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448A - Automotiv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utomotive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448A
KR20180055448A KR1020160153322A KR20160153322A KR20180055448A KR 20180055448 A KR20180055448 A KR 20180055448A KR 1020160153322 A KR1020160153322 A KR 1020160153322A KR 20160153322 A KR20160153322 A KR 20160153322A KR 20180055448 A KR20180055448 A KR 2018005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tary
joystick
groove
bu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5358B1 (en
Inventor
허춘영
양지훈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58B1/en
Publication of KR2018005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4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47Ratio selector apparatus with essentially straight linear movement for gear selection, e.g. straight selection movement using detent mechanism for improving fee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knob; a lever coupled to the knob, moving in conjunction with operation of the knob, and vertically moving between first position and second position; a lever moving unit moving the lever;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receiving a driving force to be driven to move the lever moving unit; and a mot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unit with the driving force.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the lever moving unit, the lever can move between the first position for a first transmission detecting mode and the second position for a second transmission detecting mode so that a rotary mode and a joystick mode can be selectively used through one configuration.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 {Automotive transmission}[0001] Automotive transmission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ular transmission that is positioned in a vehicle interior and allows a driver to select a speed change stage.

일정 범위 내의 rpm을 갖는 엔진을 이용해 저속부터 고속에 이르는 차량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의 rpm에 기어비를 변화시키며 구동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변속 장치를 장착한다. 또한 차량용 변속 장치는 엔진의 출력을 역으로 전달하여 차량을 후진하게 하는 기능도 포함한다.In order to realize a vehicle speed ranging from low speed to high speed by using an engine having an engine speed within a certain range, a vehicle generally mounts a speed change device that changes the gear ratio to the rpm of the engine and changes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wheel. The vehicle transmission also includes a function of reversing the output of the engine to reverse the vehicle.

운전자는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노브를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함으로써 기어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driver can change the gear ratio by operating the knob located next to the driver's seat and selecting the gear position.

변속 장치는 수동 변속 장치와 자동 변속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The transmission is broadly divided into a manual transmission and an automatic transmission.

수동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추어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직접 선택하는 변속 장치이고, 자동 변속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부하, 스로틀 밸브의 개방량 등에 따라 차량의 ECU가 변속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다.The manual transmission is a shift device that directly selects the gear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automatic transmission includes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 engine load, The ECU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adjusts the speed change stage according to the opening amount and the like.

자동 변속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정차 시에 사용되는 P단, 차량의 전진에 사용되는 D단, 차량의 후진에 사용되는 R단 및 엔진의 출력이 구동륜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N단을 포함하는 변속단으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generally includes a P stage used for driving a vehicle at an emergency, an D stage used for advancing the vehicle, an R stage used for backing the vehicle, and an N stage for blocking the output of the engin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rive wheel And a speed change stage.

운전자는 노브를 이용하여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데, 노브의 대표적인종류로는 조이스틱 타입과 로터리 타입이 있다. 그 외에 각 변속단이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차종도 있다.The operator can select each gear using the knob. Joystick type and rotary type are the representative types of knob. In addition, there are some vehicles with each speed range button type.

도 1은 일반적인 조이스틱 타입의 노브를 도입한 변속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이스틱 타입은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이 일렬 배치되고 조이스틱을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조이스틱 타입으로서, PRND의 변속단 위치가 고정되어 않고 조이스틱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틸팅 후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조이스틱의 틸팅 방향에서 따라 PRND가 차례대로 변하는 방식으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스테이블(stable) 타입의 변속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FIG. 1 shows a transmission device 100 incorporating a general joystick type knob. The general joystick type is arranged so that the gear position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PRND and the joystick is moved in a linear direction to select each gear position. In recent years, as the joystick type, the position of the gear position of the PRND is not fixed, and the joystick is configured to return after being tilted in pla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so that the gear position can be sele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ND changes sequentially in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joystick A stable type transmission is used.

도 2는 일반적인 로터리 타입의 노브를 도입한 변속 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로터리 타입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로터리의 주변으로 PRND의 변속단이 위치하고 로터리의 특정 포인트를 PRND의 각 변속단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2 shows a transmission 200 incorporating a knob of a general rotary type. The rotary type is configured so that the gear position of the PRND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otary that rotates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nd the gear position can be selected by positioning a specific point of the rotary on each gear position of the PRND.

조이스틱 타입 또는 로터리 타입의 노브가 장착된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PRND의 변속단을 선택하는 때에 변속단의 변화 및 노브가 각 변속단에 위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절도감을 촉각적으로 전달한다.A shift device equipped with a joystick type or rotary type knob tactilely transmits a sense of throttling so that when the driver selects the gear position of the PRND, the change of the gear position and the knob are located at each gear posi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구성으로 로터리 타입과 조이스틱 타입의 변속 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ular transmission that can selectively use a rotary type and joystick type transmission in on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노브; 상기 노브와 결합되고, 상기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상기 레버를 이동시키는 레버 이동부;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레버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에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는 제1 변속 감지 모드를 위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변속 감지 모드를 위한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transmission including: a knob; A lever coupled to the knob and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knob, the lever being vertically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 lev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lever;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that is driven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and move the lever moving portion; And a motor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wherein the lever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for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to the second position for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Position.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외주면과 치합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lead screw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hollow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the lev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a rotation nut engag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 screw and connected to the motor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레버 이동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아우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회전 너트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레버 이동부를 관통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 너트가 상기 리드 스크류에 대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너트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레버 이동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rein the lead screw is fixed to an outer bracket accommodating the lever moving part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art, the lever moving part accommodating the rotating nut and the motor, the lead screw passing through the lever moving part, The motor may move the lever mov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nut so that the rotating nut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with respect to the lead screw.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회전 너트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 너트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 이동부 몸체;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의 하방에서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 너트가 안착되는 레버 이동부 바닥; 및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의 상방에서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와 결합되는 레버 이동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ever moving unit includes: a lever moving body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nut and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nut; A bottom of the lever moving part coupled to the lever moving part body below the lever moving part body and on which the motor and the rotating nut are seated; And a lever moving part cover coupled to the lever moving body at a position above the lever moving body.

상기 모터는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웜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너트는 외주면에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tor includes a rotating driving shaft and a worm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and the rotating nut may include a worm wheel that engages with the worm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이동부에 수용되는 레버 기능부가 형성되되, 상기 레버 기능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레버의 회전축으로 작용할 수 있다.Wherein a lever functio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lever mov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the lever function portion is formed to give a feeling of operation to the driver when the lever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It can act as a rotation axis of the lever.

상기 레버 기능부의 일단에는,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도록 하는 로터리 불릿이 형성될 수 있다.A rotary bulle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function unit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give a driver a sense of operation when the lever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상기 로터리 불릿의 타단에 로터리 마그넷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자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ry bulle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agnetic force sensor having a rotary magnet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sens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ary magnet.

상기 레버 이동부 커버는 상기 로터리 불릿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로터리 불릿의 하면과 접촉하는 로터리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불릿은 상기 레버 이동부 커버와 상기 로터리 그루브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Wherein the lever moving part cov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bullet and the lever mov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bullet, and the rotary bullet is rotated by the lever moving part cover and the rotary groove It can be support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로터리 그루브는 상기 로터리 불릿의 하면과 접촉하고 'V'자 형으로 형성되는 로터리 그루브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ry groove may include a rotary groov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rotary bullet and is formed in a V shape.

상기 로터리 그루브면은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도록 복수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빗면일 수 있다. The rotary groove surface may be an oblique surface formed at a plurality of slopes so as to give a driver a sense of operation.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로터리 그루브에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그루브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ever 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groove spring for swingably supporting the rotary groove by being connected to the rotary groove at one end.

상기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와 연결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rotary groove spring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moving body.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그루브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기능부는 상기 그루브 롤러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축으로 작용하고, 상기 그루브 롤러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조이스틱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ever function portion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groove roller and acts as a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the lever function portion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And a joystick rod supported by the joystick.

상기 그루브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그루브 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이스틱 마그넷; 및 상기 조이스틱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자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joystick magnet which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groove roller; And a second magnetic force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joystick magnet.

상기 조이스틱 마그넷 및 상기 그루브 롤러는 서로 치합될 수 있다.The joystick magnet and the groove roller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그루브 롤러는 일측면에 'V'자 형으로 형성되는 조이스틱 그루브면을 포함하고, 불릿 하우징; 상기 불릿 하우징에 수용되고, 일면이 상기 조이스틱 그루브면에 접촉하는 조이스틱 불릿; 및 일단이 상기 불릿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이스틱 불릿의 타면에 연결되어 상기 조이스틱 불릿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이스틱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groove roller includes a joystick groove surface formed at one side thereof in a 'V' shape, the bullet housing including: A joystick bullet housed in the bullet housing and having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joystick groove surface; And a joystick sp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ullet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joystick bullet to swingably support the joystick bullet.

상기 조이스틱 그루브면, 상기 불릿 하우징, 상기 조이스틱 불릿 및 상기 조이스틱 스프링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joystick groove surface, the bullet housing, the joystick bullet, and the joystick spring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상기 조이스틱 그루브면은 복수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빗면일 수 있다. The joystick groove surface may be an oblique surface formed by a plurality of slop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변속 감지 모드 및 상기 제2 변속 감지 모드 간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와 상기 레버 이동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ular transmission includes a mode switching butt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and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to the motor according to a driver's operation, And a cover positioned between the knob and the lever moving uni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하나의 구성으로 로터리 타입과 조이스틱 타입의 변속 장치를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 rotary type and the joystick type shift device can be selectively used by the driver in one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기존의 조이스틱 타입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로터리 타입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레버 이동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사용되는 회전 너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사용되는 리드 스크류와 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내부 구조를 하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로터리 모드에서 레버 이동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로터리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로터리 모드에서 노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조이스틱 모드에서 레버 이동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조이스틱 모드에서의 작동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조이스틱 모드에서 노브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joystick type transmiss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otary type transmiss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ver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lever moving part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nut used in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lead screw and a lever used in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lever moving part in a rotary mode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the position of the knob in the rotary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lever moving part in a joystick mode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the joystick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the position of the knob in the joystick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크게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노브(11), 노브(11)의 하부에 연결되는 레버(12), 레버(12)를 둘러싼 리드 스크류(70), 리드 스크류(70)와 연결되는 레버 이동부(50) 및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2)으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3, a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11 protruded upward, a lever 12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knob 11, a lever 12 A lead moving part 50 connected to the lead screw 70 and an upper housing 21 and a lower housing 22.

상부 하우징(21)과 하부 하우징(22)을 포함하는 아우터 브라켓(2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최외곽에 위치하여, 차량용 변속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요인으로부터 보호하고, 움직여서는 안되는 구성요소들이 고정되고, 움직이는 구성요소들이 고정된 차체로부터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차체에 직접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The outer bracket 20 including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2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transmission 1 are separated from external factors Components that are to be protected and which are not to be moved are fixed, and the moving components are fix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so as to have relative motion from the fixed body.

레버(12)는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노브(11)가 더 결합되어 운전자에게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레버(12)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하는데, 후술할 조이스틱 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후술할 로터리 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해 레버(12)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The lever 12 is a component for changing the speed range of the vehic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knob 11 can be furth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to provide a stable grip to the driver. In the joystick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river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driver. In the later-described rotary mode, the driver rotates the lever 12 by the rotation axis The speed range can be selected in the order of PRND.

레버(12)는 노브(11)의 하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레버(12)의 일단은 노브(11)의 하단에 연결되되, 타단은 리드 스크류(70)의 내부로 삽입된다. 노브(11)와 레버(12)는 운전자의 조작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조작부(10)로 지칭될 수 있다.The lever 1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knob 11 and extends downward. One end of the lever 1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knob 11,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lead screw 70. The knob 11 and the lever 12 are components that transmit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nd can be referred to as the operating portion 10. [

리드 스크류(70)는 레버(12)를 내부에 수용해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하부 하우징(22)에 연직 방향으로 고정된다.The lead screw 7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lever 12 to be accommodated therein and can move up and down, and is fixed to the lower housing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리드 스크류(70)와 레버(12)의 구조 및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The structure and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lead screw 70 and the lever 12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회전 너트(40)는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드 스크류(7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어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너트이다. 이와 같은 리드 스크류(70)와 회전 너트(40)는 상호작용에 의해 후술할 모터(41)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레버 이동부(50)를 승하강시키므로, 구동력 전달부라 칭한다. 그 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rotary nut 40 is a nut that is engaged with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ad screw 7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70. The lead screw 70 and the rotation nut 40 move up and down the lever moving part 50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motor 41 by a mutual acti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레버 이동부(50)은 내부에 모터(41), 회전 너트(40) 및 레버(12)를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레버 이동부(50)은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를 외부의 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서로 구속시킴으로써 회전 너트(40)가 모터(41)로부터 받은 회전력이 레버 이동부(50)의 승하강에 사용되도록 한다. 레버 이동부(50)이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함으로써, 레버 이동부(50)이 수용하고 있는 구성요소들 역시 승하강 하게 된다.The lever moving portion 50 is a component that houses the motor 41, the rotating nut 40, and the lever 12 therein. The lever moving part 50 protects the components contained therein from external factors and restrains them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received by the rotating nut 40 from the motor 41 is transmitted to the lever moving part 50 To be used for descent. The lever moving part 5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70 so that the components accommodated by the lever moving part 50 also move up and down.

레버 이동부(50)이 모터(41), 회전 너트(40) 및 레버(12)를 수용하는 형태 및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The configuration and specific configuration in which the lever moving section 50 accommodates the motor 41, the rotation nut 40 and the lever 1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후술할 조이스틱 모드에서 변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가 내부에 삽입되는 그루브 롤러(60) 및 그루브 롤러(60)의 외주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조이스틱 마그넷(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이스틱 모드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이 작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A groove roller 60 into which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are inserted and a joystick magnet 60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60 to be shifted in a joystick mode, 81). The way in which these components work in the joystick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12 to 14.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커버(30)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ver 30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상이한 2개의 변속 감지 모드를 가진다. 이는 제1 변속 감지 모드 및 제2 변속 감지 모드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변속 감지 모드는 노브(11)를 돌려 레버(12)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조작해 로터리 타입의 변속 장치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를 사용하는 로터리 모드이다. 제2 변속 감지 모드는 노브(11)를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상기 회전축과 다른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레버(12)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이스틱 타입의 변속 장치와 같이 차량용 변속 장치(1)를 사용하는 조이스틱 모드이다.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different shift detection modes. This can be expressed by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and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is a rotary mode in which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such as a rotary type transmission, by operating the knob 11 by rotating the lever 12 about the rotation axis.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joystick 12 is shifted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by rotating the lever 12 about an axi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axis, Mode.

이와 같이 상이한 2개의 변속 감지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레버(12)와 노브(11)가 위치하는 영역을 둘러싸고, 노브(11)와 레버 이동부(50)의 사이에 형성되는 커버(30)에 모드 전환 버튼(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버튼(32)을 누름에 따라서 모터(41)에 신호가 전달되어 로터리 모드와 조이스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드 전환 버튼(32)의 신호 전달에 따른 모터(41)의 작용에 대해서는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후술한다.In order to switch between the two different shift sensing modes,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region where the lever 12 and the knob 11 are located, and the knob 11 and the lever moving portion 50 The mode switching button 32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cover 30 formed between the cover 30 and the cover 30.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tor 41 in response to the depress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32 to select the rotary mode and the joystick mode.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in response to the signal transmission of the mode switching button 32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 밖에 커버(30)에는 P단에 해당하는 파킹 버튼(3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의 파킹 버튼(31)은 EPB(electric parking brake)의 작동 버튼일 수 있다. 또는 P단 변속단을 설정하는 버튼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레버(12)에 의해 선택되는 변속단이 RND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parking button 31 corresponding to the P-stage may be formed on the cover 30. The parking button 31 of the cover 30 may be an operation button of an electric parking brake (EPB). Or a button for setting the P-speed range stage. In this case, the speed change stage selected by the lever 12 can be made in the order of RND.

도 4에서는 파킹 버튼(31) 및 모드 전환 버튼(32)이 커버(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버튼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4, the parking button 31 and the mode switching button 3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3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butt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레버 이동부(50) 및 레버(12)가 승하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5 to 8,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process in which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the lever 12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cend and descen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레버 이동부(5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에 사용되는 회전 너트(4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에 사용되는 리드 스크류(70)와 레버(1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내부 구조를 하단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ever moving part 50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nut 40 used in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lead screw 70 and the lever 12 used in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ottom.

레버 이동부(5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너트(40), 모터(41) 및 레버(12)가 수용된다. 다만 도 5에서는 레버(12)의 모든 부분을 도시하지 않고, 레버 이동부(50)에 수용되는 부분인 로터리 불릿(14)만을 도시하였다. The rotary nut 40, the motor 41 and the lever 12 are accommodated in the lever moving part 50 as described above. 5, not all of the lever 12 is shown, but only the rotary bullet 14, which is a portion accommodated in the lever moving portion 50, is shown.

또한 레버 이동부(50)은 로터리 불릿(14)의 좌우방향 움직임에 따라 연직 상하방으로 요동하는 로터리 그루브(52), 일단은 로터리 그루브(52)에 연결되고 타단은 레버 이동부 몸체(57)에 연결되어 로터리 그루브(52)가 레버 이동부 몸체(57)에 대해 요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 레버 이동부(50)의 상하면이 되는 레버 이동부 커버(53) 및 레버 이동부 바닥(56), 전체를 아우르는 레버 이동부 몸체(57)로 구성될 수 있다. 로터리 그루브(52)의 요동 운동에 대해서는 로터리 모드 및 조이스틱 모드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The lever moving part 50 is connected to the rotary groove 52 at one end and to the lever moving body 57 at the other end by a rotary groove 52 swinging vertically upward and downward according to the lateral movement of the rotary bullet 14, A rotary groove spring 51 which is connected to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rotary groove 52 can swing with respect to the lever moving body 57, a lever moving part cover 53 which i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a lever moving part bottom 56, and a lever moving part body 57 covering the whole. The rocking motion of the rotary groove 5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otary mode and the joystick mode.

상술한 모드 전환 버튼(32)을 누름으로써, 레버 이동부(50)이 수용하는 모터(41)에 제어 신호가 전달된다. 승강 또는 하강하라는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41)가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41)의 구동축(42)에 연결된 웜(43)이 회전 너트의 외주면(401)에 형성된 웜 휠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모터(41)는 DC 모터(41)인 것이 바람직하나, 모터(41)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tor 41 accommodated by the lever moving section 50 by depressing the mode switching button 32 described above. The motor 41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o ascend or descend and the worm 43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2 of the motor 41 rotates the worm wheel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01 of the rotary nut . The motor 4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DC motor 41, but the type of the motor 41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너트(40)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회전 너트(40)는 일반적인 너트와 유사하게 원환체의 형태로 구성되어, 내주면에는 일반적인 너트와 동일하게 길이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은 리드 스크류(70)의 나사산(71)에 대응되는 암나사의 형태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nut 40 can be confirmed in more detail. The rotary nut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orus similar to a general nut,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read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ike a general nut. The threa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emale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read 71 of the lead screw 70.

그러나 회전 너트의 외주면(401)은 일반적인 너트의 형태와 상이하게, 모터(41)의 구동축(42)에 연결된 웜(43)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웜 휠의 구조를 가지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Howe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01 of the rotary nut is formed with threads different from those of a general nut so as to have a worm whee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of the worm 43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2 of the motor 41.

따라서 회전 너트의 내주면(402)은 리드 스크류(70)에 치합되고, 회전 너트의 외주면(401)은 모터(41)에 연결된 웜(43)에 치합되며, 그에 따라서 모터(41)에 연결된 웜(43)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력을 받은 회전 너트(40)가 회전하게 된다. 리드 스크류(70)는 하부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력을 받은 회전 너트(40)는 리드 스크류(70) 상에서 회전하면서 승하강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02 of the rotation nut is engaged with the lead screw 7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01 of the rotation nut is engaged with the worm 43 connected to the motor 41, 43 rotate, the rotary nut 40,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rotates. Since the lead screw 70 is fixed to the lower housing 22, the rotary nut 40,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moves up and down while rotating on the lead screw 70.

회전 너트(40)는 레버 이동부(50) 내에서 상하방이 구속되나 회전축인 리드 스크류(7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 너트(40)가 회전하여 승하강함에 의해 레버 이동부(50)도 승하강하게 된다.The rotary nut 40 is restrained in the lever moving part 50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but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lead screw 70 which is a rotary shaft. Accordingly, the lever moving part 50 also ascends and descends due to the rotating nut 40 moving up and down.

레버 이동부(50)이 전체적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레버 이동부(50)의 상방에서 레버 이동부 커버(53)와 로터리 그루브(52)의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된 로터리 불릿(14) 역시 승하강한다. The rotary bullet 14 clamped and fixed between the lever moving portion cover 53 and the rotary groove 52 at an upper portion of the lever moving portion 50 is also lifted and lowered do.

도 7을 참조하면, 리드 스크류(70)와 레버(12)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레버(1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브(11)가 연결될 수 있고, 리드 스크류(70)에 삽입되는 타단에는 로터리 불릿(14),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를 포함하는 레버 기능부(13)이 형성된다. 레버 기능부(13)의 기타 구성에 대해서는 로터리 모드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고, 도 7에서는 로터리 불릿(14)이 형성된 방향에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 screw 70 and the lever 12 can be confirmed. The knob 11 can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ver 12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otary bullet 14, the rotary magnet 80, A lever function portion 13 including a lever 15 is formed. Other configurations of the lever function unit 13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rotary mode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ry bullet 14 is formed in Fig.

로터리 불릿(14)은 레버(12)의 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레버(12)의 말단에 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구성요소이다. 로터리 불릿(14)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 위치에는 후술할 로터리 마그넷(80)이 형성될 수 있다.The rotary bullet 14 is a cylindrical element formed at the end of the lever 12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12. A rotary magnet 8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rotary bullet 14 is formed.

리드 스크류(70)는 레버(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이 뚫려있고, 이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뚫린 공간을 중공이라고 한다. 일단은 레버(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나 타단은 하부 하우징(22)에 고정된다. 리드 스크류(70)는 연직 상방을 향해 고정되어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71)이 형성되어, 회전 너트(40)가 리드 스크류(70) 상에서 나사산(71)을 따라 회전하며 연직 상하방, 즉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ad screw 70 is center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ever 12 can be inserted, and the space thu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hollow. One end is opened to allow the lever 12 to be insert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housing 22. [ The lead screw 70 is fixed vertically upward and a screw thread 7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otary nut 40 rotates along the thread 71 on the lead screw 70 and rotates vertically up and down, (7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리드 스크류(70)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외부로 개방된 나사 홈(72)이 형성될 수 있고, 나사 홈(72)의 하단은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73)를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뒤집힌 'T'자 형의 나사 홈(7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나사 홈(72)은 리드 스크류(7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반대 면에도 대칭되는 형상으로 1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A screw groove 72 opened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 screw 70 and a lower end of the screw groove 72 may include an extended portion 73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 'T' shaped screw groove 72 can be formed. Further, the screw groove 72 may be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the opposite surface symmetrical about the rotational axis of the lead screw 70 as well.

이와 같이 개방된 나사 홈(72)에는 레버(12)의 로터리 불릿(14)이 삽입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70)에 레버(12)가 삽입됨과 동시에 로터리 불릿(14)이 나사 홈(72)에 삽입됨으로써, 레버(12)가 중공 내에서 제한 없이 회전하지 않고 일정 각도 내에서 회동하도록 규제한다. 또한 레버(12)가 중공 내에서 승하강 할 때 로터리 불릿(14)이 나사 홈(72)에 의해 규제되므로, 나사 홈(72)이 레버(12)의 승하강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 즉, 뒤집힌 'T'자 형의 나사 홈(72)을 따라 그 안에서 로터리 불릿(14)이 이동할 수 있다.The rotary bullet 14 of the lever 12 is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72 thus opened. The lever 12 is inserted into the lead screw 70 and the rotary bullet 14 is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72 so that the lever 12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hollow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do. Since the rotary bullet 14 is regulated by the screw groove 72 when the lever 12 ascends and descends in the hollow, the screw groove 72 can be the rising and falling guide lines of the lever 12. [ That is, the rotary bullet 14 can move along the inverted 'T' shaped screw groove 72.

도 5로 돌아가서, 나사 홈(72)에 삽입된 로터리 불릿(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 이동부(50)을 구성하는 로터리 그루브(52)와 레버 이동부 커버(53) 사이에 협지된다. 이에 따라 레버 이동부(50)이 레버(12)를 수용하게 된다. 5, the rotary bullet 14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72 is sandwiched between the rotary groove 52 and the lever moving portion cover 53 constituting the lever moving portion 50 as described above. Thus, the lever moving part 50 receives the lever 12.

레버 이동부(50)은 모터(4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너트(40)의 움직임에 의해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하므로, 레버 이동부(50)의 구성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로터리 불릿(14) 역시 레버 이동부(5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로터리 불릿(14)은 레버(12)의 구성요소이므로, 로터리 불릿(14)의 이동에 따라 레버(12)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이동량만큼을 이동하게 된다. 즉, 모터(41)의 회전에 의해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버(12)가 승하강하는 것이다.The lever moving part 50 move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70 due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nut 40 rotated by the motor 41 so that the lever moving part 50 is supported by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lever moving part 50 The rotary bullet 14 is also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ver moving part 50. Since the rotary bullet 14 is a component of the lever 12, the lever 12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same amount of movement as the rotary bullet 14 moves. That is, the lever 12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70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41.

상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레버 이동부(50) 및 레버(12)는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버 이동부(50) 및 레버(12)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서 도달할 수 있는 위치 중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가 존재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the lever 12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can be mov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are located at positions that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the lever 12 can reach by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exist.

제1 위치(P1)는 차량용 변속 장치(1)가 제1 변속 감지 모드, 즉 로터리 모드에 따른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이다. 로터리 불릿(14)이 리드 스크류(70)의 나사 홈(72) 중 최하방에서 외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 제1 위치(P1)에 도달한 것이다.The first position P1 is a position at which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can perform the shift according to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i.e., the rotary mode. When the rotary bullet 14 reaches a position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lowermost one of the thread grooves 72 of the lead screw 70, the first position P1 is reached.

제2 위치(P2)는 차량용 변속 장치(1)가 제2 변속 감지 모드, 즉 조이스틱 모드에 따른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이다. 로터리 불릿(14)이 나사 홈(72) 중 상측 영역에 위치하고 후술할 그루브 롤러(60)에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가 삽입되어 안착될 때, 제2 위치(P2)에 도달한 것이다. The second position P2 is a position at which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can perform the shift according to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i.e., the joystick mode. When the rotary bullet 14 is position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thread groove 72 and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roller 6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변속 감지 모드, 즉 로터리 모드에서 변속 감지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한다.Hereinafter, how the shift sensing is performed in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i.e., the rotary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로터리 모드에서 레버 이동부(5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로터리 모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로터리 모드에서 노브(11)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ever moving part 50 in the rotary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ry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the position of the knob 11 in the rotary mode of the vehicle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위치(P1)에 레버 이동부(50) 및 레버(12)가 위치할 때, 도 11에서 확인할 수있듯이 노브(11)는 커버(30)에 밀착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조이스틱 방식으로 노브(11)를 조작하기 보다는 로터리 타입으로 노브(11)를 조작하기에 보다 적합하다.When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the lever 12 ar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P1, the knob 11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30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more suitable for the operator to operate the knob 11 in a rotary type than to operate the knob 11 in a joystick manner.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 노브(11)를 회전시킴에 따라, 노브(11)에 결합된 레버(12)가 노브(1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lever 12 coupled to the knob 11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knob 11 as the driver rotates the knob 11 for shifting about the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70. [ .

레버(12)가 노브와 결합되지 않은 일단에는 레버 기능부(14)가 형성된다. 레버 기능부(14)는 일단에 상술한 로터리 불릿(1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술한 로터리 마그넷(80)이 형성된다. 또한 로터리 불릿(14)과 로터리 마그넷(80)의 사이에 후술할 조이스틱 로드(15)를 더 포함한다. 레버 기능부(14)는 레버(12)가 제1 위치(P1)에 위치할 때 로터리 불릿(14)의 작용에 의해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고, 후술할 바와 같이 레버(12)가 제2 위치(P2)에 위치할 때 조이스틱 로드(15)와 로터리 마그넷(80)의 작용에 의해 레버(12)의 회전축이 된다. A lever function portion 1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12 that is not engaged with the knob. The lever function unit 14 has the rotary bullet 14 described above at one end and the rotary magnet 80 described above at the other end. And further includes a joystick rod 15 to be described later between the rotary bullet 14 and the rotary magnet 80. [ The lever function portion 14 gives a feeling of operation to the driver by the action of the rotary bullet 14 when the lever 12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Pl and the lever 12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lever 12 is rotated by the action of the joystick rod 15 and the rotary magnet 80. [

레버(12)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12)의 말단에 위치한 로터리 불릿(14)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리드 스크류(70)의 나사 홈(72)은 레버(12)가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연장되어 있으므로, 로터리 불릿(14)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한다.As the lever 12 rotates, the rotary bullet 14 located at the end of the lever 12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Since the thread groove 72 of the lead screw 70 extend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12 rotates, the range in which the rotary bullet 14 can rotate is determined.

로터리 불릿(14)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 이동부(50)을 구성하는 로터리 그루브(52) 및 레버 이동부 커버(53)의 사이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로터리 불릿(14)의 회전에 따라 로터리 불릿(14)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들에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로터리 그루브(52)의 중심영역에 형성된 로터리 그루브면(521)에 로터리 불릿(14)이 접하므로, 로터리 불릿(14)이 일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터리 그루브면(521)을 타고 올라가려 할 것이고, 이에 따라 로터리 그루브(52)에는 로터리 불릿(14)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로터리 그루브(52)는 레버 이동부(50)에 대해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므로, 받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rotary bullet 14 is supported between the rotary groove 52 and the lever moving portion cover 53 constituting the lever moving portion 5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components supporting the rotary bullet 14 as the rotary bullet 14 rotates. The rotary bullet 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form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rotary groove 52 so that the rotary bullet 14 will rise on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as the rotary bullet 14 moves in one direction, As a result, a force is applied to the rotary groove 52 by the rotary bullet 14 downward. Since the rotary groove 52 is pivotally supported by the lever moving part 50 via the rotary groove spring 51, the rotary groove 52 is moved downward by the received external force.

로터리 그루브면(521)은 로터리 그루브(52)의 중심에서 각자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두 빗면이 만나 'V'자 형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로터리 불릿(14)은 하측이 로터리 그루브면(521)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측이 레버 이동부 커버(53)의 하면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로터리 불릿(14)은 회동시 로터리 그루브면(52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로터리 불릿(14)은 기본적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로터리 그루브면(521)의 중심에 형성된 골짜기에 위치하게 된다.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is a surface which is formed in a shape of 'V' in which two oblique face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rotary groove 52 meet. The lower side of the rotary bullet 14 is supported by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moving section cover 53. Therefore, the rotary bullet 14 moves along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during the rotation. The rotary bullet 14 is basically located in the valle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로터리 그루브면(521)은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기울기가 유지되는 빗면으로 구성되지 않고, 구간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빗면으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노브(11)를 회전함에 있어서 절도감을 느끼도록 빗면의 기울기가 구간별로 달라져, 로터리 불릿(14)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 변경을 위해 얼마나 노브(11)를 회전시켜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is not formed of an oblique surface maintaining a constant inclination over the entire surface, but is formed as an oblique surface having a different inclination depending on the section. The slope of the oblique plane varies from section to section so that the user feels a sense of theft when the user rotates the knob 11, and the force required to rotate the rotary bullet 14 changes. Accordingly, the user can know how much the knob 11 should be rotated for changing.

레버 기능부(14)의 일단에는 로터리 마그넷(80)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7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로터리 불릿(14)의 회전에 따라 로터리 마그넷(80) 역시 회전한다. 로터리 마그넷(80)은 자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상부 하우징(21) 및 하부 하우징(22)의 측면에 연결되는 기판(미도시)에 제1 자력 센서인 3D 홀 센서(미도시)를 배치하여, 로터리 마그넷(8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3D 홀 센서는 로터리 마그넷(8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로부터 사용자가 노브(11) 및 레버(12)를 얼마나 회전시켰는지를 알 수 있고, 기판은 3D 홀 센서의 센서값으로부터 산출한 회전량으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한 변속단이 어디인지를 판단, 트랜스미션(미도시)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A rotary magnet (8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function unit (14). Therefore, the rotary magnet 80 also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bullet 14 about the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70. [ The rotary magnet 8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magnetism. The vehicle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hall sensor (not shown) as a first magnetic force sensor disposed on a substrat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2,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which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gnet 80. The 3D Hall sens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ary magnet 80. [ From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thus measured, the user can see how much the knob 11 and the lever 12 have been rotated. The substrate has a speed change stage at which the user wants to move from the rotation amount calculated from the sensor value of the 3D hall sensor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ssion (not shown).

로터리 그루브(52)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은 압축되면서 압축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따라서 변속이 완료된 후 운전자가 노브(11)에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멈추면, 로터리 그루브(52)는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으로부터 받는 탄성력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나고, 로터리 그루브면(521)에 위치한 로터리 불릿(14)은 로터리 그루브면(521)의 경사를 따라 다시 로터리 그루브면(521)의 중심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로터리 모드에서 운전자가 노브(11)를 조작한 후, 본래 위치로 노브(11)가 돌아오게 된다. 본 발명의 로터리 모드와 같이 노브(11)를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변속 장치를 스테이블 타입(stable type) 변속 장치라고 한다. 노브(11)가 본래 위치로 돌아오도록 구성함에 따라, 변속단 조작에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비대해지지 않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The rotary groove 52 is mov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rotary groove spring 51 is compressed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compressed. The rotary groove 52 i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received from the rotary groove spring 51 and the rotary groove 52 is located on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Therefore, when the driver stops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knob 11 after the shift is completed, The rotary bullet 14 returns to the center of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 In this way, after the operator operates the knob 11 in the rotary mode, the knob 1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 shift device that causes the knob 11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s in the rotary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ferred to as a stable type transmission. By configuring the knob 11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components used for the speed change operation can be made compact and lightweight without becoming large.

이하,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제2 변속 감지 모드, 즉 조이스틱 모드에서 변속 감지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한다.Hereinafter, how the shift sensing is performed in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i.e., the joystick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조이스틱 모드에서 레버 이동부(5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조이스틱 모드에서의 작동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의 조이스틱 모드에서 노브(11)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1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lever moving part 50 in the joystick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the joystick mod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shows the position of the knob 11 in the joystick mode of the vehicle transmiss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터(41)의 작동에 의해 레버 이동부(50) 및 레버(12)가 제2 위치(P2)에 도달할 때,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는 그루브 롤러(60)의 내부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가 그루브 롤러(60)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루브 롤러(60)의 내부에는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의 외관에 대응되는 내측면이 형성된다.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groove roller 60 when the lever moving part 50 and the lever 12 reach the second position P2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Respectively.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can be seated inside the groove roller 60.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groove roller 60, The inner surface is formed.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가 그루브 롤러(60)의 내부에 안착됨에 따라, 로터리 불릿(14) 및 이에 연결된 레버(12)의 상방 이동은 이 지점에서부터 제한되게 된다. 그러나 모터(41)는 이 지점 이후에도 소정의 시간 동안 더 작동하여 회전 너트(40)를 회전 및 승강시킨다. 회전 너트(40)가 승강함에 따라 레버 이동부(50)이 승강하는데, 로터리 불릿(14)을 상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는 로터리 그루브(52)와 레버 이동부 커버(53)는 레버 기능부(13)의 일단에 연결된 로터리 마그넷(80) 및 이 그루브 롤러(60)에 의해 상방으로 규제되므로, 더 이상 승강할 수가 없다. 따라서 레버 이동부 몸체(57)와 레버 이동부 바닥(56)만이 더 승강하면서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을 압착하게 된다. 더 이상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을 압착하지 못하는 지점까지 레버 이동부 몸체(57)와 레버 이동부 바닥(56)가 승강하면, 모터(41)는 작동을 멈춘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레버 이동부(50) 및 레버(12)가 제2 변속 감지 모드, 즉 조이스틱 모드의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위치(P2)에 최종적으로 도달하게 된다. 도 12는 제2 위치(P2)에 도달하여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51)이 압착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As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are seated in the groove roller 60, the upward movement of the rotary bullet 14 and the lever 12 connected thereto is limited from this point. However, the motor 41 further operates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is point to rotate and lift the rotary nut 40. [ The rotary moving part 50 is moved up and down as the rotary nut 40 moves up and down. The rotary groove 52 and the lever moving part cover 53, which support the rotary bullet 14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Since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groove roller 60 are regulated upwardly, they can not move up and down any further. Therefore, only the lever moving body 57 and the lever moving floor 56 are further raised and pressed to press the rotary groove spring 51. When the lever moving body 57 and the lever moving floor 56 are raised and lowered to the point where the rotary groove spring 51 can not be further pressed, the motor 41 is stopped. The lever moving unit 50 and the lever 12 finally reach the second position P2 in which the shifting of the joystick mode can be performed in the second speed change sensing mode.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rotary groove spring 51 is compressed by reaching the second position P2.

레버 이동부 몸체(57)는 레버 이동부 커버(53)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돌출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55)와 관통공(53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레버 이동부 몸체(57)와 레버 이동부 커버(53)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55)는 관통공(53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므로, 제2 위치(P2)에 레버 이동부(50)이 도달함에 따라 레버 이동부 몸체(57)가 레버 이동부 커버(53)에 밀착 및 접촉하게 될 때 상방으로 슬라이딩 되게 된다. 돌출부(55)에는 헤드의 직경이 돌출부(55)의 직경보다 더 큰 볼트가 체결되어 관통공(531)으로부터 돌출부(55)가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으나, 이는 도시하지 않았다. 돌출부(55)와 관통공(531)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4개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그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lever moving body 57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55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ever moving cover 53. [ As the projecting portion 55 and the through hole 531 are slidably engaged, the lever moving body 57 and the lever moving portion cover 53 can be engaged. The protruding portion 55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531 so that the lever moving portion body 57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ever moving portion cover 53 as the lever moving portion 50 reaches the second position P2 And to be slid upward when brought into contact. The protrusion 55 may prevent the protrusion 55 from separating from the through hole 531 by fastening a bolt whos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55, but this is not shown. The protrusions 55 and the through holes 531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nd four protrusions 55 are form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위치(P2)에 레버 이동부(50)이 도달하면, 노브(11) 및 레버(12)는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운전자가 노브(11)를 레버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방법으로 조작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lever moving part 50 reaches the second position P2, the knob 11 and the lever 12 are protruded upward as shown in Fig. 14 so that the operator can push the knob 11 in the same manner as the lever or the joystick Thereby making it easy to operate.

조이스틱 로드(15)가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 노브(11)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노브(11)에 결합된 레버(12)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operato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knob 11 for shift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ystick rod 15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ystick rod 15 is extended so that the lever 12 coupled to the knob 11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And is rotated about the center.

레버(12)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12)의 말단에 위치한 조이스틱 로드(15)가 회전축이 됨과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이스틱 로드(15)가 회전함에 따라, 인접한 로터리 마그넷(80)이 회전하고,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를 내부에 수용하는 그루브 롤러(60)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As the lever 12 rotates, the joystick rod 15 located at the end of the lever 12 becomes the rotation axis and simultaneously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joystick rod 15 rotates, the adjacent rotary magnet 80 rotates and the groove rollers 60, which receive 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를 원기둥형으로 구성하여 그루브 롤러(60)의 내측면 역시 원기둥 형으로 대응되게 구성되도록 하였는데, 이와 같은 경우 로터리 마그넷(80) 및 조이스틱 로드(15)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그루브 롤러(60)가 충분한 마찰력을 받지 못하거나 외력을 받을 수 있는 지점이 존재하지 않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마그넷(80)이 조이스틱 로드(15)와 연결되는 면에 막대형 손잡이와 같이 형성된 걸림부(801)를 포함하고, 그루브 롤러(60)의 내측면 역시 대응되는 영역이 존재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801)가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조이스틱 로드(15)를 회전축으로 하는 조이스틱 로드(15) 및 로터리 마그넷(80)의 회전시 그루브 롤러(60)의 내측면이 걸림부(801)에 의해 회전하는 힘을 받아 그루브 롤러(60)를 동일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The rotary magnet 80 and the joystick rod 15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60 is form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ry magnet 80. In this case, And the joystick rod 15 rotate, the groove roller 60 may not receive sufficient frictional force or may not rotate because there is no point where it can receive an external force. Therefo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magnet 80 includes the engaging portion 801 formed as a rod-shaped handle on the surface connected to the joystick rod 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60 is also corresponding So that the latching portion 801 is inserted. The joystick rod 15 having the joystick rod 15 as its rotation axi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60 when the rotary magnet 80 is rotated receive a force of rotation by the engagement portion 801, ) Can be rotated in the same manner.

그루브 롤러(60)의 양 측면에는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은 로터리 그루브면(521)과 유사하게, 중심에서 각자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두 빗면이 만나 'V'자 형으로 형성되는 면이다.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은 조이스틱 불릿(62)의 일단과 접하게 된다. 조이스틱 불릿(62)은 상부 하우징(21) 또는 측부 하우징(미도시)에 지지되는 불릿 하우징(63) 내에서 일단이 조이스틱 스프링에 의해서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타단이 조이스틱 그루브면(601)과 만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을 조이스틱 불릿(62)이 지지하고 있는 형태가 되고, 그루브 롤러(60)가 회동함에 따라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이 조이스틱 불릿(62)을 불릿 하우징(63)에 대해 압착하는 형태가 된다. 동시에 조이스틱 불릿(62)은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볼 수 있다. 조이스틱 불릿(62)은 기본적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의 중심에 형성된 골짜기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조이스틱 불릿(62), 불릿 하우징(63) 및 조이스틱 스프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그루브 롤러(60)를 중심으로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1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On both sides of the groove roller 60, a joystick groove surface 601 may be formed. Similar to the rotary groove surface 521,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is a surface that is formed in a 'V' shape by two oblique face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center.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end of the joystick bullet 62. The joystick bullet 62 is supported in the bullet housing 63 supported by the upper housing 21 or the side housing (not shown) so that one end thereof is swingable by the joystick spring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is supported by the joystick bullet 62 and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moves the joystick bullet 62 against the bullet housing 63 as the groove roller 60 rotates It becomes a form of squeezing. At the same time, the joystick bullet 62 can be seen as moving relatively along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The joystick bullet 62 is basically located in the valley formed at the center of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in the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Although the joystick bullet 62, the bullet housing 63, and the joystick spring are shown as being formed around the groove roller 60 for stable oper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Only one may be formed.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은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기울기가 유지되는 빗면으로 구성되지 않고, 구간에 따라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빗면으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노브(11)에 외력을 가함에 있어서 절도감을 느끼도록 빗면의 기울기가 구간별로 달라져, 그루브 롤러(60)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 변경을 위해 얼마나 노브(11)에 외력을 가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is not formed of an oblique surface maintaining a constant inclination over the entirety, but is formed as an oblique surface having a different inclination depending on the section. The slope of the oblique surface varies from section to section so that the user feels a sense of thef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knob 11, and the force required to rotate the groove roller 60 changes. Accordingly, the user can know how much external force should be exerted on the knob 11 just for changing.

조이스틱 불릿(62)이 그루브 롤러(60)의 회전에 따른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의 외력을 받으면, 조이스틱 스프링이 압착되어 압착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겨나게 된다. 운전자가 노브(11)의 조작을 마쳐 가해주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조이스틱 불릿(62)이 밀려나게 되고, 조이스틱 불릿(62)이 밀려나면서 조이스틱 그루브면(601)에 가해주는 외력에 의해 그루브 롤러(60)가 본래 위치로 회동하여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이스틱 모드에서 운전자가 노브(11)를 조작한 후, 본래 위치로 노브(11)가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로터리 모드와 동일하게 조이스틱 모드에서도 스테이블 타입의 변속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joystick bullet 62 receives an external force from the joystick groove surface 60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roove roller 60, an elastic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joystick spring is compressed. The joystick bullet 62 is pushed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joystick bullet 62 is push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joystick groove face 601 The groove roller 60 rotate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returns. In this manner, after the operator operates the knob 11 in the joystick mode, the knob 1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able type shift device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ry mode even in the joystick mode.

그루브 롤러(60)의 외주면에는 롤러 치형(61)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치형(61)에 치합되는 치형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조이스틱 마그넷(81)이 측부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이스틱 마그넷(81)은 자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어, 자기장을 형성한다. 그루브 롤러(60)가 회전함에 따라 그루브 롤러(60)에 치합된 조이스틱 마그넷(81)이 회전하게 된다. A roller tooth 61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60 and a joystick magnet 8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ooth to be engaged with the roller tooth 61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ide housing do. The joystick magnet 81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nd forms a magnetic field. As the groove roller 60 rotates, the joystick magnet 81 engaged with the groove roller 60 rotates.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상부 하우징(21) 및 하부 하우징(22)의 측면에 연결되는 기판(미도시)에 제2 자력 센서인 2D 홀 센서(미도시)를 배치하여, 조이스틱 마그넷(81)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자기장의 세기로부터 사용자가 노브(11) 및 레버(12)를 얼마나 회전시켰는지를 알 수 있고, 기판은 2D 홀 센서의 센서값으로부터 산출한 회전량으로부터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한 변속단이 어디인지를 판단, 트랜스미션(미도시)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A second hall sensor (not shown) as a second magnetic force sensor is disposed on a substrat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housing 21 and the lower housing 22,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which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agnet 81. From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thus measured, the user can see how much the knob 11 and the lever 12 have been rotated. The substrate has a speed change stage at which the user wants to move from the rotation amount calculated from the sensor value of the 2D hall sensor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ssion (not show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 : 차량용 변속 장치 10 : 조작부
11 : 노브 12 : 메인 샤프트
13 : 레버 기능부 14 : 로터리 불릿
15 : 조이스틱 로드 20 : 아우터 브라켓
21 : 상부 하우징 22 : 하부 하우징
30 : 커버 31 : 파킹 버튼
32 : 모드 전환 버튼 40 : 승강 너트
41 : 모터 42 : 구동축
43 : 웜 50 : 모터 하우징
51 :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 52 : 로터리 그루브
53 : 모터 하우징 커버 55 : 돌출부
56 : 모터 하우징 기저부 57 : 모터 하우징 몸체
60 : 그루브 롤러 61 : 롤러 치형
62 : 조이스틱 불릿 63 : 불릿 하우징
70 : 중심 나사 71 : 중심 나사의 나사산
72 : 나사 홈 73 : 연장부
80 : 로터리 마그넷 81 : 조이스틱 마그넷
100 : 기존 조이스틱 타입 변속 장치
200 : 기존 로터리 타입 변속 장치
401 : 승강 너트의 외주면 402 : 승강 너트의 내주면
521 : 로터리 그루브면 531 : 관통공
601 : 조이스틱 그루브면 801 : 걸림부
P1 : 제1 위치 P2 : 제2 위치
1: vehicle transmission 10: control unit
11: Knob 12: Main shaft
13: Lever Function 14: Rotary Bullet
15: Joystick rod 20: Outer bracket
21: upper housing 22: lower housing
30: cover 31: parking button
32: Mode switching button 40: Lift nut
41: motor 42: drive shaft
43: Worm 50: Motor housing
51: rotary groove spring 52: rotary groove
53: motor housing cover 55:
56: motor housing base 57: motor housing body
60: Groove roller 61: Roller teeth
62: Joystick bullet 63: Bullet housing
70: center screw 71: center screw thread
72: screw groove 73: extension part
80: Rotary magnet 81: Joystick magnet
100: Conventional joystick type transmission
200: Conventional rotary type transmission
401: outer peripheral surface of lift-up nut 402: inner peripheral surface of lift-
521: rotary groove surface 531: through hole
601: Joystick groove face 801:
P1: first position P2: second position

Claims (20)

노브;
상기 노브와 결합되고, 상기 노브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상기 레버를 이동시키는 레버 이동부;
구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레버 이동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구동력 전달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에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 이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는 제1 변속 감지 모드를 위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변속 감지 모드를 위한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Knob;
A lever coupled to the knob and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knob, the lever being vertically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 lever moving part for moving the lever;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that is driven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and move the lever moving portion; And
Wherein the lever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for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to the second position for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as the lever moving portion moves, and a motor for providing the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transmission is shif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의 외주면과 치합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 회전 너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ortion
A lead screw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lev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nd a rotation nut engag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ad screw and connected to the motor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레버 이동부 및 상기 구동력 전달부를 감싸도록 수용하는 아우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회전 너트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리드 스크류는 상기 레버 이동부를 관통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 너트가 상기 리드 스크류에 대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너트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레버 이동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ad screw is fixed to an outer bracket accommodating the lever moving part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art to enclose the lever moving part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part,
The lever moving part receives the rotation nut and the motor,
The lead screw passes through the lever moving part,
Wherein the motor moves the lever mov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nut so that the rotating nut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 screw with respect to the lead screw.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회전 너트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 너트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 이동부 몸체;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의 하방에서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와 결합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회전 너트가 안착되는 레버 이동부 바닥; 및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의 상방에서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와 결합되는 레버 이동부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ever-
A lever moving body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nut and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nut;
A bottom of the lever moving part coupled to the lever moving part body below the lever moving part body and on which the motor and the rotating nut are seated; And
And a lever moving part cover coupled to the lever moving body at a position above the lever moving bod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웜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너트는 외주면에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 휠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otor includes a rotating drive shaft and a worm coupled to the drive shaft,
Wherein the rotation nut includes a worm wheel that is engaged with the worm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 이동부에 수용되는 레버 기능부가 형성되되,
상기 레버 기능부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레버의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ever function portion accommodated in the lever mov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Wherein the lever function portion is formed to give a feeling of operation to the driver when the lever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acts as a rotation axis of the lever when the lever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기능부의 일단에는,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도록 하는 로터리 불릿이 형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otary bulle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ever function portion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and to give the driver a sense of operation when the lever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불릿의 타단에 로터리 마그넷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리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자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rotary magne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bullet,
And a first magnetic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rotary magn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이동부 커버는 상기 로터리 불릿의 상면과 접촉하고,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로터리 불릿의 하면과 접촉하는 로터리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불릿은 상기 레버 이동부 커버와 상기 로터리 그루브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ever moving part cov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bullet,
Wherein the lever moving part further comprises a rotary groove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rotary bullet,
And the rotary bulle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ver moving portion cover and the rotary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그루브는 상기 로터리 불릿의 하면과 접촉하고 'V'자 형으로 형성되는 로터리 그루브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otary groove includes a rotary groove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rotary bullet and is formed in a V sha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그루브면은 운전자에게 조작감을 주도록 복수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빗면인 차량용 변속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otary groove surface is an oblique surface formed at a plurality of slopes so as to give the driver a sense of oper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이동부는, 상기 로터리 그루브에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그루브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ver mo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rotary groove spring for swingably supporting the rotary groove by being connected to the rotary groove at one end there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그루브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레버 이동부 몸체와 연결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ry groove spring is connected to the lever moving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그루브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기능부는 상기 그루브 롤러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축으로 작용하고, 상기 그루브 롤러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조이스틱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groove roller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axis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Wherein the lever function portion includes a joystick rod arranged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groove roller and acting as a rotation axis of the lever and support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롤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그루브 롤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이스틱 마그넷; 및
상기 조이스틱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자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joystick magnet which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roller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groove roller; And
And a second magnetic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joystick magne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마그넷 및 상기 그루브 롤러는 서로 치합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joystick magnet and the groove roll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롤러는 일측면에 'V'자 형으로 형성되는 조이스틱 그루브면을 포함하고,
불릿 하우징;
상기 불릿 하우징에 수용되고, 일면이 상기 조이스틱 그루브면에 접촉하는 조이스틱 불릿; 및
일단이 상기 불릿 하우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이스틱 불릿의 타면에 연결되어 상기 조이스틱 불릿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이스틱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groove roller includes a joystick groove surface formed in one side of the V shape,
Bullet housing;
A joystick bullet housed in the bullet housing and having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joystick groove surface; And
Further comprising a joystick sp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ullet hous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joystick bullet to swingably support the joystick bulle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그루브면, 상기 불릿 하우징, 상기 조이스틱 불릿 및 상기 조이스틱 스프링은 복수로 구성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joystick groove surface, the bullet housing, the joystick bullet, and the joystick spr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그루브면은 복수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빗면인 차량용 변속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joystick groove surface is an oblique surface formed by a plurality of slopes.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변속 감지 모드 및 상기 제2 변속 감지 모드 간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모터로 전달하는 모드 전환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노브와 상기 레버 이동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de switching butt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between the first shift sensing mode and the second shift sensing mode to the motor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driver, wherein a cover positioned between the knob and the lever moving unit Further comprising:
KR1020160153322A 2016-11-17 2016-11-17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955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22A KR101955358B1 (en) 2016-11-17 2016-11-17 Automotiv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22A KR101955358B1 (en) 2016-11-17 2016-11-17 Automotive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448A true KR20180055448A (en) 2018-05-25
KR101955358B1 KR101955358B1 (en) 2019-03-06

Family

ID=6229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322A KR101955358B1 (en) 2016-11-17 2016-11-17 Automotive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5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16A (en) * 2018-06-28 2020-01-07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KR20200081764A (en) * 2018-12-28 2020-07-08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KR20200082373A (en) * 2018-12-28 2020-07-08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054A (en) * 2005-07-05 2007-0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Wireless transmission gear shift device of shift by wire in vehicle
KR20120006189A (en) * 2010-07-12 2012-01-18 경창산업주식회사 Shift lever assembly capable of in-situ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KR20150094903A (en)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모아텍 Actuator for electronic shift lever
KR20150120120A (en) *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Rotary knob assembly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5054A (en) * 2005-07-05 2007-0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Wireless transmission gear shift device of shift by wire in vehicle
KR20120006189A (en) * 2010-07-12 2012-01-18 경창산업주식회사 Shift lever assembly capable of in-situ rotation and linear movement
KR20150094903A (en) * 2014-02-12 2015-08-20 주식회사 모아텍 Actuator for electronic shift lever
KR20150120120A (en) * 2014-04-17 201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Rotary knob assembly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816A (en) * 2018-06-28 2020-01-07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KR20200081764A (en) * 2018-12-28 2020-07-08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KR20200082373A (en) * 2018-12-28 2020-07-08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358B1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3314B1 (en)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EP2975300A1 (en) Vehicular transmission range switching device
KR101955358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US7900534B2 (en) Shifter for vehicle transmission
KR102584386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US10890251B2 (en) Transmission shifter assembly with removable feedback
KR102418379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EP3561340A1 (en) Rotary shifter with selective locking and position reset
JP2020510176A (en) Rotary and lever type shift device tha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park
CN109661319A (en) Gearshift
KR101312178B1 (en) Column Type Transmission Lever Assembly
CN109099144A (en) Gearshift
KR100939792B1 (en) Apparatus for electron control transmission
KR101422219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656687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CN110886837B (en) Speed change device for vehicle
JP6771827B2 (en) Operation lever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EP3680747B1 (en) Operating device
JP2002254952A (en) Shift device
CN110630738A (en) Self-reset electronic gear shifter
KR101724959B1 (en) Electronic shift system
JP4633948B2 (en) Shift device
JP2007008381A (en) Shift lever device of automatic transmission
KR100456898B1 (en) auto transmission shift lever preventing misuse
KR101662540B1 (en) Position variabl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oin le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