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446B1 - 연장케이블 - Google Patents

연장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446B1
KR101378446B1 KR1020120155922A KR20120155922A KR101378446B1 KR 101378446 B1 KR101378446 B1 KR 101378446B1 KR 1020120155922 A KR1020120155922 A KR 1020120155922A KR 20120155922 A KR20120155922 A KR 20120155922A KR 101378446 B1 KR101378446 B1 KR 10137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pport
tube
extens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건
이재훈
주지현
Original Assignee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filed Critical 우진 일렉트로나이트(주)
Priority to KR102012015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6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et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턴디쉬의 용강 측온장치는, 턴디쉬 내에 저장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 상기 열전대가 내부에 삽입되는 내화재; 상기 열전대 및 상기 내화재를 파지하는 측온헤드; 상기 측온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측온헤드를 지지하는 지지암; 상기 턴디쉬의 일측에 기립설치되며, 상기 지지암이 연결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상기 지지암을 승강하는 승강구동유닛; 상기 지지로드의 하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베이스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측온헤드는, 상부가 개방되며, 측면의 상하방향을 따라 절개된 이동홈을 가지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되며, 상기 열전대가 삽입되는 상부관통홀 및 상기 내화재가 삽입되는 하부관통홀을 각각 가지는 상부지지판 및 하부지지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판은 상기 상부관통홀 및 상기 하부관통홀과 상기 이동홈을 각각 연통하여 상기 열전대의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상부이동슬롯 및 하부이동슬롯을 더 가진다.

Description

연장케이블{EXTENDED CABLE}
본 발명은 연장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으로 인한 연장소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의 연속주조공정시 턴디쉬는 연속주조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며, 용강이 턴디쉬의 내부에 채워진다. 용강은 생산하고자 하는 강의 종류에 따라 기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용강 측온장치는 용강의 온도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 작업자는 수작업을 통해 열전대를 턴디쉬 내로 장입하거나 취출하여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시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열전대의 장입시 특별한 고정구가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용강의 온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장시간 용강의 온도를 측정할 경우, 열전대에 연결된 연장케이블이 꼬이거나 충격을 받아 내부의 소선이 단락되는 일이 발생하였으며, 단자의 온도 편차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0843937호 2008. 6. 27.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시 회전으로 인한 연장소선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연장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장소선 및 연결단자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연장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장케이블은, 연장소선; 상기 연장소선을 감싸는 플렉시블 튜브;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커넥터;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타단에 고정되며, 커넥터관 및 상기 커넥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커넥터 절개부를 가지는 제2 연결커넥터; 상기 커넥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삽입링 및 상기 삽입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절개부에 삽입되며 삽입링 고정홀을 가지는 삽입링 플랜지; 그리고 상기 커넥터관이 삽입연결되며, 상기 커넥터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지지링 및 상기 지지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링 고정홀을 가지는 지지링 플랜지를 구비하는 메탈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링 플랜지 및 상기 지지링 플랜지는 상기 삽입링 고정홀 및 상기 지지링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구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커넥터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보조링 및 상기 보조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보조링 고정홀을 가지는 보조링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보조링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링 플랜지를 상기 삽입링 플랜지 및 상기 지지링 플랜지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연결커넥터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커넥터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연결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커넥터는 상기 연결관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지지홈 및 상기 제1 연결커넥터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 연결커넥터와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지지링 및 상기 연결관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고정구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 및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 연결커넥터 및 상기 연결관의 둘레를 따라 이격형성된 복수개일 수 있다.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연장소선을 각각 감싸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세라믹 절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소선 중 양극 연장소선을 감싸는 상기 세라믹 절연체는 적색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커넥터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시 연장케이블의 회전으로 인한 연장소선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소선 및 연결단자의 극성을 쉽게 식별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결커넥터와 메탈커넥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연결커넥터와 연결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연장케이블이 적용된 용강 측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측온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측온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상부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하부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고정블럭 및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한 회전판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기어와 고정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한 후방지지암을 승강하는 승강부재 및 승강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한 무선송신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장케이블(470)은 열전대헤드(421)를 통해 열전대(422)에 연결되며, 지지암(450,460)의 내부를 통해 무선송신기(320)에 연결된다. 연장케이블(470)은 열전대(422)를 통해 측정한 온도값을 무선송신기(320)에 전달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케이블(470)은 열전대헤드(421)에 연결되는 양극 단자(472)와 음극 단자(474)를 구비한다. 양 단자(472,474)는 연장소선(471,473)에 각각 연결되며, 백금 또는 니켈과 같은 전기전도도가 좋고 고온특성이 우수한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자의 온도에 따른 편차를 제거할 수 있다.
연장소선(471,473)은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고리를 형성한다. 연장소선(471,473)은 연결커넥터(480,490) 및 플렉시블튜브(479)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메탈커넥터(495)에 연결되며, 메탈커넥터(495)는 메탈소켓(494)을 통해 무선송신기(320)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소선(471,473)은 각각 세라믹 절연체(475,476)를 통해 피복되어 상호 합선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양극 단자(472)에 연결되는 세라믹 절연체(475)는 적색일 수 있으며, 작업자는 양극 단자(472)를 쉽게 식별하여 열전대헤드(421)에 연결할 수 있다. 세라믹 절연체(475,476)는 알루미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세라믹 절연체(475,476)는 금속성 플렉시블 튜브(479)를 통해 감싸지며, 금속성 플렉시블 튜브(479)를 통해 내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케이블(470)이 고온에 의해 열화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연결커넥터와 메탈커넥터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커넥터(490)는 전방에 위치하는 커넥터관(491)을 구비하며, 커넥터관(491)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커넥터 절개부(491a)를 가질 수 있다. 메탈커넥터(495)는 반원 형상의 지지링(146)과 지지링(146)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링 플랜지(148)를 가지며, 지지링 플랜지(148)는 지지링 고정홀(148a)을 가진다. 지지링(146)은 커넥터관(491)의 외경과 대체로 동일한 내경을 가진다.
커넥터관(491)은 지지링(146)의 내측에 삽입되며, 삽입링(142) 및 삽입링 플랜지(144)를 통해 메탈커넥터(495)에 연결된다. 삽입링(142)은 반원 형상이며, 삽입링 플랜지(144)는 삽입링(142)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삽입링 플랜지(144)는 삽입링 고정홀(144a)을 가진다. 삽입링(142)은 커넥터관(491)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커넥터관(491)의 내경과 대체로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삽입링(142)이 커넥터관(49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링 플랜지(144)는 커넥터 절개부(491a)를 통해 커넥터관(491)의 외부로 돌출되며, 삽입링 고정홀(144a)은 커넥터관(491)의 외부에 배치된다.
지지링(146)은 커넥터관(491)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지링 플랜지(148)는 삽입링 플랜지(144)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보조링(147)은 커넥터관(491)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조링 플랜지(149)는 삽입링 플랜지(144)의 상부에 설치된다. 지지링 고정홀(148a)과 보조링 고정홀(149a)은 삽입링 고정홀(144a)과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피팅나사(S)는 보조링 고정홀(149a)과 삽입링 고정홀(144a), 그리고 지지링 고정홀(148a)에 차례로 삽입되어 보조링 플랜지(149)와 삽입링 플랜지(144), 지지링 플랜지(148)를 체결한다. 커넥터관(491)의 하부는 삽입링(142)과 지지링(146)의 사이에 위치하며, 삽입링 플랜지(144)는 커넥터관(491)이 메탈 커넥터(495)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연결커넥터(490)를 메탈 커넥터(495)에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커넥터(490)가 메탈 커넥터(495)에 대해 회전하여 내부의 연장소선(471,473)이 꼬이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연결커넥터와 연결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관(482)은 금속성 플렉시블 튜브(479)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연결커넥터(480)의 내부에 삽입고정된다. 연결커넥터(480)는 연결관(482) 상에서 회전가능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은 회전을 통해 열전대 헤드(421)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장케이블(470)은 열전대 헤드(421)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관(482)은 지지링(482a)과 고정홈(482c)을 가지며, 지지링(482a)은 연결커넥터(480)와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고정홈(482c)은 연결커넥터(480)와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다. 또한, 연결커넥터(480)는 지지홈(480a)과 체결홀(480c)을 가지며, 지지홈(480a)은 연결관(482)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체결홀(480c)은 고정홈(482c)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연결커넥터(480)의 외주면을 관통한다. 연결관(482)은 지지링(482a)이 지지홈(480a)에 삽입되어 연결커넥터(480)에 체결되며, 연결커넥터(480)의 회전시 지지링(482a)은 지지홈(480a)을 따라 이동한다. 피팅나사(483)는 체결홀(480c)을 관통하여 고정홈(482c)에 체결되며, 피팅나사(483)의 체결시 연결커넥터(480)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커넥터(480)가 열전대헤드(42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연결커넥터(480)의 회전으로 인해 내부의 연장소선(475,476)이 꼬이거나 합선 또는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연장케이블이 적용된 용강 측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연장케이블이 용강 측온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장케이블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강 측온장치는 열전대(422) 및 내화재(430)를 파지하는 측온헤드를 구비하며, 측온헤드는 개방된 상부를 가지는 하우징(410,412)을 구비한다. 측온헤드는 전방지지암(450) 및 후방지지암(460)에 연결되며, 후방지지암(460)은 지지로드(310)를 따라 승강한다. 지지로드(310)는 회전판(210) 상에 기립설치되며, 지지로드(310)는 회전판(210)의 회전에 의해 전방지지암(450) 및 후방지지암(460)과 함께 회전한다. 무선송신기(320)는 열전대(422)를 통해 측정한 온도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계측기(10)는 무선송신기(3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측정한 온도값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측온헤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측온헤드의 단면도이다. 하우징은 전방하우징(412) 및 후방하우징(410)을 구비하며,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덮개(411)는 후방하우징(41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하우징(412)은 상부지지판(415) 및 하부지지판(416)을 구비하며, 상부지지판(415) 및 하부지지판(416)은 상하로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상부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하부지지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지지판(415)은 상부관통홀(423a)을 가지며, 하부지지판(416)은 하부관통홀(425a)을 가진다. 지지부재(427)는 실린더 형상이며, 상부지지판(415)의 상부에 설치된다. 열전대(422)는 지지부재(427)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부관통홀(423a) 및 하부관통홀(425a)을 관통하여 전방하우징(412)의 하부로 연장된다. 열전대(422)는 턴디쉬(도시안함)에 저장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한다. 열전대헤드(421)는 열전대(422)의 상단에 연결되며, 열전대헤드(421)는 지지부재(427)에 의해 지지된다. 후술하는 연장케이블(470)은 열전대헤드(421)를 통해 열전대(422)에 연결되며, 열전대(422)를 통해 측정된 온도는 연장케이블(470)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전방하우징(412)은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홈(412a)을 가지며, 이동홈(412a)은 상부이동슬롯(423b) 및 하부이동슬롯(425b)을 통해 상부관통홀(423a) 및 하부관통홀(425a)과 각각 연결된다. 상부관통홀(423a) 및 하부관통홀(425a)은 상부지지판(415) 및 하부지지판(416)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동홈(412a)과 상부이동슬롯(423b) 및 하부이동슬롯(425b)을 통해 열전대(422)를 전방하우징(412)의 내부로 인입할 수 있으며, 상부관통홀(423a) 및 하부관통홀(425a)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전방하우징(412)의 상부를 통해 열전대(422)를 장착해야 했으므로, 작업자의 과도한 동작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한 행동반경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으나, 이동홈(412a)과 상부이동슬롯(423b) 및 하부이동슬롯(425b)은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고정블럭 및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열전대(422)는 내화재(430)의 내부에 수용되며, 내화재(430)는 하부지지판(416)에 의해 지지된다. 내화재(430)는 상단이 확장된 형상이며, 고정블럭(440)을 통해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하우징(412)은 열전대헤드(421)의 전방에 형성된 가이드슬롯(414)과, 이동홈(412a)의 반대면에 형성된 삽입슬롯(414)을 가진다. 고정블럭(440)은 선단이 개방된 'U'자 형상이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슬롯(414)을 통해 삽입되어 내화재(430)를 고정지지한다. 내화재(430)가 전방하우징(412)의 하부를 통해 하부관통홀(425a)에 삽입된 후, 고정블럭(440)을 삽입슬롯(414)에 삽입하여 내화재(430)를 지지한다.
손잡이(443)는 고정블럭(440)의 후단에 연결되며, 작업자는 손잡이(443)를 이용하여 고정블럭(440)을 삽입슬롯(414)에 삽입하거나 삽입슬롯(414)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442)는 고정블럭(440)의 일측에 연결되며, 가이드슬롯(414) 상에 위치한다. 스토퍼(442)는 고정블럭(440)가 삽입슬롯(4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블럭(440)의 일측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442)는 고정블럭(440)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슬롯(414)의 끝단-삽입슬롯(414)의 반대쪽에 위치하는-에 위치한다. 고정블럭(440)을 삽입슬롯(414)으로부터 인출시, 스토퍼(442)는 가이드슬롯(414)의 반대쪽 끝단-삽입슬롯(414) 쪽에 위치하는-에 위치하며, 고정블럭(440)의 이동을 제한하여 전방하우징(412)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442)를 고정블럭(440)으로부터 분리한 경우, 고정블럭(440)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하우징(4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블럭(440)에 대해 부연설명하면, 종래에는 쐐기형(또는 분리형) 고정블럭을 통해 내화재를 지지하였으며, 착탈시 고정블럭을 들고 있거나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는 방식을 취했으며, 이로 인해 분실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반면, 위 고정블럭(440)은 내화재(430)를 제거할 경우, 고정블럭(440)을 삽입슬롯(414)으로부터 일부 인출한 상태에서 내화재(430)를 제거할 수 있으며, 스토퍼(442)를 통해 고정블럭(440)이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분실의 위험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블럭(440)을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거나 들고 있을 필요가 전혀 없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회전판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구동기어와 고정기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베이스(100)는 컨트롤박스(12)를 통해 지지되며,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기어(101)가 고정설치된다. 지지로드(310)는 회전판(210)의 상부에 기립설치되며, 고정기어(101)는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어 베이스(100)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다. 회전판(210)은 고정기어(101)와 함께 회전한다. 구동모터(220)는 컨트롤박스(12)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220)의 모터축은 베이스(100)를 관통한다. 구동기어(222)는 구동모터(220)의 모터축에 연결되며, 고정기어(101)와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모터(220)의 동작시, 구동기어(222)는 고정기어(101)에 맞물려 회전하며, 이로 인해 고정기어(101)가 회전하여 회전판(210)은 회전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후방지지암을 승강하는 승강부재 및 승강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지로드(310)는 회전판(210)의 상부에 기립설치되며, 승강모터(312)는 지지로드(310)의 일측에 설치된다. 구동축(320)은 승강모터(312)에 연결되어 승강모터(312)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종동축(330)은 지지로드(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스프로킷(321)과 종동스프로킷(331)은 구동축(320) 및 종동축(330)에 각각 설치되며, 체인(340)은 구동스프로킷(321)과 종동스프로킷(331)에 맞물려 구동스프로킷(32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한다. 승강부재(350)는 체인(340)에 연결되며, 체인(340)의 이동에 따라 승강한다. 안내휠(351)은 승강부재(350)의 양 측면에 설치되며, 브래킷(352)은 승강부재(350)와 후방지지암(460)을 연결한다.
승강모터(312)의 작동시, 승강모터(3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구동축(320)으로 전달되며, 구동스프로킷(321)의 회전에 의해 체인(340)은 이동하여 종동스프로킷(331)을 회전시킨다. 체인(340)이 이동함에 따라 승강부재(350) 및 후방지지암(460)은 지지로드(310)의 내부를 따라 승강하며, 승강부재(350)는 안내휠(351)의 안내를 통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측온헤드는 후방지지암(460) 및 전방지지암(450)과 함께 승강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승하강하여 내화물의 과소손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측온헤드는 승하강시 100mm를 단위로 승하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제어패널(10)의 승강버튼 또는 하강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한 단계씩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10)을 통한 입력값에 따라 시간당 위치변경을 명령하여 자동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시간 동안 현 위치를 유지한 후 300mm를 승강하도록 입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무선송신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송신기(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와 그리고 송신부(13)를 구비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열전대(422)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을 수신하며, 온도값을 수치화하여 송신부(13)에 전달한다. 송신부(13)는 무선통신을 통해 계측기(10)와 연결되며, 측정된 온도값을 계측기(1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계측기 12 : 컨트롤박스
14 : 지지바 210 : 회전판
221 : 모터박스 310 : 지지로드
312 : 구동로드 320 : 무선송신기
410 : 후방하우징 411 : 덮개
412 : 전방하우징 412a : 이동홈
413 : 삽입슬롯 421 : 헤드
430 : 내화재 450 : 전방지지암
460 : 후방지지암 470 : 연장케이블

Claims (6)

  1. 연장소선;
    상기 연장소선을 감싸는 플렉시블 튜브;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커넥터;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타단에 고정되며, 커넥터관 및 상기 커넥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커넥터 절개부를 가지는 제2 연결커넥터;
    상기 커넥터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삽입링 및 상기 삽입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절개부에 삽입되며 삽입링 고정홀을 가지는 삽입링 플랜지; 및
    상기 커넥터관이 삽입연결되며, 상기 커넥터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지지링 및 상기 지지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링 고정홀을 가지는 지지링 플랜지를 구비하는 메탈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링 플랜지 및 상기 지지링 플랜지는 상기 삽입링 고정홀 및 상기 지지링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구를 통해 체결되는, 연장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커넥터관의 외측에 설치되는 반원 형상의 보조링 및 상기 보조링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보조링 고정홀을 가지는 보조링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보조링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링 플랜지를 상기 삽입링 플랜지 및 상기 지지링 플랜지에 체결하는, 연장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연결커넥터의 내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커넥터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연결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커넥터는 상기 연결관과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는 지지홈 및 상기 제1 연결커넥터의 상기 일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가지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 연결커넥터와 대향되는 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는 지지링 및 상기 연결관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함몰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을 가지며,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고정구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연결커넥터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 및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 연결커넥터 및 상기 연결관의 둘레를 따라 이격형성된 복수개인, 연장케이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케이블은, 상기 연장소선을 각각 감싸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세라믹 절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소선 중 양극 연장소선을 감싸는 상기 세라믹 절연체는 적색인, 연장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커넥터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가지는, 연장케이블.
KR1020120155922A 2012-12-28 2012-12-28 연장케이블 KR10137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22A KR101378446B1 (ko) 2012-12-28 2012-12-28 연장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22A KR101378446B1 (ko) 2012-12-28 2012-12-28 연장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446B1 true KR101378446B1 (ko) 2014-03-26

Family

ID=5064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922A KR101378446B1 (ko) 2012-12-28 2012-12-28 연장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4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9970A (zh) * 2018-04-28 2018-08-14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稳定连接的电缆
CN117686120A (zh) * 2024-02-02 2024-03-12 赣州市金电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电力线缆过热的电流在线测量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127A (ja) 1999-09-02 2001-04-13 Litton Precision Products Internatl Inc 大電流用はめ込み型電力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1110514A (ja) 1999-09-08 2001-04-20 Amphenol Corp 電気コネクタ用の切離し防止装置
KR100458752B1 (ko) 2004-06-29 2004-12-03 박노영 방수용 딘 커넥터
KR101132375B1 (ko)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127A (ja) 1999-09-02 2001-04-13 Litton Precision Products Internatl Inc 大電流用はめ込み型電力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1110514A (ja) 1999-09-08 2001-04-20 Amphenol Corp 電気コネクタ用の切離し防止装置
KR100458752B1 (ko) 2004-06-29 2004-12-03 박노영 방수용 딘 커넥터
KR101132375B1 (ko) 2012-01-11 2012-04-03 배복만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9970A (zh) * 2018-04-28 2018-08-14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稳定连接的电缆
CN108399970B (zh) * 2018-04-28 2023-10-03 福建通宇电缆有限公司 一种稳定连接的电缆
CN117686120A (zh) * 2024-02-02 2024-03-12 赣州市金电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电力线缆过热的电流在线测量装置和方法
CN117686120B (zh) * 2024-02-02 2024-04-26 赣州市金电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电力线缆过热的电流在线测量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446B1 (ko) 연장케이블
JP2018522389A5 (ko)
WO2015156513A1 (ko) Cctv 카메라 유지보수용 오토리프트 장치
KR10207443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표시장치
KR101737375B1 (ko) 오토리프트 및 카메라 시스템
KR20130043545A (ko) 조작 장치 및 그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장치
US10486950B2 (en) Down stop indicator for vehicle lift
CN104930474B (zh) 一种灯具固定装置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CN112510579A (zh) 一种跨线放线装置
KR101497553B1 (ko) 턴디쉬의 용강 측온장치
CN103837802A (zh) 电缆绝缘检测装置
CN108150786A (zh) 一种环境监测仪器支架
CN104972630A (zh) 具备升降式信号灯的注射成形机
KR101697092B1 (ko) 서브랜스
CN116520097B (zh) 一种高空线缆故障检测设备
KR20170047667A (ko) 터미널 블록 온도 감지 장치
KR20190075735A (ko) 케이블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CN106025612A (zh) 万向防脱落接地线夹
CN216748033U (zh) 一种机电设备故障定位及报警保护装置
CN214669209U (zh) 一种单人线路检测设备
CN202021215U (zh) 一种具有断丝保护功能的锡合金拉丝机
JP2016057087A (ja) 電気試験装置及び電気試験方法
CN113884743B (zh) 一种架空高压电缆线路电流检测用电流检测钳
JPH0710479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