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354B1 -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354B1
KR101379354B1 KR1020130129231A KR20130129231A KR101379354B1 KR 101379354 B1 KR101379354 B1 KR 101379354B1 KR 1020130129231 A KR1020130129231 A KR 1020130129231A KR 20130129231 A KR20130129231 A KR 20130129231A KR 101379354 B1 KR101379354 B1 KR 101379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bile device
insert member
resin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하
Original Assignee
(주)엘스로드 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스로드 이노텍 filed Critical (주)엘스로드 이노텍
Priority to KR102013012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354B1/ko
Priority to PCT/KR2014/004981 priority patent/WO20150605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04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making articles by 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said parts being in said separate cavities during said joi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금형에 제 1 수지를 사출하여 제 1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인서트부재가 인서트된 제 2 금형에 상기 제 1 수지와 상이한 제 2 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상기 인서트부재가 접합된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및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케이스에 접합된 인서트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접촉하는 부분을 초음파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CASE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SE}
본 발명은 케이스(case)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작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커버하기 위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악 재생 및 동영상 시청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단자에는 휴대성 및 편의성 그리고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해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다. 휴대용 이어폰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휴대하는 경우, 이어폰 잭과 이어폰 스피커 사이에는 이어폰 라인이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오디오 출력 단자에서 나오는 출력을 이어폰 스피커로 전달한다.
그러나, 이어폰을 휴대하여 관리하는 경우, 이어폰 라인이 서로 꼬이거나 뒤엉키는 일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이어폰 라인을 모바일 디바이스와 별개로 관리하거나, 권취하여 보관하는 방법으로 이어폰 라인을 정리하여 왔다. 대한민국 특허 2011-0035322는 이어폰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롤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호하면서 케이스 내부에 이어폰 권취롤과 같은 컴포넌트들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케이스들은 적어도 2개의 케이스들의 결합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10-2013-0065967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제작시 내피와 외피의 재질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내피와 외피를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이 양호한 방식으로 내피와 외피를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보다 비용효율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들 간의 결합이 견고하고 결합부가 깔끔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효율성이 뛰어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금형에 제 1 수지(resin)를 사출하여 제 1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제 3 금형에 제 2 수지와 상이한 제 3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인서트부재를 성형하는 단계; 인서트부재(insert member)가 인서트된 제 2 금형에 상기 제 1 수지와 상이한 제 2 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상기 인서트부재가 접합된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 2 케이스 상에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실장하는 단계; 및 컴포넌트들을 커버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케이스에 접합된 인서트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접촉하는 부분을 초음파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내부 공간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케이스들 간의 결합이 견고하고 결합부가 깔끔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작업 효율성이 뛰어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결합되기전 개별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인서트부재가 결합된 제 2 케이스와 제 1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권취롤 부, 이어폰 수용부 및 인서트부재가 결합된 제 2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케이스는 그 내부의 컴포넌트들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케이스의 내부가 밀봉되는 경우 외력으로부터 내부 컴포넌트들을 보호하여 내부 컴포넌트들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성형재료를 가열용융시켜 특정한 금형에 사출충전한 후 고화 또는 경화시켜서 성형하는 사출성형기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케이스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커버하여 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결합되기전 개별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핸드폰, 셀룰러 폰, 셀룰러, 셀룰러 단말,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단말, 원격국, PDA,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셀룰러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국, 무선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프로세싱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모뎀, 유사한 매커니즘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는 제 1 케이스(외피)(101), 제 2 케이스(내피)(103) 및 인서트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제 1 케이스(101)는 제 2 케이스(103)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101)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케이스(101)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 1 케이스 제작용 금형에 사출하여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제 1 케이스(101)는 제 2 케이스(103)와 동일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제 2 케이스(103)와 상이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케이스(101)는 직접적인 외부 충격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제 1 케이스(101)는 이어폰 스피커 등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는 이어폰 개구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103)와의 결합을 통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모바일 디바이스용 이어폰의 라인을 권취할 수 있는 권취롤 부 및/또는 이어폰 수용부 등과 같은 내부 컴포넌트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이러한 내부 컴포넌트들이 설치 또는 배치될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케이스(101)의 배면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케이스(101)의 중앙부,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권취롤 부에 권취된 이어폰의 라인과 연결된 이어폰 스피커는 제 1 케이스(101)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어폰의 라인은 제 1 케이스(101)의 개구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제 1 케이스(외피)(101)는 제 2 케이스(내피)(103)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케이스(101)의 내면의 단부가 제 2 케이스(103)의 배면의 단부와 맞닿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케이스(101)는 제 2 케이스(103)와 동일한 둘레를 가질 수 있어서 제 2 케이스(103)의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케이스(101)는 제 2 케이스(10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이어폰 스피커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제 1 케이스(101)의 이어폰 개구부(107)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라 함은, 제 1 케이스(101)의 중심부분보다 윗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부는 제 1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으로 1/2이 되는 지점의 윗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상부는 제 1 케이스(101)의 배면부에 형성된 볼록한 형상을 기준으로 그 윗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휴대용 단말기의 뒷면의 상부보다는 하부를 잡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상부에 이어폰이 노출될 수 있는 이어폰 개구부(107)가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이고 보다 편리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서, 이어폰 개구부(107)에 추가하여, 제 1 케이스(101)(또는 제 2 케이스(103))는 충전기 단자 및/또는 USB 단자 등과 같은 외부 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외부 단자용 개구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스피커, 터치펜 및/또는 플래쉬(flash) 또는 라이트와 같은 모듈들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단말기 모듈 개구부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계 사양에 맞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모듈들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있는 모듈들만이 적절하게 노출되며 나머지 바디부분은 케이스에 의해 외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 2 케이스(103)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103)에 형성된 하우징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2 케이스(103)에 의해 둘러싸여 외력으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제 2 케이스(103)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보호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 2 케이스(103)의 하우징에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케이스(103)를 구성하는 탄성부재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케이스(103)는 제 2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일례로 탄성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 케이스(103)는 제 1 케이스(101)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제 2 케이스(103)는 제 1 케이스(101)와 결합될 수 있는 인서트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103)의 둘레부 또는 제 2 케이스의 배면부는 제 1 케이스(101)와 결합가능한 재질의 인서트부재(105)를 인서트사출성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케이스(103)는 인서트부재(105)에 의해 제 2 케이스(103)와 상이한 예컨대 플라스틱 제질의 제 1 케이스(101)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부재(105)와 제 1 케이스(101)간의 결합은 초음파 융착 기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 1 케이스(101) 및/또는 인서트부재(105)는 이들이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돌기가 융착되도록 돌기에 초음파를 전달함으로써 제 1 케이스(101)와 인서트부재(105)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결합에 사용되는 초음파 융착이란 예컨대 60Hz의 전기적 에너지를 진동자를 통해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된 후 혼을 통해 가공물에 가압하면 접합면에 순간적으로 강력한 마찰열을 발생시켜 접합면이 용해 접착되는 강한 분자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통해, 강력한 분자 결합을 통해 융착 상태가 견고해지며, 순간적으로 융착되기 때문에 다량 생산이 가능하며, 그리고 제품 표면의 변형 및 변질이 없는 깔끔하고 깨끗한 제품이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융착 기법은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으며 반도체를 사용하여 반영구적이며 전력소모가 적다. 또한, 다른 기법들에 비해 초음파 융착 기법은 금형제작상 어려운 점을 해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서트부재(105)는 인서트부재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제 2 케이스(103)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지와는 상이한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성형된 인서트부재(105)는 제 2 케이스(103)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 인서트되며 상기 금형에 제 2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수지(예컨대, 탄성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제 2 케이스(103)에 일체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부재(105)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는 제 1 케이스(101)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수지일 수도 있다. 인서트부재(105)가 제 1 케이스(101)를 성형하는 수지와 상이한 수지일 경우, 상기 인서트부재(105)는 제 1 케이스(101)와 결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인서트부재(105)는 제 2 케이스(103)의 둘레부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거나 또는 제 2 케이스(103)의 하우징 반대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 제 2 케이스(103)는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충격을 완화 또는 완충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제 1 케이스(101)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증대시키고 외부 습기 등에 대한 강한 내구성을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이한 재질의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 인서트부재(105)가 활용될 수 있다. 인서트부재(10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사출 방식에 의해 제 2 케이스(103)를 제작할 때 인서트되어 제 2 케이스(103)에 일체화되어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인서트부재(105)는 제 1 케이스(101)와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내부 컴포넌트들이 설치될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인서트부재(105)의 일 면에는 내부 컴포넌트들이 설치될 수 있는 수용부 등이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인서트부재(105)는 제 1 케이스(101) 또는 제 2 케이스(10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103)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부 구조에 따라 맞춤형으로 생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형은 제조사, 모델, 모델의 연식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되어 생산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는 특정한 디바이스 전용 케이스로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케이스(103)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형에 따라 제 2 케이스(103)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2 케이스(103)에는 이어폰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계 사양에 따른 이어폰 단자의 위치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제 2 케이스(103)의 특정 위치에 이어폰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 2 케이스(103) 내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잭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인서트부재(105)가 부착된 제 2 케이스(103)와 제 1 케이스(101)의 결합에 의해 특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의 특정 부분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이어폰의 이어폰 라인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즉, 권취롤 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특정한 일 부분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례로, 상기 특정한 일 부분은 하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의 일 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들의 위치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설계 사양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제 2 케이스의 하우징(즉, 내면)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다. 이렇게 수용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우징 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내부에서 이어폰의 라인이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권취된 이어폰 라인과 연결된 이어폰 스피커는 이어폰 개구부을 통해 외부로 꺼내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이어폰 등과 같은 컴포넌트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케이스(100)는 이어폰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이어폰 개구부(107), 충전기 단자 및/또는 USB 단자 등과 같은 외부 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외부 단자용 개구부(303),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 스피커, 안테나, 터치펜 및/또는 플래쉬 또는 라이트 등과 같은 모듈들을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단말기 모듈 개구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케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 1 케이스(101), 제 2 케이스(103) 및 인서트부재(105)는 각각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각각 성형될 수 있다. 성형된 제 2 케이스(103)와 인서트부재(105)는 인서트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인서트부재(105)가 결합된 제 2 케이스(103)는 초음파 융착 방식에 의해 제 1 케이스(101)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서트부재(105) 및/또는 제 1 케이스(101)에 형성된 돌기에 혼을 통해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여 돌기를 융착시킴으로써 제 2 케이스(103)에 결합된 인서트부재(105)는 제 1 케이스(10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인서트부재가 결합된 제 2 케이스와 제 1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인서트부재(105)와 제 2 케이스(103)가 인서트사출된 후에, 인서트부재(105) 또는 제 2 케이스(103)의 일부분에는 이어폰의 잭(403)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사출성형 과정에서, 이어폰의 잭(403)을 수용할 수 있는 이어폰 잭 수용부(401)가 제 2 케이스(103) 또는 인서트부재(1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103)를 결합시키기 전에, 제 2 케이스(103) 또는 인서트부재(105) 상에 형성된 이어폰 잭 수용부(401)에 이어폰 잭(403)이 삽입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잭(403)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케이스에 끼워질 때,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어폰 잭 단자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제 2 케이스(103) 또는 인서트부재(105)는 이어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장착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용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어폰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즉, 이어폰의 잭을 뽑지 않고서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의 이어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지 아니면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스위치 수용부(405)내에 설치된 스위치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상기 스위치는 하드웨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스위치는 이어폰 잭과 이어폰 라인의 전기적 연결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드웨어 스위치는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는 스위치 수용부(405)를 통해 제 2 케이스(103)의 내면 방향(즉, 하우징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스위칭 동작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제어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한 프로그램(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 신호가 이어폰의 이어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지 아니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어폰 잭의 출력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이어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상에서의 명령 또는 코드 등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이어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스위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측면의 일 위치에 형성된 음량 조절 버튼들(-버튼 및 +버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음량 조절 버튼들 중 -버튼 또는 +버튼을 눌러 음량이 특정 값이 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스피커 모드 또는 이어폰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는, 음량이 특정 임계값이 되는 경우 유휴 모드가 되어 스피커 또는 이어폰 둘 중 어떠한 매체로부터도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량이 특정 임계점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경우에 유휴 모드에서 스피커 모드 또는 이어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음량 임계값이 5인 경우, 음량이 4에서 5로 변화되는 경우 이어폰 모드에서 유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이 눌려진다면 음량이 5에서 6이 되면서 유휴 모드에서 스피커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즉, 음량이 6인 상황에서), 스피커 모드의 자체 음량은 1로 시작될 수 있으며, +버튼이 입력될수록 스피커 모드의 자체 음량은 더 커지게 된단. 반대로, 음량이 6에서 5가 되는 경우, 스피커 모드에서 유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나아가, -버튼이 눌러진다면, 음량이 5에서 4가 되면서 유휴 모드에서 이어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즉, 음량이 4인 상황에서), 이어폰 모드의 자체 음량은 1로 시작될 수 있으며, -버튼이 입력될 수록 이어폰 모드의 자체 음량은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기술적 특징을 통해, 사용자는 이어폰의 잭이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된 상황이라도 자신의 선택에 따라 알람, 전화 및 문자 메시지 등과 같은 스피커 출력이 필요로되는 특정한 기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제 1 케이스(101)는 내부 공간에 실장된 특정 컴포넌트들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부(40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07)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가 결합된 경우 내부에 설치된 컴포넌트들이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즉, 고정되도록)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07)는 제 1 케이스(101)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권취롤 부, 이어폰 수용부 및 인서트부재가 결합된 제 2 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재(105)가 결합된 제 2 케이스(10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개구들(301 및 3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들(301 및 303)의 위치는 제 1 케이스(101)의 개구부들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인서트부재(105)가 결합된 제 2 케이스(103)는 이어폰 잭 수용부(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어폰 잭 수용부(401)에 이어폰 잭이 삽입될 수 있다. 이어폰의 라인(507)은 홈으로 형성된 이어폰 라인 통로부(505)를 통해 이어폰 라인이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는 권취롤 부(501)로 이어질 수 있다. 권취롤 부(501)에서 인입된 이어폰(즉, 이어폰 스피커)은 이어폰 수용부(503)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 2 케이스(103)의 컴포넌트들(301, 303, 401, 503 및 505)은 제 2 케이스(103)가 인서트사출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03)가 성형된 이후에, 독립적으로 제작된 권취롤 부(501)가 제 2 케이스(103)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권취롤 부(501)는 제 2 케이스(103)의 인서트부재(105)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 케이스(103)가 성형된 이후에, 이어폰의 잭이 이어폰 잭 수용부(401)에 수용되고, 이어폰의 라인이 이어폰 라인 통로부(505)에 고정되어 권취롤 부(501)에 인입되고 그리고 이어폰 수용부(503)에 의해 이어폰의 스피커가 수납될 수 있다.
내부 컴포넌트들의 실장 또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제 1 케이스(101)와 제 2 케이스(103)는 초음파 융착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상기 결합은 볼트 조립 방식, 본딩 방식 및/또는 후크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외피 케이스(즉, 제 1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예컨대 열 가소성 수지와 같은 제 1 수지를 사출하여 외피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601). 상기 제 1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은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들을 제작하기 위한 프레임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은, 인서트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예컨대 탄성 수지와는 상이한 제 3 수지를 사출하여 인서트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603). 성형된 인서트부재는 제 1 케이스와 결합가능한 재질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성형된 인서트부재는 제 1 케이스와 동일한 재질일 수도 있다.
그리고나서, 상기 방법은 단계 605로 진행하며, 인서트부재가 인서트된 금형에 예컨대 탄성 수지와 같은 제 2 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인서트부재가 결합되어있는 내피 케이스(즉,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6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피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내피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완충기능을 할 수 있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하지만, 제 1 케이스와 같은 외피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직접적으로 보호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에게 보다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하고 그리고 외부 습기 등에 대한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외피 케이스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열가소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피 케이스와 내피 케이스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이한 재질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이한 재질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내피 케이스에 외피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는 재질의 부재를 인서트부재로 사용하여 내피 케이스를 인서트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면, 상기 방법은, 내피 케이스 상에(또는 내피 케이스의 인서트부재 상에) 컴포넌트들을 실장하는 단계(6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롤 부, 스위치, 및 이어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컴포넌트들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내피 케이스 (또는 내피 케이스의 인서트부재)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서, 상기 내부 컴포넌트들은 내피 케이스와 동시에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컴포넌트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성형된 내피 케이스에 결합된 인서트부재와 상기 성형된 외피 케이스의 접촉부들을 서로 융착시키는 단계(6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융착 기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 케이스 또는 내피 케이스의 인서트부재에 형성된 돌기를 융착물로서 사용하여, 혼을 통해 초음파 진동에너지를 용착물에 전달함으로써 순간적인 마찰열을 발생시켜 융착물이 융해 접착되어 강력한 분자 결합을 형성하는 접착기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초음파 융착 기법은, 본딩 기법과는 달리 접착제를 사용하지않아 융착부가 깔끔하게 형성되고 접착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초음파 융착 기법은, 볼팅 기법 및 후크 기법과도 달리, 나사 또는 특정한 체결부를 필요로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강력한 결합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 효과 또한 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내부에 이어폰 및/또는 권취롤 부와 같은 컴포넌트를 구비하기 위한 2개의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다른 기법들에 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제작된 케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이어폰을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어폰을 휴대하는데 있어서 발생되는 이어폰 꼬임 현상 등을 해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작된 케이스는, 이어폰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어폰의 출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력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금형에 제 1 수지(resin)를 사출하여 제 1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인서트부재(insert member)가 인서트된 제 2 금형에 상기 제 1 수지와 상이한 제 2 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상기 인서트부재가 접합된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및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케이스에 접합된 인서트부재와 상기 제 1 케이스가 접촉하는 부분을 초음파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2 케이스 상에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실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 이전에, 제 3 금형에 상기 제 2 수지와 상이한 제 3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인서트부재를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를 사출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 3 수지는 상기 제 1 케이스를 사출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제 1 수지와 동일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재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 2 수지는 탄성 수지로 이루어진,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인서트부재가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가 융착되도록 초음파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는, 전면 내부에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배면에 상기 인서트부재가 접합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 부분에는 이어폰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 2 케이스에 일 부분에는 이어폰의 출력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할 수 있는 스위치가 결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를 제작하는 방법.
  11. 삭제
KR1020130129231A 2013-10-22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37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31A KR101379354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PCT/KR2014/004981 WO2015060513A1 (ko) 2013-10-22 2014-06-05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31A KR101379354B1 (ko) 2013-10-29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871A Division KR101400848B1 (ko) 2014-02-19 2014-02-1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354B1 true KR101379354B1 (ko) 2014-03-31

Family

ID=5064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231A KR101379354B1 (ko) 2013-10-22 2013-10-29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5611A (zh) * 2019-02-20 2019-05-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水下航行器轻质高刚度型复合材料耐压壳体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738A (ja) 2004-05-31 2006-01-19 Takagi Seiko Corp 中空部にインサート部材を固定した樹脂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KR200435503Y1 (ko) 2006-09-30 2007-01-26 주식회사 참테크 휴대폰케이스용 인서트 부재 열 압입장치
KR20110009710U (ko) * 2011-09-01 2011-10-12 김용식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203773B1 (ko) 2012-08-20 2012-11-21 백용승 돌출부 또는 돌출부재가 구비되는 바형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5738A (ja) 2004-05-31 2006-01-19 Takagi Seiko Corp 中空部にインサート部材を固定した樹脂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KR200435503Y1 (ko) 2006-09-30 2007-01-26 주식회사 참테크 휴대폰케이스용 인서트 부재 열 압입장치
KR20110009710U (ko) * 2011-09-01 2011-10-12 김용식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1203773B1 (ko) 2012-08-20 2012-11-21 백용승 돌출부 또는 돌출부재가 구비되는 바형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95611A (zh) * 2019-02-20 2019-05-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水下航行器轻质高刚度型复合材料耐压壳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522B2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KR101084548B1 (ko)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TWI540907B (zh) Double headphone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04993760U (zh) 耳机
CN110517918B (zh) 电子设备
CN207782945U (zh) 摄像头的镜头组件和具有其的摄像头、电子设备
KR101379354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400848B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0471111Y1 (ko)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7512417B2 (en)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retractable earphones
CN208299971U (zh) 耳机头连接结构及耳机
CN106454600A (zh) 一种可自动充电的蓝牙耳机
KR101538796B1 (ko)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JP6974183B2 (ja) コンポーネントを収納したモバイルフォン用ケース
CN205584439U (zh) 一种距离感应耳机
KR20130098708A (ko) 외부출력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105261719B (zh) 背夹电池护套
CN208623873U (zh) 一种改进型颈戴式蓝牙运动耳机
JP2020512792A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WO2015060513A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0477292Y1 (ko)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5545772U (zh) 新型多功能头戴式无线耳机
JP3065818U (ja) 携帯電話・phs用送受話補助装置
CN207443080U (zh) 耳机
KR101911808B1 (ko) 내장형 신축성 이어폰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