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977B1 -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977B1
KR101377977B1 KR1020130099484A KR20130099484A KR101377977B1 KR 101377977 B1 KR101377977 B1 KR 101377977B1 KR 1020130099484 A KR1020130099484 A KR 1020130099484A KR 20130099484 A KR20130099484 A KR 20130099484A KR 101377977 B1 KR101377977 B1 KR 10137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main body
conductive material
external ai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30099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1Prefiltering; Flow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의 일부를 필터링함과 아울러 수분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필터부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외부공기의 부유입자를 대전하는 대전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대전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대전된 상기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복수개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집진부 및 상기 대전부와, 상기 집진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판은 제1 도전재와, 상기 제1 도전재보다 도전률이 높은 제2 도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에 알루미늄보다 도전률이 높은 구리가 포함되도록 전극판을 제조함으로써 전극판의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Electrical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판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도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장치는 먼지나 세균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포함된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외부공기를 정화시킨 후 정화된 외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크게 필터를 사용하여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필터형 집진장치와, 고전압을 대전판에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으로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오염물질을 집진판에서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로 나뉠 수 있는데, 이 중 전기집진장치의 경우 필터형 집진장치에 비해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에 오염물질이 집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집진장치(100)는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중 비교적 큰 입자를 갖는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20)와,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고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발생부(미도시)와, 고전압발생부(미도시)의 (-)극에 연결되고 필터부(120)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 즉 오염물질을 (-)극으로 대전하는 대전부(130) 및 고전압발생부(미도시)의 (+)극에 연결되고 대전된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1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집진장치(100)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큰 입자가 필터부(120)에 1차 포집되고, 필터부(120)를 통과한 외부공기가 대전부(130)로 이동됨에 따라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가 대전부(130)에 의해 (-)극으로 대전되며, 대전된 부유입자는 집진부(140)를 통과하면서 같은 극인 전극판과는 척력이 발생하고, 다른 극인 전극판과는 인력이 발생하여 (+)극 전극판의 외표면에 부착되면서 집진됨으로써 외부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집진장치(100)는 다수의 집진판으로 구성되므로 제조단가를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질의 전극판을 제조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집진장치(100)는 전극판에서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경우 전극판 중 외부공기가 진입하는 방향, 즉 전극부의 선단부에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가 집중적으로 집진되는 바 전극판의 전체 표면적 대비 집진에 이용되는 표면적이 작아지면서 집진효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전극판의 세척 또는 교환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기집진장치(100)는 수분함유율이 높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수분의 일부가 필터부(120) 및 전극판 일측에 응집되면서 응집된 수분에 의해 필터부(120)의 포집효율과, 전극판의 집진효율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수분에 의해 필터부(120) 및 전극판이 부식되면서 그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판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도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판 외표면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가 균일하게 집진되도록 함으로써 전극판의 집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극판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공기가 필터부를 통과하기 전에 수분응집부에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필터부의 포집효율 및 전극판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터부 및 집진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의 일부를 필터링함과 아울러 수분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필터부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외부공기의 부유입자를 대전하는 대전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대전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대전된 상기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복수개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집진부 및 상기 대전부와, 상기 집진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발생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제1 도전재와, 상기 제1 도전재보다 도전률이 높은 제2 도전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판은 상기 제1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전극몸체 및 상기 전극몸체의 후단부 외면에 코팅되고, 상기 제2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피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전극판은 적어도 상기 제1 도전재 및 상기 제2 도전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후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도전재의 함량보다 상기 제2 도전재의 함량이 많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극판은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적어도 한번이상 절곡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충돌되면서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집되도록 하는 수분응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저면 일측에 응집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배출구가 형성되고, 저면이 상기 물배출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에 알루미늄보다 도전률이 높은 구리가 포함되도록 전극판을 제조함으로써 전극판의 제조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극판의 후단부로 갈수록 구리의 함량이 높아지도록 전극판을 형성하거나 전극판의 후단부에 구리를 도금하여 전극판 외표면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가 균일하게 집진되도록 함으로써 전극판의 집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극판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유입구와 필터부 사이에 복수회 절곡된 수분응집부를 설치하여 유입구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수분응집부에 충돌하도록 하고, 이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집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필터부의 포집효율 및 전극판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터부 및 집진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에 오염물질이 집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을 도시한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응집부에 외부공기가 충돌되어 수분이 응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부와, 집진부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평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일측에 부유입자가 집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단면도이며,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본체(10)와, 필터부(30)와, 수분응집부(20)와, 대전부(40)와, 집진부(50) 및 전압발생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측면 일측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전기집진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 수용공간(1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각 구성의 설치공간 및 외부공기의 정화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0)는 저면 일측에 후술하는 수분응집부(20)에 의해 응집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물배출구(14)가 형성되며, 응집된 물이 물배출구(14)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저면이 물배출구(14)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외부공기가 강제유입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팬유닛(15)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팬유닛(15)은 본체(10)의 내면 중 배출구(12)와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구(11)를 통해 본체(10) 주변의 외부공공기를 유입시키고 배출구(1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응집부(20)는 일측이 복수회 절곡형성되고, 본체(10)의 내부 중 유입구(11)와 후술하는 필터부(30) 사이에 외부공기의 이동방향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절곡된 외면 일측에 충돌되어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집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필터부의 포집효율 및 전극판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부식으로 인해 필터부(30) 및 전극판(51)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부(30)는 본체(10)의 내면 중 유입구(11) 부근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 중 비교적 큰 입자를 갖는 부유입자를 1차 집진하여 집진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필터부(3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대전부(40)는 필터부(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에 전압발생부(60)의 (-)극과 연결되며, 전압발생부(60)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코로나 방전으로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를 대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대전부(4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코로나 방전은 방전극에 전압이 방전되어 유동 기체속에 소량으로 존재하고 있는 자유전자들을 가속하여 기체분자들과 충돌 후 자유전자를 다량으로 생성하며, 이 영역의 전기적 절연 상태가 파괴되어 전자기 비파괴 지역으로 방출되는 국부적인 절연 파괴현상 및 전자 방출현상으로 전기집진 방식 중 가장 실용적이다.
집진부(50)는 대략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극판(5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고, 일측이 전압발생부(60)의 (+)극과 연결되어 전압발생부(60)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는 경우 대전부(40)에 의해 대전된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는 상기 전극판(51)은 비교적 단가가 저렴한 도전재인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극몸체(51a)와, 전극몸체(51a)의 전체 또는 후단부 외면에 도금되고 알루미늄보다 높은 도전율을 갖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도금부(5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몸체(51a)의 외면 전체에 도금부(51b)를 코팅하는 이유는 단가가 비교적 저렴한 알루미늄을 이용하되, 부유입자가 부착되는 전극몸체(51a)의 외면에는 구리재질의 도금부(51b)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전극판(51)의 집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몸체(51a)의 후단부에만 도금부(51b)가 형성할 수 있는데,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전극몸체(51a) 후단부 외면에만 구리재질의 도금부(51b)를 도금하는 이유는 전극판(51)의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높은 도전율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극판(51)의 표면에 부유입자가 균일하게 집진되도록 하여 전극판(51)의 집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도금부(51b)로 구리가 이용되는 경우 알루미늄보다 도전율이 높아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구리금속의 살균작용에 의해 전극판(51)을 통과하는 외부공기를 살균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박멸할 수 있다.
전압발생부(60)는 (-)극이 대전부(40)에 연결되고, (+)극이 집진부(50)에 연결되고, 대전부(40)에 부유입자를 (-)극으로 대전함과 아울러 집진부(50)에서 (-)극으로 대전된 부유입자를 집진할 수 있도록 고전압을 대전부(40)와, 집진부(50)에 각각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분응집부에 외부공기가 충돌되어 수분이 응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전부와, 집진부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및 도7b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팬유닛(15) 및 전압발생부(60)로 전원이 공급되면 팬유닛(15)이 구동됨에 따라 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본체(10) 주변의 외부공기를 본체(10) 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외부공기는 유입구(11)와 필터부(30) 사이에 설치된 수분응집부(20)의 일측에 충돌되면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집된다.
응집된 수분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분응집부(20)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본체(10)의 저면으로 낙하하고, 낙하한 수분은 경사진 본체(10)의 저면을 따라 물배출구(14)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수분응집부(2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외부공기는 필터부(30)를 통과하면서 비교적 큰 입자를 갖는 부유입자가 1차 필터링 되고, 필터부(30)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대전부(40)로 이동된다.
한편, 전압발생부(6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전원발생부는 대전부(40)에 (-)극의 고전압을 인가함과 아울러 집진부(50)에 (+)극의 고전압을 인가하는데, 고전압이 인가된 대전부(40)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강한 (-)극의 전하를 방출하고, 방출된 전하가 외부공기의 부유입자와 충돌하면서 부유입자가 (-)극으로 대전된다.
(-)극으로 대전된 부유입자는 같은 극, 즉 (-)극의 대전부(40)와는 척력이 작용하고, (+)극의 전극판(51)과는 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외부공기가 집진부(50)를 통과하면서 각 전극판(51)의 표면에 (-)극으로 대전된 부유입자가 부착되면서 집진된다.
이때, 전극몸체(51a)의 외표면 전체에 도금부(51b)가 형성되는 경우 도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몸체(51a)의 선단부에 부유입자가 집중적으로 집진되나, 알루미늄보다 도전율이 높은 구리가 전극몸체(51a)의 외면에 도금되면서 부유입자의 집진량이 크게 증대되면서 집진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전극몸체(51a)의 후단부에 도금부(51b)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극몸체(51a)의 선단부보다 전극몸체(51a) 후단부의 도전율이 보다 높아 부유입자가 전극판(51)의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는 전극판(51)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도 외부공기에 포함된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공기가 필터부(30)를 통과하기 전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집함에 따라 수분에 따른 이물질의 포집효율 및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부식에 의한 집진부(51) 및 필터부(3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단면도이다.
도8 내지 도9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내지 도7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극판(51)이 다른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전극몸체의 외면에 제2 도전재(51b)인 구리가 피막되지 않고, 전극판(51)이 제1 도전재(51a)인 알루미늄과, 제2 도전재(51b)인 구리가 혼합되어 형성되되, 전극판(51)의 후단부로 갈수록 제2 도전재(51b)인 구리의 함량이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51)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제1 도전재(51a)인 알루미늄 금속분말과, 제2 도전재(51b)인 구리 분말을 분쇄한 후 이를 건조한다.
이후 몰드와 소결체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결용 몰드에 카본시트를 장착하고, 몰드 내에 알루미늄 금속분말을 일정량 충진한 후 알루미늄 금속분말과 구리 금속분말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수차례 충진한다.
이때, 일정비율로 혼합된 금속 분말의 충진은 한차례 이상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수차폐 충전시 충진되는 혼합 분말에서 알루미늄 금속 분말의 함량이 충진시마다 작아지고 반대로 구리 금속분말의 함량은 늘어나도록 한다.
다음, 몰드에 충진된 분말을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에 의해 소결체를 생성하고 난 뒤 카본시트를 제거하여 전극판(51)을 제조한다.
여기서, 방전플라즈마 소결법은 압분체의 입자간극에 직접 펄스상의 전기에너지를 투입하여 불꽃 방전에 의해 순식간에 발생하는 방전플라즈마의 고에너지를 열확산, 전기장의 작용 등에 의해 효과적으로 소결하는 공정으로서, 급속한 승온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자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고, 단시간에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 수 있으며, 난 소결재료라도 용이하게 소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평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의 일측에 부유입자가 집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3 내지 도7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전극판에 부착되는 부유입자의 양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입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전극판이 요철(凹凸)형상, 즉 물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요철형상에 의해 오목부가 형성도록 함으로써 부유입자의 집진영역, 즉 전극판의 표면적이 보다 확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극판(51)의 표면에 부착된 부유입자에 보다 많은 방향에서 전극판의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목부에 부유입자가 집진되는 경우 집진된 부유입자를 전극판이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오목부에 집진된 부유입자에 전극판의 인력이 다방향에서 작용함으로써 부유입자의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전기집진장치 10 : 본체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수용공간 14 : 물배출구
15 : 팬유닛 20 : 수분응집부
30 : 필터부 40 : 대전부
50 : 집진부 51 : 전극판
51a : 제1 도전재 51b : 제2 도전재
60 : 전압발생부

Claims (6)

  1.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의 일부를 필터링함과 아울러 수분을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필터부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외부공기의 부유입자를 대전하는 대전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대전부의 후단에 설치되고, 대전된 상기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복수개의 전극판을 포함하는 집진부 및 상기 대전부와, 상기 집진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발생부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제1 도전재와, 상기 제1 도전재보다 도전률이 높은 제2 도전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극판은
    상기 제1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전극몸체; 및
    상기 전극몸체의 후단부 외면에 코팅되고, 상기 제2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피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적어도 상기 제1 도전재 및 상기 제2 도전재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후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도전재의 함량보다 상기 제2 도전재의 함량이 많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유입구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설치되고, 일측이 적어도 한번이상 절곡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충돌되면서 상기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집되도록 하는 수분응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저면 일측에 응집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물배출구가 형성되고, 저면이 상기 물배출구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0130099484A 2013-08-22 2013-08-22 전기집진장치 KR10137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84A KR101377977B1 (ko) 2013-08-22 2013-08-22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84A KR101377977B1 (ko) 2013-08-22 2013-08-22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977B1 true KR101377977B1 (ko) 2014-03-24

Family

ID=5064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484A KR101377977B1 (ko) 2013-08-22 2013-08-22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308B1 (ko) * 2021-05-24 2022-07-18 조병훈 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308B1 (ko) * 2021-05-24 2022-07-18 조병훈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535B2 (en) Dust collector
JP4856139B2 (ja) 電気集塵装置
CN105849473B (zh) 空调的空气净化器
CN205253367U (zh) 静电空气净化器
CN107790286A (zh) 一种具有自适应和自清洁功能的静电除尘装置及除尘方法
KR200473001Y1 (ko)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제거 가능한 사이클론형 전기집진장치
CA2882898C (en) Method for collecting fine particles from flue gases, and a corresponding device and arrangement
CN108114814A (zh) 一种静电除尘装置
CN103861416A (zh) 家用空气净化机
CN106179753B (zh) 静电集尘器结构
CN109078756A (zh) 一种多维度电晕电极结构及静电式除尘器
KR100980341B1 (ko) 전기 멀티 사이클론 집진기
KR101377977B1 (ko) 전기집진장치
CN207271438U (zh) 一种电净化结构及包含其的空气净化装置
KR101180035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KR20130076177A (ko) 전자방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WO2020207072A1 (zh) 环保用水雾微尘回收装置
JP6597991B2 (ja) 電気集塵装置
CN109967239B (zh) 一种基于电凝并技术的微颗粒净化装置
CN207025591U (zh) 一种集成式电离收集油烟净化模块
KR20130022722A (ko) 전자방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N100503049C (zh) 空气净化器的电子式集尘过滤器
KR20130112466A (ko)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제거 가능한 사이클론형 전기집진장치
CN209549712U (zh) 静电除油烟装置
KR100499449B1 (ko) 상향식 건식 전기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