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269B1 -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269B1
KR101376269B1 KR1020120101099A KR20120101099A KR101376269B1 KR 101376269 B1 KR101376269 B1 KR 101376269B1 KR 1020120101099 A KR1020120101099 A KR 1020120101099A KR 20120101099 A KR20120101099 A KR 20120101099A KR 101376269 B1 KR101376269 B1 KR 10137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guide plate
pass
gap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훈익
최남용
이준성
김형석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2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G07B5/0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for avoiding incorrect action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Abstract

A double issuing preventing device of a toll road ticket generator is disclosed. The double issuing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kes only one toll road ticket pass through by being installed among a pickup roller, a transfer roller, and an idle roller includes: an interval controlling block which includes a guide part which guides a toll road ticket which is picked up and transferred by the pickup roller to space between the transfer roller and the idle roller by having an upper guide plate which is combined with a guide block having an upper installation hole and a lower guide plate which is installed in a lower block in order to face the upper guide plate by having a lower installation hole, has a locking jaw, and is arranged inside the guide block so that the locking jaw is exposed to a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through the upper installation hole; and an interval forming block which is arranged in a pair of brackets in order to form an interval for making only one toll road ticket pass between the locking jaw and the interval forming block by exposing a part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through the lower installation hole. Like the forementioned,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rovide an effect capable of making a doubly inserted toll road ticket pass efficiently by forming an interval which is not arbitrarily changed between the interval controlling block and the interval forming block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terval by a block moving means while forming the unchanged interval.

Description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a pass ticket generator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본 발명은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장의 통행권이 공급되더라도 1장의 통행권만 통과시킴으로써 이중발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a pass ticket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a pass ticket generator that can prevent the dual ticketing by passing only one pass, even if two passes are supplied. .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입구측 톨 게이트와 출구측 톨 게이트가 설치된 폐쇄식의 유료 고속도로에서는 상기 입구측 톨 게이트에 고속도로 통행에 따른 요금 징수를 목적으로 통행권을 발행하는 통행권 발행기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측 톨 게이트에는 통행권에 기록되어 있는 요금 징수 정보를 판독하여 요금을 징수하는 통행권 확인기가 설치된다.Generally, in a closed toll highway in which an entrance toll gate and an exit toll gate of a highway are installed, a ticket issuing machine for issuing a ticket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a fee according to the highway traffic is provided at the entrance toll gate. A toll gate is installed at the toll gate to read the toll collection information recorded on the toll and collect the toll.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행권 발행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ass ticket issu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통행권 발행기는, 구성요소가 내부에 장착되는 함체(100)와, 함체(100)의 하부 일측에 직립 설치된 통행권 저장부(110)와, 통행권 저장부(110)로부터 통행권(도시하지 않음)을 인출하여 이송시키는 통행권 이송부(120) 및 이송된 통행권을 발권하는 발권부(130)로 대별된다.As shown in FIG. 1, the pass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housing 100 in which components are mounted therein, a pass storage unit 110 installed upright on a low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a pass storage unit ( It is roughly divided into a pass right transfer unit 120 for drawing and transferring a right of passage (not shown) from 110 and a ticketing unit 130 for issuing the transferred right.

이러한 통행권 발행기는 통행권 저장부(110)에는 통행권(140)이 저장되는 통행권 카세트(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통행권 카세트(112)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에 의해 통행권 카세트(112)내의 통행권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롤러(1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롤러(160)와 인접하는 위치에는 회전 가능하게 이송롤러(170)가 위치되어 있으며, 이송롤러(170)는 타이밍벨트(180)로 인출롤러(160)와 연결되어 인출롤러(160)에 의해 인출된 통행권(140)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ass ticket machine is provided with a pass cassette 112 in which the pass 140 is stored in the pass storage unit 110, and the pass cassette is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ass cassette 112 by a rotational force of a driving motor (not shown). The withdrawal roller 160 is rotatably provided so that the right of passage in 112 may be withdrawn. In addition, the feed roller 170 is rotatably position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take-out roller 160, and the feed roller 170 is connected to the take-out roller 160 by the timing belt 180 to take out the roller 160. It is comprised so that the passage right 140 withdraw | derived by it may be convey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 통행권 발행기에서는 인출장치(미도시)에 의해서 통행권 카세트(112)로부터 인출된 통행권이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입구측 톨 게이트에 진입하는 차종의 감지에 의해 통행권이 이송부로 이송되어 발권된다.In such a prior art automatic ticket issuing machine, the ticket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art by detecting a vehicle type entering the toll gate at the entrance while the ticket is drawn out of the ticket cassette 112 by a drawing device (not shown). It is transferred and ticketed.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통행권 발행기에서는 통행권 카세트내에 저장되어 있는 통행권이 겹쳐진 상태에서 인출되어 이송부로 이송되는 경우 통행권의 겹쳐진 상태를 감지하거나 겹쳐진 통행권을 분리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2매의 통행권이 겹쳐진 상태로 잘못 발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icket issuing machine, when the ticket stored in the ticket cassette is withdrawn in the overlapped state and is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unit, two tickets are not provided to detect the overlapped state of the ticket or to separate the overlapped ticke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icket was incorrectly issued with overlapping passes.

이러한 문제점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63335호(공고일 : 2000년10월02일)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This problem could be somewhat resolved b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263335 (notice date: October 02, 2000).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70)와 소정 이격된 위치에는 세퍼레이터 롤러(190)가 설치되고, 세퍼레이터 롤러(190)는 통행권 카세트(112)로부터 통행권(140)이 겹쳐서 2매 이상 잘못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세퍼레이터 롤러(190)는 모터(191)의 회전축(191a)에 연결되어 모터(191)의 작동으로 회전되며, 특히 모터(191)의 회전축(191a)에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192)가 장착되어 세퍼레이터 롤러(190)에 규정 이상의 회전부하가 작용하게 되면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음부가 미끄러지거나 떨어지게 되어 모터(191)의 회전력이 세퍼레이터 롤러(190)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퍼레이터 롤러(190)는 통행권이 겹칠 경우 회전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eparator roller 19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ing roller 170, and the separator roller 190 is configured as a pass right from the pass cassette cassette 112. 140) is overlapped and configured to prevent two or more wrong fetches. In other words, the separator roller 190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91a of the motor 191 to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191, and in particular, the torque limiter 192 is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91a of the motor 191. When the rotation load is applied to the separator roller 190 more than specified, the joint por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slips or falls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91 is not transmitted to the separator roller 190. As a result, the separator roller 190 stops rotation when the pass is overlapped.

이러한 구조의 종래기술은 비정상적으로 통행권(140)이 겹쳐져서 인출롤러(160)에 의해 2매 이상이 잘못 인출되는 경우에는 겹쳐져 있는 통행권(140)이 이송롤러(170)와 세퍼레이터 롤러(19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송로로 유입되고, 이송롤러(170)는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세퍼레이터 롤러(190)는 토크 리미터에 의해 모터(191)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해 정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겹쳐진 통행권(140), 즉 하측 통행권(144)은 이송롤러(170)에 의해 전진하려는 힘을 받으며 상측 통행권(142)은 세퍼레이터 롤러(190)에 의해 정지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통행권(140)의 겹쳐진 마찰력 보다 이송롤러(170)와 세퍼레이터 롤러(190)의 분리력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통행권(140)이 상측 통행권(142)과 하측 통행권(144)로 분리된다. 즉 통행권(140)중 하측 통행권(144)은 이송부(120)로 이송되어 발권부(130)를 통해 발권되며, 통행권 감지센서(200)에 의해 하측 통행권(144)의 이송 및 발권이 확인되면 남아 있던 상측 통행권(142)이 그 다음 이송부(120)로 이송되어 발권부(130)로부터 발권되는 것이다. In the conventional art of this structure, when the pass ticket 140 is abnormally overlapped and two or more sheets are incorrectly drawn out by the withdrawal roller 160, the overlapping pass ticket 140 is disposed between the feed roller 170 and the separator roller 190. Inflow to the conveying path formed in the feed roller 170 continues to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separator roller 190 is stopp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91 by the torque limiter, accordingly The overlapped pass 140, ie, the lower pass 144, receives the force to move forward by the transfer roller 170, and the upper pass 142 receives the force to stop by the separator roller 190. In addition, the separation force of the transfer roller 170 and the separator roller 190 is greater than the overlapping frictional force of the pass 140 so that the pass 140 is separated into an upper pass 142 and a lower pass 144. That is, the lower right of the pass 140, 144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120 issued through the ticketing unit 130, and remains after the transfer and ticketing of the lower pass (144) by the pass detection sensor 200 is confirmed. The upper pass right 142 was then transferred to the transfer unit 120 is issued from the ticketing unit 13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통행권 발행기는 토크 리미터가 오작동되는 경우에 겹쳐진 통행권의 분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ass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overlapping pass when the torque limiter malfunctions.

또한, 세퍼레이터 롤러(190)의 표면이 마모될 경우에는 토크 리미터가 오작동하지 않더라도 이송롤러(170)와의 사이에 간격이 커짐으로써 겹쳐진 통행권이 통과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of the separator roller 190 is worn, even if the torque limiter does not mal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overlapping passage passes through a larger distance between the feed rollers 170.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63335호(공고일 : 2000년10월02일)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263335 (Notification Date: October 02, 2000)

본 발명의 목적은, 통행권 발행기에서 2장 이상의 통행권이 발행되지 않도록 1장의 통행권만 통과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by which only one pass can be passed so that two or more passes are not issued in the pass issue machin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행권 발행기의 픽업롤러와, 이송롤러 및 아이들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발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 설치공을 구비하여 안내블럭에 결합되는 상부 안내판 및 하부 설치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안내판과 마주보도록 하부블럭에 설치되는 하부 안내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되는 통행권을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 사이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pickup roller, the transfer roller and the idle roller of the pass ticket issuing device for preventing double ticketing, having an upper guide plate and the upper guide plate and lower installation coupled to the guide block Comprising a lower guide plate provided on the lower block to face the upper guide plate with a ball and includes a guide for guiding the right of transportation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between the transfer roller and the idle roller,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안내판과 하부 안내판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안내블럭의 내부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블럭; 및 일부분이 상기 하부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안내판과 하부 안내판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걸림턱과의 사이에 1장의 통행권이 통과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브라켓에 마련되는 간격형성블럭을 포함하여, 상기 간격형성블럭과 간격조절불럭 사이로 1장의 통행권만 통과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 gap adjusting block having a locking jaw and provided in the guide block such that the locking jaw is exposed to a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through the upper installation hole; And a gap forming block provided in a pair of brackets so that a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a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through the lower installation hole to form a gap for passing a single pass right between the locking jaw. Including, it is achieved by the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only one pass passes between the gap-forming block and the gap control block.

상기 간격조절블럭은, 상부축에 의해 양측의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 안내판과 하부 안내판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절블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terval adjusting block, the fixed block coupled to the bracket on both sides by the upper shaft; And a locking block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having a long hole to adjust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locking step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 안내판의 안내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jaw may be configur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guide surface of the upper guide plate.

상기 간격형성블럭은,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마주보는 면에 통행권을 상기 걸림턱과의 사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gap forming block may be formed with a guide inclination for guiding a right of passage between the engaging jaw on a surface facing the gap adjusting block.

상기 간격형성블럭은 하부축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상기 상부축과 하부측의 양단이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gap forming block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by a lower shaft, and both ends of the upper shaft and the lower side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상기 하부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통행권의 장력에 의해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유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블럭 유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블럭 유동수단은,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lower axis so that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are fluidly operated by the tension of the pass. The block flow means, the block flow means,

일단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간격조절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간격조절블럭을 상기 하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기 위한 제1 탄성체; 일단이 상기 안내블럭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축에 접촉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축을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기 위한 제2 탄성체; 및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ap adjusting block, the first elastic body supporting the gap adjusting block in a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lower axis; A second elastic body installed at the bracket such that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haft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block, and the elastic member supports elastically the upper shaf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같이 상기 하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이 설치되는 설치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may be formed in the bracket so as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axis, respectively.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안내공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안내공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브라켓의 일부분에 고정너트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압축 스프링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고, 풀고 조이는 동작으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상부축을 가압하는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lastic body, the press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guide hole; A compression spring for inserting a portion of the guide hole to pressurize the pressing member; And a fixing nut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bracke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ormed with a tool coupling part for engaging the tool, and the pressing member adjusts the strength of the pressing member by pressing the upper shaf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bolt for.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안내판과 상부 안내판 사이에서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통행권 1장 두께만큼의 간격만을 형성함으로써, 1장 이상의 통행권이 픽업되어 공급되더라도 1장의 통행권만 다음 공정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통행권의 이중 발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between the lower guide plate and the upper guide plate form only a gap equal to the thickness of one pass, so that only one pass is supplied to the next process even if one or more passes are picked up and supplied. This can provide an effect to prevent the double issuance of the right of passage.

또한, 종래기술과 같이 토크 리미터와 같은 센서나 세퍼레이터 롤러와 같은 부품이 삭제될 수 있음으로 오작동에 의한 정비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a sensor such as a torque limiter or a component such as a separator roller can be delet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maintenance time due to malfunction.

또한,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임의로 가변되지 않는 간격을 형성하고 있고, 가변되지 않는 간격을 형성하면서도 블럭 유동수단에 의해 간격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이중으로 진입한 통행권을 효과적으로 1장씩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pace adjusting block and the space forming block form a space that is not arbitrarily variable, and the space of the space is changed by the block flow means while forming a space that is not variable, thereby effectively passing one pass of the double entry. Will b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행권 발급기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통행권 발급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행권 발급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9b,9c,9d,9e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의 w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rear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ticket issue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ss ticket issu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ass ticket issu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a pass ticke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the dual ticketing preventing device of the pass generator illustrated in FIG. 4.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 flow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a pass ticke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9B, 9C, 9D, and 9E are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w operating state of the dual ticketing preventing device of the pass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유동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Among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generator shown in Figure 4,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ock flow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통행권 발행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통행권의 발급작동이나 과정 및 기술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구성 및 도면을 참조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since the ticket issuing machine is a known technology,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r process of the ticke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chnology is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and drawings mentioned in the related art may be referred to.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는 통행권 발행기의 픽업롤러(20)와, 이송롤러(30) 및 아이들롤러(40)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발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As shown in Figures 4 to 8, the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ticke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pickup roller 20, the transfer roller 30 and the idle roller 40 of the pass ticket issuing double ticketing It is a device for preventing.

이러한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는 상부 설치공(62A)을 구비하여 안내블럭(50)에 결합되는 상부 안내판(62) 및 하부 설치공(64A)을 구비하여 상부 안내판(62)과 마주보도록 하부블럭(22)에 설치되는 하부 안내판(64)으로 이루어져 픽업롤러(20)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되는 통행권(T)을 이송롤러(30)와 아이들롤러 (40)사이로 안내하는 안내부(60)를 포함한다. 그리고, 걸림턱()을 구비하고, 걸림턱()이 상부 설치공(62A)을 통하여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안내블럭(50)의 내부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블럭(70)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분이 하부 설치공(64A)을 통하여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걸림턱(74A)의 사이에 1장의 통행권이 통과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브라켓(10)에 마련되는 간격형성블럭(80)을 포함한다. The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ticket generator is provided with an upper guide hole 62A and an upper guide plate 62 and a lower installation hole 64A coupled to the guide block 50 so as to face the upper guide plate 62. The guide part 60 which consists of the lower guide plate 64 installed in the block 22, and guides the pass T which is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20, and is conveyed between the feed roller 30 and the idle roller 40, Include. In addition, the locking jaw () is provided, and the locking jaw () is provided inside the guide block 50 to expose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through the upper installation hole (62A). Spacer adjustment block 70 is included.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pair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through the lower installation hole 64A so as to form a gap for passing a single pass between the locking jaws 74A. It includes a spacing forming block 80 provided on the bracket (1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행권 발행기의 픽업롤러(20)와, 이송롤러(30) 및 아이들롤러(40)는 한 쌍의 브라켓(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각각의롤러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As shown in Figures 4 and 6, the pickup roller 20, the transfer roller 30 and the idle roller 40 of the pass ticket machine is installed between a pair of brackets 10, each roller It is operated by a driving means not shown.

이러한 통행권 픽업용 픽업롤러(20)와 이송롤러(30), 통행권을 이송하도록 이 이송롤러(30)와 맞물리는 아이들롤러(4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브라켓(10) 사이에 설치되며, 픽업롤러(20)와, 이송롤러(30) 및 아이들롤러(40) 사이에는 안내부(60)와 간격조절블럭(70) 및 간격형성블럭(80)가 각각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The pickup roller 20 and the transfer roller 30 for picking up the pass, and the idle roller 40 meshing with the feed roller 30 so as to transfer the pass, have a pair of brackets (as shown in FIGS. 4 and 6). 10) installed between the pick-up roller 20, the transfer roller 30 and the idle roller 40, the guide portion 60, the space adjusting block 70 and the space forming block 80 is installed Has

안내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롤러(40)와 인접한 위치의 브라켓(10)에 마련되는 안내블럭(50)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일면에 상부 설치공(62A)이 형성되어 안내블럭(50)에 나사로 설치되는 상부 안내판(62)과, 이 상부 안내판(62)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일단이 하부블럭(22)에 나사로 설치되고, 상부 설치공(6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설치공(64A)이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60 i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guide block 50 provided in the bracket 10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idle roller 40, as shown in Figure 6, the upper installation hole 62A on one surface The upper guide plate 62, which is formed and installed on the guide block 50 with screws, and one end is screwed on the lower block 22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upper installation hole 62A. 64A of lower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is.

이와 같이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에 통행권이 이송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통로가 입구는 넓고 출구 쪽은 좁도록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이 일측은 경사지고 타측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안내판(62)에만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구성한다. In this way,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passage for conveying the right of passage. In addition, the passage may have an inlet and a narrow outlet, and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may be inclined on one side and flat on the other side, and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ly on the upper guide plate 62. .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are configured by bending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간격조절블럭(70)은 간격형성블럭(80)과 더불어 1장의 통행권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T)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축(76)에 의해 양측의 브라켓(10)에 결합되는 고정블럭(72)과, 걸림턱(74A)이 상부 설치공(62A)을 통하여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간격형성블럭(80)과의 간격(T)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74B)을 구비하여 고정블럭(72)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절블럭(74)으로 이루어진다. 조절블럭(74)은 조절나사(74C)에 의해 고정블럭(72)에 결합되는 것이며, 조절나사(74C)가 장공((74B)을 통하여 고정블럭(72)에 체결되므로, 조절나사(74C)을 풀고, 조절블럭(74)의 위치를 설정한 후 다시 조이는 동작으로 조절블럭(74)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걸림턱(74A)의 돌출정도가 조절되어 간격(T)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The space adjusting block 70 forms a space T for allowing only one pass to pass along with the space forming block 80 and is fixed to the bracket 10 on both sides by the upper shaft 76. 72 and the gap between the gap forming block 80 by adjusting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engaging jaw 74A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through the upper installation hole 62A. It is composed of a control block (74)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72 having a long hole (74B) to adjust the T). The adjustment block 74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72 by the adjustment screw 74C, and the adjustment screw 74C is fastened to the fixed block 72 through the long hole 74B, and thus, the adjustment screw 74C. ,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block 74 is fixed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block 74 and then tightening again, that is, the protrusion degree of the locking jaw 74A is adjusted so that the interval T can be adjusted. It is.

이때, 조절블럭(74)의 걸림턱(74A)은 상부 안내판(62)의 안내면(62B)과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2장의 통행권이 상,하부 안내판(62,64) 사이의 통로로 진입했을 때, 간격(T) 사이에 위치한 1장의 통행권은 통과하고 걸림턱(74A)에 걸린 나머지 통행권이 먼저 통과되는 통행권과 같이 간격(T)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통행권의 단부가 안내면(62B)과 직각을 이루는 걸림턱(74A)에 걸려 간격(T)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걸림턱(74A)과 안내면(62B)이 둔각을 이룬다면, 통행권의 단부는 걸림턱(74A)에 걸리지 않고 미끄러져 간격(T)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74A)과 상부 안내판(62)의 안내면(62B)이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locking step 74A of the adjustment block 74 is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guide surface 62B of the upper guide plate 62. This means that when the two passes enter the passag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ide plates 62 and 64, the pass passes through the one pass right between the gaps T and passes through the rest of the traffic jams 74A. Likewise to prevent passing through the interval (T). That is, it is for preventing the edge part of the passage to be caught by the engaging projection 74A perpendicular to the guide surface 62B, and to not move to the space | interval T. If the engaging jaw 74A and the guide surface 62B form an obtuse angle, the end portion of the pass can be moved to the interval T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ngaging jaw 74A. Therefore, the locking step 74A and the guide surface 62B of the upper guide plate 62 are at right angles.

간격형성블럭(80)은 일부분이 하부 안내판(64)의 하부 설치공(64A)을 통하여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걸림턱(74A)의 사이에 1장의 통행권이 통과되기 위한 간격(T)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브라켓(10)에 하부축(84)으로 설치된다. 즉, 간격형성블럭(80)은 간격조절블럭(70)과 마주보는 위치에 일부가 하부 설치공(64A)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일단부와 걸림턱(74A) 사이에 간격(T)을 형성하는 것이다. A part of the gap forming block 80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through the lower installation hole 64A of the lower guide plate 64 so that one piece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jaws 74A. The lower shaft 84 is installed on the pair of brackets 10 so as to form a gap T for passing the right of passage. That is, the gap forming block 80 is installed to be partially exposed to the lower installation hole 64A at a position facing the gap adjusting block 70 to form a gap T between one end and the engaging jaw 74A. will be.

이러한 간격형성블럭(80)은 간격조절블럭(70)과 마주보는 면에 통행권을 걸림턱(74A)과의 사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경사부(82)가 형성된다. The gap forming block 80 is formed with a guide inclined portion 82 for guiding a right of passage between the engaging jaw 74A on the surface facing the gap adjusting block 70.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간격조절블럭(70)을 브라켓(10)에 결합하는 상부축(76)과, 간격형성블럭(80)을 브라켓(10)에 결합하는 하부축(84)은 각각의 단부가 연결부재(78)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상부축(76)과 하부축(84)이 각 연결부재(78)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은, 상부축(76)과 하부축(84)에 결합된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 사이의 간격(T)이 임의로 가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haft 76 for coupling the bar spacing control block 70 shown in Figure 7 to the bracket 10, and the lower shaft 84 for coupling the spacing forming block 80 to the bracket 10, respectively The ends of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78 and are integrated. In this way, the upper shaft 76 and the lower shaft 84 is integrated by each connecting member 78, the gap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coupled to the upper shaft 76 and the lower shaft 84. It is for the space | interval T between 80 not to change arbitrarily.

이때, 상부축(76)은 간격조절블럭(70)의 고정블럭(72)을 관통한 후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블럭(72)과 결합되고, 하부축(84)은 간격형성블럭(80)을 관통한 후 고정나사에 의해 간격형성블럭(80)과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shaft 76 is coupled to the fixed block 72 by a fixing screw after passing through the fixed block 72 of the gap adjusting block 70, the lower shaft 84 is the gap forming block 80 After penetrating, it is combined with the spacing block 80 by a fixing screw.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이 하부축(84)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통행권의 장력에 의해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이 유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블럭 유동수단(90)을 구비한다. 즉,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이 허용된 소정각도 내에서 하부축(84)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공급되는 통행권의 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ticke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7 and 8 the interval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80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lower shaft 84 It is provided with a block flow means (90) for rotating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gap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80) operate fluidly by the tension of the pass. That is, the gap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80 may be moved about the lower shaft 84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pe with the tension of the supplied passage.

이러한 블럭 유동수단(90)은 일단이 브라켓(1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간격조절블럭(70)의 고정블럭(72)에 고정되어 간격조절블럭(70)을 하부축(8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기 위한 제1 탄성체(92)와, 일단이 안내블럭(50)에 형성되는 안내공(52)을 통하여 상부축(76)에 접촉되도록 브라켓(1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부축(76)을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기 위한 제2 탄성체(94)와,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이 같이 하부축(8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브라켓(10)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축(76)이 설치되는 설치장공(96)으로 이루어진다. One end of the block flow means 9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xed block 72 of the gap adjusting block 70, the gap adjusting block 70 to the lower shaft 84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bracket 10 such that the first elastic body 92 for supporting elastic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haft 76 through the guide hole 52 formed in the guide block 5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94 for supporting the upper shaft 76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gap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80 are counterclockwise or around the lower shaft 84. It is formed in the bracket 10 so as to rotate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made of a mounting hole 96 is installed the upper shaft 76.

이때, 제2 탄성체(94)는 안내공(52)에 삽입 설치되는 가압부재(94A)와, 안내공(52)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가압부재(94A)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94B)과, 브라켓(10)의 일부분에 고정너트(94D)로 설치되고, 일단이 압축 스프링(94B)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고, 풀고 조이는 동작으로 가압부재(94A)가 상부축(76)을 가압하는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94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 조절볼트(94C)로 상부축(76) 가압정도를 조절한 후 고정너트(94D)의 조임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된다. 이러하 제2 탄성체(94)는 통행권의 장력이나 제1 탄성체(92)의 탄성력에 따라 상부축(76)의 가압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body 94 is a pressure member (94A)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2, a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2 and the compression spring (94B) for pressing the pressure member (94A) and , A fixing nut 94D is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bracket 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spring 94B,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tool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tool, and the pressing member 94A in an unwinding and tightening oper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bolt 94C for adjusting the strength to press the upper shaft (76). After adjusting the pressurization degree of the upper shaft 76 with this adjusting bolt 94C, the movement is fixed by tightening the fixing nut 94D. The second elastic body 94 is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ressurization of the upper shaft 76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of the pass or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92.

이와 같이, 블럭 유동수단(90)은 상부축(76)과 하부축(84)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하부축(84)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브라켓(10)의 원형공에 설치되고, 상부축(76)은 하부축(8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장공(96)에 설치되며, 제1 탄성체(92)와 제2 탄성체(94)가 간격조절블럭(70)을 양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고, 특히 제2 탄성체(94)는 지지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유지블럭(80)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block flow means 90 is installed in the circular hole of the bracket 10 so that the lower shaft 84 is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upper shaft 76 and the lower shaft 84 are integrated, and the upper shaft 76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96 to move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lower shaft 84, the first elastic body 92 and the second elastic body 94 is the interval adjustment block 70 2) elastic support in both directions, in particular, the second elastic body 94 is configured to adjust the support force so that the interval adjusting block 70 and the interval maintaining block 80 can be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a,9b,9c,9d,9e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ual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the pass ticke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ased on Figure 9a, 9b, 9c, 9d, 9e as follows.

픽업롤러(20)에 의해 통행권이 안내부(60)로 이송될 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통행권이 이송되면, 2장의 통행권은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로 진입한다. When the right of travel is transferred to the guide unit 60 by the pickup roller 20, if two passes are transported as shown in FIG. 9A, the two passes are entered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do.

이때,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로 진입한 2장의 통행권 중에서 하부 안내판(64)에 접한 통행권은 도 9b, 9c,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경사부(82)에 안내되어 걸림턱(74A)의 단부와 간격형성블럭(8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격(T)을 통하여 이송롤러(30)와 아이들롤러(40) 사이로 이송된 후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At this time, of the two passes entering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the right of contact with the lower guide plate 64 is guided to the guide inclined portion 82 as shown in Figs. 9B, 9C, and 9D. It is transferred between the feed roller 30 and the idle roller 40 through a gap T formed at the end of the jaw 74A and the end of the gap forming block 8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이와 같이 1장의 통행권이 1장의 통행권 두께로 형성된 간격(T)을 통과할 때, 상부 안내판(62)에 접한 상태로 상부 안내판(62)과 하부 안내판(64) 사이로 진입한 다른 통행권의 전단부는 간격조절블럭(70)의 조절블럭(74)의 걸림턱(74A)에 걸려 이동이 정지된다. In this way, when one pass passes the gap T formed with the thickness of one pas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other pass that enters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62 and the lower guide plate 64 in contact with the upper guide plate 62 is spaced. The movement stops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74A of the adjustment block 74 of the adjustment block 70.

따라서,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은 2장의 통행권이 진입하더라도 1장의 통행권만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the interval adjusting block 70 and the interval forming block 80 can pass only one pass even if two passes enter.

한편, 걸림턱(74A)에 걸렸던 나머지 통행권을 픽업롤러(20)가 계속 밀게 되므로,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은 통행권의 진행력에 의해 간격조절블럭(70)의 걸림턱(74A)을 밀게 된다. 이 괴정으로 간격조절블럭(70)은 제1 탄성체(92)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된다. 이러한 작동은 상부축(76)과 하부축(84)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부축(76)이 하부축(8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간격조절블럭(70)이 제1 탄성체(92)와 제2 탄성체(94)에 의해 탄력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블럭(70)이 제1 탄성체(92)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걸림턱(74A)은 안내면(62B)과 둔각을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걸림턱(74A)에 걸렸던 나머지 통행권은 간격(T)으로 진입하여 이송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ick-up roller 20 keeps pushing the remaining passage right that has been caught by the stopping jaw 74A, the gap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80 are caught by the gap adjusting block 70 by the traveling force of the pass. The jaw 74A is pushed. The gap adjustment block 7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body 92. In this operation, the upper shaft 76 is rotatably installed about the lower shaft 84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haft 76 and the lower shaft 84 are integrated, and the gap adjusting block 70 is formed of the first elastic body ( 92 and the second elastic body 94 are elastically supported. As the gap adjusting block 7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overcoming the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body 92, the locking jaw 74A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guide surface 62B, thereby causing the locking jaw to fall. The rest of the pass that was taken at 74A is entered and transported at interval T.

그리고, 통행권이 모두 통과된 후에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은 제1 탄성체(92)와 제2 탄성체(94)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걸림턱(74A)과 안내면(62B)은 다시 직각을 유지하게 된다. After the passage passes, the space adjusting block 70 and the space forming block 8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body 92 and the second elastic body 94, and thus the locking jaw 74A and the guide surface. 62B again maintains a right angle.

이와 같이 간격조절블럭(70)과 간격형성블럭(80)이 임의로 가변되지 않는 간격(T)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가변되지 않는 간격(T)을 형성하면서도 블럭 유동수단(90)에 의해 간격(T)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이중으로 진입한 통행권을 효과적으로 1장씩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gap adjusting block 70 and the gap forming block 80 form an interval T which is not arbitrarily variable, and the gap is formed by the block flow means 90 while forming an interval T that is not variabl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ass a double pass for each pass.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브라켓 20 :픽업롤러
22 : 하부블럭 30 : 이송롤러
40 : 아이들롤러 50 : 안내블럭
52 : 안내공 60 : 안내부
62 : 상부 안내판 62A : 상부 설치공
62B : 안내면 64 : 하부 안내판
64A : 하부 설치공 70 : 간격조절블럭
72 : 고정블럭 74 : 조절블럭
74A : 걸림턱 74B : 조절나사
74C : 장공 76 : 상부축
80 : 간격형성블럭 82 : 안내 경사부
84 : 하부축 90 : 블럭 유동수단
92 : 제1 탄성체 94 : 제2 탄성체
94A : 가압부재 94B : 압축 스프링
94C : 조절볼트 94D : 고정너트
96 : 설치장공
10: bracket 20: pickup roller
22: lower block 30: feed roller
40: idle roller 50: guide block
52: guide 60: guide
62: upper guide plate 62A: upper installation hole
62B: guide surface 64: lower guide plate
64A: Lower installation hole 70: Spacing adjustment block
72: fixed block 74: adjustment block
74A: Jam Jaw 74B: Adjusting Screw
74C: long hole 76: upper shaft
80: spacing block 82: guide inclined portion
84: lower axis 90: block flow means
92: first elastic body 94: second elastic body
94A: pressure member 94B: compression spring
94C: Adjusting bolt 94D: Fixing nut
96: installation worker

Claims (7)

삭제delete 통행권 발행기의 픽업롤러와, 이송롤러 및 아이들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이중발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부 설치공을 구비하여 안내블럭에 결합되는 상부 안내판 및 하부 설치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 안내판과 마주보도록 하부블럭에 설치되는 하부 안내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되는 통행권을 이송롤러와 아이들롤러 사이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안내판과 하부 안내판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안내블럭의 내부에 마련되는 간격조절블럭; 및
일부분이 상기 하부 설치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안내판과 하부 안내판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걸림턱과의 사이에 1장의 통행권이 통과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하도록 한 쌍의 브라켓에 마련되는 간격형성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블럭은,
상부축에 의해 양측의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고정블럭; 및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 안내판과 하부 안내판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결합되는 조절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형성블럭과 간격조절불럭 사이로 1장의 통행권만 통과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
The device is installed between the pickup roller of the pass ticket machine, the transfer roller and the idle roller to prevent the double ticketing,
The upper guide plate coupled to the guide block with an upper installation hole and the lower guid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block to face the upper guide plate provided with a lower installation hole consisting of a transport roller picked up and transported by the pickup roller transport roller and the children Comprising a guide for guiding between the rollers,
A gap adjusting block having a locking jaw and provided in the guide block such that the locking jaw is exposed to a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through the upper installation hole; And
A portion is exposed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through the lower installation hole and includes a gap forming block provided on the pair of brackets to form a gap for passing a single pass right between the locking jaw and,
The gap adjusting block is,
A fixed block coupled to the bracket on both sides by an upper shaft; And
It is made of a control block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having a long hole to adjust the degree of exposure of the locking jaw 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guide plate and the lower guid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only one pass of the pass between the gap forming block and the gap control block,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pass gen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 안내판의 안내면과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cking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right angle with the guide surface of the upper guide plate,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pass gen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블럭은,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마주보는 면에 통행권을 상기 걸림턱과의 사이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cing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nclined portion for guiding the right of the passage between the locking step on the surface facing the gap adjusting block,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pass gener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블럭은 하부축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상기 상부축과 하부측의 양단이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ap forming block is installed on the bracket by a lower shaft,
Both ends of the upper shaft and the lower side are coupled by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pass gener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상기 하부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통행권의 장력에 의해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유동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블럭 유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블럭 유동수단은,
일단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간격조절블럭에 고정되며, 상기 간격조절블럭을 상기 하부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기 위한 제1 탄성체;
일단이 상기 안내블럭에 형성되는 안내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축에 접촉되도록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축을 반시계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기 위한 제2 탄성체; 및
상기 간격조절블럭과 간격형성블럭이 같이 상기 하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축이 설치되는 설치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lower axis so that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are fluidly operated by the tension of the pass. Provided with a block flow means,
The block flow mean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ap adjusting block, the first elastic body supporting the gap adjusting block in a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lower axis;
A second elastic body installed at the bracket such that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haft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block, and the elastic member supports elastically the upper shaf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adjusting block and the gap forming block is formed in each of the brackets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axis, the mounting hole is installed, the upper shaft,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pass gener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안내공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안내공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 및
상기 브라켓의 일부분에 고정너트로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압축 스프링과 연결되며, 타단에는 공구가 결합되기 위한 공구 결합부가 형성되고, 풀고 조이는 동작으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상부축을 가압하는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권발생기의 이중발권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elastic member
A pressing member installed in the guide hole;
A compression spring for inserting a portion of the guide hole to pressurize the pressing member; And
A fixing nut is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bracke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spring,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tool coupling part for engaging the tool, and the pressing member adjusts the strength to press the upper shaft by the loosening and tightening op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bolt,
Double ticketing prevention device of pass generator.
KR1020120101099A 2012-09-12 2012-09-12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KR101376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99A KR101376269B1 (en) 2012-09-12 2012-09-12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99A KR101376269B1 (en) 2012-09-12 2012-09-12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269B1 true KR101376269B1 (en) 2014-03-26

Family

ID=5064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099A KR101376269B1 (en) 2012-09-12 2012-09-12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2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61B1 (en) * 2002-03-16 2003-11-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sheet of ticket
KR100472381B1 (en) * 2002-07-18 2005-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drawing sheet of ti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61B1 (en) * 2002-03-16 2003-11-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sheet of ticket
KR100472381B1 (en) * 2002-07-18 2005-03-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drawing sheet of ti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449B2 (en) Sheet transport apparatus facilitating establishing a continuous sheet transport path
TWI389059B (en) Bill sending-out mechanism
US4555104A (en) Overlapping document feed apparatus
KR10137626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ouble issuing of passage publisher
JP7142896B2 (en) Ticket issuing device
JP5695198B2 (en) Paper sheet feed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WO2020049820A1 (en) Thickness detection device an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JPH058282Y2 (en)
JP3129031B2 (en) Bill validator with pull-out prevention function
JP3078999B2 (en) Bill processing device
JP3965291B2 (en) Magnetic processing device and ticket processing device
JP3880671B2 (en) Bill feeding device
JP3325310B2 (en) Paper transport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5974217B2 (en) Print issue device
JPH0423871Y2 (en)
JP3971648B2 (en) Paper sheet discharge device
JP5458559B2 (en) Media take-in mechanism
KR101456717B1 (en) Transaction process recording apparatus for automated machine
JP5176256B2 (en) Ticket coin separator
JP2005132587A (en) Paper delivery device
JP3913853B2 (en) Ticket processing equipment
KR200145532Y1 (en) Banknote dispensing device of atm
JP3481319B2 (en) Sheet processing machine
JP2573280B2 (en) Double feed detector for paper sheets
JP2759194B2 (en) Sheet handl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