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581B1 -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 Google Patents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581B1
KR101381581B1 KR1020130133754A KR20130133754A KR101381581B1 KR 101381581 B1 KR101381581 B1 KR 101381581B1 KR 1020130133754 A KR1020130133754 A KR 1020130133754A KR 20130133754 A KR20130133754 A KR 20130133754A KR 101381581 B1 KR101381581 B1 KR 101381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ox
rear side
side walls
pla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시대에코텍
(주)이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대에코텍, (주)이자인 filed Critical ㈜시대에코텍
Priority to KR102013013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Abstract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전,후방 측벽 및 제1좌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좌우측벽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노출시키도록 제1전면노출부를 제1전방측벽에 절개형성한 제1식생상자와, 상기 제1식생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1전면노출부와 대응하는 제1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제1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식생부 ;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전,후방측벽 및 제2좌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후방측벽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외벽을 갖는 제2식생상자와, 상기 제2식생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외벽과 대응하는 제2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제2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식생부 ; 및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3전,후방측벽 및 제3좌우측벽을 구비하는 제3식생상자와, 상기 제3식생상자를 내부수용하도록 진입되는 제3전면노출부 또는 제3후면노출부를 개구형성한 제3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식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식생부,제2식생부 및 제3식생부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하여 구비된다.

Description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Stacking Planting Box for wall afforestation}
본 발명은 입체녹화를 위하여 다단으로 적층되는 식생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입면녹화를 통하여 경관을 개선하고,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까지 수분을 안정적으로 낙하유입시켜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식물생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현대화 및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도시지역에서의 녹지면적이 현격하게 줄어듦에 따라 도시 기온의 상승과 도시 홍수,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더불어 대기오염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시녹화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녹화할 공간이 너무 부족한 상태이어서, 옥상 녹화와 건물 입체 녹화의 중요성과 효과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음, 국내외에서는 이미 권고 내지는 강제 사항으로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 옹벽 또는 정리된 경사면 등에는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벽면을 형성하게 되는바, 이러한 콘크리트 벽면 구조물은 그 느낌이 삭막하여 도심의 미관을 저해하거나 또는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벽면 콘그리트 구조물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녹화시스템을 설치하여 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도시녹화에 대한 수요를 해결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8556호(2012.5.10.)에는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와, 블럭고정부의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블럭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속하여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식생블럭 ;을 포함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체녹화 방법의 경우에도 우천시 식생블럭 내로의 강우 유입이 곤란하여 식물의 식생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수분확보가 곤란하고, 강우시 빗물이나 관수시 수분공급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식물의 고사율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61783호(2013.06.12)에는 식생에 필요한 토양 및 양분을 제공하는 식생기반재를 외피로 둘러싼 식생블럭과, 상기 식생블럭을 내부에 수용하는 골조프레임과, 상기 골조프레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식생블럭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둘러싸 외부종자의 유입 및 발아를 방지하는 커버시트부를 포함하는 식생블럭조립체; 벽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상기 식생블럭조립체와 결합되어 식생블럭조립체가 벽면에 간편하게 설치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체녹화 방법의 경우에도 고속도로나 보차도 경계부에 설치되는 경우 지속적인 바람에 의한 수분의 증발산량의 증가로 인해 식물생육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수분의 공급, 이동과 더불어 수분유지가 곤란하여 식물의 고사율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입면녹화를 통하여 경관을 개선하고,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까지 수분을 안정적으로 낙하유입시켜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한편, 식물생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전,후방 측벽 및 제1좌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좌우측벽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노출시키도록 제1전면노출부를 제1전방측벽에 절개형성한 제1식생상자와, 상기 제1식생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1전면노출부와 대응하는 제1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제1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식생부 ;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전,후방측벽 및 제2좌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후방측벽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외벽을 갖는 제2식생상자와, 상기 제2식생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외벽과 대응하는 제2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제2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식생부 ; 및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3전,후방측벽 및 제3좌우측벽을 구비하는 제3식생상자와, 상기 제3식생상자를 내부수용하도록 진입되는 제3전면노출부 또는 제3후면노출부를 개구형성한 제3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식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식생부,제2식생부 및 제3식생부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후방측벽과 마주하는 제1철망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제1식생상자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1후면노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후방측벽과 마주하는 제2철망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제2식생상자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2후면노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및 3식생상자 중 어느 하나의 식생상자의 내부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습비료매트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보습비료매트는 비료 또는 보습제가 채워지는 복수개의 다각형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격벽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하부면을 덮으면서 수분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하부덮개시트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습비료매트는 상기 제1식생상자 또는 제2식생자의 제1후면측벽 또는 제2후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밀착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판은 상기 보습비료매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양토에 묻히는 경사판의 하부단 일부만 보습비료매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및 3식생부는 전면에 수직한 일정형 슬릿개구부를 갖는 'ㄷ'자형 단면상의 메인프레임에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단으로 적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및 3식생상자 중 어느 하나는 2 내지 4 ㎝의 두께를 가지며, 60 내지 80 % 의 투수율을 갖는 코이어 펠트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투수성 코이어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식생상자를 철망프레임에 수용하여 다단으로 적층함으로써, 식생상자의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전달을 최상층으로부터 최하단까지 자중에 의해서 원활하고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고, 생육조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식생상자의 내부에 배양토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는 보습비료매트를 구비함으로써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에 보습유지된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식물생장을 촉진시키거나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3) 지속적인 바람에 의한 수분증발량이 많은 고속도로 방음벽이나 보차도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경우, 수분증발량을 현저히 줄여 시공 후 벽체입면 녹화를 장시간 유지하고, 이로 인한 보수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에 채용되는 보습비료매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에 채용되는 제1식생부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에 채용되는 제2식생부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에 채용되는 제3식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를 저류조를 구비하는 데크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1000)는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다단 적층되는 제1식생부(100), 제2식생부(200) 및 제3식생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식생부(10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1식생상자(110) 및 상기 제1식생상자(110)를 내부수용하는 제1철망프레임(120)을 포함하여 다단적층시 최하층에 배치되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식생구조물이다.
상기 제1식생상자(1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록 제1전,후방 측벽(111,112) 및 제1좌우측벽(113,113)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1식생상자(110)는 상기 제1좌우측벽(113,113)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115)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방측벽(111)에는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이 받쳐지면서 식재된 식물을 태양광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이 전방으로 대략 45°~ 60°의 일정각도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115)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전방측벽(111)에는 상기 배양토에 하부단 일부가 묻힌 경사판(115)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1전면노출부(114)를 절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판(115)은 상기 제1좌우측벽(113,113)에 양단이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고정되거나 고정핀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서 위치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각도를 가변조절할 수 있도록 양단이 핀부재(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식생상자(110)는 투수성 코이어 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철망프레임(120)은 상기 제1식생상자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1전,후방 측벽(111,112) 및 제1좌우측벽(113,113)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직육면체상의 철망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방측벽(111)과 마주하는 제1철망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상기 제1전면노출부(114)와 대응하여 상기 경사판(115)을 외부로 완전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1전면노출부(124)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방측벽(112)과 마주하는 제1철망프레임(120)의 후면에는 상기 제1식생상자(110)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1후면노출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식생부(200)는 상기 제1식생부와 마찬가지로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2식생상자(210) 및 상기 제2식생상자(210)를 내부수용하는 제2철망프레임(220)을 포함하여 다단적층시 제1식생부(100)와 제3식생부(300)사이에 배치되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식생구조물이다.
상기 제2식생상자(2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록 제2전,후방 측벽(211,212) 및 제2좌우측벽(213,213)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2식생상자(210)는 제2후방측벽(211)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기 제2전방측벽 및 제2좌우측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는 외벽(21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외벽(214)은 상기 제2후방측벽(2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연장되거나 상기 제2전방측벽(211)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2후방측벽(2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사각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식생상자(210)는 제1식생상자와 마찬가지로 투수성 코이어 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철망프레임(220)은 상기 제2식생상자(210)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2전,후방 측벽(211,212) 및 제2좌우측벽(213,213)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1철망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직육면체상의 철망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전방측벽(213)과 마주하는 제2철망프레임(220)의 전면에는 상기 외벽(214)과 대응하여 상기 외벽(214)을 외부로 완전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2전면노출부(224)를 구비하고, 상기 제2후방측벽(212)과 마주하는 제2철망프레임(220)의 후면에는 상기 제2식생상자(210)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2후면노출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3식생부(300)는 상기 제1,2식생부(100,200)와 마찬가지로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갖는 제3식생상자(310) 및 상기 제3식생상자(310)를 내부수용하는 제3철망프레임(320)을 포함하여 다단적층시 최상층에 배치되어 적층되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식생구조물이다.
상기 제3식생상자(3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록 제3전,후방 측벽(311,312) 및 제3좌우측벽(313,313)을 구비한다.
상기 제3식생상자(310)는 제1,2식생상자와 마찬가지로 투수성 코이어 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철망프레임(320)은 상기 제3식생상자(310)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3전,후방 측벽(311,312) 및 제3좌우측벽(313,213)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1,2철망프레임(110,210)과 마찬가지로 직육면체상의 철망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전,후방측벽(311,312)과 마주하는 제3철망프레임(22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상기 제3식생상자(310)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3전면노출부(324) 또는 제3후면노출부(322)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전,후면노출부(322,324)는 상기 제3철망프레임(320)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는 제3식생상자(310)보다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전,후면에 개구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물이 식재되는 배양토가 채워지는 제1,2및 3식생상자(110,210,310)의 각 내부공간 바닥면에는 상기 배양토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비료를 포함하는 보습비료매트(40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비료매트(400)는 상기 비료가 충진되도록 허니컴과 같은 복수개의 다각형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격벽(415)을 갖는 지지체(410)와, 상기 지지체(410)의 상,하부면을 덮으면서 수분유입이 가능하도록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하부덮개시트(420,4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410)의 내부격벽에 의해서 형성되는 다각형의 충진공간에는 상기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비료와 더불어 식물에 공급되는 수분을 장시간 유지하면서 보유할 수 있도록 보습제가 일정량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식생상자(210)는 상기 제2후면측벽(212)에 밀착배치되어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후면측벽(212)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보습비료매트(400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보습비료매트(400a)는 최하층인 제1식생부(100)의 제1식생상자(110)에 구비되는 제1후면측벽(112)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식생상자(110)에 구비되는 경사판(115)은 비료 또는 보습제가 충진되도록 다각형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격벽(415)을 갖는 지지체(410)와, 상기 지지체(410)의 상,하부면을 덮는 상,하부덮개시트(420,430)를 포함하는 판상의 보습비료매트(400b)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양토에 묻히는 경사판(115)의 하부단 일부만 보습비료매트(4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 및 3식생부(100,200,300)는 전면에 수직한 일정형 슬릿개구부(510)를 갖는 'ㄷ'자형 단면상의 메인프레임(500)에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단으로 적층됨으로써 방음벽이나 건물벽체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500)은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단의 식생상자를 수용하면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철망프레임과 같은 망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제1,2 및 3식생상자(110,210,310)는 중공체 또는 중실체로 이루어지는 연결핀(600)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핀(600)은 상부측의 식생상자의 배양토에 함수된 수분을 하부측의 식생상자측으로 자중에 의해서 배수유도할 수 있도록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100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식생부 중 최상층의 제3식생부(300)는 전,후방 및 상방이 개방되어 세방향으로부터 강우시 빗물과 같은 수분공급이 원활하여 평지와 동일한 수분공급 조건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식생부(300)의 제3식생상자(310)에 채워진 배양토에 함수된 수분은 투수성 코이어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제3식생상자(310)를 통하여 자중에 의해서 제2식생상자(210)측으로 낙하공급되거나 연결핀(600)을 통하여 제2식생상자(210)를 구성하는 외벽(214) 및 제2후방측벽(212)으로 전달됨으로써 제2식생상자에 채워진 배양토에 공급되어 상기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 및 수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식생상자(210)의 배양토에 함수된 수분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투수성 코이어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식생상자(210)를 통하여 자중에 의해서 최하층 제1식생상자(110)측으로 낙하공급되거나 다른 연결핀(600)을 통하여 제1식생상자(110)를 구성하는 제1후방측벽(112)으로 전달됨으로써 제1식생상자에 채워진 배양토에 공급되어 상기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 및 수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 및 3식생상자(110,210,310)의 바닥면에는 비료 또는 보습재가 내부 충진공간에 채워지거나 이들의 혼합물이 내부 충진공간에 채워진 보습비료매트(400)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수분에 용해된 비료성분을 식물에 전달함과 동시에 배양토에 함수된 수분을 보습제에 의해서 장시간 유지하여 수분공급을 장기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식생상자(210)의 제2후방측벽(212)에 접하도록 보습비료매트(400a)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투수성 코이어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제2후방측벽(212)을 통하여 배양토로 전달되는 수분에 의해서 비료를 자연스럽게 용해시키고, 용해된 비료성분과 더불어 수분을 배양토에 식재된 식물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및 3식생상자(110,210,310)는 2 내지 4 cmm의 두께를 가지며, 60 내지 80 % 의 투수율을 갖는 코이어 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식생상자의 두께가 2cm 이하로 얇은 경우 채워지는 배양토의 압력에 의한 벽체의 배불림현상 및 처짐현상과 같은 불량 발생하게 되고, 펠트의 코이어 섬유사가 풀려서 분해되어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4cmm 이상으로 두꺼운 경우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배양토의 충전량이 부족해지면서 펠트소재의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식생상자의 투수율이 60%cm 이하로 저조한 경우 배양토에 함수된 물이나 강우시 빗물이 최하층까지 전달되지 못하고 증발될 수 있으며, 80%cmm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배양토에 함수된 물이나 강우시 빗물이 최하층 식생상자까지 너무 빠른 속도로 전달되어 배수되면서 식물 성장에 필요한 수분전달 및 적절한 함수가 곤란해져 식물의 고사현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1000)는 빗물이 일정량 저류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저류조의 개방된 상부에 구비된 데크에 설치됨으로써 최하층 까지 배수된 물을 저류조에 모아 저류함과 동시에 저류된 빗물을 미도시된 펌프 및 관수설비에 의해서 순환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사항에 의한 등가물 및 변형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0 : 본 발명의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100 : 제1식생부
110 : 제1식생상자
111,112 : 제1전,후방측벽
113 : 제1좌우측벽
115 : 경사판
120 : 제1철망프레임
200 : 제2생부
210 : 제2식생상자
211,212 : 제2전,후방측벽
213 : 제2좌우측벽
220 : 제2철망프레임
300 : 제3식생부
310 : 제3식생상자
311,312 : 제1전,후방측벽
313 : 제1좌우측벽
320 : 제3철망프레임
400,400a,400b : 보습비료매트
500 : 메인프레임

Claims (8)

  1.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전,후방 측벽 및 제1좌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좌우측벽에 양단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을 노출시키도록 제1전면노출부를 제1전방측벽에 절개형성한 제1식생상자와, 상기 제1식생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제1전면노출부와 대응하는 제1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제1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식생부 ;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2전,후방측벽 및 제2좌우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후방측벽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는 외벽을 갖는 제2식생상자와, 상기 제2식생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외벽과 대응하는 제2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제2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식생부 ;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제3전,후방측벽 및 제3좌우측벽을 구비하는 제3식생상자와, 상기 제3식생상자를 내부수용하도록 진입되는 제3전면노출부 또는 제3후면노출부를 개구형성한 제3철망프레임을 포함하는 제3식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식생부,제2식생부 및 제3식생부를 수직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측벽과 마주하는 제1철망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제1식생상자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1후면노출부를 구비한다.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방측벽과 마주하는 제2철망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제2식생상자를 삽입배치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완전개구되는 제2후면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식생상자 중 어느 하나의 식생상자의 내부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습비료매트를 추가 포함하고,
    상기 보습비료매트는 비료 또는 보습제가 채워지는 복수개의 다각형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내부격벽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하부면을 덮으면서 수분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투수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하부덮개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비료매트는 상기 제1식생상자 또는 제2식생자의 제1후면측벽 또는 제2후면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밀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보습비료매트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양토에 묻히는 경사판의 하부단 일부만 보습비료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식생부는 전면에 수직한 일정형 슬릿개구부를 갖는 'ㄷ'자형 단면상의 메인프레임에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3식생상자 중 어느 하나는 2 내지 4 ㎝의 두께를 가지며, 60 내지 80 % 의 투수율을 갖는 코이어 펠트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KR1020130133754A 2013-11-05 2013-11-05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KR101381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754A KR101381581B1 (ko) 2013-11-05 2013-11-05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754A KR101381581B1 (ko) 2013-11-05 2013-11-05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1581B1 true KR101381581B1 (ko) 2014-04-04

Family

ID=5065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754A KR101381581B1 (ko) 2013-11-05 2013-11-05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5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719A (ja) * 2002-05-02 2003-11-11 Ryozo Takano 層建築壁面のメッシュ金網ブロックによる緑化工法。
KR200402616Y1 (ko) * 2005-09-05 2005-12-02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벽면녹화 시공구조
KR100963989B1 (ko) * 2009-05-19 2010-06-15 이관준 호안용 식생 코이어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1079974B1 (ko) * 2009-08-20 2011-11-04 강평호 액자형 벽걸이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9719A (ja) * 2002-05-02 2003-11-11 Ryozo Takano 層建築壁面のメッシュ金網ブロックによる緑化工法。
KR200402616Y1 (ko) * 2005-09-05 2005-12-02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벽면녹화 시공구조
KR100963989B1 (ko) * 2009-05-19 2010-06-15 이관준 호안용 식생 코이어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1079974B1 (ko) * 2009-08-20 2011-11-04 강평호 액자형 벽걸이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848B1 (en) Green wall planting module, support structure and irrigation control system
RU2370020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озеленяемой стены
JP5172688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にしようする複数の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した屋上緑化システム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US9374947B2 (en) Wall planting module
WO2012115996A1 (en) Enhanced vegetative roof system
JP2013516979A (ja) 植生用の多孔性表面を有する基材
EP3011826A1 (en) A green wall and rainwater drainage module and assembly, and a method of draining rainwater
EP2341187B1 (en) Wall for a buiding built up from a plurality of building blocks
KR101638985B1 (ko) 조립식 식생모듈
KR101381581B1 (ko) 입체녹화용 다단 식생 적층체
KR20120043306A (ko) 초본식물의 생육을 위한 다층적층형 조립식 식생 블록
JP4801369B2 (ja) 植栽装置と給・排水基盤。
KR20100098492A (ko) 녹화용의 용기 유닛과, 그 용기 유닛을 사용한 녹화 공법
KR101457665B1 (ko) 수직 적층형 화분
JP2006296211A5 (ko)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JP2007189910A (ja) 緑化ユニット及び該緑化ユニットを備える緑化システム
WO2006041292A1 (en) Sound-damping screen covered with growth, comprising panels covered with plants and a support construction
JP4606980B2 (ja) 緑化擁壁ブロック
JP2011193802A (ja) 木質壁面緑化パネル
KR101484641B1 (ko) 옥상 녹화구조물
KR101238382B1 (ko) 옥상의 정원 및 보온용 배지판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CN213694963U (zh) 立体式建筑园艺绿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