critical 백형종
Priority to KR102012001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3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본어 자모 배열보다 자모의 인지가 쉽고 사용이 편하여 일본인 및 외국인 들의 문장 타자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새로운 일본어 자모 배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본어 전체 자모를 일본어 자모가 가진 5단 규칙의 50음도를 기준하여 계열별로 구분한 자모단과 자모행의 전체 자모 구성도를 작성한 후 언어 분석에 의한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를 작성하여,
일본어 키패드에 있어서, 숫자 키버튼 10개와 기능 키버튼 2개의 12개로 구성된 휴대폰 키패드에 자모 배열을 하되,
숫자 1의 키버튼에 かが 를, 숫자 2의 키버튼에 さざ 를, 숫자 3의 키버튼에 いぃ 를, 숫자 4의 키버튼에 ただ 를, 숫자 5의 키버튼에 なま 를, 숫자 6의 키버튼에 うぅ 를, 숫자 7의 키버튼에 はばぱ 를, 숫자 8의 키버튼에 やゃ 를, 숫자 9의 키버튼에 えぇ 를, 기능 *의 키버튼에 らわ 를, 숫자 0의 키버튼에 あぁ 를, 기능 #의 키버튼에 おぉ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여,
상기 키패드에서 자모를 입력하는 경우,
자모행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는 1회 누름으로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거나 자모 조합 모음으로 사용하며,
동일 키버튼에 배열된 요음 ぁぃぅぇぉ 는 2회 누름으로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며,
규칙적인 5단의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를 자음으로 하고,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를 모음으로 하여, 상기 자모행 첫단 자모를 누르고 나서 상기 첫행 자모를 눌러 조합된 자모를 입력하고,
사용율이 높은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의 경우 뒤에 자모 조합 모음으로 사용되는 あいうえお 가 아닌 배열된 다른 자모가 올 때 상기 자모행 첫단 자모를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며,
동일 키버튼의 자모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자모를 누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입력되고, 다시 동일 키버튼의 자모를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키패드.

Description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omitted}
본 발명은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본어 자모 배열보다 자모의 인지가 쉽고 사용이 편하여 일본인 및 외국인 들의 문자 입력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새로운 일본어 자모 배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은,
첫째,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전체 자모의 숫자가 많아 음성통신을 위한 전화번호 사용의 숫자 중심으로 구성된 12개의 키버튼에 자모를 모두 배열할 수 없으며, 현재 많이 사용되는 일부 자모를 배열하고 있으나, 누름 회수가 많아 문자 입력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으로 키패드 사용에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의 일본어 자모의 배열과 사용의 문제점으로 영어 알파벳 자모를 인용하여 사용중으로 사용이 보다 낳으나, 부수적인 기능인 알파벳 자모 조합 방법을 배워 기억하고 익혀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셋째, 외국인 들의 휴대폰을 이용한 일본어 문자 입력에, 일본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기본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첫째·둘째 사항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일본어 문자 입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에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적용한 배열로, 종래의 일본어 자모 배열이나 영어 알파벳 인용 조합 방법보다 자모의 인지가 쉽고 사용이 편하여 일본어 문자 입력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자모 배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본어 전체 자모를 일본어 자모가 가진 5단 규칙의 50음도를 기준하여 자모단과 자모행의 계열별로 구분한 전체 자모 구성도를 작성한 후 언어 분석에 의한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를 작성하여,
일본어 키패드에 있어서, 숫자 키버튼 10개와 기능 키버튼 2개의 12개로 구성된 휴대폰 키패드에 자모 배열을 하되,
숫자 1의 키버튼에 かが 를, 숫자 2의 키버튼에 さざ 를, 숫자 3의 키버튼에 いぃ 를, 숫자 4의 키버튼에 ただ 를, 숫자 5의 키버튼에 なま 를, 숫자 6의 키버튼에 うぅ 를, 숫자 7의 키버튼에 はばぱ 를, 숫자 8의 키버튼에 やゃ 를, 숫자 9의 키버튼에 えぇ 를, 기능 *의 키버튼에 らわ 를, 숫자 0의 키버튼에 あぁ 를, 기능 #의 키버튼에 おぉ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여,
상기 키패드에서 자모를 입력하는 경우,
자모행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는 1회 누름으로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거나 자모 조합 모음으로 사용하며,
동일 키버튼에 배열된 요음 ぁぃぅぇぉ 는 2회 누름으로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며,
규칙적인 5단의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15자를 자음으로 하고,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를 모음으로 하여, 상기 자모행 첫단 자모를 누르고 나서 상기 첫행 자모를 눌러 조합된 자모를 입력하고,
사용율이 높은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의 경우 뒤에 자모 조합 모음으로 사용되는 あいうえお 가 아닌 배열된 다른 자모가 올 때 상기 자모행 첫단 자모를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며,
동일 키버튼의 자모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자모를 누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입력되고, 다시 동일 키버튼의 자모를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키패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키패드 새로운 일본어 자모 배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에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일본어를 사용하여 모음과 자음으로 구분하고 모음과 자음 조합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일본어 자모 배열로, 휴대폰 12개의 키에 모음 키 5개와 잔여 키 7개에 자음 15자를 조합하여 배열하는 방법으로, 키패드에 일본어 전체 자모를 배열하지 않고도 전체 자모를 쉽고 빠르게 입력 할 수가 있으며, 배열이 일본어 자모 5단의 구성도로 배워 머릿속에 기억된 구성도의 흐름을 그대로 유지하는 배열로서, 종래의 일본어 자모 배열이나 영어 알파벳 인용 조합 방법보다 인지가 쉽고 사용이 편하여 문자 입력이 신속하고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키패드이다.
도 1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도.
* 언어 분석 : 키패드에 배열되는 일본어 자모에 대하여 검토를 해보고자 한다.
일본어 자모는 처음 청음 50음도로 배운다. 50음도 이외의 자모는 별도 5음도와 별개로 배워 청음 50음도 와 청음 이외 자모가 연결이 되지 않아 전체 자모에 대한 인지가 미흡하다. 전체 자모에 대한 구성이 일목요연하게 파악되어 인지와 기억이 쉽도록 가다가나·히라가나의 청음·탁음·반탁음·요음 등의 전체 자모를 50음도를 기준하여 계열별로 구분한 자모단과 자모행의 구성도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 가다가나·히라가나 청음·탁음.반탁음·요음 등의 전체 자모 구성도
( 상부 : 가다가나 하부 : 히라가나 )
Figure 112012500590512-pat00001
* 키패드 자모 배열·사용 원칙
1. 음성통신을 위한 전화번호 사용의 숫자 키버튼 10개와 기능 키버튼 2개의 12개로 구성된 휴대폰 키패드에 일본어 자모를 배열한다.
2. 일본어 자모를 상기 12개 키버튼에 배열하기 위하여는 자모의 수를 줄여야한다.
3. 일본어 자모의 5단(5음) 규칙을 이용하여, 키패드에서 자모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본어 자모를 자음과 모음으로 지정하고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 자모 구성 분석 : 상기 전체 자모 구성도를 살펴 보면,
1. 5단 규칙의 あぁ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ら 14행 70자가 있다.
2. 5단 불규칙의 행과 자모가 있다.
2-1. 행에 있어 3자 구성의 やゃ행 과 4자 구성의 わ행 및 1자 구성의 ゎん 행이 있다.
2-2. 자모에 있어 5단 외의 っ―ヴ 3자가 있다.
3. 사용율이 낮은 か행의 ヵヶ 2자가 있다.
*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 작성
12개로 구성된 키패드에 일본어 자모의 5단 규칙을 이용하여 자모를 자음과 모음으로 구분하고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5단 불규칙의 행과 자모를 규칙적인 5단으로 보완한 키패드 사용 구성도를 작성하여 사용한다.
1. 5단을 다 채워지지 않은 やゃわ 행 5개의 자리에, 1자 배열의 ゎん 행 2자와 5단 외의 っ―ヴ 3자를 채워 구성하는 방법으로 やゃわ 행별로 아래와 같이 배열한다.
1-1. 3자배열의 や행에 있어 や, ゆ, よ, ヴ,― 로 배열한다.
や행의 3자를 순차적으로 채워 배열하고 2개의 자리에, あ행 5단 외의 ヴ 와 な행 5단 외의 ― 를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1-2. 3자배열의 ゃ행에 있어 ゃ, ゅ, ょ, ゎ, っ 로 배열한다.
ゃ행의 3자를 순차적으로 채워 배열하고 2개의 자리에, 1자 구성의 요음 ゎ 와 た행 5단 외의 っ 를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1-3. 4자배열의 わ행에 있어 わ, ゐ, ゑ, を, ん 로 배열한다.
わ행의 4자를 순차적으로 채워 배열하고 1개의 자리에, 1자 구성의 ん을 배열한다.
*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
Figure 112012500590512-pat00006
* 키패드 일본어 배열 자모 구분
규칙적인 5단의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에 의하여 12개의 키버튼에 배열하기 위한 자모의 구분은 아래와 같다.
1. 모음으로 요음을 가지는 자모행 첫행 あ행 자모 あいうえお 5자가 있다.
1-1. 상기 あ행 자모의 요음 ぁぃぅぇぉ 5자가 있다.
3. 규칙적인 5단을 구성하는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행의 자모 75자가 있다.
4. 사용율이 낮은 か행의 ヵヶ 가 있다.
* 자모 배열
1. 자모행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를 모음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우측 키버튼에 배열하고, 상기 あ행 자모의 요음 ぁぃぅぇぉ 를 동일 키버튼에 배열한다.
2. 규칙적인 5단을 구성하는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자모행의 75자를 모두 배열할 수 없으므로,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15자를 자음으로 하여 좌측에 배열하고, 상기 자모행 첫행 あ행 자모 あいうえお 를 모음으로 하여, 자모 조합으로 사용하여 조합된 자모를 입력한다.
2-1. 상기의 자음과 모음의 명칭은 일본어의 언어적 규정에 따른 자음과 모음이 아니고, 키패드에 배열하여 자모 조합으로 사용하기 위한 명칭이다.
3. 모음은 자음에 조합 사용되어 모음 키버튼 5개를 구성하고, 자음은 각기 사용되어 자음 15자를 7개 키버튼에 자모 구성도의 자모행 순서에 따라 배열하며 조합 구분은 아래와 같다.
3-1. かが/さざ/ただ 행은 청음·탁음의 동일 계열 구성으로 각기 키버튼에 2자씩 배열한다.
3-2. な행과 ま행은 탁음이 없는 1자로 구성되어 ま행을 자모 구성도의 순서를 바꾸어 な와 ま의 자모를 1개의 키버튼에 배열한다.
3-3. はばぱ행은 청음 탁음 반탁음의 동일 계열로 3자를 1개의 키버튼에 배열한다.
3-4. 자모 구성도의 순서에 따라 やゃ와 らわ를 각기 1개의 키버튼에 배열한다.
3-5. 상기의 자음 조합 배열 : かが/さざ/ただ/なま/はばぱ/やゃ/らわ
4. か행의 ヵヶ 는 사용율이 낮으므로 키버튼에 배열하지 않고 필요시 문자표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도 1과 같이
숫자 1의 키버튼에 かが
숫자 2의 키버튼에 さざ
숫자 3의 키버튼에 いぃ
숫자 4의 키버튼에 ただ
숫자 5의 키버튼에 なま
숫자 6의 키버튼에 うぅ
숫자 7의 키버튼에 はばぱ
숫자 8의 키버튼에 やゃ
숫자 9의 키버튼에 えぇ
기능 *의 키버튼에 らわ
숫자 0의 키버튼에 あぁ
기능 #의 키버튼에 おぉ 를 배열한다.
* 자모 입력 방법 : 상기 배열의 자모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키버튼 3·6·9·#·0 에 배열된 자모행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는 1회 누름으로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하거나 자모 조합 모음으로 사용한다.
1-1. 동일 키버튼에 배열된 요음 ぁぃぅぇぉ 는 2회 누름으로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한다.
2. 규칙적인 5단을 구성하는 자모 75자는 자모 조합으로 사용한다.
2-1.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를 자음으로 하고, 첫행 자모 あいうえお 를 모음으로 하여, 상기 자음 키를 누르고 나서 상기 모음 키를 누르면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의 조합된 자모가 입력된다.
2-1-1. 숫자 1의 키버튼 첫째 か행의 입력에 있어, 숫자 1의 키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음 か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모음 あいうえお 를 누르면 かきくけこ 로 입력된다.
2-1-1-1. 상기 か행의 입력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면, 숫자 1의 키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음 か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0(あ)의 키버튼을 누르면 か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음 か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3(い)의 키버튼을 누르면 き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음 か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6(う)의 키버튼을 누르면 く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음 か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9(え)의 키버튼을 누르면 け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한번 누르면 자음 か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기능 #(お)의 키버튼을 누르면 こ가 입력된다.
2-1-2. 숫자 1의 키버튼 둘째 が행의 입력에 있어, 숫자 1의 키버튼을 두번 누르면 자음 が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모음 あいうえお 를 누르면 がぎぐげご 로 입력된다.
2-1-2-1. 상기 が행의 입력 사항을 자세히 설명하면, 숫자 1의 키버튼을 두번 누르면 자음 が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0(あ)의 키버튼을 누르면 が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두번 누르면 자음 が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3(い)의 키버튼을 누르면 ぎ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두번 누르면 자음 が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6(う)의 키버튼을 누르면 ぐ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두번 누르면 자음 が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숫자 9(え)의 키버튼을 누르면 げ가 입력되고, 숫자 1의 키버튼을 두번 누르면 자음 が의 자모가 나타난 상태에서 기능 #(お)의 키버튼을 누르면 ご가 입력된다.
2-1-3. 이하 순차적으로 배열된 2의 키버튼 さざ, 4의 키버튼 ただ, 5의 키버튼 なま, 7의 키버튼 はばぱ, 8의 키버튼 やゃ, *의 키버튼 らわ 의 키패드 사용 자모 구성도의 조합된 자모 입력 방법은 상기와 같다.
2-2. 빠른 입력을 위하여 사용율이 높은 자모행 첫단 자모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의 경우 뒤에 자모 조합 모음으로 사용되는 あいうえお 가 아닌 다른 자모가 올 때 상기 자모를 단독 자모로 직접 입력한다.
2-2-1. 자모 조합으로 사용되는 자음 かがさざただなはばぱまやゃらわ 행의 각단에 있어 배열된 첫단의 あ단 자모가 하단(い·う·え·お단) 자모보다 사용율이 높다.
2-2-2. ひらがな 의 입력시 상기 2-1의 방법으로 はいらあがあなあ 로 입력되나, 빠른 타자를 위하여 상기 2-2의 방법으로 はいらがな 으로 입력되며, 2개의 입력 방법을 겸용한다.
2-3. 키패드의 자모 조합으로 사용되는 あ행에 있어, 상기 2-2의 사항으로 첫단 あ의 자모가 하단 いうえお 의 자모보다 사용율이 낮아져, あ행 배열에 있어 자모 구성도의 순서를 바꾸어 いうえおあ 순서로 あ의 자모를 숫자 0에 배열한다.
3. 동일 키버튼의 자모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 자모를 누른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입력되고, 다시 동일 키버튼의 자모를 눌러 입력한다.
3-1. 숫자 1의 키버튼에 배열된 かが 에 있어, か나 が를 선택하여 누르면 か나 が가 나타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か나 が가 입력되고, 다시 숫자 1의 키버튼의 か나 が를 선택하여 눌러 입력한다.

Claims (1)

  1. 일본어 키패드에 있어서, 숫자 키버튼 10개와 기능 키버튼 2개의 12개로 구성된 휴대폰 키패드에 자모 배열을 하되,
    숫자 1의 키버튼에 かが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2의 키버튼에 さざ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3의 키버튼에 いぃ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4의 키버튼에 ただ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5의 키버튼에 なま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6의 키버튼에 うぅ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7의 키버튼에 はばぱ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8의 키버튼에 やゃ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9의 키버튼에 えぇ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기능 *의 키버튼에 らわ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숫자 0의 키버튼에 あぁ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고
    기능 #의 키버튼에 おぉ 를 표기 순서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키패드.
KR1020120015205A 2012-02-15 2012-02-15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KR10138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05A KR101384393B1 (ko) 2012-02-15 2012-02-15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05A KR101384393B1 (ko) 2012-02-15 2012-02-15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43A KR20130093943A (ko) 2013-08-23
KR101384393B1 true KR101384393B1 (ko) 2014-04-10

Family

ID=4921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05A KR101384393B1 (ko) 2012-02-15 2012-02-15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3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480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본어 입력 방법 및 일본어 입력 장치
KR20080061660A (ko) * 2006-12-28 2008-07-03 정영재 휴대단말기 등의 일본어입력방법 및 키패드어레이
KR20110137679A (ko) * 2010-06-17 2011-12-23 (주)케이피에이인터내셔날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480A (ko) * 2005-12-30 200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본어 입력 방법 및 일본어 입력 장치
KR20080061660A (ko) * 2006-12-28 2008-07-03 정영재 휴대단말기 등의 일본어입력방법 및 키패드어레이
KR20110137679A (ko) * 2010-06-17 2011-12-23 (주)케이피에이인터내셔날 휴대단말기의 일본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943A (ko)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1074A (ko) 컴퓨터 및 휴대전화의 입력방법
KR101384393B1 (ko) 휴대폰 키패드 일본어 자모 배열
CN103677302A (zh) 手机中文快捷拼音输入的方法
CN101493732A (zh) 一种用于印欧语系的语言输入系统
JP6074332B2 (ja) コンピュータ・電子辞書・スマートホンキーボードの日本語文字配列
KR101001085B1 (ko) 휴대폰 자판 영어 알파벳 자모 배열
KR20130093942A (ko) 컴퓨터·전자사전·스마트폰 키보드 일본어 자모 배열
JP2015022468A (ja) 携帯電話キーパッド日本語文字配列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100536553B1 (ko) 한글 키패드
CN101957663B (zh) 五笔汉字输入方法
KR101329298B1 (ko) 모바일 단말수단의 한글 입력 시스템
CN102043471A (zh) 二十五偏旁部首字根中华形码输入法
JP2019215928A (ja) コンピュータ、スマートホンキーボードの日本語文字の構成とタイピング入力方法及び配列
KR101615862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KR20190112676A (ko) 컴퓨터 스마트폰 키보드 자판 일본어 자모의 구성과 타자입력방법 및 배열
KR20130139432A (ko) 컴퓨터·스마트폰·전자사전 키보드 영어 알파벳 자모 및 각종 키의 배열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TW201005592A (en) Chi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input devic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CN100428121C (zh) 五加加汉字输入法
CN104536590A (zh) 基于西夏文声韵字根输入法的嵌入式软键盘系统
CN101515206A (zh) 简化拼音输入法
JP2019219994A (ja) コンピューターキーボードの日本語キーボード文字構成配列及びタイプ入力方法
KR101127868B1 (ko) 멀티터칭을 위한 한손 한글자판배열 및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