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352B1 - 엔진의 동력 전달계 - Google Patents

엔진의 동력 전달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352B1
KR101382352B1 KR1020070079202A KR20070079202A KR101382352B1 KR 101382352 B1 KR101382352 B1 KR 101382352B1 KR 1020070079202 A KR1020070079202 A KR 1020070079202A KR 20070079202 A KR20070079202 A KR 20070079202A KR 101382352 B1 KR101382352 B1 KR 10138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orque
propeller shaft
transmission system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883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3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기와 리어액슬을 연결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상에 토크 측정기를 장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직접적으로 실시간 토크를 측정 및 제어함으로써, 모든 운전 영역에서 차량의 운전성 및 반응성을 향상시키며, 독립적 연료분사 시스템을 통한 차량 동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를 제공한다.
동력 전달계, 프로펠러 샤프트, 토크 측정기

Description

엔진의 동력 전달계{POWER TRAIN SYSTEM OF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 전달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와 리어액슬을 연결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상에 토크 측정기를 장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직접적으로 실시간 토크를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는 엔진 동력 전달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동력 전달계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변속기와, 뒷바퀴를 연결하는 리어액슬과, 리어액슬과 변속기를 연결하며 변속기의 동력을 리어액슬로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의 동력 전달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엔진(1)이 작동하여 발생되는 동력은 클러치(3)를 통하여 변속기(5)로 전달되고, 상기 변속기(5)와 연결되는 프로펠러 샤프트(7)를 통하여 리어액슬(9)로 전달된다.
상기 리어액슬(9)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이 요철로를 주행하거나 선회할 때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좌우 구동바퀴의 구동력을 차동시켜 후륜(11)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에서 차량의 구동력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는 운전자의 엑셀 개도에 의한 연료분사에서 차량의 최종출력에 이르기까지 서로 물리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각 지점에서 서로 다른 토크 값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상기 변속기(5)와 엔진(1)에서 발생되는 토크 사이에는, 변속비(Gear Ratio), 클러치(3) 등 여러 중간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실제 가용되는 상기 변속기(5)의 출력토크를 내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엔진토크가 발생되어야 하고, 엔진(1) 자체에서도 마찰 등의 에너지 손실이 있으므로, 이를 제외한 실제 가용 엔진토크는 보통 인너토크로 표현된다.
이러한 총 인너 토크는 FMTC(Fuel mass Torque Converter) 맵에 의해 분사되는 목표 연료량으로 계산되는데, 이 연료량은 FIE(Fuel Injection Equipment)시스템의 인젝터 맵(즉, Start of Injection 및 Energizing Time 계산값)을 통해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엔진 동력 전달계에서는, 차량 운전성 및 반응성 측면에서 운전자가 실제로 제어하는 토크는 상기 변속기(5)의 출력토크이지만, 차량에서는 토크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비가 없기 때문에, 이를 연료량으로 환산하여 제어되며, FMTC(Fuel Mass Torque Converter) 맵에 의해 연료량을 토크로 전환한다 할지라도, 완전한 선형성을 가지고 환산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젝터, 코킹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FIE(Fuel Injection Equipment) 시스템 조건에서 차량 출력저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디젤 엔진에서는 각종 디젤 후처리장치인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Trap), LNT(Lean NOx Trap) 및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의 적용으로 연료량으로는 정확한 토크 측정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토크제어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기와 리어액슬을 연결하는 프로펠러 샤프트 상에 토크 측정기를 장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직접적으로 실시간 토크를 측정 및 제어함으로써, 모든 운전 영역에서 차량의 운전성 및 반응성을 향상시키며, 독립적 연료분사 시스템을 통한 차량 동력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동력 전달계는 엔진이 작동하여 발생된 동력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로 전달되고, 이 전달된 동력은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하여 리어액슬로 전달되어 후륜을 구동시키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후단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리어액슬 사이에는 토크 측정기가 장착되고, 상기 토크 측정기는, 상부 일측에 센싱홈을 형성하는 센서부가 구성되고, 하부 양측이 장착브라켓을 통하여 차체 하부에 장착되는 센싱몸체; 상기 센싱몸체의 상부에 조립볼트를 통하여 장착되도록 하단부에 볼트홀이 형성된 장착단이 구성되며,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되는 제1, 제2로터 하우징; 및 상기 제1,제2로터 하우징의 내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돌출되어 원형의 아답터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답터 플랜지의 단면에 디스크가 장착되는 원형의 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디스크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홈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동력 전달계에 의하면, 프로펠러 샤프트 상에 장착된 토크 측정기를 이용하여 프로펠러 샤프트에서 직접적으로 실시간 토크를 측정 및 제어함으로써, 모든 운전 영역에서 차량의 운전성 및 반응성을 향상시키며, 독립적 연료분사 시스템을 통한 차량 동력제어가 가능해 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젝터, 코킹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FIE(Fuel Injection Equipment) 시스템 조건 또는, 디젤 엔진에서 사용되는 각종 디젤 후처리장치인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Trap), LNT(Lean NOx Trap) 및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을 적용하여도, 토크 측정기에 의해 차량의 정확한 토크 측정 작업이 용이해 지고, 내연기관뿐 아니라 연료전지 및 전기동력 차량의 동력제어에도 적용이 가능해 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측정기를 구비한 엔진제어 시스템의 토크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측정기의 측면 구성도이고,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동력 전달계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1)이 작동하여 발생되는 동력은 클러치(103)를 통하여 변속기(105)로 전달되고, 상기 변속기(105)와 연결되는 프로펠러 샤프트(107)를 통하여 리어액슬(109)로 전달된다.
상기 리어액슬(109)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이 요철로를 주행하거나 선회할 때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좌우 구동바퀴의 구동력을 차동시켜 후륜(111)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의 후단 유니버셜 조인트(113)와 상기 리어액슬(109) 사이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크 측정기(200)가 장착된다.
상기 토크 측정기(2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센싱몸체(210),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 및 로터(23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센싱몸체(210)는 상부 일측에 센싱홈(211)을 형성하는 센서부(213)가 구성되고, 하부 양측이 장착 브라켓(115)을 통하여 차체 하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몸체(210)의 상부에는 상기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이 장착된다.
상기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은 상기 센싱몸체(210)의 상부에 조립볼트(223)를 통하여 장착되도록 하단부에 볼트홀(225)이 형성된 장착단(227)이 구성 되고,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된다.
이러한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의 내주면 상에는 로터(2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로터(23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면에 돌출되어 원형의 아답퍼 플랜지(23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아답터 플랜지(231)의 단면에는 디스크(233)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233)는 상기 센서부(213)의 센싱홈(211)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토크 측정기(200)의 장착은, 먼저, 상기 센싱몸체(210)의 상부에 상기 조립볼트(223)를 통하여 상기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을 장착하고, 상기 로터(230)를 상기 리어엑슬(109)의 단부에 장착한 상태로, 조립된 상기 센싱몸체(210)와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을 상기 로터(230)의 외주면이 상기 제1,제2로터 하우징(220)(221)의 내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후, 상기 장착 브라켓(115)을 통하여 상기 센싱몸체(210)를 차체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의 후단 유니버셜 조인트(113)는 상기 리어엑슬(109)의 단부에 장착된 상기 로터(230)의 단면 상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상기 토크 측정기(200)는 차량의 ECU와 연결되며, 엔진의 출력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가 회전할 경우 상기 센싱홈(211) 사이에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디스크(233)의 회전속도를 상기 센서부(213)가 감지하여 ECU로 측정값을 출력하고, 이 출력신호에 따라서 ECU가 차량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는 상기 변속기(105)와 리어엑슬(109)을 연결하는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 상에 장착된 상기 토크 측정기(2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조건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107)에서 직접적으로 실시간 토크를 측정 및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FMTC(Fuel Mass Torque Converter) 맵에 따라서 연료량을 환산하여 토크를 제어할 필요 없이 모든 차량조건 및 운전상황에서 정확한 토크제어가 가능해 지고, 이로 인해 차량의 운전성 및 반응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엔진의 동력 전달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측정기를 구비한 엔진제어 시스템의 토크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측정기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3)

  1. 엔진이 작동하여 발생된 동력이 클러치를 통하여 변속기로 전달되고, 이 전달된 동력은 프로펠러 샤프트를 통하여 리어액슬로 전달되어 후륜을 구동시키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후단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리어액슬 사이에는 토크 측정기가 장착되고,
    상기 토크 측정기는,
    상부 일측에 센싱홈을 형성하는 센서부가 구성되고, 하부 양측이 장착브라켓을 통하여 차체 하부에 장착되는 센싱몸체;
    상기 센싱몸체의 상부에 조립볼트를 통하여 장착되도록 하단부에 볼트홀이 형성된 장착단이 구성되며,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되는 제1, 제2로터 하우징;
    상기 제1,제2로터 하우징의 내주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면에는 돌출되어 원형의 아답터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아답터 플랜지의 단면에 디스크가 장착되는 원형의 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홈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동력 전달계.
KR1020070079202A 2007-08-07 2007-08-07 엔진의 동력 전달계 KR10138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202A KR101382352B1 (ko) 2007-08-07 2007-08-07 엔진의 동력 전달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202A KR101382352B1 (ko) 2007-08-07 2007-08-07 엔진의 동력 전달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83A KR20090014883A (ko) 2009-02-11
KR101382352B1 true KR101382352B1 (ko) 2014-04-09

Family

ID=4068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02A KR101382352B1 (ko) 2007-08-07 2007-08-07 엔진의 동력 전달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208B1 (ko) 2018-12-10 2019-01-14 이텍산업 주식회사 Awd 차량 초저속 주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227B1 (ko) * 2010-06-18 2010-08-30 송경진 차량의 연료 절감장치
KR102146799B1 (ko) * 2018-11-30 2020-08-21 선진정공 주식회사 갯벌용 에어보트
KR102231659B1 (ko) 2019-10-17 2021-03-2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액슬 장치
CN111024286B (zh) * 2019-12-02 2021-07-1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驱动轴万向节安装力与拆卸力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76U (ja) * 1991-08-12 1993-02-26 日本電子機器株式会社 車両の駆動トルク検出装置
KR20060067539A (ko) * 2004-12-15 200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스피드 측정장치
WO2007062693A1 (en) 2005-12-02 2007-06-07 Haldex Traction Ab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vehicle dynamics
KR20070110641A (ko) * 2006-05-15 2007-11-20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더스트 쉴드 기능을 구비하는 abs 브레이크용 센서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76U (ja) * 1991-08-12 1993-02-26 日本電子機器株式会社 車両の駆動トルク検出装置
KR20060067539A (ko) * 2004-12-15 200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스피드 측정장치
WO2007062693A1 (en) 2005-12-02 2007-06-07 Haldex Traction Ab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vehicle dynamics
KR20070110641A (ko) * 2006-05-15 2007-11-20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더스트 쉴드 기능을 구비하는 abs 브레이크용 센서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208B1 (ko) 2018-12-10 2019-01-14 이텍산업 주식회사 Awd 차량 초저속 주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83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352B1 (ko) 엔진의 동력 전달계
KR0170543B1 (ko) 토션 토크 검출 장치, 미끄럼 검출 장치, 도로 마찰 계수 검출 장치 및 토션 토크 검출 방법
US84378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motion
JP4873278B2 (ja) トルク測定を統合された軸受装置
CN103786727B (zh) 用于防止混合动力车辆异常振动的方法
US20130025355A1 (en) Test wheel arrangement
CN102072818B (zh) 转速传感器前置时获取发动机各缸失火检测信号的方法
CN101819080B (zh) 用于转矩传感器的诊断系统及方法
CN102454503A (zh) 用于估计发动机操作参数的方法和装置
WO2013153633A1 (ja) 車両の制御装置
GB2436149A (en) Torque measurement in flexible drive coupling plate
CN102123898A (zh) 混合驱动系统
JP2001020803A (ja) 車両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6334364B1 (en) Torque sensor unit for regulating axial movement and axial load
US200401807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state of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n vehicle
US20120173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reasing vehicle speed from a remote location
US786246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train of a motor vehicle
FR3048939B1 (fr) Systeme et procede de correction d'oscillations de couple dans une transmission d'un vehicule automobile a propulsion hybride
JPS61116035A (ja) 車両加速スリツプ制御装置
CN215066753U (zh) 用于变速器输出轴的测速装置
WO2020049625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4019632A (ja) 車両の制御装置
SU1569645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эффе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двигат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гидротрансформатором непрозрачного типа
CN219472203U (zh) 一种双腔电子节气门及发动机
SU1569605A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 эффе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двига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