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866B1 - 환기구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환기구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866B1
KR101374866B1 KR1020130098827A KR20130098827A KR101374866B1 KR 101374866 B1 KR101374866 B1 KR 101374866B1 KR 1020130098827 A KR1020130098827 A KR 1020130098827A KR 20130098827 A KR20130098827 A KR 20130098827A KR 101374866 B1 KR101374866 B1 KR 10137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ipe
heat
heat conductiv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젼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젼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젼인텍
Priority to KR102013009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환기구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실외공기와 유입되는 외부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전도파이프를 구비하였으며, 기존에 설치된 환기구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환기구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구용 열교환기{Heat exchange structure for ventilator}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환기구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실외공기와 유입되는 외부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전도파이프를 구비하였으며, 기존에 설치된 환기구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어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환기구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살아가는데 있어서 공기는 꼭 필요한 존재이기 때문에 다양한 시설을 만들어 최적의 환경 속에서 생활하려는 욕구가 있다. 최적의 환경은 생산성 및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며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생명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환기장치 등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는 산업용시설, 공장, 축사 및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며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을 경우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의 신선한 공기로 대체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환기장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 측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여름철의 실내에서 냉방 및 환기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냉방된 실내공기가 배기됨과 아울러 더운 실외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냉방온도보다 상승하여 냉방효율이 떨어지고, 겨울철의 실내에서 난방 및 환기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난방된 실내공기가 배기됨과 아울러 차가운 실외공기가 흡입됨과 따라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난방온도보다 하강하여 난방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환기장치에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일어나 냉, 난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환기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열교환기가 설치된 종래의 환기장치는 환기장치 내부에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어 기존에 설치된 송풍기를 철거하고 열교환기가 구비된 환풍기를 새로 설치해야 하며 이에 따라 환기덕트 또한 교체해야 함으로 인해 멀쩡한 환풍기 및 환기덕트의 교체 비용이 필요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열교환기가 설치된 환기장치의 내부에는 실외공기와 실외공기가 이동하는 이동로가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으로 열교환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교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냉,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된 환풍기 또는 환기덕트에 설치가 가능하여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환기구용 열교환기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312호 '열교환기 환기장치' (공개일자 2010.11.15)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6008호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공개일자 2005.05.30)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7580호' 환기용 열교환장치' (공개일자 2002.11.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염된 실내공기와 외부의 신선한공기가 교체될 때 손실되는 열 에너지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된 환풍기나 환기덕트에 설치가 가능한 환기구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계절에 따라 열전도파이프의 위치가 가변되는 환기구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환기구용 열교환기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건물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환기덕트(200);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건물 내부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환기덕트(300); 양측에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벽면을 관통하는 회전축(40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호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S)을 배출공간(S1)과 유입공간(S2)으로 각각 구획하며 상기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분리막(400); 일측이 상기 배출공간(S1)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유입공간(S2)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막(400)을 관통하여 상기 분리막(400)에 고정되되, 상기 분리막(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측단이 상기 배출공간(S1) 및 상기 유입공간(S2)의 상측과 하측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막(400)과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500); 상기 회전축(401)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회전축(40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모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400)은 상기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며 양측에 상기 회전축(40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파이프삽입막(410);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상면과 내측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파이프삽입막(41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파이프삽입막(4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주름막(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01)에는 외측면에 제1 돌기(711)가 돌출 형성되는 제1 링과(710) 상기 제1 링(710)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외측면에 제2 돌기(721)가 돌출 형성되는 제2 링(720)이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제1 돌기(711)와 접촉되면 상기 모터(600)로 특정신호를 전달하는 제1 센서(810)와 상기 제2 돌기(721)와 접촉되면 상기 모터(600)로 특정신호를 전달하는 제2 센서(820)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파이프(50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핀(510)이 형성되되, 상기 열전도핀(510)에는 상기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다수개의 삽입홀(511)과 상기 삽입홀(511)에 내측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리브(5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파이프(500)는 상기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어 절곡된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이 인접한 상기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51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이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핀(510)에는 이동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요철부(5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로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에 열전도 유체가 구비되는 히트파이프(heat pipe)로 형성된 열전도파이프를 다수개 구비하고,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열교환으로 인해 열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계절에 따라 열전도파이프의 위치가 가변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였으며, 열전도파이프가 2열 구조로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열전도파이프는 열전도핀에 일측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열전도파이프는 열전도핀에 타측방향으로 삽입되어 구조적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환기구용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케이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주요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열전도파이프와 열전도핀 및 분리막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열전도파이프의 작동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분리막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열전도핀에 삽입된 열전도파이프 및 열전도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환기구용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케이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케이스 내부에 위치한 주요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열전도파이프와 열전도핀 및 분리막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열전도파이프의 작동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분리막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열전도핀에 삽입된 열전도파이프 및 열전도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기구용 열교환기는 건물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구 및 환기장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환기구용 열교환기는 케이스(100)를 갖는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상판과 하판 및 상판과 하판 사이에 형성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호 마주보는 측판은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배출환기덕트(200)가 형성된다. 배출환기덕트(200)는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출환기덕트(200)를 통하여 건물의 실내공기가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배출환기덕트(200)와 인접하도록 케이스(100)의 상면과 하면에 유입환기덕트(300)가 형성된다. 유입환기덕트(300)는 상기 배출환기덕트(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된다. 따라서 유입환기덕트(300)를 통하여 건물 외부의 실외공기가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분리막(400)이 형성된다. 분리막(400)은 케이스(100) 내부를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공간(S)을 배출공간(S1)과 유입공간(S2)으로 구획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분리막(400)에는 열전도파이프(500)가 분리막(4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열전도파이프(500)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다. 열전도파이프(500)는 일측이 배출공간(S1)에 위치하고 타측이 유입공간(S2)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열전도파이프(500)는 내부에 열전도 유체가 구비되는 히트파이프(heat pipe)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분리막(400)은 파이프삽입막(410), 주름막(420)을 포함한다.
파이프삽입막(410)은 양측에 회전축(401)이 각각 형성되며 회전축(401)은 케이스(100)의 내측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이때 회전축(401)과 케이스(100)의 내측벽면 사이에는 회전축(401)에 삽입되며 케이스(100)의 내측벽면에 고정되는 베어링(402)이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삽입막(410)에는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는 고정홀(411)이 형성되며 고정홀(411)은 열전도파이프(5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삽입막(410)이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일측으로 회전하면 열전도파이프(500)의 일측단은 배출공간(S1)의 상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유입공간(S2)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와 반대로 파이프삽입막(410)이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타측으로 회전하면 열전도파이프(500)의 일측단은 배출공간(S1)의 하측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유입공간(S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주름막(420)은 파이프삽입막(4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즉 주름막(420)은 파이프삽입막(42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주름막(420)은 끝단이 케이스(100)의 내측상면과 내측하면에 밀착된다. 이는 케이스(100) 내부을 통과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름막(420)은 좌우방향으로 돌출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인장될 수 있다. 이는 파이프삽입막(410)이 회전하면 파이프삽입막(410)의 상면 및 하면과 케이스(100)의 내측상면 및 내측하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거리를 보상함과 동시에 주름막(420)이 케이스(100)의 내측상면과 내측하면에서 분리되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를 참조하면 분리막(400)의 양측에는 측면지지대(430)가 형성된다. 측면지지대(430)는 케이스(10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고 회전축(401)이 지지된다. 또한 측면지지대(43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내측벽면과 분리막(400)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차단하여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분리막(40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40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401)과 연결되는 모터(600)가 구비된다. 모터(60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회전축(40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때 모터(600)는 일정각도 반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드 단상 유도모터(single-phase induction motor), 스텝모터(stepper motor), 직류모터(DC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모터(600)와 연결되지 않는 다른 회전축(401)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401)에는 제1 링(710) 및 제1 링(71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링(720)이 삽입된다. 제1 링(710)과 제2 링(720)은 회전축(401)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링(710)의 외측면에는 제1 돌기(711)가 돌출 형성되고, 제2 링(720)의 외측면에는 제2 돌기(721)가 돌출 형성된다.
도 4 의 (a)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에는 모터(600)와 연결되는 제1 센서(810)와 제2 센서(820)가 구비된다. 제1 센서(810) 및 제2 센서(820)는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센서(810)는 모터(600)가 작동하여 열전도파이프(500)의 일측단이 배출공간(S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축(401)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링(710)의 제1 돌기(711)가 제1 센서(810)와 접촉한다. 이때 제1 센서(810)는 모터(600)로 특정신호를 전달하여 모터(6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배출공간(S1)의 상측으로 열전도파이프(500)의 일측이 위치하는 경우(여름철) 실내를 냉방하여 차가워진 실내공기와 접촉된 열전도파이프(500) 내부의 열전도 유체는 열전도파이프(500)의 타측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외부의 더운 실외공기와 접촉된 열전도파이프(500) 내부의 열전도 유체는 열전도파이프(500)의 일측으로 빠르게 이동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더운 실외공기는 열전도파이프(500)의 타측과 접촉되어 실내로 유입되므로 냉각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도 4 의 (b)를 참조하면 제2 센서(820)는 모터(600)가 작동하여 열전도파이프(500)를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링(720)의 제2 돌기(721)가 제2 센서(820)와 접촉되고, 제1 돌기(711)는 제1 센서(810)에서 이탈된다. 이후 제2 센서(820)는 모터(600)로 특정신호를 전달하여 모터(6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유입공간(S2)의 상측으로 열전도파이프(500)의 타측이 위치하는 경우(겨울철) 상기 배출공간(S1)의 상측으로 열전도파이프(500)의 일측이 위치하는 경우(여름철)와 반대작용이 적용된다. 이처럼 계절에 따라 가변하는 열전도파이프(500)의 위치로 인해 열전도 유체의 대류현상이 발생하여 열교환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열전도파이프(50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핀(510)이 형성된다. 열전도핀(510)은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는 삽입홀(511)이 다수개 형성된다. 삽입홀(511)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리브(512)가 형성된다. 즉 열전도파이프(500)는 삽입홀(511)에 억지끼움되면서 열전도핀(510)이 열전도파이프(500)에 고정되는데, 이때 고정리브(512)는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열전도파이프(500)는 삽입홀(511)에 삽입될 때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이 인접한 삽입홀(511)의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삽입홀(51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이 교차된다. 즉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500) 중 열전도핀(5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열전도파이프(500)는 열전도핀(510)을 중심으로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열전도파이프(500)는 열전도핀(510)을 중심으로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이 교차되므로 열전도핀(510)은 열전도파이프(5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열전도핀(510)에는 다수개의 요철부(513)가 형성된다. 요철부(513)은 열전도핀(510)에 불규칙적 또는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철부(513)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이동하는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구용 열교환기는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유입되는 실외공기간에 열교환으로 인해 열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계절에 따라 열전도파이프(500)의 위치가 가변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어 냉,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케이스 200 : 배출환기덕트
300 : 유입환기덕트 400 : 분리막
401 : 회전축 410 : 파이프삽입막
420 : 주름막 430 : 측면지지대
500 : 열전도파이프 510 : 열전도핀
511 : 삽입홀 512 : 고정리브
513 : 요철부 600 : 모터
710 : 제1 링 711 : 제1 돌기
720 : 제2 링 721 : 제2 돌기
810 : 제1 센서 820 : 제2 센서
S : 수용공간 S1 : 배출공간
S2 : 유입공간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건물의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환기덕트(200);
    상기 케이스(100)의 상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S)과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건물 내부로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환기덕트(300);
    양측에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벽면을 관통하는 회전축(40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상호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공간(S)을 배출공간(S1)과 유입공간(S2)으로 각각 구획하며 상기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분리막(400);
    일측이 상기 배출공간(S1)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유입공간(S2)에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막(400)을 관통하여 상기 분리막(400)에 고정되되, 상기 분리막(4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측단이 상기 배출공간(S1) 및 상기 유입공간(S2)의 상측과 하측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막(400)과 일체로 회전하는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500);
    상기 회전축(401)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회전축(40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모터(6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막(400)은
    상기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며 양측에 상기 회전축(40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0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파이프삽입막(410);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상면과 내측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파이프삽입막(41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을 이루며 상기 파이프삽입막(4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주름막(42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상기 분리막(4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분리막(4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고 상기 파이프삽입막(410)의 회전축(401)이 지지되는 측면지지대(4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401)에는 외측면에 제1 돌기(711)가 돌출 형성되는 제1 링과(710) 상기 제1 링(710)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외측면에 제2 돌기(721)가 돌출 형성되는 제2 링(720)이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제1 돌기(711)와 접촉되면 상기 모터(600)로 특정신호를 전달하는 제1 센서(810)와 상기 제2 돌기(721)와 접촉되면 상기 모터(600)로 특정신호를 전달하는 제2 센서(820)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파이프(50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핀(510)이 형성되되,
    상기 열전도핀(510)에는 상기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도록 관통되는 다수개의 삽입홀(511)과 상기 삽입홀(511)에 내측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고정리브(5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파이프(500)는 상기 열전도파이프(500)가 삽입되어 절곡된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이 인접한 상기 고정리브(512)의 절곡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홀(511)에 삽입되는 삽입방향이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열교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핀(510)에는 이동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요철부(5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열교환기.
KR1020130098827A 2013-08-21 2013-08-21 환기구용 열교환기 KR10137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827A KR101374866B1 (ko) 2013-08-21 2013-08-21 환기구용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827A KR101374866B1 (ko) 2013-08-21 2013-08-21 환기구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866B1 true KR101374866B1 (ko) 2014-03-18

Family

ID=5064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827A KR101374866B1 (ko) 2013-08-21 2013-08-21 환기구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251B1 (ko) * 2020-10-23 2020-12-09 셀파씨엔씨(주) 회전식 열교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753A (ja) * 1995-11-17 1997-06-0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熱交換器用フィン
KR200431537Y1 (ko) * 2006-08-25 2006-11-23 서진공조 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환기유니트의 냉난방 전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753A (ja) * 1995-11-17 1997-06-0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熱交換器用フィン
KR200431537Y1 (ko) * 2006-08-25 2006-11-23 서진공조 주식회사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환기유니트의 냉난방 전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251B1 (ko) * 2020-10-23 2020-12-09 셀파씨엔씨(주) 회전식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06466A1 (en) Improvements to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CN103574776A (zh) 立式空调室内机
CN203571893U (zh) 立式空调室内机
JP3726802B2 (ja) 床埋込形空調ユニット
KR101572002B1 (ko)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1227186B1 (ko) 전면 하부흡입, 상부토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251221B1 (ko) 창호 환기시스템
JP2006125826A (ja) 換気装置
KR101374866B1 (ko) 환기구용 열교환기
KR101374865B1 (ko) 다목적 환기시스템
JP2010243142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2002256637A (ja) 建物のダブルスキン
JP2018091498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2173317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열회수 시스템
CN100498090C (zh) 具有温湿度双重交换的通风装置
JP2017062095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1272053A (ja) 空気調和機
KR100783616B1 (ko)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KR200393256Y1 (ko) 건물의 환기장치
JP4866222B2 (ja) 空調装置
CN109595729B (zh) 一种新型墙式新风机
KR101670082B1 (ko) 지중열 이용 실내 환기시스템
KR100859943B1 (ko) 실내공기를 외부공기와 섞이지 않게 열교환하는 장치
JP2017083035A (ja) 熱交換型換気装置及び建物の熱交換型換気システム
KR20190006793A (ko) 열교환식 창문프레임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