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355B1 - 구두 - Google Patents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355B1
KR101375355B1 KR1020120097920A KR20120097920A KR101375355B1 KR 101375355 B1 KR101375355 B1 KR 101375355B1 KR 1020120097920 A KR1020120097920 A KR 1020120097920A KR 20120097920 A KR20120097920 A KR 20120097920A KR 101375355 B1 KR101375355 B1 KR 10137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ole
foot
main body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042A (ko
Inventor
서성종
Original Assignee
서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종 filed Critical 서성종
Priority to KR1020120097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3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toes, i.e. the phalang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발바닥이 안착되는 밑창부와 상기 밑창부에 결합되어 상기 밑창부에 안착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밑창부상에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뒷굽과; 상기 밑창부에 착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착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본체의 선단 측을 향하여 밀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착용자의 발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밑창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는 일 측이 더 높게 출몰가능하도록 상기 밑창부에 설치된 밀림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두에 의하면 착용자의 발볼과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이 각각 소정의 높이 차를 갖는 여성용 구두의 경우 특히, 내리막길의 경우 밀림방지부에 의하여 착용자의 발이 구두 내부에서 구두의 앞쪽부분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가락의 압박감 및 발이 변형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지지패드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지면으로부터 발바닥 및 발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발을 편하게 하면서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두{Shoes}
본 발명은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용 구두에 있어서 발의 밀림현상 및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충할 수 있는 여성용 구두에 관한 것이다.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많은 뼈와 관절,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발의 구성요소들은 선 상태와 이동 상태에서 발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고정 구조를 이루기도하고, 각각의 상태에서 달라지는 서로 간의 결합에 의해 몇 가지 정형적인 형태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신발은 이러한 발을 외부의 열이나 냉기, 외부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동시 발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신발은 다른 한편으로 자연스러운 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가령, 5cm 이상의 높은 굽이 달린 여성용 드레스화, 즉, 하이힐의 경우, 보행을 하는 발의 형태를 위주로 볼 때 자연스러운 4단계 보행이 아닌 1단계 보행이 된다. 즉, 보행시 발의 형태가 하이힐 자체의 형태에 의해 항상 뒤꿈치를 들고 있는 까치발 형태로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이힐은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정지 상태에서도 지면에 닿는 밑창을 가가지며 발가락 부분을 수용하는 전족부와 높은 굽에 의해 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후족부 및 전족부와 후족부를 연결하는 중족부를 가지므로 중족부의 경사는 필연적이며, 중족부의 경사로 인하여 발의 후족부는 구두 위에 안정되지 못하고 항상 구두 내면의 경사를 따라 구두 앞쪽으로 쏠리는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은 발볼부분에 집중되고, 구두 앞쪽의 좁은 볼로 인하여 무지외반증을 유발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개발되는 하이힐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0-0048825호에는 발꿈치가 닿는 부분에 소정깊이로 인입된 힐 컵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발볼에 체중이 치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강성 장치가 구비된 구두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두는 착용자가 구두를 착용한 상태로 내리막길을 걸을 때 착용자의 발꿈치와 힐 컵이 형성된 강성 장치가 비스듬한 상태가 되어 미끄러지므로 종래의 하이힐과 마찬가지로 발가락이 구두의 앞쪽으로 즉, 좁은 영역으로 밀리게 되어 착용자가 압박감 및 고통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자의 발볼과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이 각각 소정의 높이 차를 갖는 여성용 구두에서 발가락으로 체중이 쏠리는 현상을 억제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발을 편하게 할 수 있는 구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두는 발바닥이 안착되는 밑창부와 상기 밑창부에 결합되어 상기 밑창부에 안착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밑창부상에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뒷굽과; 상기 밑창부에 착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착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본체의 선단 측을 향하여 밀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착용자의 발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밑창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는 일 측이 더 높게 출몰가능하도록 상기 밑창부에 설치된 밀림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림방지부는 착용자의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밑창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과, 상기 인입홈에 삽입된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가 상기 인입홈에 대하여 출몰될 수 있게 상기 지지패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도록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뒷굽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착용자의 발볼에 접촉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에 착용자의 발볼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인입홈을 향하여 하방으로 인입되며, 상기 인입홈은 상기 제2부분보다 상기 제1부분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더 클 때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인입홈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차단부와, 상기 제1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될 때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인입홈을 향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부분의 회전궤도에 대응하는 회전허용부가 연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림방지부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뒷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착용자의 발볼에 접촉되는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멀어지게 연장된 호 형상의 원호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원호부를 연결하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갖는 반원기둥 형상의 지지패드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로부터 각각 멀어지게 연장된 구름부와, 상기 지지패드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와 각각 마주하는 내주면에 상기 구름부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호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이 마련된 인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부분에 가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호부의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부분보다 상기 제1부분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클 때,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선단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후단이 착용자의 발가락이 안착되는 선단보다 7cm ~ 20cm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두에 의하면 착용자의 발볼과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이 각각 소정의 높이 차를 갖는 여성용 구두의 경우 특히, 내리막길의 경우 밀림방지부에 의하여 착용자의 발이 구두 내부에서 구두의 앞쪽부분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가락의 압박감 및 발이 변형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지지패드가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지면으로부터 발바닥 및 발볼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킴으로써 발을 편하게 하면서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을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두의 단면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구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두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두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두(1)는 착용자의 발(2) 중 발바닥이 안착되는 밑창부(11)와 상기 밑창부(11)에 결합되어 상기 밑창부(11)에 안착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부(12)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밑창부(11)상에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뒷굽(20)과, 상기 밑창부(11)에 착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할 때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착용자의 발가락(2a)이 상기 본체(10)의 선단 측을 향하여 밀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착용자의 발볼(2b)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밑창부(11)로부터 상기 본체(10)의 선단을 향하는 일 측이 더 높게 출몰가능하도록 상기 밑창부(11)에 설치된 밀림방지부(30)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구두(1)는 착용자의 발가락(2a) 및 발볼(2b) 부분이 안착되는 구두(1)의 전족부 즉, 앞쪽 부분이 발뒤꿈치 부분이 안착되는 후족부 즉, 뒤쪽 부분이 높은 하이힐 형태의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뒷굽(20)이 높은 모든 종류의 것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밑창부(11)는 후술하는 밀림방지부(30)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뒷굽(20)이 위치하는 부분보다 앞쪽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며, 상기의 갑피부(12)는 일반적으로 하이힐 또는 여성의 정장용 구두에 쓰이는 소재로 형성한다.
밀림방지부(30)는 착용자의 발볼(2b)에 대응하는 위치의 밑창부(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40)과, 인입홈(40)에 삽입된 지지패드(50)와, 지지패드(50)가 인입홈(40)에 대하여 출몰될 수 있게 지지패드(5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착용자 발(1)의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6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지지패드(50)는 회전축(60)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선단을 향하도록 연장된 제1부분(51)과, 회전축(60)을 중심으로 뒷굽(20)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착용자의 발볼(2b)이 안착 및 접촉되는 제2부분(52)을 구비한다.
제1부분(51)은 착용자의 발볼(2b)과 발가락(2a) 사이의 부분 또는 발가락(2a)이 안착 및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착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할 때 발볼(2b)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제2부분(52)에 하방으로 가압력이 작용할 때 인입홈(40)으로부터 밑창부(11)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부분(52)은 인입홈(40)을 향하여 하방으로 인입된다.
이와 반대로 발볼(2b)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거나 제1부분(51)과 제2부분(5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동일하거나 제1부분(5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더 큰 경우 인입홈(40)에 인입된 상태의 제2부분(52)이 밑창부(11)의 상면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회전된다.
상기의 인입홈(40)은 제2부분(52)보다 제1부분(51)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더 클 때 제1부분(51)이 인입홈(40)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 즉, 인입홈(40)을 향하여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차단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제1부분(51)이 상방으로 돌출될 때 즉, 제1부분(51)보다 제2부분(52)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큰 경우 제2부분(52)이 인입홈(40)을 향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2부분(52)의 회전궤도에 대응하는 회전허용부(42)가 연속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허용부(42)의 바닥에는 지지패드(50)가 밑창부(11)의 상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즉, 발가락(2a)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정된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상기의 인입홈(40)은 본체(10)의 선단 측에서 뒷굽(20)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구두(1)는 착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할 때 착용자의 발이 본체(10)의 앞쪽 부분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의 밀림방지부(30)가 착용자의 발볼(2b)을 걸림지지시킬 수 있는 공간 및 지지수단을 제공하여 착용자의 발(2)이 구두(1)의 앞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구두에 비하여 착용자의 발가락(2a) 부분이 구두(1)의 앞쪽으로 쏠리면서 작용자의 발가락(2a)부분에 발생하는 압박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용자 발의 변형 및 고통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두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두(2)는 본체(10)와, 뒷굽(20)과, 밀림방지부(130)를 구비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체(10) 및 뒷굽(2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구두(1)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밀림방지부(130)는 밑창부(11)에 설치되는 지지패드(140)와, 지지패드(140)에 설치된 구름부(150) 및 상기의 지지패드(140)와 구름부(15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인입홈(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패드(140)는 원기둥을 중심축으로 세로로 자른 형태의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장방형의 접촉부(141)와, 접촉부(141)의 가장자리 중 본체(10)의 선단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부분(142)과 뒷굽(20)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착용자의 발볼(2b)이 접촉 및 안착되는 제2부분(143)으로부터 각각 접촉부(141)과 멀어지게 연장된 호 형상의 원호부(146)와, 상기 접촉부(141)와 원호부(146)의 외주면을 서로 연결하는 제1측면(144)부 및 제2측면부(미도시)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지지패드(140)는 보행시 밑창부(1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구름부(150)는 제1측면(144)부 및 제2측면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제1측면(144)부와 제2측면부와 멀어지게 연장되어 있으며 단부가 후술하는 가이드 홈(161)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름부(150)는 지지패드(140)에 일단이 고정되고 자유단 측에 롤러부재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인입홈(160)은 지지패드(1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볼(2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측면(144)부 및 제2측면부와 각각 마주하는 내주면에는 구름부(150)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원호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이드 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161)은 제2부분(52)에 가압력이 작용할 때 제1부분(142)이 인입홈(160)으로부터 밑창부(11)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원호부(146)의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부분(52)보다 제1부분(51)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클 때 제2부분(143)이 인입홈(160)으로부터 밑창부(11)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10)의 선단을 향하여 편향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접촉부(141)가 밑창부(11)의 상면과 평행한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구름부(150)재가 위치하는 위치에서부터 본체(10)의 선단 측을 향하여 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밀림방지부(130)는 내리막길에서 보행할 때 착용자의 발가락(2a)부분이 구두(1)의 선단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 즉, 착용자의 발볼(2b)을 밑창부(11)에 지지시킬 수 있어 착용자의 발가락(2a) 형태의 변형 및 고통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두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2: 구두
10 : 본체
11 : 밑창부
12 : 갑피부
30, 130 : 밀림방지부
40, 160 : 인입홈
50, 140 : 지지패드
51 : 제1부분
52 : 제2부분
60 : 회전축
141 : 접촉부
144 : 제1측면
146 : 원호부
150 : 구름부
161 : 가이드 홈

Claims (4)

  1. 발바닥이 안착되는 밑창부와 상기 밑창부에 결합되어 상기 밑창부에 안착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밑창부상에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부분과 대응하는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된 뒷굽과;
    상기 밑창부에 착용자가 내리막길을 보행할 때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착용자의 발가락이 상기 본체의 선단 측을 향하여 밀리는 것을 억제하도록 착용자의 발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밑창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는 일 측이 더 높게 출몰가능하도록 상기 밑창부에 설치된 밀림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착용자의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밑창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과, 상기 인입홈에 삽입된 지지패드와, 상기 지지패드가 상기 인입홈에 대하여 출몰될 수 있게 상기 지지패드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패드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도록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뒷굽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착용자의 발볼에 접촉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2부분에 착용자의 발볼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인입홈을 향하여 하방으로 인입되며,
    상기 인입홈은 상기 제2부분보다 상기 제1부분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더 클 때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인입홈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차단부와, 상기 제1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될 때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인입홈을 향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부분의 회전궤도에 대응하는 회전허용부가 연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부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가장자리 중 상기 본체의 선단을 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뒷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착용자의 발볼에 접촉되는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멀어지게 연장된 호 형상의 원호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원호부를 연결하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갖는 반원기둥 형상의 지지패드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로부터 각각 멀어지게 연장된 구름부와, 상기 지지패드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와 각각 마주하는 내주면에 상기 구름부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호부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이 마련된 인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부분에 가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제1부분이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호부의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부분보다 상기 제1부분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클 때,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인입홈으로부터 상기 밑창부의 상면보다 높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선단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부는 착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는 후단이 착용자의 발가락이 안착되는 선단보다 7cm 내지 20cm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KR1020120097920A 2012-09-04 2012-09-04 구두 KR10137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20A KR101375355B1 (ko) 2012-09-04 2012-09-04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20A KR101375355B1 (ko) 2012-09-04 2012-09-04 구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42A KR20140031042A (ko) 2014-03-12
KR101375355B1 true KR101375355B1 (ko) 2014-03-19

Family

ID=5064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20A KR101375355B1 (ko) 2012-09-04 2012-09-04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3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204Y1 (ko) 2006-01-19 2006-04-17 신태숙 신발
KR100805349B1 (ko) 2006-11-14 2008-02-20 김부성 접이식 뒷굽을 가지는 여성용 구두
KR20110084637A (ko) * 2010-01-18 2011-07-26 김윤준 기능성 구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204Y1 (ko) 2006-01-19 2006-04-17 신태숙 신발
KR100805349B1 (ko) 2006-11-14 2008-02-20 김부성 접이식 뒷굽을 가지는 여성용 구두
KR20110084637A (ko) * 2010-01-18 2011-07-26 김윤준 기능성 구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42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9050B2 (en) Footwear with orthotic midsole
KR101073810B1 (ko) 충격분산과 구름보행을 위한 추진식 신발창
US7073275B2 (en) Shoe sole with foot guidance
US10264847B2 (en) Footwear with metatarsal offloading
ES2767063T3 (es) Suela para un zapato, en particular para una zapatilla de footing
US20230346584A1 (en) Forefoot orthotic device
KR200462847Y1 (ko) 무릎 관절 보호 및 오다리 교정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밑창
US20190208860A1 (en) Footwear with Metatarsal Offloading
KR101075789B1 (ko) 발 폭의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CA2845660C (en) Sock with ball and heel guide pads
US20180213889A1 (en) Adjustable shoe and shoe base for an adjustable shoe
KR101375355B1 (ko) 구두
KR200454328Y1 (ko) 과내전 및 외전 방지용 신발 깔창
KR200487099Y1 (ko) 양방향 신발
JP4714329B2 (ja) 足底板、中敷き、及び履物
KR200462939Y1 (ko) 발볼 넓이가 조절가능한 신발 밑창
KR101715270B1 (ko) 층간소음 방지용 슬리퍼
KR200366524Y1 (ko) 키높이 양말용 패드
CN219479356U (zh) 一种运动鞋鞋底
CN220174599U (zh) 一种腿型矫正垫及其矫正鞋
JP3135875U (ja) S字型婦人靴
KR20120083654A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20100006466U (ko) 기능성 신발 바닥창
KR101280971B1 (ko) 무릎 충격과 발바닥 압력집중을 완화하는 뒷굽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513929B1 (ko) 기능성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