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567B1 - 단문장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단문장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567B1
KR101381567B1 KR1020120094637A KR20120094637A KR101381567B1 KR 101381567 B1 KR101381567 B1 KR 101381567B1 KR 1020120094637 A KR1020120094637 A KR 1020120094637A KR 20120094637 A KR20120094637 A KR 20120094637A KR 101381567 B1 KR101381567 B1 KR 10138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sentence
key
sentence input
displayed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619A (ko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이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복 filed Critical 이의복
Priority to KR102012009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5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은,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구성되는 제1 단문장 입력키들과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구성되며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문장 입력키들로 구성되는 단문장 입력키셋을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로 구성되는 터치키보드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장 입력키셋 중에서 하나의 키가 선택되는 건을 감지하면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기 전에 편집키가 먼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편집키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편집키가 먼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편집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편집모드에서 편집된 단문장 내용을 해당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하되, 단문장 내용이 상기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보다 긴 경우에는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만큼만 문장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문장 입력방법{In-put Methode of Short Sentence}
본 발명은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단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보드와, 디스플레이 영역이 표시되며, 상기 터치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키에 해당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이모티콘이나 상용구와 같은 상용 단문장을 입력할 경우에는 별도로 저장된 이모티콘 모음이나 상용구절 모음과 같은 상용 단문장 모음을 팝업 형태로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이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동일한 문장을 매번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빠르고 간편하게 상용 단문장을 입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 또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서 같은 뜻의 문장이라도 표현이 달라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이모티콘이나 상용구와 같은 상용 단문장 모음은 문장 내용이 미리 확정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층별로 필요로 하는 내용을 개별 사용자별로 각각 맞게 제공할 수가 없고, 또한 상용 단문장 모음에 배치된 순서도 사용자의 선호도와는 관계없이 임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원하는 단문장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번거럽고 입력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사용자층이나 메세지를 전달하고자하는 상대방을 고려하지 않고 미리 확정된 이모티콘이나 상용 구와 같은 사용빈도가 높은 단문장을 획일적으로 제공하고, 배치 순서도 임으로 정해져서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용 단문장의 내용과 순서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편집할 수 있고,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 터치키패드에 포함된 키처럼 빠르고 쉽게 단문장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은,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구성되는 제1 단문장 입력키들과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구성되며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문장 입력키들로 구성되는 단문장 입력키셋을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로 구성되는 터치키보드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문장 입력키셋 중에서 하나의 키가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면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기 전에 편집키가 먼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편집키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소정의 단문장 내용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편집키가 먼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편집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편집모드에서 편집된 단문장 내용을 해당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하되, 단문장 내용이 상기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보다 긴 경우에는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 만큼만 문장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집 모드에서는 상기 터치키패드를 이용하여 단문장을 편집하는 방법 외에, 사용자층 별로 자주사용하는 단문장 모음을 상용 단문장 팝업창으로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원하는 단문장을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용 단문장 팝업창에 표시되는 상용 단문장 내용을 편집하거나 신규로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신규로 추가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단문장을 입력할 경우에,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되는 상용 단문장의 내용과 순서를 사용자별로 원하는 방법으로 편집해서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상용 단문장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단문장 입력키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하는 터치키패드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있어서 문자 하나를 입력하는 것처럼 한번에 필요한 단문장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단문장 입력키에는 각각의 키마다 배정된 단문장 내용이 표시되고, 만약 단문장 내용이 길어서 다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도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만큼만 단문장의 앞 부분 문자부터 순서대로 표시하기 때문에 필요한 단문장이 배정된 단문장 입력키를 쉽고 빠르게 찾아서 입력할 수가 있다.
또한, 단문장 내용을 편집할 경우 상기 터치키패드를 이용하여 단문장을 편집하는 방법 외에, 사용자층 별로 자주 사용하는 단문장 모음을 상용 단문장 팝업창으로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원하는 단문장을 선택함으로써 빠르고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용 단문장 팝업창에 표시되는 상용 단문장 내용도 편집하거나 신규로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신규로 추가하거나 업데이트 할 수 있으므로 최신 유행어나 계절이나 시기에 따라 필요한 상용 단문장도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터치키패드와 디스플레이 영역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상용되는 단문장이 팝업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문장 입력키들이 터치키패드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장 입력키셋이 팝업창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되는 문자가 편집된 내용으로 변경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상용 단문장 모음 팝업창을 이용하여 단문장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문장 입력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단문장 입력방법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터치키패드(110)와 디스플레이 영역(12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상용되는 단문장 모음 팝업창(130)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는 상용되는 단문장을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한 터치키패드(110)로 매번 필요시마다 입력하거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에 준비된 단문장 모음 팝업창(130)에서 필요로 하는 단문장을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문장 입력키들(211)이 터치키패드(110)와 함께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장 입력키셋(210)을 팝업창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문장 입력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구성되는 제1 단문장 입력키들과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구성되며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문장 입력키들(212)로 구성되는 단문장 입력키셋(210)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되는 터치키패드(110)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 이때, 제2 단문장 입력키들은 확장키(213)에 의해 팝업되거나 숨겨지며, 입력의 편리성을 위해 팝업된 상태에서 특정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면 자동적으로 팝업이 숨겨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문장 입력키셋(210)에 포함된 각각의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되는 단문장 내용이 상기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만큼만 배정된 단문장의 앞글자부터 순서대로 표시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문장 입력키들(210)이 각각 4개의 문자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중 1개의 키에 '사랑해~~♡♡' 라는 단문장이 배정되었다면 해당 단문장 입력키에는 '사랑해..' 라고 표시될 수 있으며, 4개의 문자 중 마지막 문자는 뒤에 숨겨진 문장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 등으로 표시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랑해..' 라고 표시된 단문장 입력키를 선택하면 '사랑해~~♡♡' 라는 단문장 내용 전체가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되는 문자가 편집된 내용으로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문장 입력방법은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문장 입력키셋(210)중에 선택된 하나의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편집하고 저장하면, 해당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되는 내용도 자동으로 수정되도록 구성된다. 즉, '사랑해..'라고 표시된 단문장 입력키를 선택하여 편집 모드로 전환한 후 터치키패드(110)를 이용하여 '너에게♡을 보내~' 라는 내용으로 수정하여 저장하면, '사랑해..'라고 표시되었던 단문장 입력키에는 '너에게..' 라는 내용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상용 단문장 모음 팝업창을 이용하여 단문장 내용을 편집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문장 입력방법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터치키패드(110)외에 상용 단문장 모음 팝업창(230)을 이용하여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내용을 편집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상용 단문장 내용이 달라질 수 있지만 동일한 사용자라도 크리스마스나 연말연시와 같이 계절이나 시기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문장 입력키셋(210)에 포함된 각각의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한번 지우거나 편집하게 되면 다음에 다시 같은 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입력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용 단문장 모음(230)을 별도로 준비하고, 필요시 '문장모음'키 등을 이용하여 팝업창으로 표시하고 원하는 단문장 내용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기 단문장 입력키셋(210)에 포함된 각각의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편리하고 빠르게 편집할 수가 있으며, 또한 동일한 내용을 매번 상기 터치키패드(110)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상용 단문장 모음 팝업창(230)에 표시되는 상용 단문장 내용도 사용자가 임으로 편집할 수 있고 신규로도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도 추가하거나 업데이트(미도시)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문장 입력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문장 입력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 문자가 표시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이뤄지는 제1 단문장 입력키들(211)과 2개 이상 문자가 표시되는 2개 이상의 키들로 이뤄지며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문장 입력키들(212)로 구성되는 단문장 입력키셋(210)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되는 터치키패드(110)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다(S10).
이후, 단문장 입력키셋(210)중 하나의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된 것이 감지되면(S11), 상기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기 전에 편집키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해서(S12), 편집키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고(S13), 편집키가 선택되었으면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편집한 후 저장하고(S14), 선택되어 편집된 단문장 입력키의 표시 내용도 변경한다(S15). 이때,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이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보다 긴 경우에는 단문장의 첫 문자부터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만큼만 표시한다.
또한, 상기 편집키가 선택되는 단계에서의 편집키는 터치스크린에 별도의 키로 표시할 수도 있고, 선택한 단문장 입력키를 일정시간 길게 누르는 것으로 편집키를 대신할 수도 있다.
110 : 터치키패드 120 : 디스플레이 영역
130 : 단문장 모음 팝업창 210 : 단문장 입력키셋
211 : 제1 단문장 입력키들 212 : 제2 단문장 입력키들
220 : 편집 모드 창 230 : 상용 단문장 모음 팝업창

Claims (5)

  1.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키들이 2개 이상으로 이뤄지는 제1 단문장 입력키들과 사전에 배정된 단문장의 내용을 2개 이상의 문자로 표시하는 키들이 2개 이상으로 이뤄지며 팝업 형태로 표시되는 제2 단문장 입력키들로 구성되는 단문장 입력키셋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되는 터치키패드와 함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
    단문장 입력키셋중 하나의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된 것이 감지되면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기 전에 편집키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기 전에 편집키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단문장 입력키가 선택되기 전에 편집키가 선택되었으면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터치키패드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되는 내용을 편집된 내용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모드로 전환하여 선택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터치키패드를 이용하여 편집한 후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사전에 준비된 상용 단문장 모음을 터치스크린에 팝업창으로 표시하고, 팝업창에 표시된 상용 단문장 모음 중에서 원하는 단문장을 선택하여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단문장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단문장 입력키에 배정된 단문장 내용을 표시할 때에 배정된 단문장이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보다 긴 경우에는 단문장 입력키에 표시할 수 있는 문자 수만큼만 배정된 단문장의 첫 문자부터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편집키는 터치스크린에 별도의 키로 표시할 수도 있고, 단문장 입력키를 일정시간 길게 누르는 것으로 편집키를 대신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단문장 입력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20094637A 2012-08-29 2012-08-29 단문장 입력방법 KR10138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37A KR101381567B1 (ko) 2012-08-29 2012-08-29 단문장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637A KR101381567B1 (ko) 2012-08-29 2012-08-29 단문장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19A KR20140029619A (ko) 2014-03-11
KR101381567B1 true KR101381567B1 (ko) 2014-04-04

Family

ID=5064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637A KR101381567B1 (ko) 2012-08-29 2012-08-29 단문장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5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807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774050B1 (ko) * 2006-03-14 2007-11-06 (주) 지.티 텔레콤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807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774050B1 (ko) * 2006-03-14 2007-11-06 (주) 지.티 텔레콤 휴대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619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0542B1 (en) Providing context-sensitive writing assistance
US20170344128A1 (en)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Word Predictions at Locations in Association with Candidate Letters
CA2786502C (en) Next letter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US9122672B2 (en)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CA2819839C (en)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US20130339283A1 (en) String prediction
CA2813393C (en)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word predictions at locations in association with candidate letters
CA2794063C (en)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201701999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iding short message verification code
US20100070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pting or rejecting suggested text corrections
CN103380407A (zh) 在触摸屏键盘与候选字母靠近关联的分区中提供词预测的触摸屏键盘
US200901933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etters
TW200707260A (en) Keyboard with input-sensitive display device
CN102508558A (zh) 输入系统、终端和输入法
CN103034407B (zh) 终端和快速输入常用短语的方法
JP2006024204A (ja) テキストメッセージング装置
KR101381567B1 (ko) 단문장 입력방법
CN104077011A (zh) 一种同类型文档间的关联方法和终端设备
CN105786297B (zh) 基于输入法启动软件的方法和装置
KR201000245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10083427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모바일 단말기
US20150193411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ipulating an Inputted Character String to a Diacritic-Modified Character String Using a Single Layout for a Character Entry Device
KR101665374B1 (ko)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50098096A (ko) 어플리케이션이 연동 가능한 자동완성 텍스트 입력 방법 및 디바이스
Haywood et al. I love my iPhone... but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niggl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