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528B1 -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Google Patents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528B1
KR101380528B1 KR1020137026816A KR20137026816A KR101380528B1 KR 101380528 B1 KR101380528 B1 KR 101380528B1 KR 1020137026816 A KR1020137026816 A KR 1020137026816A KR 20137026816 A KR20137026816 A KR 20137026816A KR 101380528 B1 KR101380528 B1 KR 10138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va
polymer film
roll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4585A (en
Inventor
야스지로 모리
오사무 가제토
신타로 히카사
료지 가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13012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26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by depositing flowable material on a rotating dru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연신성 및 편광 필름의 생산성이 양호한, 하기 식 (I) 및 (II) 를 만족하는 PVA 필름:Δn(MD)Ave - 0.1 × 10-3 ≤ Δn(TD)Ave ≤ Δn(MD)Ave + 0.25 × 10-3 (I) Δn(TD)Ave ≤ 2.5 × 10-3 (II) [식 중, Δn(MD)Ave 는 PVA 필름의 길이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TD)Ave 는 PVA 필름의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낸다], 및 (a) 복수의 건조 롤을 구비하는 막제조 장치의 제 1 건조 롤 상에 PVA 함유 막제조 원액을 막상으로 토출시켜 부분 건조시킨 후에 후속의 건조 롤로 순차 건조시켜 제조할 때에, (b)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PVA 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의 비 (ST/S1) 를 0.990 ∼ 1.050 으로 하고, (c) 주속 (ST)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T) 를 0.960 ∼ 0.980 으로 하고, (d) 비 (SL/S1) 를 0.970 ∼ 1.010 으로 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PVA film which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in which the productivity of the stretchable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is good: Δn (MD) Ave − 0.1 × 10 −3 Δn (TD) Ave Δn (MD) Ave + 0.25 × 10 −3 (I) Δn (TD) Ave ≦ 2.5 × 10 −3 (II) [wherein, Δn (MD) Ave i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VA film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Δn ( TD) Ave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VA film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nd (a) the PVA-containing film-forming stock solution on the first dry roll of the film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ry rolls. Of the drying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VA film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was 13 mass% the peripheral speed (S T) ratio (S T / S 1) the ratio (S L / S T) of a 0.990 ~ 1.050 and, (c) a peripheral speed (S L) of the final drying roll for the main speed (S T) of 0.960 to 0.980 , (D) ratio (S L / S 1) a method of producing a film of 0.970 ~ 1.010.

Description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당해 필름으로 제조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어 고배율로 연신해도 필름이 잘 파단되지 않고, 필름의 파단에 따른 연신 작업의 중단 등을 일으키지 않고, 편광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높은 수율로,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당해 필름으로 제조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film produced from the fil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limit draw ratio, and even when stretching at a high magnification, the film does not break well and does not cause interruption of the stretching operation due to breakage of the film, and is excellent in optical performance such as polarization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film produced from the film, which can produce a film with high yield and with good productivity.

광의 투과 및 차폐 기능을 갖는 편광판은, 광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액정 등과 함께 액정 표시 장치 (LCD) 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적용 분야도, 개발 초기 무렵의 전자식 탁상 계산기 및 손목 시계 등의 소형 기기로부터, 노트 PC, 액정 모니터, 액정 컬러 프로젝터, 액정 텔레비전, 차재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전화, 옥내외에서 사용되는 계측 기기 등의 넓은 범위로 확대되어 있고, 특히 액정 모니터나 액정 텔레비전 등에서는 대화면화가 진행되어 있다.A polarizing plate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shielding ligh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together with a liquid crystal having a switching function of light.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i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a measurement device used in a notebook PC, a liquid crystal monitor, a liquid crystal color projector, a liquid crystal television, an in-vehicle navigation system, a mobile phone, indoors and outdoors from small apparatuses such as an electronic desk calculator and a wristwatch of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It is expanded to a wide range of devices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large screens have been advanced in liquid crystal monitors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s.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1 축 연신한 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 처리하는 방법,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후에 붕소 화합물로 고정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상기 어느 방법에 있어서 염색과 동시에 고정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에 의해 편광 필름을 제조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3아세트산셀룰로오스 필름이나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보호막을 첩합 (貼合) 시켜 제조된다.Generally, a polarizing plate is uniaxially stretched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nd then dyed with iodine or dichroic dye, and a mono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is then fixed with a boron compound. The polarizing film is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method of performing a fixing process simultaneously with dyeing, etc. in one of the said methods, and protective films, such as a cellulose triacetate film and a cellulose acetate butyric-acid butyrate cellulose film,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it. It is produced by bonding together.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용도의 확대 등에 따라, 표시 품질의 고급화에 더하여, 한층 더 비용 다운이나, 취급성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비용 다운 면에서는,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생산 스피드를 향상시키는 것,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연신할 때의 연신 끊김 (파단) 을 방지하여 파단 손실을 저감시켜 수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필름의 파단에 따른 연신 작업이나 연신·염색 작업의 중단을 방지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In recent years, with the expansion of the us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cost reduction and the further improvement of handleability are calculated | required further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display quality. In terms of cost redu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on spe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to prevent breakage (break) when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to reduce the breakage loss, and to improve the yield.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interruption of stretching or dyeing work due to breakage.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생산성의 향상의 하나로서,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건조 시간의 단축화가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점에서, 편광 필름용의 원반 필름으로서, 종래는 두께가 75 ㎛ 정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 두께가 70 ㎛ 보다 얇은, 한층 박막화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As one of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shortening of the drying tim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is calculated | required, In this point, as a raw film for polarizing films, conventionally the thickness of about 75 micrometers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s have been generally used, but in recent years, thinner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s, which are thinner than 70 m, have been required.

그러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 얇아질수록, 고배율로 연신했을 때에 파단이 잘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점에서, 한계 연신 배율이 높고, 얇아도,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품과 동등 이상의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 필름을, 양호한 작업성이고, 높은 수율, 저비용,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as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becomes thinner, there is a problem that breakage occurs more easily when stretching at a higher magnification. In this respect, the limit draw ratio is high, and even when thin, th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at high magnification without causing breakage. Therefore, the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which can manufacture the polarizing film which has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equivalent to or more than a conventional product with good workability, high yield, low cost, and favorable productivity is calculated | required.

종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연신성의 향상이나 연신시의 균일성의 향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 성능이나 내구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원액을 사용하여 건조시키면서 막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막제조 드로우 (막제조에 사용하는 롤 사이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반송 속도의 비) 의 조정, 막제조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수분율의 조정 등이 행해져 왔다.Conventional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of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the improvement of the uniformity at the time of extending | stretching,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durability improvement, etc. in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extending |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etc. In preparing a film while drying using a stock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the adjustment of the film production draw (ratio of the conveyance rate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between the rolls used in the film production) and the time of film production Adjustment of the moisture content of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etc. have been performed.

그러한 종래 기술로는, (1) 1 축 연신했을 때에 충분히 분자 배향된 연신 필름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막제조 조작을, 1 이하의 막제조 드로우를 채용하여, 막제조 장력을 한없이 낮게 하여 실시하는 방법 (특허문헌 1, 특히 그 단락 [0008] ∼ [0009], 실시예 등);(2) 고배율의 연신이 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드럼 막제조기를 사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할 때에,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권취 속도]/[막제조 원료가 공급되는 최상류에 위치하는 드럼의 속도] 를 0.8 ∼ 1.3 으로 하는 방법 (특허문헌 2);(3) 고배율의 연신이 가능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드럼 막제조기를 사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할 때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휘발 분율이 10 중량% 이하가 되는 시점의 공정 속도 (Rc) 와 최종 권취 속도 (Rf) 의 속도비 (Rf/Rc) 를 0.9 ∼ 1.1 로 하는 방법 (특허문헌 3) 등이 알려져 있다.As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in order to obtain the stretched film fully molecularly oriented when (1) uniaxial stretching is carried out, the film-making operation for producing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is employed by employing a film-making draw of 1 or less. (2) Method to obtain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capable of stretching of high magnification; Patent Document 1, in particular its paragraphs [0008], Examples, etc .; When manufacturing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using a drum film making machine, the [winding speed of the obtained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 [speed of the drum located at the most upstream to which the film-forming raw material is supplied] is 0.8. Method to make-1.3 (patent document 2); (3) Polyvinyl alcohol using a drum film manufacturing machine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hich can be extended | stretched with high magnification. In the drying proces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n all-type polymer film, the speed ratio (Rf / Rc) of the process speed (Rc) and the final winding speed (Rf) at the time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a film becomes 10 weight% or less is 0.9-1.1 The method of making (patent document 3), etc. are known.

또, (4) 대면적에 있어서도 균일한 광학 성능을 갖는 광폭의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얻기 위해서, 폴리비닐알코올막의 휘발분이 10 % 이하로 되어 있는 공정에 위치하는 건조 롤의 속도 (Rc) 와 권취 속도 (Rf) 의 속도비 (Rf/Rc) 를 0.9 ∼ 1.1 로 제어하고, 건조 공정의 온도 편차를 작게 하거나 하여, MD 방향의 인장 신도 (SM) 와 TD 방향의 인장 신도 (ST) 의 비 (SM/ST) 가 0.7 ∼ 1.3 인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특허문헌 4);(5) 대면적에 있어서도 균일한 광학 성능을 갖는 광폭의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얻기 위해서, 폴리비닐알코올막의 휘발분이 10 ∼ 50 중량% 에 도달한 시점에서,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드럼으로부터 폴리비닐알코올막을 박리함과 함께,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드럼의 속도 V1 과, 폴리비닐알코올막의 휘발분이 처음으로 10 중량% 미만이 된 공정에 위치하는 드럼의 속도 V2 의 속도비 V2/V1 를 1.0 ∼ 1.3 으로 하는 방법 (특허문헌 5) 이 알려져 있다.Moreover, in order to obtain the polyvinyl alcohol-type film which can manufacture the wide polarizing film which has uniform optical performance also in (4) large area, drying located at the process where the volatile matter of a polyvinyl alcohol film is 10% or less is carried out. Tensile elongation (S M ) and TD direction of MD direction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peed ratio Rf / Rc of the speed Rc of a roll and winding speed Rf to 0.9-1.1, reducing the temperature deviation of a drying process, and Method for produc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having a ratio (S M / S T ) of the tensile elongation (S T ) of 0.7 to 1.3 (Patent Document 4); (5) a wide width having uniform optical performance even in a large area In order to obtain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pable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of, at the time when the volatile content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reaches 10 to 50% by weight,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peeled off from the drum located at the most upstream side. De located on the most upstream side Way to the speed V1 and, poly velocity ratio V2 / V1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volatile content is the speed of the drum which is located on the first step is less than 10% by weight V2 to 1.0 to 1.3 (Patent Document 5) are known.

또한, (6) 균일한 1 축 연신이 가능하고 연신했을 때에 미세한 크랙이나 보이드가 없는 연신 필름을 부여하는 특정한 스킨층/코어층/스킨층으로 이루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얻기 위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휘발 분율 50 ∼ 90 질량% 의 원액을 제 1 건조 롤로 가열함과 동시에 제 1 건조 롤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면에 소정의 조건 하에서 열풍을 분사하고, 휘발 분율이 15 ∼ 30 질량% 가 된 시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을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하여 제 2 건조 롤에 접촉시켜 건조시키고, 그 때,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과 제 2 건조 롤의 주속 (S2) 의 비 (S2/S1) 를 1.000 ∼ 1.100 으로 하는 방법 (특허문헌 6) 등이 알려져 있다.(6) In order to obtain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composed of a specific skin layer / core layer / skin layer capable of uniform uniaxial stretching and giving a stretched film free of fine cracks or voids when stretched, While heating a stock solution having a volatilization fraction of 50 to 90 mass% containing an alcohol-based polymer with a first drying roll, hot air is blown to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surface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drying roll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volatilized. At the time when the fraction became 15-30 mass%,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as peeled from the first drying roll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drying roll to be dried. At that time,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and the second and a method for the non-(S 2 / S 1) of the peripheral speed (S 2) of the drying roll with 1.000 ~ 1.100 (Patent Document 6) are known.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 6 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특히 필름 두께가 얇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고배율로 1 축 연신했을 때에, 필름에 파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책, 특히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한 방책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However, in Patent Documents 1 to 6,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especially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having a thin film thickness when uniaxially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prevents breakage from occurring in the film. It is not disclosed about the method for further improving the limit draw ratio of a film.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36151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Hei 6-13615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15141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1-31514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15146호JP 2001-315146 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0164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02-3016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79531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7953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435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05-324355

「고분자 사이언스 One Point 10 고분자의 광물성」, 초판 제3쇄, 쿄리츠 출판 주식회사, 2007년 12월 15일, p.19-21 `` Mineral Properties of Polymer Science One Point 10 Polymers '', First Edition, Kyoritsu Publishing Co., December 15, 2007, p.19-21

본 발명의 목적은 한계 연신 배율이 높아서,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품과 동등 이상의 광학 성능을 갖는 편광 필름 등의 연신 필름을, 양호한 작업성이고, 높은 수율, 저비용,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imit draw ratio is high, so that the film can be stretched at high magnification without causing breakage, and thus, stretched films such as polarizing films having an optical performance equivalent to or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products, have good workability, high yield, and low cost. It is to provide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that can be produced with good productivity.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 필름의 제조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보다 얇아도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어, 고배율로 연신했을 때에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1 축 연신할 수 있어 종래보다 얇은 연신 필름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건조 시간을 더욱 단축시켜, 편광 필름을 보다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er limit draw ratio even if thinner than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conventional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a polarizing film, and can be smoothly uniaxially stretched without breaking when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which can be made a thinner stretched film than conventionally and further shortens the drying time when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nd can produce a polarizing film with better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높은 생산성으로 원활하게 연속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Moreover,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method which can manufacture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hich has the said outstanding characteristic smoothly and continuously with high productivity.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Moreover,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polarizing film which consists of said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 (길이 방향)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과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이 특정한 관계를 만족하도록 함과 함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하면,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이 높아져, 고배율로 연신해도 필름의 파단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편광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 등의 연신 필름을, 연신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높은 수율, 저비용,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하면,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examined, and as a result,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is shown in the film. When the value avera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satisfies a specific relationship, and th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a specific numerical range, the limit draw ratio of the film This becomes high, and breakage of a film does not occur easily even when extending | stretching by high magnification, and it can manufacture stretched films, such as a polarizing film which is excellent in optical performances, such as polarization performance, with high yield, low cost, and favorable productivity, without interrupting an extending | stretching operation. I found out that I could. Moreover, when the value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 index of the machine flow direction of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was made into the specific numerical range, it discovered that the limit draw ratio of a film improves further.

특히,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과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이 특정한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이 특정한 범위에 있는 상기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은, 당해 필름의 두께가, 편광 필름의 제조에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두께보다 얇은, 30 ∼ 65 ㎛ 정도의 두께이어도,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고배율로 원활하게 1 축 연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광 필름의 제조시의 한층 더 박막화가 가능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건조 시간을 한층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In particular, th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mechanical flow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value in which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is averag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satisfies a specific relationship, an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described above, in which th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in a specific range,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that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that has been gener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s. Even if the thickness is about 30 to 65 µm, which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it has a high limiting draw ratio, and thus it is possible to smoothly uniaxially stretch at a high magnification without causing breakage, thereby further thinning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film.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drying tim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can be shortened further.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갖는 상기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을 복수의 건조 롤을 구비하는 막제조 장치의 제 1 건조 롤 상에 토출시킨 후, 당해 복수의 건조 롤로 순차 건조시켜 막제조하고, 그 때, 제 1 건조 롤의 주속에 대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의 비를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하고,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의 비를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하고, 제 1 건조 롤의 주속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의 비를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높은 생산성으로 원활하게 연속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And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having a high limit draw ratio,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is provided on the first drying roll of the film-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rying rolls After discharging into a film, the plurality of drying rolls were sequentially dried to form a film. At that time, the ratio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drying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first drying roll became 13% by mass. To a specific numerical range, the ratio of the peripheral speed of the final dry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of the dry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s 13% by mass is defined as the specific numerical range, and the peripheral speed of the first dry roll By making ratio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final dry roll with respect to a specific numerical range, it turned out that it can manufacture continuously and smoothly with high productivity.

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방법으로 한계 연신 배율이 높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할 때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을 특정한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각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가 6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을 60 ∼ 75 질량% 로 하고, 또한 제 1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를 80 ∼ 120 ℃ 로 하면, 제 1 건조 롤의 주속을 8 m/분 이상의 고속으로 해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과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이 특정한 관계를 만족하고, 또한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이 소정의 수치 범위에 있는, 한계 연신 배율이 높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원활하게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그들의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Moreover, the present inventors make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t the time of peeling from a 1st dry roll into the specific numerical range in manufacturing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ith a high limit draw ratio by the said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each drying roll is 65 degreeC or more, and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is 60-75 mass%, and also the roll of a 1st dry roll When surface temperature is 80-120 degreeC, the value and width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of the machine flow direction of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even if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a 1st dry roll is a high speed of 8 m / min or more. The value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of the direction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satisfy | fills a specific relationship, and the value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of the width direction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ith a high limit draw ratio in this predetermined numerical range was found to be able to be produced smoothly and with good produ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inventors further studied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That is,

(1) 하기 식 (I) 및 (II)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다.(1)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characterized by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Δn(MD)Ave - 0.1×10-3 ≤ Δn(TD)Ave ≤ Δn(MD)Ave+0.25×10-3 (I)Δn (MD) Ave -0.1 × 10 -3 ≤ Δn (TD) Ave ≤ Δn (MD) Ave + 0.25 × 10 -3 (I)

Δn(TD)Ave ≤ 2.5×10-3 (II)Δn (TD) Ave ≤ 2.5 × 10 -3 (II)

[상기 식 중, Δn(MD)Ave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내고, Δn(TD)Ave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낸다][Wherein, Δn (MD) Ave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Δn (TD) Ave is a polyvinyl alcohol polymer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그리고, 본 발명은And, the present invention

(2) 하기 식 (III) 을 만족하는 상기 (1) 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2)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of said (1) which satisfy | fills following formula (III),

1.3×10-3 ≤ Δn(MD)Ave ≤ 2.0×10-3 (III);및,1.3 × 10 −3 ≦ Δn (MD) Ave ≦ 2.0 × 10 −3 (III); and

(3) 두께가 30 ∼ 65 ㎛ 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1) 또는 (2) 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이다.(3) It is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of said (1) or (2) which exists in the range of 30-65 micrometers in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4)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4)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 회전축이 서로 평행한 복수의 건조 롤을 구비하는 막제조 장치를 사용하고, 당해 막제조 장치의 제 1 건조 롤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을 막상으로 토출시켜 부분 건조시킨 후에 그것에 계속되는 건조 롤로 다시 건조시켜 막제조하고;그 때,(a) Using a film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rying rolls in which the rotation ax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discharging the film production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on the first dry roll of the film production apparatus in a film form. After drying, it is dried again with a drying roll followed by film production;

(b)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의 비 (ST/S1) 를 0.990 ∼ 1.050 으로 하고;(b) The ratio (S T / S 1 )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T of the dry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became 13 mas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was 0.990. To 1.050;

(c)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T) 를 0.960 ∼ 0.980 으로 하고;(c) The ratio (S L / S T ) of the peripheral speed (S L ) of the final drying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S T ) of the drying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s 13% by mass is 0.960 to 0.980;

(d)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1) 를 0.970 ∼ 1.010 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d) The ratio (S L / S 1 ) of the peripheral speed S L of the final drying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is 0.970 to 1.010,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t is a manufacturing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5)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할 때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7 ∼ 30 질량% 인 상기 (4) 의 제조 방법;(5)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aid (4) whose volatile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at the time of peeling from a 1st dry roll is 17-30 mass%;

(6) 각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가 65 ℃ 이상인 상기 (4) 또는 (5) 의 제조 방법;및,(6)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aid (4) or (5) whos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each dry roll is 65 degreeC or more; And,

(7)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이 60 ∼ 75 질량% 이고, 제 1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가 80 ∼ 120 ℃ 이고,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이 8 ∼ 25 m/분인 상기 (4) ∼ (6) 의 어느 제조 방법이다.(7) poly and vinyl alcohol-based polymer is a film volatile fraction of the prepared stock solution 60 to 75% by weight containing a first and a roll surface temperature of a drying roll 80 ~ 120 ℃, the first peripheral speed (S 1) of the drying roll It is any manufacturing method of said (4)-(6) which is this 8-25 m / min.

그리고,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8) 상기 (1) ∼ (3) 의 어느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으로 제조한 편광 필름이다.(8) It is a polarizing film manufactured from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of any of said (1)-(3).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은,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에, 고배율로 1 축 연신해도, 필름의 파단이 잘 발생하지 않고, 그에 따라, 편광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 등의 연신 필름을, 연신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높은 수율, 저비용,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Since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limit draw ratio, even when uniaxially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when producing a stretched film, breakage of the film does not occur well, and accordingly, such as polarization performance Stretched films, such as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optical performance,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yield, low cost, and favorable productivity, without interrupting an extending | stretching operation.

특히,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은, 필름의 두께가, 편광 필름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두께보다 얇은, 30 ∼ 65 ㎛ 정도의 두께이어도,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고배율로 원활하게 1 축 연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의 한층 더 박막화가 가능해져, 편광 필름 등을 제조할 때의 건조 시간의 한층 더 단축화 및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30 to 65 μm, which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that has been generally used in order to manufacture a polarizing film or the like. Since it has a high limit draw ratio, it can smoothly uniaxially stretch at high magnifications without causing breakage, and accordingly, thinning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stretched film becomes possible, and when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etc. It is possible to further shorten the drying time and thereby to improve productivity.

또, 최근, 편광 필름용의 원반 필름으로서, 길이가 1000 m 를 초과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도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은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 한층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으로부터의 편광 필름의 취득량을 종래보다 많게 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hose length exceeds 1000 m is also used recently as a raw film for polarizing films, since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high limit draw ratio, it is conventional It can extend | stretch at a higher magnification than that, and, accordingly, the acquisition amount of the polarizing film from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can be made larger than before.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높은 생산성으로 원활하게 연속하여 제조할 수 있다.By employ | adop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the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which has the said outstanding characteristic can be manufactured continuously and smoothly with high productivity.

도 1 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Δn(MD)Ave 를 측정할 때의 시료의 채취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Δn(TD)Ave 를 측정할 때의 시료의 채취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ample collection method at the time of measuring (DELTA) n (MD) Ave of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ample collection method at the time of measuring (DELTA) n (TD) Ave of a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의 투명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제조한 투명한 필름에서는, 폴리머 사슬이 전단 응력에 의한 소성 변형이나 변형 등에 따라 흐름 방향 (기계 흐름 방향:길이 방향) 으로 배향하여 폴리머를 구성하는 원자단의 분극 방향이 매크로적으로 일정해지고, 그에 따라 폴리머 특유의 복굴절이 발생한다 (비특허문헌 1).In general, in a transparent film produced using a transparent polymer such as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the polymer chain is oriented in a flow direction (mechanical flow direction: length direction) according to plastic deformation or deformation caused by shear stress to constitute the polymer.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atomic group to be made becomes macroscopically constant, and birefringence peculiar to a polymer arises by this (nonpatent literature 1).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에 있어서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 [Δn(MD)] 은 하기 식 [i] 로부터 구해지고, 또 폭 방향의 복굴절률 [Δn(TD)] 은 하기 식 [ii] 로부터 구해진다.The birefringence index [Δn (MD)]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in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s obtain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i], and the birefringence index [Δn (TD)] in the width direction is obtain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ii]: Is saved.

Δn(MD) = nMD - nz [i]Δn (MD) = nMD -nz [i]

Δn(TD) = nTD - nz [ii]Δn (TD) = nTD -nz [ii]

[식 중, nMD 는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 (길이 방향) 의 굴절률, nTD 는 필름의 폭 방향의 굴절률, nz 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Wherein nMD denotes a refractive index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length direction) of the film, nTD denotes a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and nz denotes a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비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등의 투명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제조한 필름에서는, 필름을 형성하고 있는 폴리머 사슬이 기계 흐름 방향 (길이 방향) 으로 배향되기 쉽고, 상기한 특허문헌 1 ∼ 6 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에서는, 일반적으로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 [Δn(MD)]」>「폭 방향의 복굴절률 [Δn(TD)]」이라는 관계, 즉,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 [Δn(MD)] 이 폭 방향의 복굴절률 [Δn(TD)] 보다 커지기 쉽다.As described in Non-Patent Document 1, in a film produced using a transparent polymer such as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the polymer chains forming the film are easily oriented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length direction).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includ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s 1 to 6, in general, "birefringence [Δn (MD)]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DELTA n (TD)] ", that is, the birefringence [Δn (MD)] in the machine flow direction tends to be larger than the birefringence [Δn (TD)] in the width direction.

그에 대하여,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은, 하기 식 (I) 및 (II) 를 만족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과는 상이하다.In contrast,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n that the following formulas (I) and (II) are satisfied.

Δn(MD)Ave - 0.1×10-3 ≤ Δn(TD)Ave ≤ Δn(MD)Ave+0.25×10-3 (I)Δn (MD) Ave -0.1 × 10 -3 ≤ Δn (TD) Ave ≤ Δn (MD) Ave + 0.25 × 10 -3 (I)

Δn(TD)Ave ≤ 2.5×10-3 (II)Δn (TD) Ave ≤ 2.5 × 10 -3 (II)

[상기 식 중, Δn(MD)Ave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내고, Δn(TD)Ave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낸다][Wherein, Δn (MD) Ave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mechanical flow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Δn (TD) Ave is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즉, 상기 식 (I) 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이하 「폴리비닐알코올」을 「PV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연속 막제조할 때의 라인 방향) [이하 「길이 방향 (MD)」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인 「Δn(MD)Ave」가,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길이 방향과 직각의 방향) [이하 「폭 방향 (TD)」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인 「Δn(TD)Ave」와 동등 혹은 어느 정도 작거나, 또는 「Δn(TD)Ave」를 초과한다고 해도 그 양이 미미하게 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said Formula (I), in the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Hereinafter, "polyvinyl alcohol" may be called "PVA."), The machine flow direction (PVA) of a PVA-type polymer film Line direction at the time of continuous film-forming a system polymer film) "(DELTA) n (MD) Ave " which is the value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of the following (it may be called "length direction (MD)" hereaft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aid film, "Δn (TD) Ave "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hereinafter may be referred to as "width direction (TD)")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Even if it is equal to or somewhat smaller than or exceeds "Δn (TD) Ave ", the amount is insignificant.

또한,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당해 식 (I) 과 함께, 상기 식 (II) 를 만족하고 있다는 점에도 특징을 갖는다.Moreover,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also in satisfy | filling said Formula (II) with the said Formula (I).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상기 식 (I) 및 (II) 를 만족함으로써, 필름의 두께가 종래보다 얇은 경우에도,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갖고, 그에 따라, 편광 필름 등의 연신 필름의 제조시에 고배율로 1 축 연신해도 필름의 파단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필름의 파단에 따른 연신 작업의 중단을 초래하지 않고, 편광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박막화한 연신 필름을, 높은 수율이며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By satisfying said formula (I) and (II),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high limit draw ratio even when the film thickness is thinner than before, Therefore, manufacture of stretched films, such as a polarizing film, Even when uniaxially stretching at high magnification, the breakage of the film hardly occurs, and the thinned stretched film having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such as polarization performance without causing interruption of the stretching operation due to breakage of the film is a high yield. It can manufacture with good productivity.

상기 식 (I) 로부터 벗어나면,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이 낮아져, 고배율로 1 축 연신했을 때에 필름의 파단이 잘 발생하게 되고, 특히 필름의 두께가 얇을 때에 파단이 잘 발생하게 된다.When it deviates from said Formula (I), the limit draw ratio of a PVA-type polymer film will become low, and break | rupture of a film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well when it uniaxially stretches at high magnification, and breakag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especially especially when the film thickness is thin.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하기 식 (I')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I'')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식 (I''') 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VA system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satisfy | fills following formula (I '), It is more preferable to satisfy following formula (I' '), It is further more satisfying following formula (I' ''). desirable.

Δn(MD)Ave - 0.05×10-3 ≤ Δn(TD)Ave ≤ Δn(MD)Ave + 0.23×10-3 (I')Δn (MD) Ave -0.05 × 10 -3 ≤ Δn (TD) Ave ≤ Δn (MD) Ave + 0.23 × 10 -3 (I ')

Δn(MD)Ave ≤ Δn(TD)Ave ≤ Δn(MD)Ave + 0.2×10-3 (I'')Δn (MD) Ave ≤ Δn (TD) Ave ≤ Δn (MD) Ave + 0.2 x 10 -3 (I '')

Δn(MD)Ave + 0.05×10-3 ≤ Δn(TD)Ave ≤ Δn(MD)Ave + 0.18×10-3 (I''')Δn (MD) Ave + 0.05 × 10 -3 ≤ Δn (TD) Ave ≤ Δn (MD) Ave + 0.18 × 10 -3 (I ''')

또, 상기한 식 (II) 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PVA 계 중합체 필름의 Δn(TD)Ave 가 2.5×10-3 을 초과하면,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이 낮아져, PVA 계 중합체 필름을 길이 방향 (MD) 으로 고배율로 잘 연신하지 않게 되어, 광학 성능이 우수한 연신 필름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When the Δn (TD) Av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exceeds 2.5 × 10 −3 , the limiting draw ratio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lowered, and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long. It is hard to extend | stretch to high magnification in the direction MD, and the stretched film excellent in optical performance is hard to be obtained.

Δn(TD)Ave 를 과도하게 작게 하기 위해서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시에 폭 방향의 건조 수축을 허용할 필요가 생겨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유효 폭 수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Δn(TD)Ave 가 1.5×10-3 ∼ 2.2×10- 3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6×10-3 ∼ 2.0×10- 3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order to make Δn (TD) Ave excessively small, it is necessary to allow dry shrinkage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so that the effective width yield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tends to be lowered. polymer film, Δn (TD) Ave is 1.5 × 10 -3 ~ 2.2 × 10 -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and 1.6 × 10 -3 ~ 2.0 × 10 - it is more preferable in the range of 3.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상기 식 (I) 및 (II) 에 더하여, 하기 식 (III) 을 추가로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further satisfy | fills following formula (III) in addition to said Formula (I) and (II).

1.3×10-3 ≤ Δn(MD)Ave ≤ 2.0×10-3 (III)1.3 × 10 −3 ≤ Δn (MD) Ave ≤ 2.0 × 10 -3 (III)

PVA 계 중합체 필름의 Δn(MD)Ave 가 2.0×10-3 이하인 것에 의해,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이 더욱 높아져, PVA 계 중합체 필름을 길이 방향 (MD) 으로 고배율로 연신하기 쉬워져, 광학 성능이 우수한 연신 필름이 보다 용이하게 얻어진다. 한편, PVA 계 중합체 필름의 Δn(MD)Ave 를 1.3×10-3 미만으로 하기 위해서는, 건조 롤의 주속비를 크게 저하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막제조시에 건조 롤 사이에서 PVA 계 중합체막에 늘어짐이 잘 발생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When Δn (MD) Av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2.0 × 10 −3 or less, the limit draw ratio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easily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he stretched film excellent in optical performance is obtained more easily.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Δn (MD) Av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less than 1.3 × 10 −3 , the peripheral speed ratio of the dry roll needs to be greatly reduced, so that the PVA-based polymer film sags between the dry rolls during film production. This tends to happen well.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Δn(MD)Ave 가 1.4×10-3 ∼ 1.95×10- 3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10-3 ∼ 1.9×10- 3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Δn (MD) Ave is 1.4 × 10 -3 ~ 1.95 × 10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and, 1.5 × 10 -3 ~ 1.9 × 10 - in the range of 3 More preferred.

또한, PVA 계 중합체 필름에서는, 필름의 폭 방향 (TD) 에서 Δn(MD)Ave 및/또는 Δn(TD)Ave 의 값에 변동이 있는 경우가 많고, 특히 폭 방향의 양 단부에서는 Δn(MD)Ave 가 높아지기 쉽지만, 적어도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에서 식 (I) 및 (II) 를, 바람직하게는 식 (I) ∼ (III) 을 만족하고 있으면 되고,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는 폭 방향 (TD) 의 8 할 이상의 부분의 전역에서 식 (I) 및 (II) 를, 바람직하게는 식 (I) ∼ (III)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I) 및 (II) 를 만족하지 않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양 단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을 길이 방향 (MD) 으로 연신하기 전에 절단하여 제거 (귀부 제거) 할 수 있다.Moreover, in PVA-type polymer films, there are many variations in the values of Δn (MD) Ave and / or Δn (TD) Ave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film, and in particular,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Δn (MD) Although Ave tends to become high, at least the formula (I) and (II) should just satisfy | fill Formula (I)-(III)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a PVA-type polymer film, and PVA-type polymer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ulas (I) and (II) are satisfied in the whole region of 80% or more of the width direction TD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formula (I) to (III). desirable.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not satisfying the formulas (I) and (II) can be cut and removed (removal of ear) before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have.

PVA 계 중합체 필름의 「Δn(MD)Ave」[PVA 계 중합체 필름의 길이 방향 (MD) 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및 「Δn(TD)Ave」[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TD) 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Δn (MD) Ave "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Δn (TD) Ave " [PVA-based polymer film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T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1》 Δn(MD)Ave 의 측정법:<<>> Measurement method of Δn (MD) Ave :

(여기서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Δn(MD)Ave 의 측정법을 예시한다)(Here, the measuring method of (DELTA) n (MD) Ave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a PVA-type polymer film is illustrated.

(i) PVA 계 중합체 필름의 길이 방향 (MD) 의 임의의 위치에서,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의 폭 방향 (TD) 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MD × TD = 2 ㎜ × 10 ㎜ 크기의 세편 (細片) 을 잘라내고, 그 세편을 두께 100 ㎛ 의 PET 필름의 양측 사이에 두고, 그것을 다시 나무 프레임에 끼워 마이크로톰 장치에 장착한다.(i) MD * TD = 2mm * 10mm from the cent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a film, as shown to FIG. 1 (a) at arbitrary position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a PVA-type polymer film. Three pieces of size are cut out, the pieces are placed between both sides of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µm, and the pieces are put back into a wooden frame and mounted on a microtome apparatus.

(ii) 다음으로, 상기에서 채취한 세편을,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 필름 및 나무 프레임은 도시 생략), 세편의 길이 방향 (MD) 과 평행하게 10 ㎛ 간격으로 슬라이스하여, 도 1(c) 에 나타내는 관찰용의 슬라이스편 (MD × TD = 2 ㎜ × 10 ㎛) 을 10 개 제조한다. 이 슬라이스편 중에서, 슬라이스면이 평활하고 또한 슬라이스 두께 편차가 없는 슬라이스편 5 개를 선택하고, 각각을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얹어 마이크로스코프 (키엔스사 제조) 로 슬라이스 두께를 측정한다. 또한, 관찰은 접안 10 배, 대물 20 배 (토탈 200 배) 의 시야에서 실시한다.(ii) Next, the three pieces collected above are sliced at intervals of 10 μm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three pieces, as shown in FIG. 1 (b) (PET film and wooden frame are not shown). Ten slice pieces (MD * TD = 2mm * 10micrometer) for observation shown in FIG.1 (c) are manufactured. Among the slice pieces, five slice pieces having smooth slice surfaces and no slice thickness variation are selected, and each slice piece is placed on a slide glass and the slice thickness is measured by a microscope (manufactured by Keyence Co., Ltd.). In addition, observation is performed by the eyepiece 10 times and the objective 20 times (total 200 times).

(iii) 이어서, 슬라이스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슬라이스편을 도 1(d) 와 같이 넘어뜨려 슬라이스면을 위를 향하게 하고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얹어 커버 유리와 실리콘 오일 (굴절률 1.04) 로 봉하고, 이차원 광탄성 평가 시스템 「PA-micro」 (주식회사 포토닉 라티스 제조) 를 사용하여 슬라이스편 5 개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한다.(iii) Then, slice slices are turned up as shown in Fig. 1 (d) so that the slice faces upward, and the slice pieces are faced up and placed on a slide glass and sealed with cover glass and silicone oil (refractive index 1.04), and two-dimensional. The retardation of five slice pieces is measured using photoelastic evaluation system "PA-micro" (Photonic Latissian Corporation).

(iv) 각 슬라이스편의 리타데이션 분포를 「PA-micro」의 측정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슬라이스편을 횡단하도록 당초의 필름 표면에 수직인 선 α 를 긋고, 그 선분 α 상에서 라인 해석을 실시하여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분포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관찰은 접안 10 배, 대물 20 배 (토탈 200 배) 의 시야에서 실시한다. 또, 슬라이스편 상에서 선분 α 가 통과하는 위치가 바뀌는 것에 의한 오차를 억제하기 위해, 선폭을 300 화소로 하여 리타데이션의 평균값을 채용한다.(iv) In the state where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of each slice piece is displayed on the measurement screen of "PA-micro", a line α perpendicular to the original film surface is drawn to cross the slice piece, and a lin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line segment α. Retardation distribution data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is acquired. In addition, observation is performed by the eyepiece 10 times and the objective 20 times (total 200 times). Moreover, in order to suppress the error by the position which the line segment (alpha) passes on a slice piece, the average value of retardation is employ | adopted to make line width 300 pixels.

(v)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분포의 값을 마이크로스코프로 측정한 두께로 나누어 필름의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 Δn(MD) 분포를 구하고,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 Δn(MD) 분포의 평균값을 채용한다. 슬라이스편 5 개에 대해 구한 각각의 필름의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 Δn(MD) 분포의 평균값을 다시 평균하여, 「Δn(MD)Ave」로 한다.(v) The birefringence Δn (MD)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obtained above by a microscope, and obtaining the birefringence Δ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MD) The mean value of the distribution is adopted. The average value of birefringence (DELTA) n (MD)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film calculated | required about five slice pieces is averaged again, and it is set as "(DELTA) n (MD) Ave. "

《2》 Δn(TD)Ave 의 측정법:<< 2 >> Measurement method of Δn (TD) Ave :

(여기서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Δn(TD)Ave 의 측정법을 예시한다)(Here, the measuring method of (DELTA) n (TD) Ave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a PVA-type polymer film is illustrated.

(i) PVA 계 중합체 필름의 길이 방향 (MD) 의 임의의 위치에서,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의 폭 방향 (TD) 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MD × TD = 10 ㎜ × 2 ㎜ 크기의 세편을 잘라내고, 그 세편을 두께 100 ㎛ 의 PET 필름의 양측 사이에 두고, 그것을 다시 나무 프레임에 끼워 마이크로톰 장치에 장착한다.(i) MD * TD = 10mm * 2mm from the cent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a film, as shown to FIG.2 (a) at the arbitrary posi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a PVA-type polymer film. The three pieces of the size are cut out, and the pieces are placed between both sides of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0 µm, and the pieces are put back into the wooden frame and mounted on the microtome apparatus.

(ii) 다음으로, 상기에서 채취한 세편을,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ET 필름 및 나무 프레임은 도시 생략), 세편의 폭 방향 (TD) 과 평행하게 10 ㎛ 간격으로 슬라이스하고, 도 2(c) 에 나타내는 관찰용의 슬라이스편 (MD × TD = 10 ㎛ × 2 ㎜) 을 10 개 제조한다. 이 슬라이스편 중에서, 슬라이스면이 평활하고 또한 슬라이스 두께 편차가 없는 슬라이스편 5 개를 선택하고, 각각을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얹어 마이크로스코프 (키엔스사 제조) 로 슬라이스 두께를 측정한다. 또한, 관찰은 접안 10 배, 대물 20 배 (토탈 200 배) 의 시야에서 실시한다.(ii) Next, the three pieces collected above are sliced at intervals of 10 μm in parallel with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three pieces, as shown in FIG. 2 (b) (PET film and wooden frame are not shown), Ten slice pieces (MD * TD = 10micrometer * 2mm) for observation shown in FIG.2 (c) are manufactured. Among the slice pieces, five slice pieces having smooth slice surfaces and no slice thickness variation are selected, and each slice piece is placed on a slide glass and the slice thickness is measured by a microscope (manufactured by Keyence Co., Ltd.). In addition, observation is performed by the eyepiece 10 times and the objective 20 times (total 200 times).

(iii) 이어서, 슬라이스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슬라이스편을 도 2(d) 와 같이 넘어뜨려 슬라이스면을 위를 향하게 하고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얹어 커버 유리와 실리콘 오일 (굴절률 1.04) 로 봉하고, 이차원 광탄성 평가 시스템 「PA-micro」 (주식회사 포토닉 라티스 제조) 를 사용하여 슬라이스편 5 개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한다.(iii) Subsequently, slice slices are turned up as shown in Fig. 2 (d) so that the slice faces upward, and the slice pieces are faced up and placed on a slide glass and sealed with cover glass and silicone oil (refractive index 1.04), and two-dimensional. The retardation of five slice pieces is measured using photoelastic evaluation system "PA-micro" (Photonic Latissian Corporation).

(iv) 각 슬라이스편의 리타데이션 분포를 「PA-micro」의 측정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슬라이스편을 횡단하도록 당초의 필름 표면에 수직인 선 β 를 긋고, 그 선분 β 상에서 라인 해석을 실시하여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분포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관찰은 접안 10 배, 대물 20 배 (토탈 200 배) 의 시야에서 실시한다. 또, 슬라이스편 상에서 선분 β 가 통과하는 위치가 바뀌는 것에 의한 오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선폭을 300 화소로 하여 리타데이션의 평균값을 채용한다.(iv) In the state where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of each slice piece is displayed on the measurement screen of "PA-micro", a line β perpendicular to the original film surface is drawn to cross the slice piece, and a line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line segment β. Retardation distribution data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is acquired. In addition, observation is performed by the eyepiece 10 times and the objective 20 times (total 200 times). Moreover, in order to suppress the error by the position where the line segment (beta) passes on a slice piece, the average value of retardation is employ | adopted as 300 pixel line width.

(v) 상기에서 얻어진 필름의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분포의 값을 마이크로스코프로 측정한 두께로 나누어 필름의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 Δn(TD) 분포를 구하고,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 Δn(TD) 분포의 평균값을 채용한다. 슬라이스편 5 개에 대해 구한 각각의 필름의 두께 방향의 복굴절률 Δn(TD) 분포의 평균값을 다시 평균하여, 「Δn(TD)Ave」로 한다.(v) The birefringence Δn (TD)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obtained above by the microscope, and obtaining the birefringence Δ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TD) mean value of the distribution is employed. The average value of birefringence (DELTA) n (TD)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direction of each film calculated | required about five slice pieces is averaged again, and it is set as "(DELTA) n (TD) Ave. "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의 두께는, 5 ∼ 150 ㎛ 의 범위로 할 수 있지만, 편광 필름용의 원반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30 ∼ 6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필름 두께를, 종래 편광 필름용 원반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던 두께가 75 ㎛ 정도의 PVA 계 중합체 필름보다 얇은, 상기 30 ∼ 65 ㎛ 로 한 경우에, 필름의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품과 동등 이상의 편광 성능 등의 광학 특성을 갖는 연신 필름을 높은 수율로, 원활하게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두께가 30 ∼ 65 ㎛ 인 PVA 계 중합체 필름을 고배율로 연신함으로써, 연신 후의 필름의 두께를 종래보다 한층 얇게 할 수 있음과 함께,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의 건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어, 편광 필름의 제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PVA system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can be made into the range of 5-150 micrometers, When using as a raw material for polarizing films, etc.,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30-65 micrometers. Since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has a high limit draw ratio, 30-65 micrometers whose film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PVA-type polymer film of about 75 micrometers in thickness which often used as a disk for polarizing films conventionally In this case, the film can be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without causing breakage of the film, whereby a stretched film having optical properties such as polarization performance or the like of a conventional product or the like can be produced smoothly and with good productivity at high yield. In addition, by stretching the PVA-based polym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to 65 µm at a high magn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film after stretching can be made even thinner than before, and the drying time when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can be shortened. The manufacturing speed of a film can be improved.

PVA 계 중합체 필름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 건조가 신속하게 잘 행해지지 않게 되고, 한편, PVA 계 중합체 필름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편광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1 축 연신시에 필름의 파단이 잘 발생하게 된다.If the thickness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too thick, drying is difficult to be performed quickly when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while if the thickness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too thin, at the time of uniaxial stretching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The breakage of the film is likely to occur.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최근, 액정 텔레비전이나 모니터가 대화면화되어 있으므로, 그것들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폭은 2 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현실적인 생산기로 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필름의 폭이 지나치게 크면 균일한 1 축 연신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폭은 8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width | variety of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Recently, since a liquid crystal television and a monitor are large screen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m or more in width,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m or more in order that it can utilize effectively for them. It is preferabl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 m or more. Moreover, when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with a realistic producer, since uniform uniaxial stretching may become difficult when the width | variety of a film is too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 variety of a PVA system polymer film is 8 m or less.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그 질량 팽윤도가 180 ∼ 2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85 ∼ 24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90 ∼ 23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질량 팽윤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잘 연신하지 않게 되어, 광학 성능이 우수한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질량 팽윤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연신시의 공정 통과성이 악화되거나, 고내구성의 편광 필름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ss swelling degree of the PVA system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is 180 to 25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85 to 240%, It is further more preferable that it is 190 to 230%. When the mass swelling degre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too low, it is difficult to draw well, and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stretched film having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ss swelling degree is too high, the process passability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deteriorated. In some cases, a highly durable polarizing film may not be obtained.

여기서 말하는 질량 팽윤도란, PVA 계 중합체 필름을 30 ℃ 의 증류수 내에 30 분간 침지했을 때의 질량을, 상기 침지 후 105 ℃ 에서 16 시간 건조시킨 후의 질량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의 백분율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mass swelling degree herein means the percentage of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mass when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immersed in 30 ° C distilled water for 30 minutes by the mass after drying at 105 ° C for 16 hours after the immersion, specifically, It can measure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형성하는 PVA 계 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비닐에스테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PVA, PVA 의 주사슬에 코모노머를 그래프트 공중합시킨 변성 PVA 계 중합체, 비닐에스테르와 코모노머를 공중합시킨 변성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한 변성 PVA 계 중합체, 미변성 PVA 또는 변성 PVA 계 중합체의 수산기의 일부를 포르말린, 부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류로 가교한 이른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들 수 있다.As the PVA-based polymer forming the 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modified PVA-based polymer obtained by graft copolymerization of a comonomer to a main chain of PVA and PVA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est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vinyl ester. Of a hydroxyl group of a modified PVA polymer, an unmodified PVA, or a modified PVA polymer prepared by saponifying a modified polyvinyl est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a vinyl ester and a comonomer with so-called aldehydes such as formalin, butylaldehyde, and benzaldehyde. Polyvinyl acetal resin etc. are mentioned.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형성하는 PVA 계 중합체가 변성 PVA 계 중합체인 경우는, PVA 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변성량은 1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PVA system polymer which forms the PVA system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is a modified PVA system polym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ification amount in a PVA system polymer is 15 mol%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 mol% or less.

PVA 계 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비닐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포름산비닐, 라우르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바린산비닐, 바사틱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벤조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닐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비닐에스테르 중, 아세트산비닐이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As said vinyl ester used for manufacture of a PVA-type polymer, For example, vinyl acetate, a vinyl formate, a vinyl laurate, a vinyl propionate, a vinyl butyrate, a vinyl pivalate, a vinyl basatic acid, a vinyl stearate, a vinyl benzoate, etc. Can be mentioned. These vinyl esters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Among these vinyl esters, vinyl acetat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또, 상기한 코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등의 탄소수 2 ∼ 30 의 올레핀류 (α-올레핀 등);아크릴산 또는 그 염;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n-프로필, 아크릴산i-프로필, 아크릴산n-부틸, 아크릴산i-부틸, 아크릴산t-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도데실, 아크릴산옥타데실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아크릴산의 탄소수 1 ∼ 18 알킬에스테르);메타크릴산 또는 그 염;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i-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i-부틸,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도데실, 메타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 ∼ 18 알킬에스테르);아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아크릴아미드 유도체;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의 N-비닐아미드류;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비닐류;아세트산알릴, 염화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그 염 또는 그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아세트산이소프로페닐;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Moreover, as said comonomer, For example, C2-C30 olefins ((alpha) -olefin etc.), such as ethylene, propylene, 1-butene, isobutene; Acrylic acid or its salt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Acrylic esters, such as n-propyl acrylate, i-propyl acrylate, n-butyl acrylate, i-butyl acrylate, t-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dodecyl acrylate, and octadecyl acrylate (for example, acrylic acid C1-C18 alkyl ester); methacrylic acid or its salt;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propyl methacrylate, i-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butyl, t-butyl methacrylic acid, 2-ethylhex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and octadecyl methacrylate (for example, C1-C18 alkyl ester of methacrylic acid) ); Acrylamide, N-methyl acrylamide, N-ethyla Acrylamide derivatives such as krillamide, N, N-dimethylacrylamide, diacetone acrylamide, acrylamide propanesulfonic acid or salts thereof, acrylamidepropyldimethylamine or salts thereof, N-methylolacrylamide or derivatives thereof; Methacrylamides such as amide, N-methyl methacrylamide, N-ethyl methacrylamide, methacrylamide propanesulfonic acid or salts thereof, methacrylamidepropyldimethylamine or salts thereof, N-methylol methacrylamide or derivatives thereof Derivatives; N-vinylamides such as N-vinylformamide, N-vinylacetamide, and N-vinylpyrrolidone;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n-propyl vinyl ether, i-propyl vinyl ether, n- Vinyl ethers such as butyl vinyl ether, i-butyl vinyl ether, t-butyl vinyl ether, dodecyl vinyl ether, stearyl vinyl ether;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c. Triyl; vinyl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vinyl fluoride and vinylidene fluoride; allyl compounds such as allyl acetate and allyl chloride;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and itaconic acid, salts thereof or ester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vinylsilyl compound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isopropenyl acetate; unsaturated sulfon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Of these,? -Olefins are preferable, and ethyle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형성하는 PVA 계 중합체의 평균 중합도는,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 및 내구성 등 면에서, 1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PVA 계 중합체의 평균 중합도의 상한은, 균질한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의 용이성, 연신성 등 면에서 8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6000 이하가 바람직하다.As for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type polymer which forms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1000 or more are preferable, 1500 or more are more preferable, and 2000 or more ar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polarization performance, durability, etc.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based polymer is preferably 8000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6,000 or less, in view of ease of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VA-based polymer film, stretchability and the like.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계 중합체의 「평균 중합도」란, JIS K 6726-1994 에 준하여 측정되는 평균 중합도를 말하고, PVA 계 중합체를 재비누화하고, 정제한 후에 30 ℃ 의 수중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로부터 구해진다.Here,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polym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26-1994, and the PVA polymer is subjected to re-saponification and purification, Is obtained from the viscosity.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형성하는 PVA 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는,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 및 내구성 등 면에서, 95.0 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98.0 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9.0 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99.3 몰%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As for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VA-type polymer which forms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95.0 mol% or more is preferable, 98.0 mol% or more is more preferable, 99.0 mol% from a polarizing performance, durability, etc.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The above is more preferable, and 99.3 mol% or more is the most preferable.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란,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해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PVA 계 중합체의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VA polymer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e said vinyl alcohol with respect to the total mole number of the structural unit (typically a vinyl ester unit) and vinyl alcohol uni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vinyl alcohol unit by saponification. The ratio (mol%) which the mole number of a unit occupies says.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VA polymer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JIS K 6726-1994.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식 (I) 및 (II) 를 만족하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느 방법으로 제조해도 되지만,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which can manufacture the PVA-type polymer film which satisfy | fills said Formula (I) and (II), you may manufacture by what method, PVA of this invention System polymer film,

(a) 회전축이 서로 평행한 복수의 건조 롤을 구비하는 막제조 장치를 사용하고, 당해 막제조 장치의 제 1 건조 롤 상에 PVA 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을 막상으로 토출시켜 부분 건조시킨 후에 그것에 계속되는 건조 롤로 다시 건조시켜 막제조하고;그 때, (a) A membrane-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rying rolls having parallel rotation axes to each other is used, and the membrane-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VA-based polymer is discharged onto the membrane and partially dried on the first drying roll of the membrane-forming apparatus. After that, the film is dried again with a drying roll followed by film formation;

(b)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의 비 (ST/S1) 를 0.990 ∼ 1.050 으로 하고;(b) The ratio (S T / S 1 )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T ) of the dry roll when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PVA polymer film became 13 mas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 of the 1st dry roll was 0.990- 1.050;

(c)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T) 를 0.960 ∼ 0.980 으로 하고;(c) PVA-based a ratio (S L / S T) of the peripheral speed (S L), the final dry roll to the main speed (S T) of the drying roll at the time the polymer film the volatile fraction was 13% by mass of 0.960 ~ 0.980 To;

(d)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1) 를 0.970 ∼ 1.010 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높은 생산성으로 원활하게 연속하여 제조할 수 있다.(d) first made as to the ratio (S L / S 1) of the first peripheral speed (S L), the final dry roll on the peripheral velocity (S 1) of the drying roll with 0.970 ~ 1.010,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can manufacture continuously and smoothly with high productivity.

상기한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이하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below.

PVA 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은, PVA 계 중합체를 액체 매체와 혼합하여 용액으로 하거나, 액체 매체 등을 함유하는 PVA 계 중합체 펠릿 등을 용융하여 용융액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a PVA-based polymer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PVA-based polymer with a liquid medium to form a solution, or by melting a PVA-based polymer pellet or the like containing a liquid medium or the like into a melt.

PVA 계 중합체의 액체 매체에 대한 용해, 액체 매체 등을 함유하는 PVA 계 중합체 펠릿의 용융은, 교반식 혼합 장치, 용융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Melting of the PVA-based polymer pellets containing the PVA-based polymer into a liquid medium, a liquid medium,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using a stirring mixing device, a melt extruder, or the like.

그 때에 사용하는 액체 매체로는, 예를 들어, 물,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액체 매체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물, 디메틸술폭사이드, 또는 양자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a liquid medium used at that time, water, dimethyl sulfoxide,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N-methylpyrrolidone, ethylenediamine, diethylenetriamin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se liquid media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Of these, water, dimethylsulfoxide, or a mixture of both is preferably used, and water is more preferably used.

PVA 계 중합체의 액체 매체에 대한 용해나 용융의 촉진, 필름 제조시의 공정 통과성의 향상, 얻어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연신성 향상 등 면에서, 막제조 원액에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dd a plasticizer to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dissolution and melting of the PVA-based polymer into the liquid medium, improvement of process passability during film production, and improvement of the stretchability of the resulting PVA-based polymer film.

가소제로는 다가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가소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성의 향상 효과가 우수한 점에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및 에틸렌글리콜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a plasticizer, polyhydric alcohol is used preferably, For example, ethylene glycol, glycerin, diglycerol,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trimethylol propane, etc. are mentioned, These plasticizers, It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Among these, 1 type, or 2 or more types of glycerin, diglycerol, and ethylene glycol are used preferably from the point which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extending | stretching property.

가소제의 첨가량은, PVA 계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 0 ∼ 3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3 ∼ 2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20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첨가량이 PVA 계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 30 질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져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As for the addition amount of a plasticizer, 0-30 mass parts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VA-type polymers, 3-25 mass parts is more preferable, 5-20 mass parts is especially preferable. When the addition amount of a plasticizer exceeds 30 mass parts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VA system polymers, the PVA system polymer film obtained may become soft too much and handleability may fall.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할 때의 건조 롤로부터의 박리성의 향상, 얻어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취급성 등 면에서, 막제조 원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논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t is preferable to add surfactant to a film-forming stock solu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eelability improvement from the dry roll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VA system polymer film, the handleability of the obtained PVA system polymer film, etc.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in particular as a kind of surfactant, Anionic surfactant or a nonionic surfactant is used preferably.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칼륨 등의 카르복실산형, 옥틸술페이트 등의 황산에스테르형,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등의 술폰산형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As the anionic surfactant, for example, carboxylic acid type such as potassium laurate, sulfate ester type such as octyl sulfate, and sulfonic acid type anionic surfactant such as dodecylbenzenesulfonate are preferable.

또,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알킬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등의 알킬페닐에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등의 알킬에스테르형,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미노에테르 등의 알킬아민형, 폴리옥시에틸렌라우르산아미드 등의 알킬아미드형,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에테르 등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형, 올레산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알칸올아미드형, 폴리옥시알킬렌알릴페닐에테르 등의 알릴페닐에테르형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Moreover, as a nonionic surfactant, For example, Alkyl ether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oleyl ether, Alkylphenyl ether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Alkyl ester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ate, Alkylamine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 amino ether, Alkylamide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ic acid amide, Polypropylene glycol ether types, such as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ether, Alkanolamide, such as oleic acid diethanamide Nonionic surfactants of allylphenyl ether type, such as a type and a polyoxyalkylene allyl phenyl ether, are preferable. These surfactant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PVA 계 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2 ∼ 0.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 0.3 질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0.01 질량부보다 적으면 막제조성, 박리성의 향상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한편, 1 질량부보다 많으면 계면활성제가 필름 표면에 용출되어 블로킹의 원인이 되어,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0.01-1 mass part is preferable with respect to 100 mass parts of PVA-type polymers, as for the addition amount of surfactant, 0.02-0.5 mass part is more preferable, 0.05-0.3 mass part is especially preferable. If the amount is less than 0.01 part by mass, the effect of improving film formation and peelability may not be easily exhibited.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is more than 1 part by mass, the surfactant may be eluted to the film surface, causing blocking, and the handling may be deteriorated. have.

막제조 원액은,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안정화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등), 상용화제, 블로킹 방지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활제, 분산제, 유동화제, 항균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s various additives, for example, stabilizers (e.g.,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heat stabilizers, etc.), compatibilizers, and blocking, within the range of not impairing the properties of the PVA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contain an inhibitor, a flame retardant, an antistatic agent, a lubricant, a dispersant, a fluidizing agent, an antibacterial agent and the like. These additives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은, 60 ∼ 75 질량% 가 바람직하고, 65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이 60 질량% 보다 작으면, 막제조 원액의 점도가 높아져 여과나 탈포가 곤란해지는 것 이외에, 막제조 자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이 75 질량% 보다 크면,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PVA 계 중합체 필름의 두께의 균일성이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60-75 mass% is preferable, and, as for the volatile matter fraction of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used for manufacture of a PVA-type polymer film, 65-70 mass% is more preferable. If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membrane-forming stock solution is less than 60% by mass, the viscosity of the membrane-forming stock solution may be high, and the membrane production itself may be difficult in addition to difficulty in filtration and defoam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atile fraction of a film-forming stock solution is larger than 75 mass%, a viscosity may become low too much and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a PVA system polymer film may be impaired.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이란, 하기 식 [iii] 에 의해 구한 휘발 분율을 말한다.Here,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a film-forming undiluted | stock solution" as used herein means the volatilization fraction calculated | required by following formula [iii].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 (질량%) ={(Wa - Wb) / Wa}× 100 [iii]Volatilization fraction (mass%) of film-forming stock solution = 액 (Wa-Wb) / Wa} × 100 [iii]

[식 중, Wa 는 막제조 원액의 질량 (g), Wb 는 Wa (g) 의 막제조 원액을 105 ℃ 의 전열 건조기 중에서 16 시간 건조시킨 후의 질량 (g) 을 나타낸다][Wherein, Wa represents the mass (g) of the membrane-forming stock solution, and Wb represents the mass (g) after drying the membrane-forming stock solution of Wa (g) for 16 hours in a 105 ° C heat transfer dryer.]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에 사용하는, 회전축이 서로 평행한 복수의 건조 롤을 구비하는 막제조 장치에서는, 건조 롤의 수는 3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 30 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film produ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ome drying roll in which the rotating shafts mutually parallel are used for manufacture of a PVA-type polymer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dry rolls is three or mo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four or more, 5-30 Personal is more desirable.

복수의 건조 롤은, 예를 들어, 니켈, 크롬, 구리, 철,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롤 표면이 잘 부식되지 않고, 게다가 경면 광택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건조 롤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니켈층, 크롬층, 니켈/크롬 합금층 등을 단층 또는 2 층 이상 조합하여 도금한 건조 롤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ome dry roll is formed with metals, such as nickel, chromium, copper, iron, stainless steel, for example, and especially the surface of a roll does not corrode well and is formed with the metal material which has a mirror glossin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re is.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a drying roll,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drying roll which plated the nickel layer, the chromium layer, the nickel / chromium alloy layer, etc. combining singl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복수의 건조 롤에 있어서의 각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는 6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각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는, 최종 공정 또는 거기에 가까운 공정에서 열처리 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에 대해서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외의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는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65 degreeC or more, and, as for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each dry roll in several drying roll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75 degreeC or more. Moreover, although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each dry roll is 100 degreeC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00-120 degreeC about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the dry roll which can be used as a heat processing roll in a final process or a process near i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the other dry roll is 100 degrees C or less.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막제조 장치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건조 롤에 계속해서, 열풍로식의 열풍 건조 장치, 열처리 장치, 조습 장치 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film production apparatus used by this invention may have a hot-air-type hot air drying apparatus, a heat processing apparatus, a humidity control apparatus, etc. after a some drying roll as needed.

막제조 장치의 제 1 건조 롤 상에 PVA 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을 막상으로 토출시키는 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T 형 슬릿 다이, 호퍼 플레이트, I-다이, 립 코터 다이 등의 이미 알려진 막상 토출 장치 (막상 유연 장치) 를 사용하여, PVA 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을 제 1 건조 롤 상에 막상으로 토출 (유연) 시킨다.In discharging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VA-based polymer onto the first dry roll of the film-forming apparatus in the form of a film, for example, T-type slit die, hopper plate, I-die, lip coater die or the like Using a known film discharge device (film cast device), the film production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VA polymer is discharged (flexed) onto the first drying roll in a film form.

제 1 건조 롤 상에 막상으로 토출시킨 PVA 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액은, 제 1 건조 롤 상에서 건조시켜,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바람직하게는 17 ∼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 29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 28 질량% 가 된 시점에서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한다.The liquid containing the PVA-based polymer discharged in a film form on the first drying roll is dried on the first drying roll, and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preferably 17 to 30% by mass, more preferably 17 to 29 It peels from a 1st dry roll at the time of becoming mass%, More preferably, 18-28 mass%.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할 때의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7 질량% 미만이면, Δn(TD)Ave 에 대한 Δn(MD)Ave 의 값이 커져 식 (I) 을 만족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할 때의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30 질량% 를 초과하면, 제 1 건조 롤로부터의 박리가 곤란해져 경우에 따라서는 파단되거나, 불균일이 잘 발생하게 되거나 하는 경향이 있다.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VA polymer film at the time of peeling from a 1st dry roll is less than 17 mass%, the value of (DELTA) n (MD) Ave with respect to (DELTA) n (TD) Ave will become large and it will become a thing which does not satisfy Formula (I).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VA polymer film at the time of peeling from a 1st dry roll exceeds 30 mass%, peeling from a 1st dry roll becomes difficult and it may be broken in some cases, or a nonuniformity may arise easily. There is a tendency.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휘발 분율」이란, 하기 식 [iv] 에 의해 구한 휘발 분율을 말한다.Here,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a PVA polymer film or a PVA polymer film"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e volatilization fraction calculated | required by the following formula [iv].

A (질량%) ={(Wc - Wd) / Wc}× 100 [iv]A (mass%) = {(Wc-Wd) / Wc} × 100 [iv]

[식 중, A 는,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휘발 분율 (질량%), Wc 는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채취한 샘플의 질량 (g), Wd 는 상기 샘플 Wc (g) 를 온도 50 ℃, 압력 0.1 ㎪ 이하의 진공 건조기 안에 넣고 4 시간 건조시켰을 때의 질량 (g) 을 나타낸다][Wherein, A is the volatile fraction (mass%)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or PVA-based polymer film, Wc is the mass (g) of the sample taken from the PVA-based polymer film or PVA-based polymer film, and Wd is the sample Wc. (g) is placed in a vacuum drier having a temperature of 50 ° C. and a pressure of 0.1 Pa or less, and shows the mass (g) when dried for 4 hours.]

PVA 계 중합체,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가소제), 계면활성제 및 물을 이용하여 조제한 막제조 원액으로 형성되는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에서는, 상기한 「온도 50 ℃, 압력 0.1 ㎪ 이하에서 4 시간」이라는 조건 하에서 건조시켰을 때에는 주로 물만이 휘발되고, 물 이외의 다른 성분의 대부분은 휘발되지 않고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 중에 잔류하므로,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휘발 분율은, PVA 계 중합체막 또는 PVA 계 중합체 필름 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량 (수분율) 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In the PVA-based polymer film or PVA-based polymer film formed from a film-forming stock solution prepared using a polyhydric alcohol (plasticizer) such as a PVA-based polymer or glycerin, a surfactant, and water,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is 50 ° C and a pressure of 0.1 Pa or less. 4 hours ”, only water is volatilized, and most of th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water are not volatilized and remain in the PVA-based polymer film or PVA-based polymer film. Thus, volatilization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or PVA-based polymer film A fraction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y measuring the moisture content (water content) contained in a PVA-type polymer film or a PVA-type polymer film.

제 1 건조 롤에서의 건조에 있어서는, 균일 건조성, 건조 속도 등의 관점에서, 제 1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는 80 ∼ 1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85 ∼ 10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3 ∼ 99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건조 롤의 표면 온도가 120 ℃ 를 초과하면 필름이 잘 발포되게 되고, 한편 80 ℃ 미만에서는 제 1 건조 롤 상에서의 건조가 불충분해져, 박리 불량의 원인이 되기 쉽다.In drying with a 1st drying roll,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a 1st drying roll is 80-120 degreeC from a viewpoint of uniform drying property, a drying rate, etc.,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85-105 degreeC, 93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9 degreeC. If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1st dry roll exceeds 120 degreeC, a film will foam well, On the other hand, below 80 degreeC, drying on a 1st dry roll becomes inadequate and it becomes a cause of a peeling defect.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은, 균일 건조성, 건조 속도 및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생산성 등 면에서, 8 ∼ 25 m/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 23 m/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 ∼ 22 m/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이 8 m/분 미만이면 생산성이 저하됨과 함께, 복굴절이 커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이 25 m/분을 초과하면 제 1 건조 롤 상에서의 건조가 불충분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A first peripheral speed (S 1) of the drying roll, at the surface, such as uniform drying characteristics, drying speed, and productivity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and 8 ~ 25 m / min is preferred, and more preferably 11 ~ 23 m / min,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4-22 m / min. I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a 1st dry roll is less than 8 m / min, productivity will fall, and birefringence will become large easily, and it is unprefer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a 1st dry roll exceeds 25 m / min, drying on a 1st dry roll will become inadequate easily, and it is unpreferable.

막상으로 토출된 PVA 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의 제 1 건조 롤 상에서의 부분 건조는, 제 1 건조 롤로부터의 열에 의해서만 실시해도 되지만, 제 1 건조 롤로 가열함과 동시에 제 1 건조 롤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막면 (이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에 열풍을 분사하여, PVA 계 중합체막의 양면으로부터 열을 주어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균일 건조성, 건조 속도 등 면에서 바람직하다.Although partial drying on the 1st drying roll of the film-forming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VA-type polymer discharged | emitted in the film form may be performed only by the heat from a 1st drying roll, it contacts with a 1st drying roll simultaneously with heating with a 1st drying roll. Hot air is sprayed on a film su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dry roll non-contact surface" below) and heated from both sides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to perform drying in terms of uniform dryness, drying speed, and the like. desirable.

제 1 건조 롤 상에 있는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데에 있어서는,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의 전체 영역에 대해 풍속 1 ∼ 10 m/초의 열풍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풍속 2 ∼ 8 m/초의 열풍을 분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풍속 3 ∼ 8 m/초의 열풍을 분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spraying hot air to the 1st dry roll non-contacting surface of the PVA-type polymer film on a 1st dry roll, it is preferable to spray the hot air of 1-10 m / sec wind speed with respect to the whole area | region of a 1st dry roll non-contacting surface. It is more preferable to spray hot air with a wind speed of 2 to 8 m / sec, and even more preferable to spray hot wind with a wind speed of 3 to 8 m / sec.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분사하는 열풍의 풍속이 지나치게 작으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한계 연신 배율이 높은 PVA 계 중합체 필름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됨과 함께, 제 1 건조 롤 상에서의 건조시에 수증기 등의 결로가 발생하고, 그 물방울이 PVA 계 중합체막에 적하되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에 있어서의 결함이 잘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분사하는 열풍의 풍속이 지나치게 크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고 있는 한계 연신 배율이 높은 PVA 계 중합체 필름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됨과 함께,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에 두께 편차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염색 편차의 발생 등의 트러블이 잘 발생하게 된다.If the wind speed of the hot air sprayed on the non-contacting surface of the first drying roll is too small, the PVA-based polymer film having a high limit draw ratio, which i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ardly obtained, and at the time of drying on the first drying roll. Condensation, such as water vapor, arises, and the water droplets are dripped on a PVA-type polymer film, and the defect in the PVA-type polymer film finally obtained arises eas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 speed of the hot air sprayed on a non-contact surface of a 1st dry roll is too big | large, the PVA system polymer film with a high limit draw ratio aimed at in this invention will be hard to be obtained, and to the PVA system polymer film finally obtained The thickness deviation occurs, and troubles such as the occurrence of the dyeing deviation occur well.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분사하는 열풍의 온도는, 건조 효율, 건조의 균일성 등 면에서, 5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12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9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분사하는 열풍의 노점 온도는 10 ∼ 1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분사하는 열풍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건조 효율, 균일 건조성 등이 저하되기 쉽고,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발포가 잘 발생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150 degreeC, and, as f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sprayed on the 1st dry roll non-contact surface of a PVA-type polymer film, it is 70-120 degreeC from a viewpoint of drying efficiency, uniformity of drying, etc., 8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5 degreeC.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hot air sprayed on the 1st dry roll non-contact surface of a PVA-type polymer film is 10-15 degreeC.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sprayed on the non-contacting surface of the 1st dry roll of a PVA system membrane is too low, drying efficiency, uniform drying property, etc. will fall easily, and when too high, foaming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well.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열풍을 분사하기 위한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풍속이 균일하고 또한 온도가 균일한 열풍을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 바람직하게는 그 전체에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는 방식 모두를 채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노즐 방식, 정류판 방식 또는 그들의 조합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대한 열풍의 분사 방향은,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대향하는 방향이어도 되고,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의 원주 형상을 거의 따른 방향 (제 1 건조 롤의 롤 표면의 원주에 거의 따른 방향) 이어도 되며, 또는 그 이외의 방향이어도 된다.The method for injecting hot air into the first dry roll non-contacting surfac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hot air having a uniform wind speed and uniform temperatur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ry roll non-contacting surfac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preferably the whole thereof. All the methods which can spray uniformly can be employ | adopted, and a nozzle method, a rectifying plate system, or a combination thereof is especially employ | adopted among these. The direction in which hot air is blown to the first non-contact surfac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may be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non-contact surface of the dry roll, and the direction substant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non-contact surfac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first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ll surface of the 1 dry roll) may be sufficient, or a direction other than that may be sufficient.

또, 제 1 건조 롤 상에서의 PVA 계 중합체막의 건조시에, 건조에 의해 PVA 계 중합체막으로부터 발생한 휘발분과 분사한 후의 열풍을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에 분사하는 열풍의 풍속 편차 및 온도 편차가 발생하지 않는 배기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at the time of drying of a PVA system polymer film on a 1st drying roll, it is preferable to exhaust the volatile matter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from the PVA system polymer film by drying, and the hot air after spraying. Although the method of exhaus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employ | adopt the exhaust method which does not generate | occur | produce the wind speed deviation and temperature deviation of the hot air sprayed on the 1st dry roll non-contact surface of a PVA system polymer film.

제 1 건조 롤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휘발 분율 17 ∼ 30 질량% 로까지 건조시킨 PVA 계 중합체막을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하고, 다음에는, PVA 계 중합체막의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을 제 2 건조 롤에 대향시켜 제 2 건조 롤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first drying roll, the PVA-based polymer film preferably dried to a volatile fraction of 17 to 30% by mass is peeled from the first drying roll, and then the first dry roll non-contact surface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is opposed to the second drying roll. It is preferable to make it dry with a 2nd drying roll.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제 2 건조 롤의 주속 (S2) 의 비 (S2/S1) 는, 1.005 ∼ 1.09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 ∼ 1.0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 (S2/S1) 가 1.005 미만이면, 제 1 건조 롤로부터의 PVA 계 중합체막의 박리점이 불균해지기 쉽고, 폭 방향의 복굴절률 편차가 커져, 광학용 필름 원반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비 (S2/S1) 가 1.090 을 초과하면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갖는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이 잘 얻어지지 않게 된다.The first non-(S 2 / S 1) of the peripheral speed (S 2) of the second drying rolls to a peripheral speed (S 1) of the drying roll is more preferably, 1.005 ~ 1.090 is preferable, and 1.010 ~ 1.080. When the ratio (S 2 / S 1 ) is less than 1.005, the peeling point of the PVA-based polymer film from the first drying roll tends to be uneven, and the birefringence variation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large, and may not be used as an optical film master. have. Further, if the non-(S 2 / S 1) is more than 1.090 can not be obtained well-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stretch rate limit.

제 2 건조 롤에서의 건조에 있어서는, 균일 건조성, 건조 속도 등 면에서, 제 2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는 65 ∼ 1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65 ∼ 98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 ∼ 96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drying with a 2nd dry roll,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a 2nd dry roll is 65-100 degreeC from a viewpoint of uniform drying property, a drying rate, etc.,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65-98 degreeC, 75-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6 degreeC.

제 2 건조 롤로 건조시킨 PVA 계 중합체막을, 제 2 건조 롤로부터 박리하고, 막제조 장치에 형성한 건조 롤의 수 등에 따라, 제 3 건조 롤, 제 4 건조 롤, 제 5 건조 롤, … 등의 복수의 건조 롤에 의해 순차 건조시킨다.The 3rd dry roll, the 4th dry roll, the 5th dry roll,. It is made to dry sequentially by several drying rolls, such as these.

그 때, 본 발명에서는,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의 비 (ST/S1) 가 0.990 ∼ 1.050 이 되도록 하여, PVA 계 중합체막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면서 건조를 실시한다. 여기서,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이란, 건조 롤 상에서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된 경우에는 당해 건조 롤을 의미하고, 2 개의 건조 롤 사이에서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된 경우에는 당해 2 개의 건조 롤 중, 뒤에 위치하는 건조 롤을 의미한다. 비 (ST/S1) 를 상기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될 때까지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늘어짐이나 들러붙음 등의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고, 길이 방향 (M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MD)Ave] 및 폭 방향 (T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TD)Ave] 이, 상기 식 (I) 및 (II), 나아가서는 상기 식 (III) 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At that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S T / S 1 of the first peripheral speed of the drying roll at the time the, PVA-based polymer film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peripheral speed (S 1) of the drying roll was 13 mass% (S T) ) Is 0.990 to 1.050, and drying is performed while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PVA-based polymer film. Here, "a dry roll when the volatile fraction of a PVA-type polymer film became 13 mass%" means the said dry roll when the volatile fraction of a PVA-based polymer film became 13 mass% on a dry roll, and it is two dry rolls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turns into 13 mass% between, the drying roll located behind in the said two drying rolls is meant. Ratio (S T / S 1) for by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PVA based polymer film the volatile fraction without the risk of problems such as in the drying process until a 13% by mass, seizure sag or drop of the film , The value [Δn (MD) Ave ]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Δn (TD) Ave ]. The 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atisfies the above formulas (I) and (II), and furthermore, the formula (III) can be produced smoothly.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할 때의 상기한 비 (ST/S1) 는, 1.000 ∼ 1.045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VA-based non-(S T / S 1) for producing the polymer film is preferably, 1.000 ~ 1.045.

본 발명에서는,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된 PVA 계 중합체막을 후속의 건조 롤로 다시 건조시켜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한다. 그 때, 본 발명에서는, PVA 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에 대한, 최종의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T) 를, 0.960 ∼ 0.980 의 범위로 하면서 건조를 실시한다. 비 (SL/ST) 를 상기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인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얻을 때까지의 건조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늘어짐이나 들러붙음 등의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고, 길이 방향 (M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MD)Ave] 및 폭 방향 (T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TD)Ave] 이, 상기 식 (I) 및 (II), 나아가서는 상기 식 (III) 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VA-based polymer film having a volatile fraction of 13% by mass is dried again with a subsequent drying roll to produce a PVA-based polymer film. In that case, in this invention, the ratio (S L / S T )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L of a final dry roll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T of a dry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a PVA-type polymer film became 13 mass%. ), Drying is carried out while being in the range of 0.960 to 0.980. By making ratio (S L / S T ) into the above-mentioned range, in the drying process until the final PVA-based polymer film is obtained, no trouble such as sagging or sticking of the film is generate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value [Δn (MD) Ave ]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of M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value [Δn (TD) Ave ]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of th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 and (II), Furthermore,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which satisfy | fills said Formula (III) can be manufactured smoothly.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할 때의 상기한 비 (SL/ST) 는, 0.963 ∼ 0.976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VA-based non-(S L / S T) for producing the polymer film is preferably, 0.963 ~ 0.976.

또, 상기한 방법으로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길이 방향 (M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MD)Ave] 및 폭 방향 (T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Δn(TD)Ave] 은,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과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1) 에 따라 변동한다. 상기 식 (I) 및 (II), 나아가서는 상기 식 (III) 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원활하게 제조하기 위해서,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1) 를 0.970 ∼ 1.01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필요하고, 0.972 ∼ 1.008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75 ∼ 1.006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식 (I) 및 (II), 나아가서는 상기 식 (III) 을 만족하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주름이나 늘어짐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다.Moreover, in manufacturing a PVA system polymer film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value [(DELTA) n (MD) Ave ]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index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a PVA system polymer film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and the width direction ( The value [Δn (TD) Ave ]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of T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is the ratio (S L / S) between the peripher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and the peripheral speed S L of the final drying roll. 1 ) Fluctuates accordingly. In order to manufacture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which satisfy | fills said Formula (I) and (II) and also said Formula (III) smoothly, the last dry roll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1 of a 1st dry roll. of that required for the ratio (S L / S 1) of the peripheral speed (S L) in the range of 0.970 ~ 1.010,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0.972 ~ 1.008, it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975 ~ 1.006. Thereby, the PVA-type polymer film which satisfy | fills said Formula (I) and (II), and also said Formula (III) can be manufactured smoothly, suppressing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a wrinkle and sagging.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최종 건조 롤 또는 최종에 가까운 건조 롤과 최종 건조 롤은, 그 표면 온도를 높게 하여 열처리 롤로서 사용해도 된다. 건조 롤을 열처리 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 표면 온도는 90 ∼ 140 ℃ 가 바람직하고, 100 ∼ 130 ℃ 가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drying roll or the final drying roll and the final drying roll may be used as a heat treatment roll by increasing the surface temperature thereof. When using a dry roll as a heat processing roll, 90-140 degreeC is preferable and, as for roll surface temperature, 100-130 degreeC is more preferable.

또, 건조 롤과는 별도로, 열처리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Moreover, you may install a heat processing apparatus separately from a dry roll.

제 1 건조 롤로부터 최종 건조 롤에 이르는 과정에서 PVA 계 중합체막을 건조시킬 때의 가열 방향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PVA 계 중합체막을 보다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점에서, PVA 계 중합체막의 임의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이, 제 1 건조 롤로부터 최종 건조 롤까지의 각 건조 롤에 교대로 접촉하도록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particular in the heating direction at the time of drying a PVA-type polymer film in the process from a 1st dry roll to a final dry roll, In the point which can dry a PVA-type polymer film more uniformly, it can apply to arbitrary parts of a PVA-type polymer film. It is preferable to dry so that the surface and back surface in contacting each dry roll from a 1st dry roll to a final dry roll alternately.

상기 건조 처리를 실시한 PVA 계 중합체 필름은, 필요에 따라, 열처리, 조습 처리 등을 실시하고, 마지막에 소정의 길이로 롤상으로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얻을 수 있다.The 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the PVA-based polymer film subjected to the drying treatment to a heat treatment, a humidity control treatment, or the like as necessary, and finally winding the roll in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한 일련의 처리에 의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PVA 계 중합체 필름의 휘발 분율은 1 ∼ 5 질량%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 ∼ 4 질량%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of 1-5 mass%, and, as for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PVA system polymer film finally obtained by said series of processes, it is more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of 2-4 mass%.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려면, 예를 들어,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염색, 1 축 연신, 고정 처리, 건조 처리, 추가로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염색과 1 축 연신의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축 연신 처리 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1 축 연신 처리와 동시에 염색 처리를 실시해도 되며, 또는 1 축 연신 처리 후에 염색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 1 축 연신, 염색 등의 공정은 복수회 반복해도 된다.In order to manufacture a polarizing film from the PVA-type polymer film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a PVA-type polymer film may be dyed, uniaxially stretched, fixed, dried, and further heat-treated as needed. The order of dyeing and uniaxial stretch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dyeing process before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a dyeing process simultaneously with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or a dyeing process after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 Moreover, you may repeat processes, such as uniaxial stretching and dyeing, multiple times.

PVA 계 중합체 필름의 염색에 사용하는 염료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 염료 (예를 들어, Direct Black 17, 19, 154;Direct Brown 44, 106, 195, 210, 223;Direct Red 2, 23, 28, 31, 37, 39, 79, 81, 240, 242, 247;Direct Blue 1, 15, 22, 78, 90, 98, 151, 168, 202, 236, 249, 270;Direct Violet 9, 12, 51, 98;Direct Green 1, 85;Direct Yellow 8, 12, 44, 86, 87;Direct Orange 26, 39, 106, 107 등의 이색성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염료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염색은, 통상,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상기 염료를 함유하는 용액 중에 침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지만, 그 처리 조건이나 처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of the dye used for dyeing the PVA polymer film includ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for example, Direct Black 17, 19, 154; Direct Brown 44, 106, 195, 210, 223; Direct Red 2, 23, 28, 31, 37, 39, 79, 81, 240, 242, 247; Direct Blue 1, 15, 22, 78, 90, 98, 151, 168, 202, 236, 249, 270; Direct Violet 9, 12, 51, 98; Direct Green 1, 85; Direct Yellow 8, 12, 44, 86, 87; dichroic dyes such as Direct Orange 26, 39, 106, 107), and the like. These dye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lthough dyeing can be normally performed by immersing a PVA-type polymer film i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said dye,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a processing method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PVA 계 중합체 필름을 길이 방향 (MD) 으로 연신하는 1 축 연신은, 습식 연신법 또는 건열 연신법의 어느 것으로 실시해도 된다. 습식 연신법에 의해 1 축 연신하는 경우에는, 붕산을 함유하는 온수 중에서 1 축 연신해도 되고, 상기한 염료를 함유하는 용액 중이나 후기 고정 처리욕 중에서 1 축 연신해도 되고, 흡수 후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1 축 연신해도 되며, 그 밖의 방법으로 1 축 연신해도 된다. 1 축 연신 처리시의 연신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PVA 계 중합체 필름을 온수 중에서 연신 (습식 연신)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30 ∼ 90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5 ℃ 의 온도가 채용되고, 건열 연신하는 경우에는 50 ∼ 180 ℃ 의 온도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 1 축 연신 처리의 연신 배율 (다단으로 1 축 연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합계의 연신 배율) 은, 편광 성능 면에서 필름이 절단되기 직전까지 가능한 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4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필름이 파단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균일한 연신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8.0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You may perform uniaxial stretching which extends a PVA system polymer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either a wet stretching method or a dry heat stretching method.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by the wet stretching method, un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in warm water containing boric acid, uniaxial stretching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above dye or in a latex fixed treatment bath, and the PVA-based polymer film after absorption It may be used to uniaxially stretch in air, or uniaxially stretch by other methods. Although the extending | stretch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is not specifically limited, When extending | stretching (wet extending | stretching) a PVA system polymer film in hot water, Preferably it is 30-9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40-70 degreeC, More preferably, it is The temperature of 45-65 degreeC is employ | adopted and when dry-heat-stretching, the temperature of 50-180 degreeC is employ | adopted preferably.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extend | stretch as much as possible before the film is cut | disconn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from the draw ratio of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when the uniaxial stretching is carried out in multiple stages, total sum ratio).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above,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 times or more, It is further more preferable that it is 5.5 times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draw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film is not broken, but is preferably 8.0 times or less in order to perform uniform drawing.

연신 후의 필름 (편광 필름) 의 두께는, 5 ∼ 35 ㎛, 특히 20 ∼ 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film (polarizing film) after extending | stretching is 5-35 micrometer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30 micrometers especially.

편광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1 축 연신된 필름에 대한 염료의 흡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고정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고정 처리는, 붕산 및/또는 붕소 화합물을 첨가한 처리욕 중에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 때, 필요에 따라 처리욕 중에 요오드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In manufacture of a polarizing film, in order to strengthen adsorption | suction of the dye with respect to the uniaxially stretched film, in many cases, a fixed process is performed. As a fixing treatment, a method of immersing a film in a treatment bath to which boric acid and / or a boron compound is added is generally widely used. At that time, if necessary, an iodine compound may be added to the treatment bath.

1 축 연신 처리, 또는 1 축 연신 처리와 고정 처리를 실시한 필름을 이어서 건조 처리 (열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 (열처리) 의 온도는 30 ∼ 150 ℃, 특히 50 ∼ 14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처리 (열처리) 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기 쉬워지고, 한편, 지나치게 높으면 염료의 분해 등에 따른 편광 성능의 저하가 잘 발생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subjected to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or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and the fixing treatment is subsequently subjected to a drying treatment (heat treatment).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treatment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30 to 150 ° C, particularly preferably 50 to 140 ° C. If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treatment (heat treatment) is too low,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tends to be lowered, while if too high, a decrease in polarization performance due to decomposition of the dye is likely to occur.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 필름의 양면 또는 편면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호막을 첩합시켜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그 경우의 보호막으로는, 3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CAB)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 보호막을 첩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는, PVA 계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PVA 계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rotective film which is optically transparent and has mechanical strength is bonded together on both surfaces or single side |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as mentioned above, and it can be set as a polarizing plate. As a protective film in that case, a cellulose triacetate (TAC) film, an acetic acid butyric acid cellulose (CAB) film, an acrylic film, a polyester film, etc. are used. As the adhesive for bonding the protective film, a PVA adhesive, a urethane adhesive, or the like is generally used, and among them, a PVA adhesive is preferably used.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판은, 아크릴계 등의 점착제를 피복한 후, 유리 기판에 첩합시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을 유리 기판에 첩합시킬 때에, 위상차 필름, 시야각 향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을 동시에 첩합시켜도 된다.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fter being coated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ch as acrylic or the like and then adhered to a glass substrate. When bonding a polarizing plate to a glass substrate, you may bond together a retardation film, a viewing angle improvement film, a brightness improving film, etc. simultaneously.

실시예Example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t all by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 PVA 막 또는 PVA 필름의 휘발 분율 (수분율), PVA 필름의 각 물성, 및 편광 필름의 광학 성능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membrane-forming stock solution, the volatile fraction (water content) of the PVA film or PVA film,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VA film, and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1)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1) Volatilization fraction of film production stock:

상기한 방법에 따라, 상기 식 [iii] 에 의해 구하였다.According to the method mentioned above, it calculated | required by the said Formula [iii].

(2) PVA 막 또는 PVA 필름의 휘발 분율 (수분율):(2) Volatilization fraction (water content) of PVA film or PVA film:

상기한 방법에 따라, 상기 식 [iv] 에 의해 구하였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it calculated | required by said Formula [iv].

또한, PVA 막 또는 PVA 필름의 휘발 분율 (수분율) 의 측정은, 건조 롤로부터 꺼낸 PVA 막 또는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중앙부로부터 채취한 샘플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volatile fraction (water content) of a PVA film or PVA film was performed using the sample extract | collected from the width direction (TD) center part of the PVA film or PVA film taken out from the drying roll.

(3) PVA 필름의 Δn(MD)Ave(3) Δn (MD) Ave of PVA film: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Δn(MD)Ave 를 「《1》Δn(MD)Ave 의 측정법」의 항목에 있어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구하고, 이것을 PVA 필름의 Δn(MD)Ave 로 하였다.(DELTA) n (MD) Ave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a PVA film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in the item of "Measurement method of << 1 >> (DELTA) n (MD) Ave ", and this is the (DELTA) n (MD) of PVA film. Ave was set.

(4) PVA 필름의 Δn(TD)Ave(4) Δn (TD) Ave of PVA film: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Δn(TD)Ave 를 「《2》Δn(TD)Ave 의 측정법」의 항목에 있어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구하고, 이것을 PVA 필름의 Δn(TD)Ave 로 하였다.Δn (TD) Ave in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a PVA film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in the item of "Measurement method of << 2 >> (DELTA) n (TD) Ave ", and this is Δn (TD) of PVA film. Ave was set.

(5) PVA 필름의 질량 팽윤도:(5) Mass swelling degree of PVA film:

PVA 필름을 1.5 g 이 되도록 커트하고, 30 ℃ 의 증류수 1000 g 중에 30 분간 침지하고, 30 분간 침지 후에 PVA 필름을 꺼내, 여과지로 표면의 물을 빨아 들인 후, 그 질량 (We) 을 측정하였다. 계속해서 그 PVA 필름을 105 ℃ 의 건조기로 16 시간 건조시킨 후, 그 질량 (Wf) 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질량 We 및 Wf 로부터, 이하의 식 [v] 에 의해, PVA 필름의 질량 팽윤도를 구하였다.The PVA film was cut to 1.5 g, immersed in 1000 g of 30 ° C. distilled water for 30 minutes, and after immersion for 30 minutes, the PVA film was taken out and the surface water was soaked with filter paper, and the mass (W e ) was measured. . Then, after drying the PVA film for 16 hours with the 105 degreeC dryer, the mass ( Wf ) was measured. Obtained by the mass W e and W from f, the following expression [v], the degree of swelling was determined by mass of the PVA film.

질량 팽윤도 (%) = (We/Wf)×100 [v]Mass Swelling (%) = (W e / W f ) × 100 [v]

(6) PVA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6) Limit draw ratio of PVA film: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연신 전의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로부터 길이 방향 (MD) × 폭 방향 (TD) = 10 ㎝ × 5 ㎝ 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당해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연신 부분의 사이즈가 길이 방향 (MD) × 폭 방향 (TD) = 5 ㎝ × 5 ㎝ 가 되도록 연신 지그에 고정시키고, 30 ℃ 의 수중에 38 초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12 ㎝/분의 연신 속도로 원래의 길이의 2.2 배로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1 단째 연신) 한 후, 요오드를 0.03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30 ℃ 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90 초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12 ㎝/분의 연신 속도로 원래의 길이의 3.3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2 단째 연신) 하고, 이어서 붕산을 3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30 ℃ 의 붕산/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약 20 초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12 ㎝/분의 연신 속도로 원래의 길이의 3.6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3 단째 연신) 하고, 계속해서 붕산을 4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약 5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약 60 ℃ 의 붕산/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침지하면서 12 ㎝/분의 연신 속도로 시험편이 파단될 때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하고, 시험편이 파단되었을 때의 연신 배율 (원래의 길이에 대한 파단시의 길이의 비) 을 판독하였다.From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PVA film before extending | stretching obtained by the following example or the comparative example, the test piece of longitudinal direction (MD) x width direction (TD) = 10 cm x 5 cm is extract | collecte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test piece Both ends of the fixed portion were fixed to the stretching jig such that the size of the stretched portion becam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 width direction (TD) = 5 cm × 5 cm, and was immersed in 30 ° C. water for 38 seconds for 12 cm / min. After uniaxial stretching (first stag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t 2.2 times the original length at the stretching rate, iodine / iodization at a temperature of 30 ° C. containing 0.03 mass% of iodine and 3 mass% of potassium iodide While immersing in aqueous potassium solution for 90 seconds, uniaxially stretching (second stag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o 3.3 times the original length at a stretching rate of 12 cm / min, and then adding 3% by mass of boric acid and potassium iodide To contain at a concentration of 3% by mass While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 potassium iodide at a temperature of 30 ° C. for about 20 seconds, uniaxial stretching (third stag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s continued to 3.6 times the original length at a stretching speed of 12 cm / min, and then Longitudinal direction (MD) until the test piece broke at a drawing speed of 12 cm / min while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 potassium iodide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containing 4% by mass of boric acid and about 5% by mass of potassium iodide. The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and the draw ratio (ratio of the length at the break to the original length) when the test piece was broken was read.

동일한 PVA 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연신 시험을 5 회 실시하고, 그 평균값을 취하여 PVA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 (배) 로 하였다.About the same PVA film, said extending | stretching test was performed 5 times,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nd it was set as the limit draw ratio (times) of a PVA film.

(7) 편광 필름의 광학 성능:(7) Optical performance of polarizing film:

(i) 투과율:(i) transmittance: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편광 필름의 배향 방향으로 평행하게 1.5 ㎝×1.5 ㎝ 의 정방형의 샘플을 2 장 채취하고, 각각에 대해 히타치 제작소 제조의 분광 광도계 V-7100 (적분구 부속) 을 이용하고, JIS Z 8722 (물체색의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C 광원, 2 도 시야의 가시광 영역의 시감도 보정을 실시하고, 1 장의 편광 필름 샘플에 대하여, 연신축 방향에 대해 45 도 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 도 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값 (Y1) 을 구하였다.From the central part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e following example or the comparative example, two square samples of 1.5 cm x 1.5 cm were taken in parallel in the orientation direction of a polarizing film, and about each, the spectrophotometer by Hitachi Ltd. In accordance with JIS Z 8722 (Measurement Method of Object Color) using V-7100 (integrated sphere included), the visibility of the C light source and the visible light region in the 2-degree field of view was corrected, and the polarized film samples of one sheet were opene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when tilted at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tretch direction and the light transmittance when tilted at −45 degrees were measured, and their average value (Y 1 ) was obtained.

다른 한 장의 편광 필름 샘플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45 도 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 도 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값 (Y2) 을 구하였다.For the other one sheet of the polarizing film sample, by measur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the case in the same manner as the light transmittance of Fig 45 when tilted and inclined -45 degrees, it was determined their mean value (Y 2).

상기에서 구한 Y1 과 Y2 를 평균하여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 로 하였다.By averaging the Y 1 and Y 2 obtained in the above it was set to th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ing film (Y) (%).

(ii) 편광도:(ii) Polarization degree:

상기 (i) 에서 채취한 2 장의 편광 필름 샘플을, 그 배향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중첩시킨 경우의 광의 투과율 (Y), 및 배향 방향이 직교하도록 중첩시킨 경우의 광의 투과율 (Y⊥) 을, 상기 투과율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하기 식 [vi] 로부터 편광도 (V) (%) 를 구하였다.The transmittance of light (Y⊥) in the case where the two pieces of the polarizing film samples taken from the (i), the alignment direction is parallel to it such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overlapped case that (Y ∥), and alignment directions are superposed so as to be orthogonal, It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easuring method of the said transmittance | permeability, and calculated polarization degree (V) (%) from following formula [vi].

편광도 (V) (%) ={(Y- Y⊥)/ (Y+ Y⊥) }1/2 × 100 [vi]Polarization degree (V) (%) = {(Y Y-) / (Y Y Y) ⊥ 1/2 × 100 [vi]

(iii) 투과율 44.25 % 에 있어서의 편광도:(iii) Polarization degree in 44.25% transmittance: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있어서, 2 단째 연신시에 있어서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대한 침지 시간을 변경하여 제조한 5 장의 편광 필름의 각각에 대해 상기한 방법으로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구하고,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마다, 투과율 (Y) 을 가로축, 편광도 (V) 를 세로축으로 하여 5 개의 점을 그래프에 플롯하여 근사 곡선을 구하고, 당해 근사 곡선으로부터, 투과율 (Y) 이 44.25 % 일 때의 편광도 (V) 의 값을 구하였다.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each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to each of the five polarizing films produced by changing the immersion time in the aqueous solution of iodide / potassium iodide at the time of the second stage stretching The transmittance (Y)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were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each Example or Comparative Example, five points were plotted on the graph with the transmissivity (Y) as the horizontal axis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as the vertical axis. The approximation curve was calculated | required and the value of the polarization degree (V) when 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is 44.25% was calculated | required from this approximation curve.

《실시예 1》&Quot; Example 1 &

(1) PVA 필름의 제조:(1) Production of PVA film:

(i)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 PVA (비누화도 99.9 몰%, 중합도 2400) 100 질량부, 글리세린 12 질량부,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0.1 질량부 및 물로 이루어지는 휘발 분율 66 질량% 의 막제조 원액을 T 다이로부터 제 1 건조 롤 (표면 온도 93 ℃, 주속 (S1) 16.7 m/분) 위에 막상으로 토출시키고, 제 1 건조 롤 상에서, 제 1 건조 롤 비접촉면의 전체에 90 ℃ 의 열풍을 5 m/초의 풍속으로 분사하면서 수분율 18 질량% 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이어서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하고, PVA 막의 임의의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과 이면이 각 건조 롤에 교대로 접촉하도록 제 2 건조 롤 이후의 건조를 롤 표면 온도 약 85 ℃ 에서 실시하고, 마지막에 표면 온도 108 ℃ 의 최종 건조 롤 (열처리 롤) 로 열처리를 실시한 후, 권취하여 PVA 필름 (두께 60 ㎛, 폭 3 m, 휘발 분율 3 질량%) 을 얻었다. 이 실시예 1 에서는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은 제 7 건조 롤이었다.(i) 100 mass parts of PVA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99.9 mol% of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degree of polymerization), 12 mass parts of glycerin, 0.1 mass part of ethanolamide laurate, and 66 mass% of volatile fractions consisting of water First drying roll from T-die (surface temperature 93 ° C, circumferential speed (S 1 ) 16.7 m / min), and dried on a first drying roll until the moisture content reaches 18% by mass while injecting hot air at 90 ° C. at a wind speed of 5 m / sec on the entire first dry roll non-contact surface, Subsequently, it peels from a 1st dry roll, and drying after a 2nd dry roll is performed at roll surface temperature of about 85 degreeC so that th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in arbitrary parts of a PVA film may alternately contact each dry roll, and finally the surface After heat-processing with the final drying roll (heat processing roll) of temperature 108 degreeC, it wound up and obtained the PVA film (60 micrometers in thickness, width 3m, volatile fraction 3 mass%). In this Example 1, the dry roll when the volatile fraction became 13 mass% was a 7th dry roll.

이 실시예 1 에서는, (α)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 (제 7 건조 롤) 의 주속 (ST) 의 비 (ST/S1) 를 1.000 으로 하고;(β)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 (제 7 건조 롤) 의 주속 (ST)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T) 를 0.974 로 하고;(γ)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제 2 건조 롤의 주속 (S2) 의 비 (S2/S1) 를 1.030 으로 하고;(δ)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 (제 7 건조 롤) 의 주속 (ST) 에 대한, 다음의 건조 롤 (제 8 건조 롤) 의 주속 (ST+1) 의 비 (ST/ST +1) 를 0.998 로 하고;(ε)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1) 를 0.975 로 하여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In this Example 1, (S) ratio (S T )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T of the drying roll (seventh dry roll) when the volatile fraction became 13 mas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T / S 1 ) is 1.000; (β)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L ) of the final drying roll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T ) of the drying roll (seventh dry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became 13% by mass. Let ratio (S L / S T ) be 0.974; (γ) Ratio (S 2 / S 1 ) of the peripheral speed S 2 of the second drying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is 1.030. and; (δ) peripheral speed (S T + 1) of the peripheral speed, and then drying rolls (eighth drying roll) for (S T) of the volatile drying roll (seventh drying roll) when the fraction is 13% by mass Let ratio (S T / S T +1 ) be 0.998; (ε) Ratio (S L / S 1 ) of the peripheral speed S L of the final drying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A PVA film was prepared at 0.975.

(ii) 상기 (i) 에서 얻어진 PVA 필름의 Δn(MD)Ave, Δn(TD)Ave, 질량 팽윤도 및 한계 연신 배율을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ii) As a result of having measured (DELTA) n (MD) Ave , (DELTA) n (TD) Ave , mass swelling degree, and limit draw ratio of the PVA film obtained by said (i)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it was as showing in following Table 1.

(2) 편광 필름의 제조:(2)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i) 상기 (1) 에서 얻어진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로부터 길이 방향 (MD) × 폭 방향 (TD) = 10 ㎝ × 5 ㎝ 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당해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연신 부분의 사이즈가 길이 방향 (MD)×폭 방향 (TD) = 5 ㎝ × 5 ㎝ 가 되도록 연신 지그에 고정시키고, 온도 30 ℃ 의 수중에 38 초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12 ㎝/분의 연신 속도로 원래의 길이의 2.2 배로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1 단째 연신) 한 후, 요오드를 0.03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30 ℃ 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60 초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12 ㎝/분의 연신 속도로 원래의 길이의 3.3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2 단째 연신) 하고, 이어서 붕산을 3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30 ℃ 의 붕산/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약 20 초간 침지하고 있는 동안에 12 ㎝/분의 연신 속도로 원래의 길이의 3.6 배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3 단째 연신) 하고, 계속해서 붕산을 4 질량% 및 요오드화칼륨을 약 5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온도 약 60 ℃ 의 붕산/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침지하면서 12 ㎝/분의 연신 속도로 상기에서 측정한 PVA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 직전의 연신 배율까지 길이 방향 (MD) 으로 1 축 연신 (4 단째 연신) 한 후, 요오드화칼륨을 3 질량% 의 농도로 함유하는 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10 초간 침지하여 요오드 이온 함침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60 ℃ 의 건조기로 4 분간 건조시켜, 편광 필름 (두께 약 21 ㎛) 을 제조하였다.(i) The test piece of longitudinal direction (MD) x width direction (TD) = 10 cm x 5 cm is extract | collected from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PVA film obtained by said (1), and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test piece 12 cm / min of extending | stretching while fixing to the extending | stretching jig so that the size of a extending | stretching part may be length direction (MD) x width direction (TD) = 5 cm x 5 cm, and immersing in water of temperature 30 degreeC for 38 second. After uniaxial stretching (first stag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t 2.2 times the original length at a speed, the iodine / potassium iodide at a temperature of 30 ° C. containing 0.03% by mass of iodine and 3% by mass of potassium iodide While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for 60 seconds, uniaxially stretching (second stag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o 3.3 times the original length at a stretching speed of 12 cm / min, and then adding 3% by mass of boric acid and potassium iodide Boric acid / urine with a temperature of 30 ° C containing at a concentration of mass% While immersing in aqueous potassium hydride solution for about 20 seconds, uniaxially stretching (third stag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o 3.6 times the original length at a stretching speed of 12 cm / min, and then adding 4% by mass of boric acid and Lengthwise to the draw ratio immediately before the limit draw ratio of the PVA film measured above at a draw rate of 12 cm / min while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 potassium iodide at a temperature of about 60 ° C. containing potassium iodide at a concentration of about 5% by mass. After uniaxial stretching (4th stage stretching) by (MD), it was immersed in the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odide at the density | concentration of 3 mass% for 10 second, and an iodide ion impregnation process was performed, It dried for minutes, and produced the polarizing film (thickness about 21 micrometers).

이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상기한 방법으로 구하여, 가로축을 투과율 (Y) 및 세로축을 편광도 (V) 로 하는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였다.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polarization degree (V)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is were calculated | requir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the point was plotted on the graph which makes transverse axis | shaft transmittance (Y) and vertical axis | shaft the polarization degree (V).

(ii) 상기 (i) 에 있어서, 2 단째 연신시의 온도 30 ℃ 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대한 침지 시간을 60 초간에서 75 초간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상기 (i)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각 연신 단계에서의 연신 속도는 모두 상기 (i) 과 동일한 12 ㎝/분], 편광 필름 (두께 약 21 ㎛) 을 제조하였다.(ii) In the above (i), the same operation as in (i) is carried out except that the immersion time in the iodine /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30 ° C at the time of the second stage stretching is changed from 60 seconds to 75 seconds. The stretching speed in the stretching step was 12 cm / min, which was the same as in the above (i)], and a polarizing film (thickness of about 21 μm) was produced.

이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상기한 방법으로 구하고, 상기 (i) 의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였다.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polarization degree (V)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is were calculated | required by said method, and the point was plotted on the graph of said (i).

(iii) 상기 (i) 에 있어서, 2 단째 연신시의 온도 30 ℃ 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대한 침지 시간을 60 초간에서 90 초간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상기 (i)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각 연신 단계에서의 연신 속도는 모두 상기 (i) 과 동일한 12 ㎝/분], 편광 필름 (두께 약 21 ㎛) 을 제조하였다.(iii) In the above (i), the same operation as in (i) is performed except that the immersion time in the iodine /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30 ° C at the time of the second stage stretching is changed from 60 seconds to 90 seconds. The stretching speed in the stretching step was 12 cm / min, which was the same as in the above (i)], and a polarizing film (thickness of about 21 μm) was produced.

이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상기한 방법으로 구하고, 상기 (i) 의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였다.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polarization degree (V)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is were calculated | required by said method, and the point was plotted on the graph of said (i).

(iv) 상기 (i) 에 있어서, 2 단째 연신시의 온도 30 ℃ 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대한 침지 시간을 60 초간에서 105 초간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상기 (i)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각 연신 단계에서의 연신 속도는 모두 상기 (i) 과 동일한 12 ㎝/분], 편광 필름 (두께 약 21 ㎛) 을 제조하였다.(iv) In the above (i), the same operation as in (i) is performed except that the immersion time in the iodine /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30 ° C at the time of the second stage stretching is changed from 60 seconds to 105 seconds. The stretching speed in the stretching step was 12 cm / min, which was the same as in the above (i)], and a polarizing film (thickness of about 21 μm) was produced.

이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상기한 방법으로 구하고, 상기 (i) 의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였다.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polarization degree (V)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is were calculated | required by said method, and the point was plotted on the graph of said (i).

(v) 상기 (i) 에 있어서, 2 단째 연신시의 온도 30 ℃ 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수용액 중에 대한 침지 시간을 60 초간에서 120 초간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상기 (i)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각 연신 단계에서의 연신 속도는 모두 상기 (i) 과 동일한 12 ㎝/분], 편광 필름 (두께 약 21 ㎛) 을 제조하였다.(v) In the above (i), the same operation as in (i) is performed except that the immersion time in the iodine /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of 30 ° C at the time of the second stage stretching is changed from 60 seconds to 120 seconds. The stretching speed in the stretching step was 12 cm / min, which was the same as in the above (i)], and a polarizing film (thickness of about 21 μm) was produced.

이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상기한 방법으로 구하고, 상기 (i) 의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였다.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polarization degree (V)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is were calculated | required by said method, and the point was plotted on the graph of said (i).

(vi) 상기 (i) ∼ (v) 에서 그래프에 플롯한 5 개의 점의 근사 곡선을 그래프 위에 그어, 당해 근사 곡선으로부터, 투과율 (Y) 이 44.25 % 일 때의 편광도 (V) 의 값을 구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9.98 이었다.(vi) An approximate curve of five points plotted on the graph in (i) to (v) is plotted on the graph, and from this approximation curve, the value of polarization degree (V) when transmittance (Y) is 44.25% is determined. As a result, it was 99.98 as shown in Table 1 below.

《실시예 2 ∼ 5》<< Examples 2-5 >>

(1) 실시예 1 에 있어서, PVA 필름을 제조할 때의 막제조 조건을, 하기의 표 1에 기재하도록 바꾸고, 실시예 1 의 (1) 과 동일하게 하여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단,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막제조 원액으로서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 PVA (비누화도 99.9 몰%, 중합도 2400) 100 질량부, 글리세린 12 질량부,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 0.1 질량부 및 물로 이루어지는 휘발 분율 73 질량% 의 막제조 원액을 사용하였다.(1) In Example 1, the film-form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VA film were changed so that it may be described in following Table 1, and PVA film was manufactured like Example 1 (1). However, in Example 2, 100 mass parts of PVA (saponification degree 99.9 mol%, polymerization degree 2400)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as a film-forming stock solution, 12 mass parts of glycerin, 0.1 mass part of diethanolamide laurate, and water A film production stock solution having a volatilization fraction of 73% by mass was used.

이에 의해 얻어진 각 PVA 필름의 Δn(MD)Ave, Δn(TD)Ave, 질량 팽윤도 및 한계 연신 배율을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As a result of having measured (DELTA) n (MD) Ave , (DELTA) n (TD) Ave , mass swelling degree, and limit draw ratio of each obtained PVA film by the said method, it was as showing in following Table 1.

(2) 상기 (1) 에서 얻어진 각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로부터 채취한 길이 방향 (MD) × 폭 방향 (TD) = 10 ㎝ × 5 ㎝ 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의 (2) 와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각 실시예마다 5 종류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고, 각각의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구하여, 가로축을 투과율 (Y) 및 세로축을 편광도 (V) 로 하는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고, 그래프에 플롯한 5 개의 점의 근사 곡선을 그래프 위에 그어, 당해 근사 곡선으로부터, 투과율 (Y) 이 44.25 % 일 때의 편광도 (V) 의 값을 구한 결과, 하기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2) Example 1 using the test pie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x width direction (TD) = 10 cm x 5 cm taken from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each PVA film obtained by said (1). The same operation as (2) was performed, five types of polarizing films were produced for each Example, 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of each polarizing film were calculated | required, and the horizontal axis | shaft was used as the transmittance | permeability (Y) and a vertical axis | shaft. Plot the point on a graph of the degree of polarization (V), and draw an approximation curve of five points plotted on the graph on the graph,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when the transmittance (Y) is 44.25% from the approximation curve. It was as having shown in following Table 1 when the value of was calculated | required.

《비교예 1 ∼ 5》`` Comparative Examples 1 to 5 ''

(1) 실시예 1 에 있어서, PVA 필름을 제조할 때의 막제조 조건을, 하기의 표 2 에 기재하도록 바꾸고, 실시예 1 의 (1) 과 동일하게 하여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1) In Example 1, the film-form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PVA film were changed so that it may be described in following Table 2, and it carried out similarly to (1) of Example 1, and manufactured the PVA film.

이에 의해 얻어진 각 PVA 필름의 Δn(MD)Ave, Δn(TD)Ave, 질량 팽윤도 및 한계 연신 배율을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DELTA) n (MD) Ave , (DELTA) n (TD) Ave , mass swelling degree, and limit draw ratio of each PVA film obtained by this were measur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and it was as showing in following Table 2.

(2) 상기 (1) 에서 얻어진 각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중앙부로부터 채취한 길이 방향 (MD) × 폭 방향 (TD) = 10 ㎝ × 5 ㎝ 의 시험편을 사용하여, 실시예 1 의 (2)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각 비교예마다 5 종류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고, 각각의 편광 필름의 투과율 (Y) 및 편광도 (V) 를 구하여, 가로축을 투과율 (Y) 및 세로축을 편광도 (V) 로 하는 그래프에 그 점을 플롯하고, 그래프에 플롯한 5 개의 점의 근사 곡선을 그래프 위에 그어, 당해 근사 곡선으로부터, 투과율 (Y) 이 44.25 % 일 때의 편광도 (V) 의 값을 구한 결과,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2) Example 1 using the test pie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x width direction (TD) = 10 cm x 5 cm taken from the center part of the width direction (TD) of each PVA film obtained by said (1). The same operation as (2) was performed, five types of polarizing films were produced for each comparative example, the transmittance (Y)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of each polarizing film were obtained, and the horizontal axis was used as the transmittance (Y) and the vertical axis. Plot the point on a graph of the degree of polarization (V), and draw an approximation curve of five points plotted on the graph on the graph,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when the transmittance (Y) is 44.25% from the approximation curve. It was as having shown in following Table 2 when the value of was calculated | required.

Figure 112013091779562-pct00001
Figure 112013091779562-pct00001

Figure 112013091779562-pct00002
Figure 112013091779562-pct00002

상기 표 1 및 표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5 의 PVA 필름은, Δn(MD)Ave [PVA 필름의 길이 방향 (M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및 Δn(TD)Ave [PVA 필름의 폭 방향 (TD) 의 복굴절률을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 이 식 (I) 및 (II) 를 만족하고 있는 것에 의해, 6.72 ∼ 6.94 라는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고, 게다가 실시예 1 ∼ 5 의 PVA 필름으로부터 얻어진 편광 필름은, 종래의 편광 필름과 동등 이상의 우수한 편광 성능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the said Table 1 and Table 2, the PVA films of Examples 1-5 are (DELTA) n (MD) Ave [the value which averaged the birefringenc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a PVA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a film], and (DELTA) n (TD) Av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PVA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The high limit draw ratio of 6.72 to 6.94 because the expressions (I) and (II) are satisfied. In addition,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from the PVA films of Examples 1-5 has the outstanding polarization performance equivalent to or more than the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그에 대하여, 비교예 1 ∼ 4 의 PVA 필름은 식 (I) 을 만족하고 있지 않고, 그리고 비교예 4 및 5 의 PVA 필름은 식 (II) 를 만족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시예 1 ∼ 5 의 PVA 필름에 비하여, 모두, 한계 연신 배율이 낮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VA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4 did not satisfy Formula (I), and the PVA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did not satisfy Formula (II), PVA of Examples 1-5. Compared with a film, the limit draw ratio is all low.

PVA 계 중합체 필름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통상, 연신시의 필름의 파단을 회피하기 위해서 한계 연신 배율보다 약간 낮은 연신 배율로 1 축 연신이 행해지지만, 실시예 1 ∼ 5 의 PVA 필름의 한계 연신 배율이 모두 6.72 이상으로 높은 것에 의해, 실시예 1 ∼ 5 의 PVA 필름은, 당해 실시예의 조건에서 편광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 6 배 이상의 높은 연신 배율로 1 축 연신을 실시할 수 있고, 6.5 배 이상의 높은 연신 배율로 1 축 연신을 실시해도 필름의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연신할 수 있다.When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with a PVA-type polymer film, although uniaxial stretching is normally performed by extending | stretching ratio slightly lower than a limit draw ratio in order to avoid the rupture of the film at the time of extending | stretching, the limit of the PVA film of Examples 1-5 When the draw ratios are all high at 6.72 or more, the PVA films of Examples 1 to 5 can uniaxially stretch at a draw ratio of 6 times or higher when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Examples, and 6.5. Even if it carries out uniaxial stretching at twice or more high draw ratio, it can extend | stretch smoothly, without breaking a film.

그에 대하여, 비교예 1 ∼ 5 의 PVA 필름 중, 비교예 4 의 PVA 필름은 한계 연신 배율이 6 보다 작기 때문에, 당해 비교예의 조건에서 편광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 6 배 이상의 연신 배율로 1 축 연신하지 못하고, 연신한 경우에는 필름이 잘 파단되게 되고, 또 비교예 1 ∼ 3 및 5 의 PVA 필름도 6 배 이상의 연신 배율로 1 축 연신하려면 필름의 파단 면에서 우려가 있다.In contrast, among the PVA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5, since the PVA film of Comparative Example 4 has a limit draw ratio of less than 6, when a polarizing film is produc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comparative example,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at a draw ratio of 6 times or more. If the film is not stretched, the film breaks well, and if the PVA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5 also uniaxially stretch at a draw ratio of 6 times or more, there is a concern in terms of breaking of the film.

또, 편광 필름용의 원반 필름에서는, 1 권의 길이가 1000 m 이상인 것도 있지만, 예를 들어, 전체 길이 1000 m 의 PVA 계 중합체 필름에서는, 그 한계 연신 배율이 0.1 포인트 (0.1 배) 상승한다는 것은, 1 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의 길이가 100 m (1000 m × 0.1 배 = 100 m) 늘어나게 되어, 동일한 길이의 원반 필름으로부터, 보다 많은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Moreover, in the raw film for polarizing films, although the length of one volume may be 1000 m or more, for example, in the PVA system polymer film of 1000 m in total length, the limit draw ratio raises by 0.1 point (0.1 times). The length of the stretched film obtained by uniaxial stretching increases 100 m (1000 m x 0.1 times = 100 m), and more polarizing films are obtained from the master film of the same length.

이 것을, 실시예 1 ∼ 5 에 대해 보면, 실시예 1 ∼ 5 의 PVA 필름은, 비교예 1 ∼ 5 의 PVA 필름에 비하여, 한계 연신 배율이 0.10 ∼ 0.98 포인트 (배) 나 높기 때문에, 예를 들어, PVA 필름의 길이가 1000 m 라고 하면, 그것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의 조건에서 편광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 편광 필름의 길이가, 비교예 1 ∼ 5 의 PVA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100 ∼ 980 m 나 길어지게 되어, 보다 많은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When looking at this about Examples 1-5, since the PVA film of Examples 1-5 is 0.10-0.98 points (times) higher than the PVA film of Comparative Examples 1-5,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a PVA film is 1000 m, when the polarizing film is manufactured on the conditions of the said Example using i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a polarizing film uses the PVA film of Comparative Examples 1-5, it is 100-. It becomes 980m long, and more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은, 필름의 두께가 30 ∼ 65 ㎛ 정도로 얇은 경우에도, 높은 한계 연신 배율을 가지고 있어, 편광 필름 등을 제조할 때에 고배율로 1 축 연신해도, 필름의 파단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편광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 등의 연신 필름을, 연신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높은 수율로, 게다가 종래보다 단축된 건조 시간으로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 필름 등의 연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원반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고,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당해 본 발명의 PVA 계 중합체 필름을 높은 생산성으로 원활하게 연속하여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용하다.The 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limit draw ratio even when the film thickness is as thin as about 30 to 65 µm, and even when uniaxially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when producing a polarizing film or the like, breakage of the film occurs well. Since it does not, the stretched film, such as a polarizing film which is excellent in optical performances, such as a polarizing performance, can be manufactured with high yield and favorable productivity with a shorter drying time than before, without interrupting an extending | stretching operation, and a polarizing film It is very useful as a raw film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s, etc.,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useful 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PVA-based polym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moothly and continuously with high productivity.

Claims (8)

하기 식 (I) 및 (II)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Δn(MD)Ave - 0.1×10-3 ≤ Δn(TD)Ave ≤ Δn(MD)Ave + 0.25 × 10-3 (I)
Δn(TD)Ave ≤ 2.5 × 10-3 (II)
[상기 식 중, Δn(MD)Ave 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기계 흐름 방향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내고, Δn(TD)Ave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폭 방향의 복굴절률을 당해 필름의 두께 방향으로 평균화한 값을 나타낸다]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hich satisfy | fills following formula (I) and (II).
Δn (MD) Ave -0.1 × 10 -3 ≤ Δn (TD) Ave ≤ Δn (MD) Ave + 0.25 × 10 -3 (I)
Δn (TD) Ave ≤ 2.5 × 10 -3 (II)
[Wherein, Δn (MD) Ave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mechanical flow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Δn (TD) Ave is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irefringe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III) 을 만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1.3 × 10-3 ≤ Δn(MD)Ave ≤ 2.0 × 10-3 (III)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hich satisfy | fills following formula (III).
1.3 × 10 -3 ≤ Δn (MD) Ave ≤ 2.0 × 10 -3 (III)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께가 30 ∼ 65 ㎛ 의 범위 내에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whose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30-65 micrometers.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a) 회전축이 서로 평행한 복수의 건조 롤을 구비하는 막제조 장치를 사용하고, 당해 막제조 장치의 제 1 건조 롤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을 막상으로 토출시켜 부분 건조시킨 후에 그것에 계속되는 건조 롤로 다시 건조시켜 막제조하고;그 때,
(b)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의 비 (ST/S1) 를 0.990 ∼ 1.050 으로 하고;
(c)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3 질량% 가 되었을 때의 건조 롤의 주속 (ST)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T) 를 0.960 ∼ 0.980 으로 하고;
(d)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에 대한 최종 건조 롤의 주속 (SL) 의 비 (SL/S1) 를 0.970 ∼ 1.010 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 필름의 제조 방법.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 Using a film pro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drying rolls in which the rotation ax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discharging the film production stock solution containing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onto the first dry roll of the film production apparatus in a film form. After drying, it is dried again with a drying roll followed by film production;
(b) The ratio (S T / S 1 ) of the circumferential speed S T of the dry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became 13 mas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was 0.990. To 1.050;
(c) The ratio (S L / S T ) of the peripheral speed (S L ) of the final drying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S T ) of the drying roll when the volatilization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s 13% by mass is 0.960 to 0.980;
(d) The ratio (S L / S 1 ) of the peripheral speed S L of the final drying roll to the peripheral speed S 1 of the first drying roll is 0.970 to 1.010,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Manufacturing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할 때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막의 휘발 분율이 17 ∼ 30 질량% 인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type polymer film at the time of peeling from a 1st dry roll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17-30 mass%.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각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가 65 ℃ 이상인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manufacturing method whose roll surface temperature of each dry roll is 65 degreeC or more.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막제조 원액의 휘발 분율이 60 ∼ 75 질량% 이고, 제 1 건조 롤의 롤 표면 온도가 80 ∼ 120 ℃ 이고, 제 1 건조 롤의 주속 (S1) 이 8 ∼ 25 m/분인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Poly is a 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the volatile fraction of 60% to 75% by weight of the prepared stock solution containing a first and a roll surface temperature of a drying roll 80 ~ 120 ℃, a peripheral speed (S 1) is 8 and the first drying roll 25 m / min.
삭제delete
KR1020137026816A 2011-03-29 2012-03-19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13805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1793 2011-03-29
JPJP-P-2011-071793 2011-03-29
PCT/JP2012/056976 WO2012132984A1 (en) 2011-03-29 2012-03-19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849A Division KR101784042B1 (en) 2011-03-29 2012-03-19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585A KR20130124585A (en) 2013-11-14
KR101380528B1 true KR101380528B1 (en) 2014-04-01

Family

ID=469307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849A KR101784042B1 (en) 2011-03-29 2012-03-19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20137026816A KR101380528B1 (en) 2011-03-29 2012-03-19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849A KR101784042B1 (en) 2011-03-29 2012-03-19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5117639B2 (en)
KR (2) KR101784042B1 (en)
CN (3) CN103897208A (en)
TW (2) TWI526292B (en)
WO (1) WO20121329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700B1 (en) * 2012-03-15 2014-02-05 株式会社クラレ Ethylene-modified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KR102163144B1 (en) * 2012-09-26 2020-10-08 주식회사 쿠라레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JP6163915B2 (en) * 2013-06-28 2017-07-19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KR101619036B1 (en) * 2013-06-28 2016-05-09 주식회사 쿠라레 Poly(vinyl alcohol)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06029755B (en) * 2014-02-27 2021-10-26 株式会社可乐丽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423946B1 (en) * 2014-11-26 2022-07-21 주식회사 쿠라레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387497B1 (en) * 2014-12-12 2022-04-15 주식회사 쿠라레 Polyvinyl alcohol film
JP6630677B2 (en) * 2014-12-12 2020-01-15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7614578A (en) * 2015-06-24 2018-01-19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The manufacture method and light polarizing film of polyvinyl alcohol film, polyvinyl alcohol film
TW201710331A (en) * 2015-07-07 2017-03-16 日本合成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Poly(vinyl alcohol)-based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CN105150510B (en) * 2015-07-08 2018-03-16 内蒙古农业大学 A kind of Wholly-degradable pla-pcl film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its purposes
WO2017029881A1 (en) * 2015-08-18 2017-02-2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and polarizing film in which same is used
WO2017104623A1 (en) * 2015-12-16 2017-06-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Display device having irregular shape
JP2017173793A (en) * 2016-03-22 2017-09-28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JP7335699B2 (en) * 2017-04-26 2023-08-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JP7335698B2 (en) * 2017-04-26 2023-08-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WO2018199141A1 (en) * 2017-04-26 2018-11-0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polyvinyl alcohol film production method
CN110431458B (en) * 2017-04-26 2021-09-14 三菱化学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KR102599701B1 (en) * 2017-09-15 2023-11-07 주식회사 쿠라레 Polyvinyl alcohol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21471A (en) * 2018-06-21 2021-02-26 주식회사 쿠라레 Polyvinyl alcohol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165740B2 (en) * 2018-09-07 2022-11-04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release film for molding artificial mar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JPWO2022004535A1 (en) * 2020-06-30 2022-01-06
WO2022004536A1 (en) * 2020-06-30 2022-01-06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in which same is used
CN116997451A (en) 2021-03-24 2023-11-03 三菱化学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same
WO2023074639A1 (en) * 2021-10-25 2023-05-04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WO2023127874A1 (en) * 2021-12-28 2023-07-06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505A (en) 2000-08-21 2002-02-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KR20060047832A (en) * 2004-05-12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37042A (en) 2004-12-28 2007-06-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olarizing film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705A (en) * 1984-01-30 1985-08-21 Sekisui Chem Co Ltd Polarizing plate
JP3476137B2 (en) * 2000-05-12 2003-12-10 株式会社クラレ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CN1212918C (en) * 2001-03-21 2005-08-03 富士胶片株式会社 Method for stretching polymer film, polarization diaphragm and method for making said polarization diaphragm, polarizer, double refraction diaphragm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RU2207603C2 (en) * 2001-06-04 2003-06-27 Хан Ир Гвон Optical device for production and/or transformation of polarized electromagnetic radiation and optical device in the form of liquid crystalline display
US7252733B2 (en) * 2004-05-04 2007-08-07 Eastman Kodak Company Polarizer guarded cover sheet with adhesion promoter
JP4664100B2 (en) * 2005-03-16 2011-04-06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US20070091229A1 (en) * 2005-06-09 2007-04-26 Jang Soo J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display
US7515231B2 (en) * 2005-09-30 2009-04-07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Low temperature nematic liquid crystal alignment material and LCD compensator incorporat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material
JP2008076915A (en) * 2006-09-25 2008-04-03 Fujifilm Corp Optical anisotropic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013368A (en) * 2007-07-09 2009-01-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use in optics, polarizing membrane, and polarizing plate
JP5179402B2 (en) * 2009-02-19 2013-04-10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for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JP5911219B2 (en) * 2010-08-27 2016-04-27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yvinyl alcohol film,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505A (en) 2000-08-21 2002-02-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the same
KR20060047832A (en) * 2004-05-12 2006-05-18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37042A (en) 2004-12-28 2007-06-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olarizing film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2984A1 (en) 2012-10-04
CN103442871B (en) 2015-10-21
CN103442871A (en) 2013-12-11
KR20130129473A (en) 2013-11-28
KR20130124585A (en) 2013-11-14
JP2012215908A (en) 2012-11-08
TW201244914A (en) 2012-11-16
JP5117639B2 (en) 2013-01-16
KR101784042B1 (en) 2017-10-10
JP5961475B2 (en) 2016-08-02
TW201446470A (en) 2014-12-16
CN104311853B (en) 2018-05-25
CN103897208A (en) 2014-07-02
CN104311853A (en) 2015-01-28
TWI526292B (en) 2016-03-21
JPWO2012132984A1 (en) 2014-07-28
TWI465331B (en) 201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528B1 (en)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2163144B1 (en)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JP6679496B2 (en)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11244B1 (en) A polyvinyl alcohol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84900B1 (en) Ethylene-modified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KR20100049604A (en)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00053523A (en) Polyvinyl alcohol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22138720A1 (en) Polyvinyl alcohol film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WO2022202861A1 (en) Polyvinyl-alcohol-bas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in which same is used
TWI772409B (en) Production method of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O2022145489A1 (en)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KR2022011393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yvinyl alcohol film for optic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