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252B1 -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252B1
KR101377252B1 KR20110079964A KR20110079964A KR101377252B1 KR 101377252 B1 KR101377252 B1 KR 101377252B1 KR 20110079964 A KR20110079964 A KR 20110079964A KR 20110079964 A KR20110079964 A KR 20110079964A KR 101377252 B1 KR101377252 B1 KR 10137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hot air
combustion
carbo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503A (ko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윈
Priority to KR2011007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016Chamber type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2Obtaining noble metals by dry processes
    • C22B11/021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0003Linings or walls
    • F27D1/0006Linings or walls formed from bricks or layer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pecific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8Door frames; Doors, lids, removable covers
    • F27D1/1858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7/00Forming, maintaining, or circulating atmospheres in heating chambers
    • F27D7/04Circulating atmospheres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59Construction elements of a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재로 내벽을 형성한 로(爐)와, 로를 밀폐할 수 있고 개폐창을 포함하는 밀폐용 문과, 상기 로에 고열의 열풍을 제공하기 위해 로(爐)의 상부에서 유입하도록 형성되는 열풍관과, 상기 폐수지 및 카본을 수용하는 금속 트레이를 다단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아래에 거치되어 금속 트레이에 복사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히터봉과, 열풍관으로 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위로부터 다단으로 형성된 금속 트레이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하단으로 통과하여 하단의 금속 트레이에 연속으로 열풍을 각각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과, 상기 홀에서 유입되는 열풍이 다시 금속 트레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키는 통로와, 다단으로 거치되는 금속 트레이를 통과하고 로(爐)의 바닥을 통과하여 연소배출관으로 이동하는 열풍과 와류를 형성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와류기와, 상기 연소배출관의 내벽에 돌출되어 연소배출관으로 이동하는 연소열의 이동속도를 지연시키는 격막으로 구성되고 열분해 및 연소 대상물에 따라 열풍의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고 시간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콘트롤판이 구성되어 폐수지 및 카본을 고열로 분해하고 연소하여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The precious metals collection device of the waste resin and carbon}
본 발명은 전자기기 또는 이온교환수지에 사용되는 폐수지 및 카본에서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화재로 내벽을 형성한 로(爐)와, 로를 밀폐할 수 있고 개폐 창을 포함하는 밀폐용 문과, 상기 로(爐)에 고열의 열풍을 제공하기 위해 로(爐)의 상부에서 유입하도록 형성되는 열풍관과, 상기 폐수지 및 카본을 수용하는 금속트레이를 다단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거치대 겸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아래에 거치 되어 금속 트레이에 고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히터봉과, 열풍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위로부터 각 통로에 열풍을 제공하여 다단으로 형성된 각 금속트레이 까지 제공될 수 있도록 상하에 걸쳐 형성되는 홀과, 상기 홀에서 유입되는 열풍이 다시 금속 트레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키는 세라믹가이드판과, 다단으로 거치 되는 금속 트레이를 통과하고 로의 바닥을 통과하여 연소관으로 이동하는 열풍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와류기와, 상기 연소관의 내벽에 돌출되어 연소관으로 이동하는 연소열의 이동속도를 지연시키는 격막으로 구성되고 열분해 및 연소 대상물에 따라 열풍의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고 시간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폐수지 및 카본을 고열로 분해하고 또는 연소하여 귀금속을 석출한 열분해 가스는 2차 연소공기에 의해 재연소로에서 완전연소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귀금속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한 칩이 배열되고 부착된 폐수지 및 카본 재는 상기 칩과 칩을 전기적 효율을 크게 하기 위해 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연결하고 이용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상기 폐수지 및 카본 재는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것이며 또한 전자기기는 그 수명이 짧고 또 새로운 기능의 모델이 나타나게 되면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입일자에 관계없이 폐기되는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폐기되는 전자기기와 같이 폐기되는 폐수지 및 카본 재는 산업폐기물이 되며, 특히 폐수지 및 카본 재에 사용된 귀금속이 귀하게 되고 그 가격이 높아져서 폐수지 및 카본 재에서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폐수지 및 카본 재를 파쇄하여 회수하는 경우가 있고, 소각로에서 연소하여 회수하는 경우가 있으나, 위와 같이 파쇄 및 분쇄에 의한 회수 방법은 먼지와 함께 폐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귀금속을 온전하게 회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소각로에서 많은 량을 한꺼번에 연소하기 때문에 연소가 불안하여 온전한 연소를 이루기 위해서는 장시간 연소해야 하고 연소에 필요한 가연물질의 연소 가스와 폐수지 및 카본의 연소가스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 중에 특허 공개 제10-2011-0040534(귀금속 회수장치,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호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귀금속이 함유된 충진물을 이송하는 펌프,
펌프에 의하여 이송되는 충진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진물을 공급받으며,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형성되어 귀금속을 흡착하는 회수탱크와,
일단이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수탱크와 연결되는 유로관부와, 상기 유로관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로관부의 유로를 조절하는 밸브부와, 밸브부를 제어하여 충진물을 상기 회수탱크의 상부 또는 하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로관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탱크를 통과한 충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귀금속 회수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용발명은 귀금속이 수용되어 있는 충진물을 대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충진물이 필터와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면서 충진물에서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인용발명은 본 발명과 구성과, 작용과, 효과가 상이하지만 이는 충진물에서 귀금속을 회수한 후의 액체는 정화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은 내화재로 구성된 로의 내부 벽과 로(爐)의 내부 상하 길이에 걸쳐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단의 가이드에 각 금속 트레이가 거치 되고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금속 트레이 저부에는 고열을 형성하는 근적외선 히터봉을 배치하여 고열을 금속 트레이에 제공하도록 형성하며, 로(爐)의 상부에 형성된 가열연소공기 공급참버로부터 고열(50~800)의 열풍이 유입되도록 형성하여 각 금속 트레이를 하향 통과하면서 각 금속 트레이에 수용된 폐수지 및 카본 재를 열분해 하도록 구성하고 금속 트레이를 지지하는 가이드 저부에 고열(600~1000)을 제공하는 근적외선 히팅봉을 형성하여 로(爐) 내부에 고열(500~800)을 형성하며 로(爐) 내부의 금속 트레이에 수용된 폐수지 및 카본 등의 유기물을 신속히 열분해 가스화하여 휘발시킴으로서 귀금속을 신속히 분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그 내부 벽을 내화재로 구성하여 열의 방출을 방지하면서 폐수지 및 카본 재를 열분해 및 연소화 하는 로(爐)를 구성한다.
로(爐)의 상부에 형성하여 로(爐)의 내부에 열풍(50~800)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열풍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로(爐)의 내부에서 폐수지 및 카본 재를 열분해 및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지연 배출하면서 폐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연소열 배출 관을 형성하도록 한다.
로(爐)의 내부 상하에 걸쳐 다수개의 금속 트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다단의 가이드를 설치하도록 한다.
다단의 가이드 저부에서 고열(500~800)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배열되는 근적외선 히터봉을 설치하도록 한다.
로(爐)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문과, 상기 밀폐문에 금속 트레이와 같은 숫자로 개폐 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하향하는 열풍이 금속트레이 상면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하는 금속 트레이와 히터봉 사이에 세라믹 가이드판을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열풍이 세라믹 가이드판을 통과하여 아래 금속 트레이 상면을 통과하고 금속 트레이의 양쪽으로 열풍이 통과하여 아래 각 금속 트레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홀과 홀에 연계된 통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하향하는 열풍이 연소관으로 이동하여 연소관에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로(爐)와 연소관 사이에 와류기를 설치하도록 한다.
연소관을 통과하는 연소열은 연소관에서 잔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소관 내벽에 격막을 형성하도록 한다.
로(爐)에 제공되는 열풍과 히터봉의 온도는 열분해 또는 연소되는 폐수지와 카본 재의 종류에 따라 온도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와 자동댐퍼, 콘트롤판을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회수장치의 열풍관은 로(爐)의 상부에 설치되어 로(爐)의 내부 상부에서 하부로 고열을 이동시켜 금속 트레이에 수용된 폐수지 및 카본 재에 직접 전도되게 함으로써 폐수지 및 카본에 함유되어 있는 귀금속을 비산시키지 않고 열분해 또는 연소를 용이하게 하여 폐기물 속에 함유되어있는 귀금속을 최대한으로 회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회수장치는 폐열이 일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 내부의 열효율을 향상시켜 연소열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귀금속 회수장치는 금속 트레이에 수용되는 소재에 따라 열풍의 온도, 열풍의 량과, 히터봉의 온도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폐수지 및 카본을 열분해 및 연소하게 되므로 연료를 절감하고 동시에 최적의 열분해 조건을 이르게 함으로 귀금속을 손상시키지 않고 잔류물(수지 또는 카본)을 최소로 하여 2차 공정비용을 절감시키고 발생되는 열분해 가스 량을 조절함으로 피크 발생치를 방지하여 완전연소에 의한 대기오염을 최소화하고 처리용량에 비해 기기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면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4는 히터봉의 배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와류기의 상세도
도 7은 열풍의 이동로의 상세도
본 발명은 내화재(13)로 내벽을 형성한 로(11)와, 로(11)를 밀폐할 수 있으며 투시창(25)을 포함하는 밀폐용 문(19)과, 상기 로(11)에 고열의 열풍을 제공하기 위해 로(11)의 상부에서 유입하도록 형성되는 열풍관(12)과, 상기 폐수지 및 카본을 수용하는 금속 트레이(14)를 다단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이드(15)와, 상기 가이드(15) 아래에 거치 되어 금속 트레이(14)에 고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히터봉(16)과, 가열연소공기 공급참버(26)와 열풍관(12)으로부터 유입되는 열풍(32)이 위로부터 다단으로 형성된 금속 트레이(14)의 상면을 통과하여 하단의 금속 트레이(14)에 같은 방법으로 열풍(32)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18)과, 상기 홀(18)에서 유입되는 열풍(32)이 다시 금속 트레이(14)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키는 통로(17)와, 다단으로 형성되는 금속 트레이(14)를 통과하고 로(11)의 바닥을 통과하여 연소배출관(22)으로 이동하는 열풍(32)을 와류를 형성하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와류기(24)와, 상기 연소배출관(22)의 내벽에 돌출되어 연소배출관(22)으로 이동하는 연소열의 이동속도를 지연시키는 격막(23)으로 구성되고 열분해 및 연소에 따라 열풍(32)의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고 시간을 조절하여 자동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연소재(28)를 고열로 분해하고 연소하여 귀금속을 석출한 열분해가스 또는 연소 가스는 연소배출관(22)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로의 전면에서 로의 밀폐문 및 투시창과 열풍관과 연소배출관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로의 측면에서 로의 밀폐문과 투시창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로의 내부에서 히팅봉의 위치 및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로의 평단면에서의 구조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로의 열풍이 이동하면서 와류를 작용하기 위한 와류기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로의 금속트레이의 사이로 열풍이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로(11)와 연소배출관(22)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벽에 걸쳐 내화재(13)가 형성되어 있다.
로(11)의 내부 상하에 걸쳐 금속 트레이(14)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어 있고 각 금속 트레이(14)는 각 가이드(15) 위에 거치 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15)는 금속 트레이(14)를 인출할 때 용이하도록 상기 가이드(15)에서 슬라이드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 트레이(14)를 지지하는 가이드(15) 저부에는 복수개 이상의 근적외선 히팅봉(16)이 배열되어 고열(500~800)을 금속 트레이(14)에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근적외선 히팅봉(16)은 로(11)의 배면에서 진입하도록 형성되고 히팅봉(16)의 전방은 로(11)의 내벽의 내화재(13)에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전기가 인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기는 온도센서(27)와 별도의 콘트롤 판넬에 연결되어 히터봉(16)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11)의 상면에는 열풍관(12)이 형성되어 로(11)의 내부에 열풍(32)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풍관(12)의 단부는 로(11)의 내부에 진출되어 로(11)에 열풍(32)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풍(32)은 로(11)의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로(11)의 전부를 이동한 열풍(32)은 로(11)의 하부에서 연소배출관(22)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11)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열풍(32)은 금속 트레이(14)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금속 트레이(14)에 수용된 연소재(28)인 폐수지 및 카본에 직접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금속트레이(14) 상면을 통과한 열풍(32)은 금속트레이(14) 양쪽에 형성된 홀(18)을 통하여 아래 금속 트레이(14)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금속트레이(14) 양쪽 홀(18)을 통과한 열풍(32)이 금속 트레이(14)의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열풍(32)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통로(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홀(18)을 통과하고 세라믹 가이드판(17)을 통과한 열풍(32)은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 금속 트레이(14)의 상면을 통과하면서 직접 열풍(32)의 고온을 연소재(28)인 폐수지 및 카본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면서 열풍(32)은 로(11)의 바닥까지 이동하게 된다.
바닥까지 이동한 열풍(32)은 로(11)와 연소배출관(22) 사이에 형성된 와류기(24)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와류기(24)는 작은 셀(31) 조직으로 구성된 작은 여러 개의 관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은 여러 개의 관은 새끼 꼬이는 모양으로 구성된 관을 통해 공급되는 2차 연소공기는 와류를 형성하여 공급하고 공급와류기(24)를 통과하는 열분해가스는 전체적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연소공기와의 혼합을 촉진시켜 단시간 내에 완전연소화한 후 연소배출관(22)을 통과하는 연소열 및 연소가스가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소배출관(22)은 로(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와류기(24)를 통과한 열풍(32)은 연소배출관(22)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연소배출관(22)은 그 내부 길이에 걸쳐 등 간격으로 격막(23)이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연소배출관(22)으로 배출되는 연소가스는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연소가스가 연소배출관(22)에서 이동이 지연되어 연소체류시간을 극대화하여 열분해 가스를 완전연소화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로(11)의 전면에는 밀폐용문(19)과 개폐문(21)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용문(19)은 로(11) 내부의 금속 트레이(14)를 삽입할 때와 트레이(14)를 인출할 때,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작은 개폐문(21)은 수시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금속트레이(14) 내부에 수용된 열분해 물질(28)인 폐수지 및 카본을 교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문(21)은 각각 금속 트레이(14)를 별도로 관리하여 로(11)의 열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교반시 역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폐용 문(19)은 로(11)의 외벽에 힌지 되어 개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조임쇠(29)를 이용하여 로(11)의 외벽에 로(11)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용 문(19)의 내벽은 고온에 내구성을 갖는 내화재(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11)의 측면에서 로(11)의 내부 금속트레이(14) 까지 진출한 센서(27)가 형성되어 금속트레이(14)에 수용된 연소재(28)의 종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11)의 외벽에는 상기 센서(27)와 히터봉(16)의 방출되는 열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콘트롤 판넬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예
본 발명은 모든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수지 및 카본이 폐기되고, 폐기되는 수지 및 카본에 사용되는 귀금속(금 또는 은)이 같이 폐기되어 귀중한 자원이 폐기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와 같은 귀금속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실시하는 로(11)는 3개의 가이드(15) 또는 그 이상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15) 저부에 히터봉(16)이 고정되어 있으며 최상부의 금속트레이(14) 위에 히터봉(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봉(16)은 각 칸마다 3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히터봉(16)은 내화재(13)에 의해 고정 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 트레이(14)를 지지하는 가이드(15) 역시 내화재(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봉(16)의 내부 온도는 방출온도와 비교하여 높아야하므로 방출온도가 500~800이면 히터봉의 내부 온도는 800~1000 정도가 되도록 셋 팅되어 있다.
또한, 히터봉(16)의 온도는 로(11)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열풍(32)의 온도에 따라 조절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11)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열풍(32)의 온도는 50~500가 되도록 구성하여 연소하거나 열분해 해야하는 연소재(28)에 따라 열풍(32)의 온도를 조절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열풍(32)의 온도 조절은 온도센서와 컨트롤패널의 기능에 의해 조절하여 열공급참버(26)를 통해 설정치 온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로(11)의 내부에 연소재(28)를 수용한 금속 트레이(14)가 수용되면 밀폐용 문(19)을 닫은 후, 조임쇠(29)를 이용하여 상기 밀폐용 문(19)을 로(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밀폐용 문(19)을 밀폐하고 개폐문(21)을 밀폐용 문(19)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밀폐용 문(19)과 개폐문(21)이 고정 밀폐되면 투시창(25)으로 로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폐수지 및 카본이 수용되고 밀폐용 문(19)이 밀폐 고정된 후에 별도의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여 로(11)의 상부에서 열풍(32)을 유입시키고, 히터봉(16)에 전기를 인가하여 고온을 방출한다.
상기와 같이 열풍(32)이 유입되면 로(11)의 내부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열풍(32)이 최상부 금속트레이(14) 상면을 통과하면서 확산된다.
확산되는 열풍(32)은 금속 트레이(14)에 열을 제공하고 금속 트레이(14)에 수용된 폐수지 및 카본을 열분해 및 연소하면서 금속트레이(14) 양쪽에 형성된 홀(18)로 빠져나가게 된다.
홀(18)로 빠져나간 열풍(18)은 다시 금속트레이(14) 상부를 통과하면서 열분해 및 연소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함으로 금속트레이(14) 양쪽 내벽에 형성된 통로(17)가 열풍(32)의 방향을 금속 트레이(14)의 중앙으로 유도하여 금속 트레이(14)의 연소재(28)를 열분해 또는 연소하게 된다.
금속 트레이(14)의 상면 전체에 걸쳐 통과하는 열풍(32)은 같은 방법으로 홀(18)을 통과하고 금속 트레이(14)의 연소재(28)를 열분해 및 연소하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풍(32)과 히터봉(16)의 열에 의해 금속 트레이(14)에 수용된 연소재(28)가 열분해 및 연소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개폐문(21)의 투시창(25)으로 연소재(28)의 연소 상태를 관찰하면서 개폐문(21)을 개방하고 연소가 늦어지는 금속 트레이(14)의 연소재(28)를 수작업으로 교반하여 연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연소 및 열분해 되는 연소재(28)는 폐수지 또는 카본이 되므로 상기 폐 수지와 카본은 열분해 온도 및 연소온도가 상이하므로 로(11)의 내부온도를 연소재(28)에 따라 상이한 환경을 구성하게 된다.
예;연소재(28)가 폐 수지일 경우 수지의 연소 및 열분해 온도가 300~350이고, 카본의 연소 및 열분해 온도가 500~800이라면 상기 수지의 연소에 합당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별도의 컨트롤 패널에 세팅되고 카본이 연소 소재라면 로의 내부 온도는 카본이 연소될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되도록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로(11)에 유입되는 연소재(28)가 수지이면 자동으로 수지가 연소될 수 있는 로(11)의 환경이 되고, 카본이 이면 자동으로 카본이 연소될 수 있는 로(11)의 환경이 되며, 수지와 카본이 동시에 혼합되어 유입될 경우 카본이 연소되는 온도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로(11)의 연소환경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열풍(32)과 고온이 연소재(28)인 폐수지 및 카본을 열분해 및 연소한 후에 로(11)의 일측에 형성된 와류기(24)를 통과하여 연소배출관(22)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열풍(32)과 고온이 와류기(24)를 통과할 때 와류기(24)의 셀(31)을 통과하면서 새끼 꼬임과 같은 모양을 형성하면서 통과하기 때문에 연소배출관(22) 내벽을 충돌하면서 배출되고 또한, 연소배출관(22)의 내벽에는 지그재그로 격막(23)이 형성되어 연소열이 상기 격막(23)에 의해 배출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연소열은 로(11)에서 정체되는 현상에 의해 로(11)의 잔존 열 손실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1 : 로 12 : 열풍관
13 : 내화재 14 : 금속트레이
15 : 가이드 16 : 근적외선 히팅봉
17 : 통로 18 : 홀
19 : 밀폐용 문 21 : 개폐문
22 : 연소배출관 23 : 격막
24 : 와류기 25 : 투시창
26 : 가열연소공기 공급참버 27 : 온도센서
28 : 연소재 29 : 조임쇠
31 : 셀 32 : 열풍

Claims (6)

  1. 내부벽이 내화재로 구성되어 폐수지와 카본에서 귀금속을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있어서, 로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분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연소공기 공급챔버를 포함하는 위에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항상 트레이 위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로 내벽을 이동하는 홀과, 로의 상하에 배열되어 폐수지와 카본을 수용하는 여러 개의 트레이와, 상기 여러 개의 트레이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트레이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개폐문에 별도로 구성되는 밀폐문과, 상기 각 트레이에 수용된 폐수지 및 카본에 직접 복사열을 제공하여 높은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트레이 위에 설치되는 히터봉과, 로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고열을 구성하고 배출하는 열풍에 와류를 형성하여 열풍이 연소배출관의 격막을 통과하면서 열풍의 배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의 내부 상하에 걸쳐 형성되는 여러 개의 홀은 트레이 위에 형성되어 홀에서 유입되고 배출되는 열풍은 항상 트레이 상부를 통과하면서 열풍의 대류열과 복사열이 트레이의 폐수지 및 카본을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밀폐용 문에는 각 금속 트레이를 관찰하고 각 트레이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문이 형성되어 트레이를 인출할 때 개폐문만 사용하여 로 내의 열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로 내부와 연소배출관 사이에는 와류기가 형성되어 로의 연소가스가 연소배출관으로 이동할 때 와류를 형성하면서 연소배출관 내부의 격막을 통과할 때 와류에 의해 연소가스 체류 시간을 최대한으로 길게 함으로써 로의 잔존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KR20110079964A 2011-08-11 2011-08-11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KR10137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9964A KR101377252B1 (ko) 2011-08-11 2011-08-11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9964A KR101377252B1 (ko) 2011-08-11 2011-08-11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503A KR20130017503A (ko) 2013-02-20
KR101377252B1 true KR101377252B1 (ko) 2014-03-26

Family

ID=4789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9964A KR101377252B1 (ko) 2011-08-11 2011-08-11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2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91474B (zh) * 2015-04-29 2021-01-12 永州市湘江稀土有限责任公司 一种稀土矿碱法分解管式反应装置和工艺
CN106676271B (zh) * 2017-03-10 2018-11-20 浙江峰邦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工厂废品中金属的提炼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033A (ja) * 1996-09-20 1998-04-14 Toyota Motor Corp 酸化物を含んだ廃棄物の真空処理装置
JPH11246917A (ja) * 1998-03-03 1999-09-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乾留式金属回収方法及び装置
JP2008082640A (ja) * 2006-09-28 2008-04-10 Nippon Crucible Co Ltd 有価金属回収装置
JP2008285730A (ja) * 2007-05-18 2008-11-27 Satoru Yoshinaka 鉄鋼材料分別回収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033A (ja) * 1996-09-20 1998-04-14 Toyota Motor Corp 酸化物を含んだ廃棄物の真空処理装置
JPH11246917A (ja) * 1998-03-03 1999-09-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乾留式金属回収方法及び装置
JP2008082640A (ja) * 2006-09-28 2008-04-10 Nippon Crucible Co Ltd 有価金属回収装置
JP2008285730A (ja) * 2007-05-18 2008-11-27 Satoru Yoshinaka 鉄鋼材料分別回収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503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4985B2 (en) Bio-fuel furnace
EP2884200B1 (en) Central heating boiler
CN109478438A (zh) 用于处理中低水平放射性废弃物的密闭型等离子体熔融炉
KR101377252B1 (ko) 폐 수지 및 카본으로부터 귀금속 회수장치
JP2012017872A (ja) 焼却装置
KR101224032B1 (ko) 연소 장치
JP2010005581A (ja) 有機系被処理物分解処理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物の分解処理方法
JP4624971B2 (ja) ガラス溶解装置
CN104807015A (zh) 一种热解焚烧熔融一体化的废弃物处理装置
CN205825053U (zh) 一种含碳残渣减量化装置
CN204757014U (zh) 靠背式生物质炊暖气化炉
WO2014015550A1 (zh) 一种防回火生物质燃料炉具
CN202253667U (zh) 循环焚烧炉
JP2012159264A (ja) 廃棄物溶融処理方法及び廃棄物溶融処理装置
JP2011094138A (ja) 炭素化装置
CN205382132U (zh) 一种气化炉
CN105570934A (zh) 一种高热效率燃木粒壁炉的供燃料的方法
RU150968U1 (ru) Инсинератор
KR20160067328A (ko) 펠릿 난로
CN214249561U (zh) 一种全自动卧式锅炉
KR101419305B1 (ko) 고체연료의 분말을 이용한 점화장치 및 점화방법
CN207179728U (zh) 热水式生物质颗粒取暖炉
CN221035721U (zh) 一种燃烧炉
CN213599426U (zh) 一种二次燃烧壁炉
RU69613U1 (ru) Топка кипящего слоя с огненной масс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