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850B1 -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850B1
KR101381850B1 KR1020120123051A KR20120123051A KR101381850B1 KR 101381850 B1 KR101381850 B1 KR 101381850B1 KR 1020120123051 A KR1020120123051 A KR 1020120123051A KR 20120123051 A KR20120123051 A KR 20120123051A KR 101381850 B1 KR101381850 B1 KR 10138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esterol
turmeric
extract
composition
turmeric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현
김병호
조주현
백순옥
박인재
박성환
홍윤석
강희곤
Original Assignee
(주)휴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럼 filed Critical (주)휴럼
Priority to KR102012012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2Curcumin, turmeric

Abstract

본 발명은 울금으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하되,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로 울금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갖도록 하는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Composition comprising Curcuma longa extract having anti-cholesterol activities and The Method Curcuma longa extract}
본 발명은 울금으로부터 추출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도록 하되,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로 울금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갖도록 하는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혈중지질농도를 평가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식품섭취의 패턴의 변화와 함께 혈중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1970년대 한국 성인의 혈중콜레스테롤의 농도가 154mg/dl로 보고되었으나, 1993년도에는 그 수치가 193mg/dl로 증가하여 20년 만에 20%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식생활 문화의 서구화와 외식의 증가에 따라 국민들의 영양불균형이 초래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의 편식이 건강을 위협하고 포화지방산의 과도한 섭취로 인해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고지혈증, 동맥경화나, 관상심장병 등 여러 가지 질병이 발생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조절과 관련된 소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인구노령화와 과식, 음주, 흡연, 운동부족, 비만으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인 고 콜레스테롤혈증,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질환이 늘어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도 심혈관질환이 사망원인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노인의 사망원인 중 암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음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행하면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지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은 LDL 콜레스테롤이 산화되어 그 산화산물이 동맥 내 피하조직에 축적되고 여러 염증 반응이 증가 등으로 초래되는 만성질환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조절기능 물질로 니코틴산, 클로피브레이트, 네오마이신, 트리파라놀, D-티록신, 에스트로겐, 로바스타틴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니코틴산의 경우 피부혈관확장, 발진, 위 장관 이상, 요산혈증, 고혈당증, 간기능 이상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고, 클로피브레이트는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콜레스테롤 저하제이지만 그 효과가 낮으며, 네오마이신은 메스꺼움, 설사와 같은 부작용이 있고, 트리파라놀은 백내장 등의 부작용, D-티록신은 부정맥, 협심증, 복합 경색과 같은 부작용이 있으며, 로바스타틴은 근병증, 횡문근분해, 자살충동의 증가, 노이로제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다른 소재의 경우에도 부작용사례와 기능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치료효과뿐만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복용이 가능한 안전성과 효능을 겸비한 약효식품(nutraceuticals) 개발이 더욱더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울금은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타원형의 잎이 뿌리에서 나고 줄기는 노란색을 띠며 여름과 가을에 입술 모양의 노란색 꽃이 핀다. 땅속줄기인 덩이뿌리는 양념이나 염료, 흥분제와 같은 의약품으로 이용된다. 황색 색소 쿠르쿠민 및 정유를 함유하며 간이나 담도질환 및 지혈제로 사용되는 열대 아시아에 자생하는 다년초 Curcuma longa L.의 근경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제주도 및 진도지방에서 생산 되어진다.
울금에 대한 연구로는 (KR)10-2011-0069975(공개,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인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11-0062231(공개, 군산시)은 강황에서 추출되는 정유를 함유한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 (KR)10-2011-0059189(공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온울금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11-0053590(공개, 한국인스팜(주))은 발효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11-0038531(공개,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외)은 상황버섯 - 울금 발효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11-0004763(공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뉴라미니데이즈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10-0114266(공개,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은 체중증가의 방지 및 혈중 중성지질의 감소를 위한 울금 메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이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10-0100455(공개, 한국콜마 외 1)은 피부 진균증에 유효한 온울금 오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2010-0086411(공개, 김선옥 외 1)은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2007-0022403(공개, (주)태영이앤티)은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강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 (KR)10-2002-0073847(공개, (주)바이오시너젠)은 쿠르쿠민 또는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0824615(등록,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대한 연구, (KR)10-0506427(등록, (주)뉴로넥스)은 강황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위궤양 예방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연구 등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울금을 이용한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연구로는 커큐민의 콜레스테롤 저하 메커니즘 제시[Curcumin induces changes in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cholesterol homeostasis(J Nutritional Biochemistry, 2007)], C, longa 알코올추출물이 LDL cholesterol, LDL triglycerides, LDL phospholipids level 감소시킴[Oral administration of a tumeric extract inhibits LDL oxidation and has hypocholesterolemic effects in rabbits with experimental atherosclerosis(Atherosclerosis, 1999)], 고콜레스테롤증 랫트에 커큐민 경구투여 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수치 감소[Curcumin attanuates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in rats(Medical science moniotr, 2005)], 혈청의 lipid peroxide와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킴[Effect of oral curcumin administration on serum peroxides and cholesterol levels in human volunteers( Indian J Physiol Pharmacol. 1992 Oct;36(4):273-5.)]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추출조건을 달리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증대시키고자 한 연구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효능에 대한 연구로, 울금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용암해수를 활용함으로써 그 기능성이 증대되는 효능을 갖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KR) 특허공개 10-2011-0069975 (KR) 특허공개 10-2011-0062231 (KR) 특허공개 10-2011-0059189 (KR) 특허공개 10-2011-0053590 (KR) 특허공개 10-2011-0038531 (KR) 특허공개 10-2011-0004763 (KR) 특허공개 10-2010-0114266 (KR) 특허공개 210-010-0100455 (KR) 특허공개 10-2010-0086411 (KR) 특허공개 10-2007-0022403 (KR) 특허공개 10-2002-0073847 (KR) 특허등록 10-0824615 (KR) 특허등록 10-0506427
본 발명은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갖는 소재를 제공하되, 부작용이 적은 생약제 제공 및 추출조건을 개선함으로써 기능적으로 우수한 소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다양한 생약제를 이용한 소재탐색을 통한 울금을 항콜레스테롤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용암해수를 이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울금의 추출조건 확립을 통하여 그 효능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헬리코박터 효능을 갖는 조성물은, 울금을 용암해수를 이용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분말형태의 울금 추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혼합용매는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를 포함한다.
보통 상기 C1~C4 알코올은 1 ~ 100% 메탄올, 1 ~ 100% 에탄올(주정)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100% 에탄올(주정),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에탄올(주정)을 사용한다.
또한, 용암해수는 용암해수 원수,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ED미네랄수를 사용한다.
상기 울금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항 콜레스테롤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을 단독사용되거나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콜레스테롤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알코올을 이용하여 울금 추출물을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울금 추출물을 획득한다.
상기 혼합용매는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용암해수는 용암해수 원수,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ED미네랄수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은, 생체 내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효능 및 생체 내로 유입된 콜레스테롤을 흡착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효능 등 다양한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용암해수를 이용한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의하여 보다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울금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획득된 울금 추출분말의 항콜레스테롤 효능 중 HMG-CoA reductase 활성 저해효능을 나타낸 도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획득된 울금 추출분말의 항콜레스테롤 효능 중 총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나타낸 도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획득된 울금 추출분말의 항콜레스테롤 효능 중 췌장지방분해효소의 활성 저해효능을 나타낸 도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울금으로부터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하여 항콜레스테롤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동시에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첨가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인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울금으로부터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추출)용매에 첨가하여 추출한다.
상기 혼합(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울금으로부터 추출되는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울금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C1~C4 알코올은, 1 ~ 100% 메탄올, 1 ~ 100% 에탄올(주정)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100% 에탄올(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에탄올(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용암해수는 용암해수 원수를 직접 사용할 수 있으며, 용암해수를 처리하여 획득되는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용암해수로는 용암해수 원수,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 중 선택되는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D미네랄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암해수는 혼합(추축)용매의 전체 중량대비 3 ~ 15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용암해수는, 「바닷물이 현무암층에 의해 여과돼 육지 지하로 흘러든 물」을 칭하며,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는 제주도 동부해안지역과 서부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일일/계절변동 및 물리적 특성 변화가 적고, 수온은 16~18℃로 변함이 없으며, pH(수소이온농도)는 평균 7.5범위로서 해양심층수(7.8) 및 일반해수(8.0~8.6) 비교했을 때 안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장균, 암모니아성 질소, 페놀류, 수은, 카드뮴 등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산업화 적용에 장애요인이 없으며, 실험동물모델로 사망률에 미치는 급성독성이 없고, 간, 신장, 심장, 근육 등의 손상과 관련 있는 혈액지표 분석결과 조직이나 장기에 미치는 독성이 없다.
또한 일반해수, 해양심층수, 용암해수 원수는 해수를 기원으로 하기 때문에 주요미네랄(Mg, Ca 등) 성분은 유사하고 암반층에 의해 육지 지하로 스며들면서 인체에 유용한 미량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D미네랄수는, 용암해수를 전기투석을 거친 수(물)로 이온교환막(cation 교환막과 anion 교환막)을 사용하여 용암해수 중 염소와 나트륨을 제거하고 마그네슘과 칼슘 성분 등 몸에 이로운 이온은 그대로 유지시키는 수(물)을 칭하며, 용암해수는 ED 미네랄수와 염수로 분리된다.
상기 RO염수 및 RO 탈염수는, 용암해수를 역삼투막을 사용하여 획득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해수는 역삼투막의 방법에 의하여 담수와 염수로 분리된다. 즉, 용암해수를 역삼투막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염수인 RO염수와 담수인 RO탈염수(물)를 획득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은 항콜레스테롤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울금 추출물은 항콜레스테롤 효능에 유용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용압해수가 포함된 혼합(추출)용매로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과 함께 항콜레스테롤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압해수가 포함된 혼합(추출)용매로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은, 콜레스테롤 조절용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울금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 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즉,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에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이 첨가될 수 이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하여 위장질환용 조성물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그 밖에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시 첨가되어 각종 음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로 이루어진 혼합(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는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 또는 조성물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실시예 1 : 70% 에탄올(주정) 추출분말 제조
울금 1kg을 잘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70% 에탄올(주정) 20L를 넣고, 25℃에서 각각 4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 농축,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거쳐서 분말형태의 건조된 울금-70% 주정추출분말 22g, 24g, 25g을 얻었다.
실시예 2 : 85% 에탄올(주정) 추출분말 제조
울금 1kg을 잘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85% 에탄올(주정) 20L를 넣고, 25℃에서 각각 4시간, 8시간, 1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 농축,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거쳐서 분말형태의 건조된 울금-85% 주정추출분말 31g, 30g, 29g을 얻었다.
실시예 3 : 95% 에탄올(주정) 추출분말 제조
울금 1kg을 잘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95% 에탄올(주정) 20L를 넣고, 25℃에서 각각 4시간, 12시간, 24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 농축, 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거쳐서 분말형태의 건조된 울금-95% 주정 추출분말 1.0g, 1.1g, 1.1g을 얻었다.
실시예 4 : 85% 에탄올(주정) 97중량%와 ED미네랄수 3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분말 제조
울금 1kg을 잘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85% 에탄올(주정) 97중량%와 ED미네랄수 3.0중량%를 혼합한 혼합(추출)용매 20L를 넣고, 25℃에서 8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농축-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거쳐서 85% 에탄올(주정)-ED미네랄수(3.0중량%)를 사용하여 획득한 분말형태의 건조된 울금-85% 주정-ED미네랄수(3.0중량%) 추출분말 3.2g을 얻었다.
실시예 5 : 85% 에탄올(주정) 92.5중량%와 ED미네랄수 7.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분말 제조
울금 1kg을 잘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85% 에탄올(주정) 92.5중량%와 ED미네랄수 7.5중량%를 혼합한 혼합(추출)용매 20L를 넣고, 25℃에서 8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농축-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거쳐서 85% 에탄올(주정)-ED미네랄수(7.5중량%)를 사용하여 획득한 분말형태의 건조된 울금-85% 주정-ED미네랄수(7.5중량%) 추출분말 3.6g을 얻었다.
실시예 6 : 85% 에탄올(주정) 85중량%와 ED미네랄수 1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분말 제조
울금 1kg을 잘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85% 에탄올(주정) 85중량%과 ED미네랄수 15.0중량%를 혼합한 혼합(추출)용매 20L를 넣고, 25℃에서 8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농축-동결건조 하는 단계를 거쳐서 85% 에탄올(주정)-ED미네랄수(15중량%)를 사용하여 획득한 분말형태의 건조된 울금-85% 주정-ED미네랄수(15중량%) 추출분말 4.4g을 얻었다.
실험예 1 : 본 발명에 사용한 용암해수의 주요성분분석
본 발명에 추출방법에 사용한 용암해수에 대하여 주요성분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 시료의 전처리는 고농도 성분들과 저농도 성분들의 분석을 위하여 정밀저울에 용암해수(원수,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를 무게 측량 후 용기에 넣고, 2% HNO3를 이용하여 10배~1000배 희석하여 조제하였으며, 분석은 전처리를 거친 시료 용액을 사용하여 ICP-MS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ICP 분석용 100 ppm 표준용액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희석에 사용한 용매는 매질(matrix) 보정을 위하여 시료 전처리 과정에서 사용한 매질(2% HNO3)과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조절하였으며, 검정곡선 작성 시 사용한 표준용액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고농도 성분들은 0.1~10 ppm, 저농도 성분들은 0.001~0.1 ppm 범위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 본 발명에 사용한 용암해수의 주요성분은 아래 [표 1]과 같다.
단위 : ppm
시료명 Na Mg K Ca
원수 11,114±232 1,333±99 553±12 444±15
ED미네랄수 540±9 1,253±39 13.59±0.24 308±13
RO염수 18,459±1419 2,026±98 961±68 701±37
RO탈염수 1.37±0.22 <0.05 <0.05 <0.05
실험예 2 : 실시예로 얻어진 울금시료의 커큐민 함량분석
실험방법 :
㉮ 표준용액제조 : Curcumin, Demethoxycurcumin, Bisdemethoxycurcumin의 표준품을 에탄올(HPLC급)을 가하여 표준원액을 만들고(1 mg/mL), 표준용액은 표준원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각 각 250 ppm, 100 ppm, 50 ppm, 10 ppm, 5 ppm, 1 ppm 농도로 희석하여 조제하였다.
㉯ 시험용액제조 : 정밀저울에 울금추출물을 100 mg의 무게을 칭량 후 에탄올1/3가량 넣은 25 mL Volume flask에 넣어 15분간 초음파 처리 후 Volume flask의 마킹선까지 에탄올을 채움. 잘 섞이도록 흔들어 준 후 0.45 μm syngine filter에 여과한 것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 실시예 1(8HR),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6으로 얻어진 울금분말소재의 커큐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아래 [표 2]와 같다.
단위 : ㎎/g
추출방법
커큐민
85% EtOH 85% EtOH + ED미네랄수(3.0중량%) 85% EtOH + ED미네랄수(7.5중량%) 85% EtOH + ED미네랄수(15중량%)
Curcumin 20.21 16.10 15.83 9.16
Demethoxycurcumin 5.92 3.95 4.21 2.46
Bisdemethoxycurcumin 2.55 1.64 1.71 1.09
합 계 28.68 21.45 21.75 12.71
실험예 3 : 울금 추출물의 항콜레스테롤 효과(1) : HMG - CoA reductase 저해활성(도 1 참조)
실시예 2과 실시예 5에 따라 얻어진 울금 추출물의 항콜레스테롤 효과 중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물질 : 85% 에탄올을 사용한 실시예 2에서 획득한 울금 추출농축분말(A), 85% 에탄올과 ED미네랄수를 사용한 실시예 5에서 획득한 울금 추출농축분말(B)
실험방법 :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은 HMG-CoA Reductase Assay Kit(Sigma, St. Louis, USA)를 사용하였다. 1X assay buffer 181 μL, NADPH 4 μL, HMG-CoA 12 μL, HMG-CoA reductase 2 μL, 시험물질 또는 HMG-CoA reductase inhibitor(Pravastatin) 1 μL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Microreader기를 이용하여 37℃, 340nm에서 20초 단위로 측정하여 흡광도 변화를 계산하고 HMG-CoA 대신 증류수를 가한 blank로 반응시킨 흡광도의 변화를 비교하여 활성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 콜레스테롤 합성반응은 acetyl CoA를 시작으로 하여 20 여개의 효소반응을 거치게 되며, 초기 연구들에서는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생합성 마지막 경로에 관여하는 desmosterol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 생성되는 sterol로의 전환을 저해하는 trilaranol 등이 연구되어졌으나, 이 경우 중간 대사산물들에 의한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합성경로 중 desmosterol 환원 효소 보다 앞선 단계인 HMG-CoA reductase가 관여하는 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중간 대사산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HMG-CoA reductase 저해물질로는 lovastatin, compactin, simvastatin, pravastatin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험물질(A, B)의 HMG-CoA reductase에 대한 활성 저해효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A는 50,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23.67, 28.34, 48.91%, 시험물질 B는 50,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32.46, 43.45, 68.19%의 HMG-CoA reductase 활성 저해효능을 보이고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인 pravastatin은 59.05%의 HMG-CoA reductase 활성 저해효능을 보였다.
특히, 시험물질 B는 농도 의존적으로 시험물질 A보다 HMG-CoA reductase 활성 저해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 μg/mL의 농도에서는 pravastatin보다 우수한 HMG-CoA reductase 활성 저해효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울금 추출물의 항콜레스테롤 효과(2) 총콜레스테롤 흡착능(도 2 참조)
실시예 2과 실시예 5에 따라 얻어진 울금 추출물의 항콜레스테롤 효과 중 총콜레스테롤 흡착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물질 : 85% 에탄올을 사용한 실시예 2에서 획득한 울금 추출농축분말(A), 85% 에탄올과 ED미네랄수를 사용한 실시예 5에서 획득한 울금 추출농축분말(B)
실험방법 : 시험물질 1 mL(50, 100, 200 μg/mL)에 30 μg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 동안 잘 섞어준 다음, 0.1 M 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를 50 μL를 첨가하여 섞이게 한 뒤 15,000 rpm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효소법에 의한 kit(Asan Pharm., Seoul, Kore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 시험물질 A와 B에 대하여 총 콜레스테롤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효능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A는 200 μg/mL의 농도에서 19.01%, 시험물질 B는 200 μg/mL의 농도에서 22.77%의 총 콜레스테롤 흡착능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효능은 시험물질 B가 시험물질 A보다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험물질 A, B 모두 200 μg/mL의 농도에서 생체내로 유입된 콜레스테롤을 흡착하여 배출 시킬 수 있는 효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5 : 울금 추출물의 항콜레스테롤 효과(3) : 췌장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도 3 참조)
실시예 2과 실시예 5에 따라 얻어진 울금 추출물의 항콜레스테롤 효과 중 췌장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물질 : 울금추출농축분말(실시예 2, A), 울금/ED 추출농축분말(실시예 5, B)
실험방법 :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4-nitrophenyl palmitate(pNPP)를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켜 10 mM 용액으로 제조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3.33 mM인 기질용액을 제조하였으며, 50 mM Tris-HCl buffer(pH 8.5) 162 μL, 시험물질 16 μL 또는 pancreatic lipase inhibitor(Orlistat) 25 μg/mL, 5 mg/mL의 효소용액(type II crude porcine pancreatic lipase) 12 μL, 기질용액 10 μL로 된 반응용액을 37℃에서 25분간 반응하고, 반응이 끝난 후 microreader기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 췌장 지방분해효소는 지방의 물질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 지방의 소화를 진행하고 장내 상피세포가 분해산물을 흡수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지방은 췌장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흡수되기 때문에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할 경우 혈중의 지방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다. 지방분해효소가 없을 시, 중성지방은 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출되고, 췌장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생성되는 이러한 중성지방은 체내에 과다 축적시 LDL-콜레스테롤의 생성을 돕고, HDL-콜레스테롤의 분해는 촉진된다. 따라서, 체내에서 LDL-콜레스테롤 생성을 돕는 췌장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에 대한 시험물질의 저해효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A는 50,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3.15, 22.10, 31.40%, 시험물질 B는 50, 100, 200 μg/mL의 농도에서 18.43, 35.52, 50.47%의 췌장 지방분해효소 활성 저해효능을 보이고 있었으며, 양성대조군인 orlistat(25 μg/mL)는 61.64%의 췌장 지방분해효소 활성 저해효능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시험물질 B는 농도 의존적으로 시험물질 A보다 췌장 지방분해효소 활성 저해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험물질 A, B 모두 생체내에서 췌장 지방분해효소 저해하는 효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성지방의 생성을 억제하여 LDL-콜레스테롤 생성을 낮출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시험물질 B가 시험물질 A보다 그 효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A : 실시예 1로 획득된 울금-85% 주정추출분말
B : 실시예 5로 획득된 울금-85% 주정-ED미네랄수(7.5중량%) 추출분말

Claims (8)

  1.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용매로 추출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는 용암해수 원수,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콜레스테롤용 조성물은 식품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
  5. 알코올을 이용하여 울금 추출물을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C1~C4 알코올과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울금 추출물을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는 용암해수 원수, ED미네랄수, RO염수, RO탈염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에 이용되는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20123051A 2012-11-01 2012-11-01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38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51A KR101381850B1 (ko) 2012-11-01 2012-11-01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051A KR101381850B1 (ko) 2012-11-01 2012-11-01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850B1 true KR101381850B1 (ko) 2014-04-10

Family

ID=5065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051A KR101381850B1 (ko) 2012-11-01 2012-11-01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113A (ko)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바이오씨 정유성분 및 커큐민의 추출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20139082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휴럼 울금과 용암해수를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울금추출분말소재 및 이를 이용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6689B2 (ja) 2000-12-15 2007-08-2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リパーゼ阻害剤
KR20090077572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 탈염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JP4604179B2 (ja) 2004-11-30 2010-12-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糖尿病血糖降下剤及び高脂血症治療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6689B2 (ja) 2000-12-15 2007-08-29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リパーゼ阻害剤
JP4604179B2 (ja) 2004-11-30 2010-12-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糖尿病血糖降下剤及び高脂血症治療剤
KR20090077572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 탈염 미네랄수를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113A (ko)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바이오씨 정유성분 및 커큐민의 추출방법 및 이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20139082A (ko)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휴럼 울금과 용암해수를 이용한 간기능 개선용 울금추출분말소재 및 이를 이용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äkynen et al. Cultivar variations in antioxidant and antihyperlipidemic properties of pomelo pulp (Citrus grandis [L.] Osbeck) in Thailand
Akpinar-Bayizit et al.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omegranate and its products for prevention of cancer
JP5275251B2 (ja) 肝臓疾患を予防及び処置するための組合せ薬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Perera et al. Perspectives on geraniin, a multifunctional natural bioactive compound
Yousefi et al. Insights to potential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berry fruits
Alam et al. Appraisal of the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concentration, xanthine oxid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leurotus salmoneostramineus
KR101577002B1 (ko) 울금과 용암해수를 이용한 항콜레스테롤 또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10053590A (ko) 발효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07501B1 (ko) 민들레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309292B2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381850B1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 콜레스테롤용 조성물과 그 울금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210048467A (ko)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Singh et al. Exploring the multifaceted potential of chlorogenic acid: Journey from nutraceutical to nanomedicine
KR100570959B1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Lal et al. Traditional, medicinal and nutraceutical values of minor fruit: Longan
KR20140113050A (ko) 양파껍질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혈관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2006008523A (ja) 生理活性フェノール性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食品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66633B1 (ko)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활성을 갖는 초고압 양파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80075763A (ko) 마치현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손상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00084215A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06290807A (ja) リパーゼ阻害活性および抗酸化性を有する組成物
Hassan et al. Irvingia gabonensis baill.(African Mango):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ethnopharmacological significance, unveiling its long-standing history and therapeutic potent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