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759B1 - 2단 실린더 - Google Patents

2단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759B1
KR101383759B1 KR1020130145484A KR20130145484A KR101383759B1 KR 101383759 B1 KR101383759 B1 KR 101383759B1 KR 1020130145484 A KR1020130145484 A KR 1020130145484A KR 20130145484 A KR20130145484 A KR 20130145484A KR 101383759 B1 KR101383759 B1 KR 10138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dapter
rod
flow pat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서윤택
Original Assignee
한국에스엠씨공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스엠씨공압(주) filed Critical 한국에스엠씨공압(주)
Priority to KR1020130145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9Fluid interconnections, e.g. fluid connectors,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for attachment of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2015/1495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with screw mechanism attached to the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제2실린더가 하강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간의 충격을 방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2단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단 실린더 {Two stage cylinder}
본 발명은 2단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작동 시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간의 충격을 방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2단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린더는 직선으로 왕복운동하는 기구로써,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및 이에 결합된 로드가 왕복 행정거리를 고속으로 작동함에 따라 실린더의 케이싱에 부딪혀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2단 실린더는 도 1과 같이 제1실린더(10)와 제2실린더(20)가 직렬로 연결되며, 제1실린더(10)의 제1로드(11)가 제2실린더(2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때, 도 1(b)와 같이 제1실린더(10)의 제1로드(11)가 상승하고 제2실린더(20)의 제2로드(21)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2로드(21)가 하강하게 되면, 제2로드(21)의 하단과 제1로드(11)의 상단이 부딪혀 충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10-2012-0092263)인 "다단 완충 실린더"가 개시되어 있다.
KR 10-2012-0092263 A (2012.08.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실린더가 하강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간의 충격을 방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2단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2단 실린더는, 제1실린더(100) 및 상기 제1실린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가 상기 제2실린더(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와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로드(26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2단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실린더(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어댑터(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300)는 상측 중앙에 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20)의 상측에는 실링부재(38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과 상기 어댑터(300)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1유로(35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과 상기 어댑터(300)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2유로(36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피스톤(250) 하측에는 하부돌출부(25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피스톤(250)의 하강 시 상기 하부돌출부(251)가 상기 어댑터(300)의 삽입홈(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실링부재(380)에 상기 하부돌출부(25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300)에 형성되는 제1유로(350)의 단면적보다 제2유로(360)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300)의 제2유로(360)에는 유량조절밸브(370)가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370)에 의해 상기 제2유로(3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밸브(370)는 상기 어댑터(300)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하부케이싱(210)에는 상기 유량조절밸브(3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밸브조절공(214)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조절공(214)에는 막음볼트(2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3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어댑터(300)의 상면에 탄성재질의 댐퍼(3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와 어댑터(300)는 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로드(160)와 어댑터(300)는 고정너트(390)에 의해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2단 실린더는, 제2실린더가 하강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간의 충격을 방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2단 실린더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및 전체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및 전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의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결합부 및 어댑터를 나타낸 단면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의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가 모두 상승하였을 때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의 제1실린더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가 하강하였을 때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2단 실린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및 전체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의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의 결합부 및 어댑터를 나타낸 단면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실린더의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단 실린더(1000)는, 제1실린더(100) 및 상기 제1실린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가 상기 제2실린더(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와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로드(26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2단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실린더(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어댑터(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300)는 상측 중앙에 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20)의 상측에는 실링부재(38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과 상기 어댑터(300)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1유로(35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과 상기 어댑터(300)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2유로(36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피스톤(250) 하측에는 하부돌출부(25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피스톤(250)의 하강 시 상기 하부돌출부(251)가 상기 어댑터(300)의 삽입홈(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실링부재(380)에 상기 하부돌출부(25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우선, 본 발명의 2단 실린더(1000)는 크게 제1실린더(100), 제2실린더(200) 및 어댑터(300)로 구성된다. 이때, 제1실린더(100)와 제2실린더(200)는 직렬로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실린더(1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하부케이싱(110) 및 제1상부케이싱(120)이 형성되며, 제1하부케이싱(110)과 제1상부케이싱(120) 사이에 내부가 중공된 제1하우징(130)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1하우징(130) 내부의 제1공간부(140)에 제1피스톤(150)이 구비되어 외주면이 제1하우징(13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피스톤(150)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피스톤(150)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제1로드(160)가 형성되어 제1로드(160)의 상단이 제1상부케이싱(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로드(160)의 상부는 제1상부케이싱(120)에 밀폐부재(400)가 형성되어 밀폐부재(400)와 제1로드(160)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밀폐된다. 또한, 제1하부케이싱(110)에는 측면으로 제1-1유출입포트(111)가 형성되고 제1상부케이싱(120)에는 측면으로 제1-2유출입포트(121)가 형성되어, 상기 제1-1유출입포트(111) 및 제1-2유출입포트(121)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면서 제1피스톤(150) 및 제1로드(160)가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실린더(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2하부케이싱(210) 및 제2상부케이싱(220)이 형성되며, 제2하부케이싱(210)과 제2상부케이싱(220) 사이에 내부가 중공된 제2하우징(230)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2하우징(230) 내부의 제2공간부(240)에 제2피스톤(250)이 구비되어 외주면이 제2하우징(23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2피스톤(250)이 상하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2피스톤(250)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제2로드(260)가 형성되어 제2로드(260)의 상단이 제2상부케이싱(2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로드(260)의 상부는 제2상부케이싱(220)에 밀폐부가 형성되어 밀폐부와 제2로드(260)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밀폐된다. 또한, 제2하부케이싱(210)에는 측면으로 제2-1유출입포트(211)가 형성되고 제2상부케이싱(220)에는 측면으로 제2-2유출입포트(221)가 형성되어, 상기 제2-1유출입포트(211) 및 제2-2유출입포트(221)를 통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면서 제2피스톤(250) 및 제2로드(260)가 상하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00)가 하측에 배치되고 제2실린더(200)가 상측에 배치되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 상단이 제2실린더(200)의 하측인 제2하부케이싱(220)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어댑터(300)는 제2실린더(200)의 내부인 제2공간부(240)에 구비되어 제1로드(160)의 상단에 어댑터(30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리하여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에 어댑터(300)가 결합된 상태로, 제1로드(160)가 상하로 작동될 때 어댑터(300)가 제2실린더(200)의 내부에서 상하로 작동된다. 또한, 어댑터(300)는 제1로드(160)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이며, 제1로드(160)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서 어댑터(300)의 하면이 제2실린더(200)의 제2하부케이싱(210)에 형성된 안치홈(212)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어댑터(300)는 상측 중앙에 오목하게 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삽입홈(320)의 상측 둘레에는 실링부재(3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어댑터(300)에는 삽입홈(320)의 하측 측면과 어댑터(300)의 하측을 연결하도록 제1유로(350)가 형성되며, 삽입홈(320)의 하측 측면과 어댑터(300)의 상측을 연결하도록 제2유로(360)가 형성된다. 즉, 어댑터(300)는 삽입홈(320)과 어댑터(300) 하측의 제2공간부(240)가 제1유로(350)를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삽입홈(320)과 어댑터(300) 상측의 제2공간부(240)가 제2유로(360)를 통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2실린더(200)의 제2피스톤(250)은 하측에 하부돌출부(251)가 형성되어, 제2피스톤(250)의 하측 중앙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2실린더(200)의 제2피스톤(250)이 하강할 때, 상기 제2피스톤(250)의 하부돌출부(251)가 어댑터(300)의 삽입홈(320)으로 삽입되기 시작하면서 삽입홈(320)의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는 제1유로(350)를 통해 어댑터(300)의 하측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제2하부케이싱(210)의 제2-1유출입포트(211)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2피스톤(250)과 어댑터(300) 상측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던 공기는 제2유로(360)를 통해 삽입홈(320)으로 유동되어 역시 제1유로(350)를 통해 제2-1유출입포트(211)로 배출된다.
이때, 제2피스톤(250)에 형성된 하부돌출부(251)의 외주면이 삽입홈(320) 상측에 형성된 실링부재(380)에 밀착되므로, 2개의 공간인 삽입홈(320) 내부의 공간 및 제2피스톤(250)과 어댑터(300) 사이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각각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유로(350)는 제2실린더(200)의 제2로드(260)가 상하로 작동하도록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유로(360)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유량을 적게하여 제2피스톤(250)에 결합된 제2로드(260)가 일정한 높이만큼 하강하였을 때 하강하는 속도를 감소시켜 제2피스톤(250)이 어댑터(300)에 부딪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2실린더(200)의 제2피스톤(250)이 하강할 때, 상기 제2피스톤(250)의 하부돌출부(251)가 어댑터(300)의 삽입홈(320)으로 삽입되기 시작하면서 어댑터(300)와 제2피스톤(250)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제2유로(360)를 통해 느리게 배출되어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단 실린더는, 제1실린더가 상승한 상태 또는 제1실린더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가 하강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어댑터의 구조를 통해 제1실린더와 제2실린더 간의 충격을 방지하여 진동 및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300)에 형성되는 제1유로(350)의 단면적보다 제2유로(360)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유로(350)는 제2피스톤(250)에 결합된 제2로드(260)의 상하 작동을 위해 공기가 유출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 단면적을 크게 하고, 제2유로(360)는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단면적을 작게 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300)의 제2유로(360)에는 유량조절밸브(370)가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370)에 의해 상기 제2유로(3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유로(360)를 통과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유량조절밸브(370)가 제2유로(360)상에 형성되어, 유량조절밸브(370)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밸브(370)는 상기 어댑터(300)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하부케이싱(210)에는 상기 유량조절밸브(3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밸브조절공(214)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조절공(214)에는 막음볼트(215)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어댑터(300)의 측면 방향으로 유량조절밸브(370)를 형성하고, 제2하부케이싱(210)의 측면에는 유량조절밸브(3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밸브조절공(214)을 형성하여, 밸브조절공(214)을 통해 유량조절밸브(370)를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밸브조절공(214)은 막음볼트(215)가 결합되어, 제1실린더(100) 및 제2실린더(200)의 작동시에는 막음볼트(215)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하고,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는 막음볼트(215)를 풀어 제거한 후 유량조절밸브(370)를 조절한 다음 다시 막음볼트(215)를 밸브조절공(214)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3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어댑터(300)의 상면에 탄성재질의 댐퍼(31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어댑터(300) 자체를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제2피스톤(250)이 어댑터(300)에 부딪힐 때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는 어댑터(300)의 상면에 탄성재질의 댐퍼(310)를 부착 결합하여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이때, 댐퍼(310)는 어댑터(30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어댑터(300) 상면의 상측으로 댐퍼(310)가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와 어댑터(300)는 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로드(160)와 어댑터(300)는 고정너트(390)에 의해 더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로드(160)의 상단이 수나사로 형성되고 어댑터(300)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고, 여기에서 제1로드(160)의 수나사에 결합된 고정너트(390)를 죄어 어댑터(300)가 제1로드(16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어 제1로드(160)에 결합된 어댑터(300)가 충격에 의해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너트(390)는 어댑터(300)의 하면과 제2하부케이싱(210)의 안치홈(212) 바닥면이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스페이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하부케이싱(210)은 오목하게 안치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안치홈(212)의 상측에 걸림턱(213)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300)는 상기 안치홈(212)에 삽입되어 걸림턱(213)에 걸리도록 제1단차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실린더(100)의 제1피스톤(150)이 최대로 하강하더라도, 어댑터(300)의 제1단차부(330) 및 제2하부케이싱(210)의 걸림턱(213)에 의해 어댑터(300)의 하면이 제2하부케이싱(210)의 안치홈(212)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어댑터(300)가 최대로 하강하였을 때에도, 어댑터(300)의 제1유로(350)와 제2하부케이싱(210)의 제2-1유출입포트(211)가 연통될 수 있어, 원활한 공기의 유출입 및 쿠션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300)의 제1단차부(330) 하측에 제2단차부(340)가 형성되어 어댑터(300)가 제2하부케이싱(210)의 제2-1유출입포트(211)를 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2단 실린더
100 : 제1실린더
110 : 제1하부케이싱 111 : 제1-1유출입포트
120 : 제1상부케이싱 121 : 제1-2유출입포트
130 : 제1하우징 140 : 제1공간부
150 : 제1피스톤 160 : 제1로드
200 : 제2실린더
210 : 제2하부케이싱 211 : 제2-1유출입포트
212 : 안치홈 213 : 걸림턱
214 : 밸브조절공 215 : 막음볼트
220 : 제2상부케이싱 221 : 제2-2유출입포트
230 : 제2하우징 240 : 제2공간부
250 : 제2피스톤 251 : 하부돌출부
260 : 제2로드
300 : 어댑터 310 : 댐퍼
320 : 삽입홈 330 : 제1단차부
340 : 제2단차부 350 : 제1유로
360 : 제2유로 370 : 유량조절밸브
380 : 실링부재 390 : 고정너트
400 : 밀폐부재

Claims (7)

  1. 제1실린더(100) 및 상기 제1실린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가 상기 제2실린더(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와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로드(26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2단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2실린더(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어댑터(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300)는 상측 중앙에 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20)의 상측에는 실링부재(38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과 상기 어댑터(300)의 하측을 연결하는 제1유로(35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0)과 상기 어댑터(300)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2유로(360)가 형성되며,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피스톤(250) 하측에는 하부돌출부(251)가 형성되어 상기 제2피스톤(250)의 하강 시 상기 하부돌출부(251)가 상기 어댑터(300)의 삽입홈(3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실링부재(380)에 상기 하부돌출부(251)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0)에 형성되는 제1유로(350)의 단면적보다 제2유로(360)의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0)의 제2유로(360)에는 유량조절밸브(370)가 형성되어, 상기 유량조절밸브(370)에 의해 상기 제2유로(36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370)는 상기 어댑터(300)의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하부케이싱(210)에는 상기 유량조절밸브(37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밸브조절공(214)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조절공(214)에는 막음볼트(21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어댑터(300)의 상면에 탄성재질의 댐퍼(3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100)의 제1로드(160)와 어댑터(300)는 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로드(160)와 어댑터(300)는 고정너트(390)에 의해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200)의 제2하부케이싱(210)은 오목하게 안치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안치홈(212)의 상측에 걸림턱(213)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300)는 상기 안치홈(212)에 삽입되어 걸림턱(213)에 걸리도록 제1단차부(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실린더.
KR1020130145484A 2013-11-27 2013-11-27 2단 실린더 KR101383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484A KR101383759B1 (ko) 2013-11-27 2013-11-27 2단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484A KR101383759B1 (ko) 2013-11-27 2013-11-27 2단 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759B1 true KR101383759B1 (ko) 2014-04-10

Family

ID=5065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484A KR101383759B1 (ko) 2013-11-27 2013-11-27 2단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386A (zh) * 2018-05-09 2018-09-11 中山市智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油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850A (en) 1975-10-14 1977-10-11 Institute Of Gas Technology Thrust generator
US4993226A (en) 1989-11-20 1991-02-19 John De Kok Multi-piston air-oil pressure intensifier with automatically variable working stroke length
KR20030089551A (ko) * 2002-05-16 2003-11-22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압실린더의 댐핑조절장치
KR20130127375A (ko) * 2012-05-14 2013-11-22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압 실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850A (en) 1975-10-14 1977-10-11 Institute Of Gas Technology Thrust generator
US4993226A (en) 1989-11-20 1991-02-19 John De Kok Multi-piston air-oil pressure intensifier with automatically variable working stroke length
KR20030089551A (ko) * 2002-05-16 2003-11-22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유압실린더의 댐핑조절장치
KR20130127375A (ko) * 2012-05-14 2013-11-22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압 실린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386A (zh) * 2018-05-09 2018-09-11 中山市智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油缸
CN108518386B (zh) * 2018-05-09 2024-04-26 中山市智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缓冲油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868B1 (ko) 듀얼 솔레노이드 밸브 구조의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CN102649524B (zh) 电梯用液压缓冲器
JP7390675B2 (ja) 放圧・緩衝保護機能を有する耐衝撃バランスシリンダー
CN105041950A (zh) 用于减震器的活塞组件
CN108061069B (zh) 缓冲溢流阀
KR20140022460A (ko) 유량조절밸브
KR101351590B1 (ko) 주파수 유닛 밸브
KR102191738B1 (ko)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KR101383759B1 (ko) 2단 실린더
CN106151160A (zh) 具有缓冲功能的液压油缸及挖掘机
CN105020203A (zh) 一种内置气动缓冲装置的高速气缸
RU2017124221A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9952464A (zh) 用于减少压力浪涌的装置
CN107631524A (zh) 电子膨胀阀
JP4755483B2 (ja) ダイヤフラム弁
US9657802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internal damper
CN104675901A (zh) 气体快速复位多级液压缓冲器
CN102606666A (zh) 汽车减震器
CN105508623A (zh) 电子膨胀阀
KR102183046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2035207B1 (ko) 역류 방지 밸브
CN202441799U (zh) 汽车减震器
CN106715953B (zh) 液压缓冲器
KR101254234B1 (ko)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KR101815594B1 (ko) 철도 차량용 완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