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45B1 - 높이 조절식 베개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식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45B1
KR101377045B1 KR1020120114592A KR20120114592A KR101377045B1 KR 101377045 B1 KR101377045 B1 KR 101377045B1 KR 1020120114592 A KR1020120114592 A KR 1020120114592A KR 20120114592 A KR20120114592 A KR 20120114592A KR 101377045 B1 KR101377045 B1 KR 10137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lifting
elevating member
member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7856A (ko
Inventor
박학철
Original Assignee
박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철 filed Critical 박학철
Publication of KR2014002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조절식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식 베개는 받침판과,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승강부재 다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어 구성되는 승강부와,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이고 상기 승강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상기 승강부와 연달아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들 위에 걸쳐져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들 중 우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좌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판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 위에 걸쳐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이웃해 있는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하면 하강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보조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식 베개 {HEIGHT ADJUSTABLE PILLOW}
본 발명은 높이 조절식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안한 수면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식 베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베개들은 베개 속에 솜 등을 넣어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잠자는 동안 무의식적으로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베개의 높이는 한 가지 밖에 안 되기 때문에 등뼈와 머리 중심이 일직선 상이 아닌 목뼈 부분이 30~60°정도로 기울어져 목뼈가 아프고 가슴 부위의 압박에 의해 어깨와 팔뚝에 압박이 가해져, 피가 제대로 통하지 못해 팔이 저린 것을 모르고 자게 되어 건강에 이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베개는 자기의 신체에 맞는 베개가 아니고 베개에 사용자의 몸을 맞추는 실정이고, 베개 속의 솜이 처음에는 높이가 맞아도 계속 사용함으로써 높이가 낮아져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면 중에 무의식적으로나 의식적으로 머리를 돌리고 옆으로 돌아눕는 것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과 불편을 최소화하여 수면 건강을 증진시키는 높이 조절식 베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식 베개는 받침판과,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승강부재 다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어 구성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 및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들 위에 걸쳐져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들 중 우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좌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식 베개는 받침판과,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승강부재 다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어 구성되는 승강부와,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이고 상기 승강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상기 승강부와 연달아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들 위에 걸쳐져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들 중 우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좌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판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 위에 걸쳐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이웃해 있는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하면 하강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보조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좌측단 및 우측단 각각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는 한 쌍의 상하 연결봉 및 좌측단 및 우측단 각각이 한 쌍의 상기 상하 연결봉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 좌우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 연결봉이 관통하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들 중 상기 승강부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좌우 연결봉이 통과하는 구멍은 상하 길이가 짧고 상기 승강부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좌우 연결봉이 통과하는 구멍은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 연결봉이 관통하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들에 형성된 구멍들 중 상대적으로 상하 길이가 짧은 구멍을 지나는 상기 좌우 연결봉의 부분은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좌우 연결봉이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하면의 좌우 중간 부분은 서로 맞닿는 두 개의 승강부재의 측벽들의 상단 모서리 중 상기 승강부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와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의 하면과 결합되는 부위에 따라 상기 받침판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상기 받침판의 하면과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승강부에 머리를 대고 눕기 전에는 상기 승강부재들의 상면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고, 상기 승강부재들 중 가운데 위치하는 다수 개의 승강부재의 상하 길이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승강부재들 중 가운데 위치하며 높이가 동일한 다수 개의 승강부재들을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로 가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길이가 점점 길어져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이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자기에게 맞는 베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베개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어깨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어깨 압박을 해소하여 신체 이상을 줄일 수 있고, 베개 속에 공간을 두게 되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잠잘 때 무의식 중에 옆으로 돌아누울 때 머리 부분이 꺾여 어깨와 팔에 압력이 가해져 피가 안통하고 팔이 저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여러 가지 발병의 원인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의 다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식 베개는 받침판(10), 다리부재(20), 승강부재(30), 스프링(50), 지지판(60), 상하연결봉(70), 좌우연결봉(71) 및 고정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10)은 직사각형 형태의 판재로서 하면에는 다리부재(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볼트가 구비되어 있다. 다리부재(2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ㄱ”자 형태로 꺾여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부재로서, 세 군데에 받침판의 체결볼트와 체결되기 위한 볼트 구멍(a,b,c)이 형성된다. 다리부재(20)를 도 4에 도시된 것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하단부의 전후 길이는 30mm, 높이는 20mm이며 다리부재(20)의 상방 후단의 돌출된 부분의 전후 길이는 10mm이어서 체결볼트를 도 4의 a 볼트 구멍과 체결하면 받침판(10)이 30mm의 다리부재(20) 위에 있게 되고, 도 4의 b 볼트 구멍과 체결하면 받침판(10)이 10mm의 다리부재(20) 위에 있게 되며, 도 4의 c 볼트 구멍과 체결하면 받침판(10)이 20mm의 다리부재(20) 위에 있게 되므로 받침판(10)의 높이를 다리부재(20)와의 결합 부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받침판(10)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승강부재(30)가 좌우로 연달아 배열되어 구성되는 승강부를 떠받치기 위한 스프링(50)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승강부의 좌측 및 우측에 하나씩 세워지는 고정부(40)의 하단이 고정된다. 여기에서 연갈아 배열된다는 것은 서로 이웃하는 승강부재(30)와 승강부재(30) 또는 승강부재(30)와 고정부(40)가 미세한 틈만 두고 바로 인접하게 위치한다는 것이다.
승강부와 고정부(4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세워지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승강부와 고정부(40)의 상면들 전체의 높이가 같아서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부재(30)는 받침판(10) 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40) 사이에 모두 7개가 구비된다.
승강부재(30)는 수평 방향으로 평평한 상판(31)과 네개의 측벽(32)들로 이루어진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부재이다. 승강부재(30)들은 마치 피아노의 건반과 같이 배치되어 위에서 누르면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나의 승강부재(30)를 앞뒤로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진 스프링(50) 두 개가 떠받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50)은 승강부재(30)의 상판(31)의 하면과 받침판(10)의 상면 사이에 탄설지지된다.
따라서 승강부재(30)는 머리를 대고 눕지 않은 상태에서는 승강부재(30)가 받침판(10)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지만, 머리를 승강부의 중심부에 있는 승강부재(30)들 위에 대고 누우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부의 중심부에 있는 세 개의 승강부재(30)는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승강부재(30)의 하단이 받침판(10)의 상면과 맞닿을 때까지 하강할 수 있으며, 승강부의 중심부에 있는 세 개의 승강부재(30)가 받침판(10)에 닿으면 나머지 승강부재(30)들도 모두 받침판(10)에 닿게 된다.
비록 사용자가 머리를 승강부의 중심부에 있는 승강부재(30)들 위에 대고 누울 때 승강부의 중심부에 있는 승강부재(30)들이 그보다 좌측이나 우측에 있는 승강부재(30)들보다 더 많이 하강하기는 하지만 승강부재(30)들의 높이 자체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 가운데에 있는 세 개의 승강부재(30)들은 높이가 6cm이고, 그보다 하나 좌측 및 우측에 있는 승강부재(30)들은 높이가 8cm이며, 제일 가장자리에 있는 승강부재(30)들은 높이가 10cm이기 때문에 베개를 베지 않은 상태에서는 승강부재(30)들 전체가 이루는 승강부의 상면이 평평하고 6cm짜리 가운데 세 개의 승강부재(30)들이 6cm만큼 하강하여 받침판(10)에 닿으면 8cm짜리 승강부재(30)들은 4cm만큼 하강하여 받침판(10)에 닿고, 10cm짜리 승강부재(30)들은 2cm만큼 하강하여 받침판(10)에 닿게 되는데, 이때 승강부재(30)들이 형성하는 승강부의 상면은 "V"자 계단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반면, 고정부(40)는 승강부재(30)와 같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며 받침판(10) 위에 세워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기둥이다.
승강부 및 고정부(40)의 위에는 사각형 판재인 지지판(60)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판(60)은 좌측 세 개, 중앙 두 개, 우측 세 개로 모두 여덟 개가 설치된다. 8개의 지지판(60) 중 맨 왼쪽에 있는 지지판(60)과 맨 오른쪽에 있는 지지판(60)은 고정부(40)와 고정부(40)에 인접한 승강부재(30)에 걸쳐져 있고 나머지 6개의 지지판(60)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승강부재(30) 위에 걸쳐 있다. 지지판(60)의 하면의 좌우 중간 부분은 서로 맞닿는 두 개의 승강부재(30)의 측면들 중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부재(30)들의 하단이 받침대에 닿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 승강부재(30)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와 힌지 결합된다.
지지판(60)과 승강부재(30)가 힌지 결합된 부위를 기준으로 승강부재(30) 위에 걸쳐져 있는 하나의 지지판(60)의 좌측 반쪽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승강부재(30) 중 좌측에 있는 승강부재(30) 위에 있고 하나의 지지판(60)의 우측 반쪽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승강부재(30) 중 우측에 있는 승강부재(30) 위에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60)의 좌측단의 하면 및 우측단의 하면 각각과 상하 연결봉(70)의 상단은 힌지결합되고, 좌우 연결봉(71)은 양 말단이 각각 상하 연결봉(70)의 하단과 힌지 결합된다. 지지판(60)의 좌측단의 하면 및 우측단의 하면에는 연결고리(72)가 부착되고, 좌우 연결봉(71)의 양 말단 각각에도 연결고리(72)가 부착되며, 상하 연결봉(70)의 양 말단 각각에도 연결고리(72)가 부착됨으로써 상하 연결봉(70)과 지지판(60)의 연결 및 상하 연결봉(70)과 좌우 연결봉(71)의 연결은 모두 연결고리(72)와 연결고리(72)가 사슬을 형성하도록 이어짐으로써 이루어진다.
상하 연결봉(70)이 승강부재(30)의 상판(31) 또는 고정부(40)의 상판을 관통하고 약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승강부재(30)의 상판(31) 및 고정부(40)의 상판에는 좌우로 약간 길게 형성된 구멍이 형성된다. 하나의 좌우 연결봉(71)이 관통하는 두 개의 승강부재(30)의 측벽(32) 또는 하나의 좌우 연결봉(71)이 관통하는 승강부재(30)의 측벽(32)과 고정부(40)의 측벽에는 좌우 연결봉(71)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부의 가운데 방향을 향하여 지지판(60)이 기울어져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지지판(60)에 결합된 두 개의 상하 연결봉(70) 중 승강부의 가운데와 더 가까운 쪽에 있는 상하 연결봉(70)이 더 먼 쪽에 있는 상하 연결봉(70)보다 더 내려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좌우 연결봉(71)에 의해 관통되며 서로 마주보는 승강부재(30) 또는 고정부(40)의 측벽에 형성된 두 개의 구멍(33)은 승강부의 가운데와 가까운 쪽의 구멍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승강부의 가운데와 먼 쪽의 구멍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부의 가운데와 더 가까운 쪽의 승강부재(30)만 아래로 하강하는 경우 좌우 연결봉(71)은 자연스럽게 승강부의 가운데와 더 가까운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된다.
하나의 좌우 연결봉(71)에 의해 관통되며 서로 마주보는 승강부재(30) 또는 고정부(40)의 측벽에 형성된 두 개의 구멍(33) 중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구멍에는 수평 방향으로 지나는 힌지축(34)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멍을 지나는 좌우 연결봉(71)이 이 구멍 내의 힌지축(34)과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부재(30) 또는 고정부(40)의 측벽을 관통하는 좌우 연결봉(71)이 힌지축(34)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좌우 연결봉(71)의 한쪽이 하방으로 운동하는 힘을 받게 되면 좌우 연결봉(71)의 다른 한쪽은 상방으로 움직이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식 베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식 베개는 푹신한 쿠션재를 포함하는 섬유 소재로 이루어진 베개 커버 안에 설치된다.
베개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부의 상면과 고정부(40)의 상면이 모두 일정한 높이에 있게 되어 평평한 상면을 형성한다.
사용자가 바로 누워서 머리를 베개에 올려놓는 경우 머리의 무게에 의해서 가운데 세 개의 승강부재(30)가 하강하고 상하 연결봉(70) 및 좌우 연결봉(71)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판(60)은 가운데를 향하여 45°씩 기울어지고 다른 승강부재(30)들도 받침판(10)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승강부와 고정부가 형성하는 상면이 “V”자 계단 형태를 이룬다.
취침 중에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워서 머리를 옆으로 돌리면 가운데 승강부재(30)의 옆에 있는 승강부재(30) 위에 있는 지지판(60)이 눌리는데 새롭게 머리에 눌린 지지판(60)과 힌지 결합되어 있는 승강부재(30)는 이미 바닥판(10)에 닿은 상태이므로 고정돼 있고, 지지판(60)은 45° 각도로 기울어져 있던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하면서 지지판(60)과 연결된 상하 연결봉(70)의 작용에 의하여 종전에 가장 많이 하강했던 승강부재(30)는 상하 연결봉(70) 및 좌우 연결봉(71)의 작용과 스프링(50)의 탄성작용에 의해 새롭게 머리에 눌린 승강부재(30)의 높이까지 올라가게 되어 머리의 옆면을 평평하게 받쳐주게 되는 한편 똑바로 누웠을 때보다 머리를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화시킨다.
지지판(60)은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승강부재(30)의 높이 조절에 영향을 주어 사용자의 머리가 닿은 면을 가급적 평평하게 해주어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머리가 지지판(60)과 닿을 때 발생 가능한 이질감은 스프링(50)의 탄성력과 머리의 무게에 의해 해소됨으로써 머리를 옆으로 돌릴 때 아무런 이질감이나 불편감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에 따라 사용자가 베개를 똑바로 베고 자든지 옆으로 돌아누워서 자든지 베개의 높이가 몸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받침판 20: 다리부재
30: 승강부재 31: 상판
32: 측벽 33: 구멍
34: 힌지축 40: 고정부
50: 스프링 60: 지지판
70: 상하연결봉 71: 좌우 연결봉
72: 연결고리

Claims (8)

  1. 받침판;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승강부재 다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어 구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 및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들 위에 걸쳐져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들 중 우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좌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2. 받침판;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승강부재 다수개가 좌우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어 구성되는 승강부;
    상판과 측벽들로 둘러싸이고 상기 승강부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상기 승강부와 연달아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판 위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 탄설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프링;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들 위에 걸쳐져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승강부재들 중 우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좌측에 위치한 상기 승강부재의 하면이 하강하면 하강하는 만큼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판;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정부의 상판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 위에 걸쳐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이웃해 있는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하면 하강하는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보조 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좌측단 및 우측단 각각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판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는 한 쌍의 상하 연결봉; 및
    좌측단 및 우측단 각각이 한 쌍의 상기 상하 연결봉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을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 좌우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결봉이 관통하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들 중 상기 승강부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좌우 연결봉이 통과하는 구멍은 상하 길이가 짧고 상기 승강부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상기 좌우 연결봉이 통과하는 구멍은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연결봉이 관통하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들에 형성된 구멍들 중 상대적으로 상하 길이가 짧은 구멍을 지나는 상기 좌우 연결봉의 부분은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에 대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좌우 연결봉이 상기 승강부재의 측벽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하면의 좌우 중간 부분은 서로 맞닿는 두 개의 승강부재의 측벽들의 상단 모서리 중 상기 승강부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는 상기 승강부재의 측면의 상단 모서리와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하면과 결합되는 부위에 따라 상기 받침판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상기 받침판의 하면과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부에 머리를 대고 눕기 전에는 상기 승강부재들의 상면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고,
    상기 승강부재들 중 가운데 위치하는 다수 개의 승강부재의 상하 길이는 모두 동일하며, 상기 승강부재들 중 가운데 위치하며 높이가 동일한 다수 개의 승강부재들을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로 가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길이가 점점 길어져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면과 하면이 계단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식 베개.
KR1020120114592A 2012-08-27 2012-10-16 높이 조절식 베개 KR101377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3396 2012-08-27
KR1020120093396 2012-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56A KR20140027856A (ko) 2014-03-07
KR101377045B1 true KR101377045B1 (ko) 2014-03-26

Family

ID=5064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92A KR101377045B1 (ko) 2012-08-27 2012-10-16 높이 조절식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384B (zh) * 2017-05-17 2018-07-24 王志强 基于智能枕的远程主动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966U (ko) * 1994-08-03 1996-03-13 김동학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JP2005334169A (ja) 2004-05-25 2005-12-08 Mitsugi Iwata 側臥用枕
KR20100117485A (ko) * 2009-04-25 2010-11-03 이국희 분리 상판들을 가진 자동 높이조절베개
JP2012130640A (ja) 2010-12-21 2012-07-12 Professors Co Lt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966U (ko) * 1994-08-03 1996-03-13 김동학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JP2005334169A (ja) 2004-05-25 2005-12-08 Mitsugi Iwata 側臥用枕
KR20100117485A (ko) * 2009-04-25 2010-11-03 이국희 분리 상판들을 가진 자동 높이조절베개
JP2012130640A (ja) 2010-12-21 2012-07-12 Professors Co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7856A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2178568B1 (ko) 지압 및 쾌적 수면을 위한 가변형 베개
US9642757B2 (en) Tilt motion leisure adjustable bed base
WO2012169871A1 (en) Mattress with adjustable structure
KR101377045B1 (ko) 높이 조절식 베개
KR101914113B1 (ko)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WO2023202301A1 (zh) 一种床架、床垫及电动床
KR101796941B1 (ko) 베개 조립체
US8661591B1 (en) Shoulder pain alleviating mattress assembly
KR200474317Y1 (ko) 수면공간대
KR20047514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1485176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의자
CN214910318U (zh) 一种分区式个性化智能按摩床垫
KR20220152179A (ko) 시소동작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베개
CN211433943U (zh) 一种高度可调节的理疗床垫
CN101623160A (zh) 可调式枕头
CN204120686U (zh) 自动升降枕头
CN106821636B (zh)
CN207341502U (zh) 一种理疗床
CN206508092U (zh) 懒人颈托
WO2009049440A1 (fr) Lit réglé selon la courbure vertébrale d'un être humain
KR101223922B1 (ko) 사이즈 베개
CN104223872B (zh) 自动升降枕头
KR102668538B1 (ko) 베드용 상체 받침대
KR200307360Y1 (ko) 다기능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