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743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743B1
KR101376743B1 KR1020120091338A KR20120091338A KR101376743B1 KR 101376743 B1 KR101376743 B1 KR 101376743B1 KR 1020120091338 A KR1020120091338 A KR 1020120091338A KR 20120091338 A KR20120091338 A KR 20120091338A KR 101376743 B1 KR101376743 B1 KR 10137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shift
rotating member
vehicl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5118A (en
Inventor
허춘영
박정호
김대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743B1/en
Priority to US13/943,544 priority patent/US9435425B2/en
Priority to CN201310303370.8A priority patent/CN103574005B/en
Priority to EP13181264.6A priority patent/EP2687760B1/en
Publication of KR2014002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1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2Range selector apparatus with different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변속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접촉 여부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를 포함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various transmission pattern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Rotating member that rotates in both directions around the rotatio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shifting lever, a contact member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to generate a friction force, and a position adjuster for controlling the contac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Include.

Figure R1020120091338
Figure R1020120091338

Description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Transmission pattern control device for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변속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various transmission patterns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변속 장치(Transmission)의 기어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 장치에 있는 변속 레버(Shift lever)를 작동할 수 있다.In general, 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may have a gear ratio different in order to keep the rotation of the engine constant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 shift lever on the transmission can be operated to change the gear ratio of this transmission.

차량용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변속단을 바꿀 수 있는 수동 변속 모드와 운전자가 주행 모드(D단)를 선택한 경우 차량의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단을 바꾸는 자동 변속 모드로 나뉘어질 수 있다.The shift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shift mode in which the driver can manually change the speed change stage and an automatic shift mode in which the shift position is automatic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vehicle speed when the driver selects the drive mode (D- have.

또한, 하나의 변속 장치에서 수동 변속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스포츠 모드형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모드는 원칙적으로는 자동 변속을 수행하면서 운전자에 의해 기어의 단수를 높이거나 낮추어서 수동 변속을 수행하거나, 수동 변속을 하는 변속 장치 옆에 자동 변속을 할 수 있는 변속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게 된다.Further, a sports mode type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manual shifting and automatic shifting in one transmission is used. In the sport mode, a manual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raising or lowering the number of gears by the driver while performing an automatic shift, or a transmission for automatic transmission beside the manual transmission is additionally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변속 장치의 변속 모드는 크게 자동 변속 모드 및 수동 변속 모드로 나뉘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자동 변속 모드와 수동 변속 모드를 함께 사용하는 스포츠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ft mode of the vehicle transmission apparatus may be largely divided into an automatic shift mode and a manual shift mode, and in some cases, a sports mode using both the automatic shift mode and the manual shift mode may be used.

그러나, 변속 모드마다 변속 패턴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둘 이상의 변속 모드를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변속 모드라 할지라도 운전자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변속 패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운전자에 따라 변속 패턴을 서로 달리 구성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hift patterns are different for each shift mode, in order to use two or more shift modes together, the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s. In addition, even in the same shift mode, there may be a shift pattern preferred by each driver.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configure the shift patter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river.

따라서, 운전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변속 모드에서의 변속 패턴을 용이하게 선택하면서도 구성이나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easily increasing the configuration or the cost while selecting a shift pattern in the shift mode that is suitable for his or her tast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 변경 없이도 다양한 변속 패턴에 따라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to select a shift stage according to various shift patterns without a structural change.

또한, 특정 변속단에 대해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변속단 선택을 방지하는 시프트 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that can perform a shift lock function that prevents a shift stage selection when a condition is not satisfied for a specific shift st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는,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접촉 여부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on member that rotates in both directions about a rotatio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hift lever, the end of the rotation member in contact with the friction force And a positio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whether or not the contact member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above-described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구조 변경 없이도 변속 레버의 이동을 제어하여 운전자의 취향에 따른 변속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lect the shift pattern according to the driver's taste by controlling the shift lever movement without changing the structure.

또한, 특정 변속단에 대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변속단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프트 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shift lock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allowing the shift stage to be selected only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for the specific shift stag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가 도시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a plan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tac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ing and / or comprising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 or operations other than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 .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erspective view, cross-sectional view, side view, and / or schematic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stituent elem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device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ft pattern device of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sent invention FIG.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는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100), 회전 부재(100)의 일단에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접촉 부재(200) 및 접촉 부재(2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접촉 여부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ictional force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100, the rotating member 100 rotates in both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hift lever. It may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contac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200 and the contact member 200 for generating a.

회전 부재(100)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 부재(100)의 일면에는 변속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member 100 may rotat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110, and an insertion protrusion 120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shift leve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otation member 100.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삽입 홈이 변속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 홈은 변속 레버와 연결되어 변속 레버의 이동시에 변속 레버와 함께 이동하는 구성 요소들 중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 case where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hift lever, for examp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Among the components that move together with the shift lever when the shift lever is moved,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hift lever is formed.

회전 부재(100)는 변속 레버가 이동할 때 삽입 홈에 삽입된 삽입 돌기로 인하여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 부재(100)에 형성된 삽입 돌기(120) 및 변속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홈의 형성 위치는 변속 레버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rotation member 100 may rotat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110 due to the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shift lever moves. At this tim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formed on the rotation member 100 and the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hift lever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hift lever.

이때, 변속 레버는 일반적으로 직선 이동을 하기 때문에 회전 부재(100)가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삽입 돌기(120)는 회전 부재(100)의 외주 방향으로 회전 부재(100)의 회전 범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hift lever generally moves in a straight line,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0 so that the rotation member 100 rotates about the rotation shaft 110 as the shift lever moves. It may move along the guide groove 130 form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range of the member 10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돌기(120)는 도 4와 같이, 회전 부재(100)에서 변속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홈에 대응하는 일면에 회전 부재(100)의 회전 범위에 대응하는 길이(d)로 형성된 가이드 홈(130)을 따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홈(130)에 의해 변속 레버가 직선 이동을 할 때 회전 부재(100)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 홈(130)의 길이(d)는 변속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at is,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member 100 on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hift lever in the rotation member 100 as shown in FIG. 4.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long the guide groove 130 formed in the length (d). When the shift lever moves linearly by the guide groove 130, the rotation member 100 may rotat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110. In addition, the length d of the guide groove 13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부재(100)를 슬라이딩 구조 등을 이용하여 변속 레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변속 레버가 직선 이동을 할 때 회전 부재(100)가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삽입 돌기(120)나 삽입 홈 등은 생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rotating member 100 that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110 in accordance with the shifting of the shift lever, which is mere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member 100 may be implemented to mov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hift lever by using a sliding structure,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when the shift lever moves linearly, the rotation member 100 moves the rotation shaft 110. Insertion protrusion 120 or insertion groove, etc. to rotate to the center may be omitt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때, 도 6은 도 5에 비하여 회전 부재(100)가 변속 레버의 이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경우의 일 예이다.5 and 6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1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shift lever in comparison with FIG. 5.

회전 부재(100)의 현재 위치가 도 5와 같다면, 변속 레버가 이동함에 따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부재(100)도 회전축(11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도 6과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회전 부재(100)가 회전할 수 있는 두 방향 중 하나의 방향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그 반대 방향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도 5에 비하여 삽입 돌기(120)가 가이드 홈(130)의 일측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0 is the same as FIG. 5, as the shifting lever moves, the rotating member 100 also rotate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11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FIG. 5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6. In FIG. 6, only one of two directions in which the rotatable member 100 may rotate may be described, for example. However,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similarly rotated. In addition,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120 has moved to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30 in comparison with FIG. 5.

회전 부재(100)의 외주단(140)은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단(140)에는 단차가 형성되도록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 부재(100)의 외주단(140)이 단차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부재(100)의 외주단(140)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140 of the rotating member 1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140 may have a protrusion 141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 step is formed.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the case in which the step is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140 of the rotating member 100, this is only an example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ithout step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140 of the rotating member 100 may not be formed.

접촉 부재(200)는 회전 부재(100)의 외주단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41)가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 1접촉 부재(210) 및 제 2접촉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접촉 부재(210)가 고정 설치되고, 제 2접촉 부재(220)는 제 1접촉 부재(210)에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41)가 제 1접촉 부재(210) 및 제 2접촉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 부재(100)의 외주단(140)에 돌출부(141)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주단(140)이 제 1접촉 부재(210) 및 제 2접촉 부재(22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contact member 2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rotating member 100, and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eg,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protrusion 141 is inserted and positioned) may be provided. 22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bout the hinge shaft 230. It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protrusion 14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 When the protrusion 141 is not formed at the 140,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구체적으로, 제 1접촉 부재(210)는 회전 부재(100)의 돌출부(141)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하며 일단(예를 들어, 상단)이 회전 부재(100)의 일면(예를 들어, 상면)을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211), 회전 부재(1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절곡부(2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 1결합부(212,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곡부(211) 양측에 각각 복수의 제 1결합부(212, 213)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곡부(211)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141 of the rotating member 1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one end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100 may be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may include a bent portion 211 bent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212 and 213 respectively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211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0. Can be. At this tim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212 and 21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nt part 211 is described,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only on any one side.

복수의 제 1결합부(212, 213) 사이에는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이 위치하게 되며, 복수의 제 1결합부(212, 213)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 1결합 홀(212a, 213a)와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 형성된 제 2결합 홀(221)을 힌지축(230)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212 and 213,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212a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212 and 213 are respectively formed. The hinge shaft 23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hole 221 formed at one end of the 213a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따라서, 제 1접촉 부재(210) 및 제 2접촉 부재(220)는 힌지축(2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접촉 부재(210)가 고정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 2접촉 부재(220)가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shaft 23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where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is fixedly installed For example,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may rotate in one direction about the hinge shaft 230.

위치 조정부(300)는 구동부(310) 및 구동부(31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위치 조정부(300)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3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310 and a rod 320 moving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3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00 may include a solenoid.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로드(320)는 직선 이동을 하며, 제 2접촉 부재(220)에 형성된 관통 홀(222)을 관통하여 구동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The rod 320 may move in a straight lin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10 through the through hole 222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접촉 부재(220)의 양단 중 하나는 제 1접촉 부재(210)에 힌지축(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로드(310)와 연결되므로, 도 7과 같이 로드(310)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할 때 제 2접촉 부재(220)는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7에서 실선 화살표는 로드(320)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제 2접촉 부재(22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At this time, one of both ends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by the hinge shaft 230,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rod 310 Therefore, as shown in FIG. 7, when the rod 310 moves linearly in one direction,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may rotate about the hinge shaft 230. In this case, the solid line arrow in FIG. 7 indicat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d 320, and the dotted line arrow indicate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41)가 제 1접촉 부재(210)와 제 2접촉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위치 조정부(300)에 의해 로드(320)가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이 돌출부(131)의 일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 1접촉 부재(210)와 제 2접촉 부재(220)가 돌출부(141)에 양면에 각각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회전 부재(100)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4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n this case, the rod 320 is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position adjuster 300. When moving,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exerts a force on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31, and as a result,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41, respectively. By generating a frictional force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0.

회전 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접촉 부재(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 및 도 9와 같다. 이때, 도 8은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도 9는 접촉 부재(200)에 의해 회전 부재(100)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의 일 예이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tact member 200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0, as shown in Figs. In this case, FIG. 8 is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100 is rotatable, and FIG. 9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0 is restricted by the contact member 200.

도 8을 살펴보면, 제 1접촉 부재(210)와 제 2접촉 부재(220)는 돌출부(141)의 양면과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이격 공간에 돌출부(141)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변속 레버가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 부재(100)도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may be spaced apart from both surfaces of the protrusion 141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protrusion 141 may be positioned in the separation space. At this time, as the shift lever moves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member 100 also becomes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110.

전술한 도 8과 같이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위치 조정부(300)가 구동되어 로드(320)가 구동부(310)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2접촉 부재(220)는 도 8과 같이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도 9와 같이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141)의 일면에 밀착되면서 힘을 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돌출부(141)의 양면에 각각 제 1접촉 부재(210) 및 제 2접촉 부재(220)가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when the rotation member 100 is rotatabl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00 is driven to move the rod 320 toward the driving unit 310. As shown in FIG. 9, at least a part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thereby applying a force. The first contact member 210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urfaces of the protrusion 141.

이때, 제 2접촉 부재(220)에서 돌출부(141)의 일면에 맞닿는 일단은 돌출부(141)와의 마찰력을 보다 크게 발생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141)의 일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141)의 일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는 기준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to generate a greater friction force with the protrusion 141.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terion that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is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100 is rotatab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s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전술한 도 8같이 회전 부재(100)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141a)가 돌출부(141)의 일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나머지 일부(141b)는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조정부(300)의 로드(320)에 의해 제 2접촉 부재(220)가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회전 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전술한 도 9와 같이 전술한 도 8에서 돌출부(141)와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141a)이 돌출부(141)의 일면에 밀착되고, 나머지 부분(141b)이 경사진 상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100 is rotatable as shown in FIG. 8, at least one portion 141a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at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The portion 141b may be formed in parallel.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0 about the hinge axis 230 by the rod 320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300, the above-described FIG. As shown in FIG. 8, the protruding portion 141 and the inclined portion 141a ar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41, and the remaining portion 141b may have an inclined state.

이와 같이,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를 돌출부(141)의 일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이 전체적으로 돌출부(141)의 일면과 평행하다면 제 2접촉 부재(220)가 회전되었을 때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모서리 부분만이 돌출부(141)의 일면에 접촉하게 되나,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이 돌출부(141)의 일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이 가능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As such,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if the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generally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When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rotated, only an edge portion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contacts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but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a protrusion 141. This is because when the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contact is possible with a wider area, and a relatively large friction force can be generated.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141a)는 돌출부(141)의 일면과 경사지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141b)는 돌출부(141)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돌출부(141)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의 경사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ortion 141a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and the remaining portion 141b is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Although the case is formed by way of example, this is only an exampl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of the protrusion 141, the inclination angle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required.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 부재(100)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부(141)의 높이보다 제 2접촉 부재(220)에서 단축 방향의 폭이 넓기 때문에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에서 일부(141a)만이 돌출부(141)의 일면과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돌출부(141)의 높이가 제 2접촉 부재(220)에서 단축 방향의 폭보다 좁거나 같다면 제 2접촉 부재(220)의 일단이 전체적으로 돌출부(141)의 일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2접촉 부재(220)가 회전되었을 때 돌출부(141)의 일면과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dth of the short axis direction is wider in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than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41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0, a part 141a at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protrusion 14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However, if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41 is narrow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in the uni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disposed. One end of th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so that surfac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may be made when the second contact member 220 is rot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부(141)의 일면이 평평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41)의 일면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 2접촉 부재(220)에서 돌출부(141)의 일면에 접촉되는 부분도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is flat is described, for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may have an uneven shape, and in this case, the second contact member ( A portion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141 in the 220 may also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는 변속 레버가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각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변속 레버의 이동 방향에 따라 그 형성 방향에서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성이나 작용은 유사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hift lever mov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for each shift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shift direction of the shift lever. There are only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formation, and their construction or operation may be similar.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속 레버가 도 10과 같은 변속 패턴에 따라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는 경우, 변속 레버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속단을 선택하게 되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각각 형성되어 변속 레버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hift lever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pattern as shown in FIG. 10 to select the shift stage, the shift lever mov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select the shift stage. The shift pattern control device 1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of the invention is also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hift lev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는 변속 레버의 이동을 제한을 통하여 변속 레버가 특정 변속 패턴에 따른 이동 경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변속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변속 패턴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구조를 추가하지 않고 회전 부재(100)의 회전을 선택된 변속 패턴에 맞게 제한함으로써 용이하게 변속 패턴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shift lever to move the movement path according to a specific shift pattern by restricting the shift lever. Even when one of the shift patterns is selected and used, the shift pattern can be easily controlled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0 to the selected shift pattern without adding a separat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는 변속 패턴에 따른 변속 레버의 이동 제어뿐만 아니라, 특정 변속단에 대해서는 사전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변속단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프트 록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단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차량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에 에서만 선택이 가능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변속 레버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shift control of the shift lever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but also the selection of the shift stage only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for a specific shift stage.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shift lock function that can be made. For example, the R stage can be selected only when the brake pedal is pressed and the vehicle speed is below a predetermined speed, otherwise the movement of the shift lever can be restricted.

전술한 바와 같은 변속 패턴에 따른 이동 경로를 통해 변속 레버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시프트 록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 case in which the shift lever is moved through the shift path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as described above or the shift lock function is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다시 도 10을 살펴보면, 변속 레버가 변속 패턴에 따른 이동 경로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변속 패턴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일정 범위, 예를 들어, 폐곡선 형태로 차단벽(4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단벽"이라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일 뿐, 회전 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여 변속 패턴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변속 패턴의 외측을 따라 차단벽이 형성된 것처럼 구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gain, in order to allow the shift lever to move through the shift path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a blocking wall 41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range, for example, a closed curve,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shift pattern.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expressed as "blocking wall", but this is only an express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imiting the shift of the shift pattern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0 of the shift pattern It can be understood to implement as if a barrier is formed along the outside.

또한, 전술한 도 10과 같은 변속 패턴에서 시프트 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차단벽(410)과 유사하게 변속 잠금벽(420)을 이동 경로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싱에서는 "변속 잠금벽"이라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일 뿐, 변속 잠금벽(420)도 전술한 차단벽(410)과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200)에 의해 회전 부재(100)의 회전을 제한하여 변속 레버의 이동 경로 상에 변속 잠금벽(420)이 형성된 것처럼 구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shift lock function in the shift pattern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hift lock wall 420 may be formed on the movement path similar to the blocking wall 410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ea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a "shift lock wall", but this is merely an expression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ift lock wall 420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blocking wall 410 as the contact member 200. 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0 by it can be understood to implement as if the shift lock wall 420 is form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hift le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10의 변속 패턴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속 패턴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변속 레버가 복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변속 레버의 이동 방향별로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을 형성함으로써 각 방향에 대한 변속 레버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ft pattern of FIG. 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shift pattern of FIG. 10 is merely an example to help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imilarly applied to various shift patterns. In addition, when the shift lever mov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mited for each shifting direction of the shift lever to restrict the shift of the shift lever in each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1)는 변속 레버의 이동을 변속 패턴에 맞도록 제어하여 하나의 변속 패턴이 아닌 다양한 변속 패턴에서도 변속 레버가 해당하는 변속 패턴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특정 변속단에 대한 시프트 록 기능의 구현도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선호하는 변속 패턴에 사용하고자 할 때 구성이나 비용의 증가 없이도 용이하게 다양한 변속 패턴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1 of the vehicle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shifting of the shift lever to match the shift pattern so that the shift lever corresponds to the shift pattern even in various shift patterns instead of one shift pattern. Not only can it move along, but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shift lock function for a specific shift stag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a variety of shift patterns without increasing the configuration or cost when using it for a driver's preferred shift pattern. It can be don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회전 부재
110: 회전축
120: 삽입 돌기
130: 가이드 홈
140: 외주단
141: 돌출부
200: 접촉 부재
210: 제 1접촉 부재
220: 제 2접촉 부재
230: 힌지축
300: 위치 조정부
310: 구동부
320: 로드
100: rotating member
110:
120: insertion protrusion
130: guide groove
140: outer circumference
141: protrusion
200: contact member
210: first contact member
220: second contact member
230: hinge shaft
300: position adjustment unit
310: drive unit
320: load

Claims (12)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접촉 여부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변속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 및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Rotating member to rotat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shifting of the shift lever;
A contact member contacting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to generate a friction force; And
It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ac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n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shift lever; And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comprising a guide groove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rotrusion is moved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변속 레버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에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접촉 여부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외주단이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외주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Rotating member to rotat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shifting of the shift lever;
A friction member contacting 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to generate a friction force; And
It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act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member,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including a protrusion project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외주단이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외주단의 적어도 일부가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including a protrusion proj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일단이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제 1접촉 부재 및 제 2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이격된 이격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The contact member
A first contact member and a second contact member positioned at one en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rojection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located between the spaced apart sp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단 일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 및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절곡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 1결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ontact member,
Located at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rotating member, one end bent in the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nt portion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촉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 1결합부 사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contact member,
A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in which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접촉 부재 및 상기 제 2접촉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 1결합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 1결합 홀 및 상기 제 2접촉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 2결합 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tact member and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and a hinge shaft penetrating through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in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제 2접촉 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에 삽입되며,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including a rod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contact member and moving in one dire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접촉 부재는,
상기 로드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이 결정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contact member,
The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transmission in which a direction of rotation about the hinge axi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o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을 통해 상기 제 1접촉 부재에 연결되는 상기 제 2접촉 부재의 일단에서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 패턴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second contact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member via the hinge axis is
Shift pattern control apparatus of a vehicle transmiss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KR1020120091338A 2012-07-19 2012-08-21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376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38A KR101376743B1 (en) 2012-08-21 2012-08-21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US13/943,544 US9435425B2 (en) 2012-07-19 2013-07-16 Haptic feedback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CN201310303370.8A CN103574005B (en) 2012-07-19 2013-07-18 Automotive transmission
EP13181264.6A EP2687760B1 (en) 2012-07-19 2013-08-21 Automotiv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38A KR101376743B1 (en) 2012-08-21 2012-08-21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18A KR20140025118A (en) 2014-03-04
KR101376743B1 true KR101376743B1 (en) 2014-03-24

Family

ID=5064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38A KR101376743B1 (en) 2012-07-19 2012-08-21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7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754B1 (en) * 2015-06-30 2018-12-13 에스엘 주식회사 Transmission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638A (en) * 2003-06-23 2005-01-20 Yanmar Co Ltd Gearshift lever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638A (en) * 2003-06-23 2005-01-20 Yanmar Co Ltd Gearshift leve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18A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3784A1 (en) Transmission control assembly having a locking mechanism
JP4903698B2 (en) Vehicle shift device with an electric pawl having a neutral lock
US20180094719A1 (en) A Shifter Assembly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Gears Of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Selecting The Same
US9377100B2 (en) Shifter assembly
KR102457120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EP2966320B1 (en) Multi-speed transmission for vehicle
EP1705408A2 (en) Manual transmission
US7530286B2 (en) Shift lock assembly
KR101951462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37674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tern of automotive transmission
KR20160128823A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2412104B1 (en) Transmission lever having n range shift lock
CN106838297B (en) For controlling the device of manual transmission shift
US9441730B2 (en) Shift lever assembly for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US10927951B2 (en) Shift by wire shifter device
KR20180055448A (en) Automotive transmission
CN106931152A (en) Gear lever apparatus
KR101928754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411659B1 (en) Semi-automatic gearbox for rotating shift forks
KR20200079951A (en) Automotive tranmission
JPH09264424A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hift fork
KR102289737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20200029781A (en) Automotive tranmission
KR101682191B1 (en) A transmission controller for vehicle
KR102031830B1 (en) Detent for shift le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