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596B1 -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596B1
KR101383596B1 KR1020120154095A KR20120154095A KR101383596B1 KR 101383596 B1 KR101383596 B1 KR 101383596B1 KR 1020120154095 A KR1020120154095 A KR 1020120154095A KR 20120154095 A KR20120154095 A KR 20120154095A KR 101383596 B1 KR101383596 B1 KR 10138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offshore wind
support structure
concrete base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정연주
유영준
이두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2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placed by lower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o the bottom, e.g. with subsequent fixing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02D27/525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using elements penetrating the underwater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5Monopi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91Offshore structures for wind turb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며 그 외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공이 관통 형성된 콘크리트콘과;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콘크리트콘의 중앙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콘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절감하고 자체 강성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중량을 줄임으로 이를 운반하여 해양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OFFSHORE STRUCTURE AND STRU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구조물은 해상에 다양한 물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해양의 지반에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에는 항상 파도, 조류 및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외력에 가장 잘 견디며 부식에도 강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의 해양 지구조물 중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의 강한 풍력, 파도, 지진 등에 의해 본체(1)가 전도되지 않도록, 본체(1)의 하부에는 원추 형상의 전도방지부(2)가 형성되며, 구조물의 전체적인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석 등에 의해 슬라이딩 방지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해양 구조물에 있어서는, 해양 구조물 전체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므로 해양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콘크리트가 소요된 것에 비하여 만족할 만한 강도나 지지력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경우 상부 타워 및 발전기의 수직하중과 바람, 파랑, 조류 등의 해양외력에 따른 수평하중 및 진동하중에 따라 지지구조물의 소요 강도 확보가 필요하며, 특히 수평하중 및 진동하중에 대해서는 효율적 감소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해양 구조물 전체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므로 과다한 무게로 인하여 해양에 이러한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운반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해양 구조물을 해양에 설치하기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절감하고 내부 지지부를 추가하여 자체 강성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중량을 줄임으로 이를 운반하여 해양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해저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며 그 외면에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공이 관통 형성된 콘크리트콘과;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콘크리트콘의 중앙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콘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둘레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파일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는 정육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육각부재와, 상기 육각부재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베이스의 단면 형상이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6개의 사다리꼴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육각부재와 상기 사다리꼴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공은 해수면을 접하고 있는 상기 콘크리트콘의 상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공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 상기 콘크리트콘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콘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의 가로버팀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콘의 저부면과 상기 가로버팀대 사이 및 상기 가로버팀대와 상기 가로버팀대 사이의 상기 콘크리트콘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모노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콘크리트 충전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서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에 콘크리트콘을 안착시켜 일체로 제작하는 제1단계와; 일체로 제작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해상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인양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제3단계와; 해저면에 안착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지지부를 직립되게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상기 해저면에 안착시킨 후에 콘크리트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콘의 내부공간을 콘크리트나 혹은 해수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절감하고 지지부를 적용하여 자체 강성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유공을 이용하여 파랑하중에 의한 파력을 저감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중량을 줄임으로 이를 운반하여 해양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해양풍력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b),(c)는 도 2의 콘크리트 베이스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유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파일과 유공이 형성되지 않은 콘크리트 파일 각각의 파력 저감효과를 수치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시공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의 (a),(b),(c)는 도 2의 콘크리트 베이스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유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파일과 유공이 형성되지 않은 콘크리트 파일 각각의 파력 저감효과를 수치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기재한 시공 흐름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은, 해저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 베이스(100)와, 일정한 내부공간(210)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상면에 안착되며 그 외면에 내부공간(210)과 연통되는 복수의 유공(220)이 관통 형성된 콘크리트콘(200)과, 콘크리트 베이스(100)와 콘크리트콘(200)의 중앙 영역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콘(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내부공간(210)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0)는 해저면에 안착되어 그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콘(200)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베이스(200)의 둘레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는 콘크리트 베이스(200)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파일(110)이 구비될 수 있다.
파일(110)은 콘크리트 베이스(100)가 해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베이스(100)와 해저면을 일체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연약 지반과 같이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곳에는 콘크리트 베이스(100) 자체에 프레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여 긴장재의 긴장력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지반침하 발생 징후 포착시에 지반이 침하되는 반대쪽의 긴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반침하 발생을 억제하거나 반대쪽을 강제로 침하시켜 평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0)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육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낮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콘(200)이 안착되는 중앙 영역은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경우에는 중량이 크므로 해저면에 설치시에 그 상면에 안착되는 콘크리트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0)는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육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육각부재(120)와, 육각부재(12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단면 형상이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6개의 사다리꼴부재(1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육각부재(120)와 사다리꼴부재(130)는 내부에 중공(14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경우에는 중공(140)의 형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중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운반이 용이하며 설치가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육각부재(120)와 사다리꼴부재(130)에 형성된 중공(140)으로 인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타설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0)는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6개의 사다리꼴부재(130)로만 형성되어 사다리꼴부재(130)의 조립에 의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정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구조가 도 4의 (b)와 (c) 같은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육각부재(120)나 혹은 사다리꼴부재(130)를 해저면에 안착시켜 조립한 후에 육각부재(120)와 사다리꼴부재(130)의 중공(1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지력과 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베이스(100)는 그 상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콘(200)의 크기와 그에 따른 중량에 따라 알맞은 형태의 콘크리트 베이스(100)가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콘(200)은 내부가 비어 있도록 내부공간(210)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어 유공을 통하여 해수가 내부공간(210)로 유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부유식으로 인양하여 설치 장소까지 운반된 후에 내부공간(210)을 콘크리트와 충전할 수도 있으며, 해수를 내부로 유입시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콘크리트콘(200)은 그 상면에 해상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그 높이 방향을 따라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부재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도모멘트와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함으로써 그 상면에 안착되는 해상풍력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배치되는 지지부(300)를 해수나 해양생물 등 외부의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 외면에는 내부공간(210)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유공(220)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해상에서 발생되는 파도로 인하여 콘크리트콘(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해상에서 발생된 파도가 유공(220)을 통과하면서 파력이 감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파력 감소는 지지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감소시켜 지지구조물의 강도 확보와 전도 방지에 유리한 작용을 하며 진동을 저감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유공(220)은 파도가 어느 방향에서 발생되어 콘크리트콘(200) 측으로 밀려오더라도 파도에 의한 외력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파도가 콘크리트콘(200)과 접하는 수직길이에 대해 콘크리트콘(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골고루 분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치해석에서 파수(파도가 치는 회수)가 많을 수록 그리고 입사파의 파장이 단파장일수록 유공이 형성된 콘크리트 파일과 유공이 형성되지 않은 콘크리트 파일에 대한 파력의 차이가 커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해수면 근처에서 유공이 형성된 지지구조물이 파력저감에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유공(220)은 콘크리트콘(200)의 상부 둘레면에 형성되고, 유공(220)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 콘크리트콘(200)의 내부공간(210)에는 콘크리트 베이스(1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콘크리트콘(2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의 가로버팀대(23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버팀대(230)는 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서 콘크리트콘(200)의 저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높이에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그 중심에는 지지부(300)를 설치시에 지지부(30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콘(200)의 저부면과 가로버팀대(230) 사이 및 가로버팀대(230)와 가로버팀대(230) 사이의 콘크리트콘(200)의 내부공간(210)에는 콘크리트콘(2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가 충진될 수도 있다.
지지부(300)는 콘크리트 베이스(100)와 콘크리트콘(200)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콘(200)의 내부공간(210)에 배치됨으로써 콘크리트콘(200)과 함께 전도모멘트나 휨모멘트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콘크리트콘(200)에 안착되는 상부 구조물에 의한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고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전체에 대한 수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300)의 일측 단부는 콘크리트 베이스(100)까지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콘크리트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해저면까지 삽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지지력을 높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콘크리트콘(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해상 풍력발전기의 체적이나 중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다만 콘크리트콘(200)의 타측 단부는 콘크리트콘(200) 상면의 하단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야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00)는 모노파일 형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강도와 진동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켜 모노파일로 형성될 경우보다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해저면에 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지상에서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상면에 콘크리트콘(200)을 안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일체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콘크리트 베이스(100)가 육각부재(120)와 사다리꼴부재(130)로 형성된 경우에는 육각부재(120) 및 사다리꼴부재(130)를 각각 해저면으로 내려서 수중에서 조립한 후에 그 중공(1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베이스(1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100)와 콘크리트콘(200)의 일체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이들을 해상에 부유시킨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서 설치하고자 하는 해저면에 안착시킨다.
그 후,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판면을 관통하여 해저면에 삽입되는 파일(110)이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300)가 콘크리트콘(200)과 콘크리트 베이스(100)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콘크리트콘(200)의 내부공간(210)에 직립되도록 배치시킨다. 여기서, 지지부(100)는 콘크리트콘(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해상 풍력 구조물의 체적이나 혹은 중량에 따라 더 큰 지지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지지부(300)가 콘크리트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해저면까지 삽입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콘(200)의 내부공간(210)을 콘크리트나 혹은 해수로 충전시키면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어 해상 풍력 발전기 등과 같은 구조물을 콘크리트콘(200)의 상단에 설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콘크리트 베이스 110 : 파일
120 : 육각부재 130 : 사다리꼴부재
140 : 중공 200 : 콘크리트콘
210 : 내부공간 220 : 유공
230 : 가로버팀대 300 : 지지부

Claims (12)

  1. 해저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와;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고 파도로 인하여 가해지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파도와 접하는 영역의 외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유공이 관통되고, 상기 유공이 형성되지 않은 하부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의 가로버팀대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콘크리트콘과;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와 상기 콘크리트콘의 중앙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콘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의 둘레면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파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는 정육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육각부재와, 상기 육각부재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베이스의 단면 형상이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6개의 사다리꼴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부재와 상기 사다리꼴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콘의 저부면과 상기 가로버팀대 사이 및 상기 가로버팀대와 상기 가로버팀대 사이의 상기 콘크리트콘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모노파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진된 콘크리트 충전강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의 내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지상에서 콘크리트 베이스의 상면에 콘크리트콘을 안착시켜 일체로 제작하는 제1단계와;
    일체로 제작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해상에 부유시킨 상태에서 인양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단계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을 해저면에 안착시키는 제3단계와;
    해저면에 안착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여 지지부를 직립되게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상기 해저면에 안착시킨 후에 콘크리트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해저면에 삽입되는 파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콘의 내부공간은 콘크리트나 혹은 해수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20154095A 2012-12-27 2012-12-27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8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095A KR101383596B1 (ko) 2012-12-27 2012-12-27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095A KR101383596B1 (ko) 2012-12-27 2012-12-27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596B1 true KR101383596B1 (ko) 2014-04-09

Family

ID=5065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095A KR101383596B1 (ko) 2012-12-27 2012-12-27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825A1 (en) * 2019-03-01 2020-09-10 Vestas Wind Systems A/S A longitudinal structur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929A (ko) * 2009-08-04 2011-02-10 주식회사 언딘 해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연약지반용 단일 지지 파일의 네트형 서포트 기구
KR101130148B1 (ko) 2011-05-23 2012-03-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929A (ko) * 2009-08-04 2011-02-10 주식회사 언딘 해상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연약지반용 단일 지지 파일의 네트형 서포트 기구
KR101130148B1 (ko) 2011-05-23 2012-03-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825A1 (en) * 2019-03-01 2020-09-10 Vestas Wind Systems A/S A longitudinal structur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165B1 (ko) 해상풍력 기초의 세굴방지용 캡
KR102455887B1 (ko) 중력식 석션 앵커
JP6264776B2 (ja) サクション構造体
KR101130148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78509B1 (ko) 다수의 관 부재를 이용한 석션기초와 그 시공방법
JP2011157971A (ja) 洋上風車を支持するための支持構造体
US20180030680A1 (en) Structur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KR101307165B1 (ko)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한 중량체와 다수의 관 부재로 구성된 석션기초와 그 시공방법
JP2020510145A (ja) 浮遊性の沖合設備との結合のための、自立的に浮遊性の高重量基礎部
JP7002762B2 (ja) 着床式洋上風力発電装置とこの洋上風力発電装置のタワー部の交換方法、及び着床式洋上風力発電装置の製造方法
KR20220029529A (ko) 풍력 터빈을 지지하기 위한 해양 반잠수식 플랫폼 및 해양 전기 에너지 생산 시설
KR101383159B1 (ko) 암반 설치용 중력식 해상풍력 기초 슬래브
KR101383596B1 (ko) 유공을 이용한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84167B1 (ko) 단일복합하이브리드기초형 해상풍력타워
JP2016084660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KR20130028312A (ko) 부력형성부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84168B1 (ko) 위치센서를 이용한 해상풍력 발전기의 기초슬래브 설치 방법
KR101399090B1 (ko) 중량체 가이드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복수개의 관 부재로 이루어진 석션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237983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13844B1 (ko) 해상 풍력발전 중간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해상 풍력발전 구조물
KR101289821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83685A (ko) 하나 이상의 구조체를 고정시키는 연약지반 앵커 및 앵커를 연약지반에 배열하는 방법
KR101320689B1 (ko) 해상풍력발전타워의 슬래브 기초 설치 방법
KR101237986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9862925U (zh) 一种应用于潮间带风电场软弱土基上的架空线路承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