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856B1 -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856B1
KR101374856B1 KR1020120122106A KR20120122106A KR101374856B1 KR 101374856 B1 KR101374856 B1 KR 101374856B1 KR 1020120122106 A KR1020120122106 A KR 1020120122106A KR 20120122106 A KR20120122106 A KR 20120122106A KR 101374856 B1 KR101374856 B1 KR 10137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unit
passage
flow pat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성
Original Assignee
(주)현대 와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 와코텍 filed Critical (주)현대 와코텍
Priority to KR102012012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솔린엔진을 사용하여 가압펌프의 펌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전원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사용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다용도 관로를 사용하여 정수 기능 이외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수장치의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된 1차 필터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1차 필터부를 통해 걸러진 물을 최종적으로 여과시키는 RO 필터부;상기 1차 필터부와 RO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며, 1차 필터부를 거친 물이 RO 필터부로 유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유로;상기 메인유로에 설치되며, 원수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상기 펌프에 설치되며, 펌프의 펌핑력에 대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솔린 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유로에는 메인유로의 외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다용도 관로가 더 형성되고, 메인유로와 다용도 관로의 분기점에는 상기 메인유로 및 다용도 관로를 번갈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Non-powered type versatile portable wate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펌프에 대한 동력원을 가솔린 엔진을 이용하여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지역뿐만 아니라 사용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의 양적인 증가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면서 식수로서 사용하는 음용수에 대한 수질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공공시설 산업현장 등에서는 정수기의 설치가 보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을 정화하는 기구를 일컬으며, 근자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일반 가정은 물론이고 식당이나 사무실과 같은 곳에서도 정수기로 정화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생활여건이 향상되면서 낚시나 등산과 같은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용품들이 다양화되면서 야외에서 강물이나 시냇물 또는 호수의 물을 여과하여 식수나 취사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
다.
상기 휴대용 정수기는 여가 활동시 필요한 식수원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재난, 재해 및 가뭄 등 긴급상황 발생시 주민들의 식수난을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용 정수기는 재난재해 발생시 즉각적인 식수 공급이 어려운 점과 비상시를 대비한 생수비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즉각적인 식수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비상시에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가벼우면서도 정수처리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일반 AC 전원 등을 사용하여 펌핑 및 역삼투압 방식의 RO(Reverse Osmosis) 필터를 이용해 안전한 식수를 생산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휴대용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정수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수를 강제 압송하기 위한 가압펌프(20)와, 가압펌프(20)에 의해 펌핑된 원수를 여과하는 역삼투압 방식의 필터(30)와, 상기 가압펌프(20)를 구동하기 위하여 가압펌프(20)의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정수기는, 전원에 전원 케이블(40)을 연결하여 상기 가압펌프(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가압펌프(20)가 펌핑력을 발생하여 원수를 흡입하고 흡입된 원수는 (30)필터를 거쳐 정수된 후 식수로 배출됨으로써 정수작용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휴대용 정수기는 야외는 물론 식수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오지, 군부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역삼투압 방식의 휴대용 정수기는 휴대는 가능하지만 AC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작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실용적인 부분에서 상품화되지 못했다.
즉, 휴대용 정수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정수기가 설치된 장소에 반드시 전원이 제공되어야 하므로 휴대용 정수기의 설치 장소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AC 전원 등을 이용하여 펌프를 가동시켜 가압이 필수적인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를 작동시키기 어려운 경우, 가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흡입만으로 정수가 가능한 중공사막(UF)방식의 필터와 카본필터를 적용한 휴대용 정수기도 있었으나 여과효율에서 큰 차이가 있어 취수원의 오염원을 만족스럽게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해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한민국 공고번호 실1992-000333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를 흡입하는 가압펌프에 대한 동력을 가솔린 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처에 관계없이 정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처리수가 유송되는 관로 상에 정수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다용도 관로를 추가로 형성하여 다용도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수장치의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1차 필터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1차 필터부를 통해 걸러진 물을 최종적으로 여과시키는 RO 필터부;상기 1차 필터부와 RO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며, 1차 필터부를 거친 물이 RO 필터부로 유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유로;상기 메인유로에 설치되며, 원수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상기 펌프에 설치되며, 펌프의 펌핑력에 대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솔린 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유로에는 메인유로의 외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다용도 관로가 더 형성되고, 메인유로와 다용도 관로의 분기점에는 상기 메인유로 및 다용도 관로를 번갈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RO 필터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정수유로 및 드레인 유로가 설치되고, 드레인 유로 상에는 RO 필터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인 유로에는 상기 드레인 유로와 연결되는 압력배출유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압력배출유로에는 가압펌프의 과압을 해소하기 위해 압력배출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력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드레인 유로로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드레인 유로에는 체크밸브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구에는 원수가 1차필터부로 유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호스가 연결되고, 원수에 잠긴 호스의 단부에는 스트레이너(strainer)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압펌프의 동력원을 가솔린 엔진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처에 대한 제약이 없는 효과가 있다.
즉, 전원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오지, 산악지대 등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으므로 휴대 및 설치에 대한 편의성이 높은 것이다.
둘째, 메인유로로부터 분기된 다용도 관로가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정수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즉, 정수장치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가압펌프의 펌핑력을 이용하여 처리수를 소화수로 사용하거나 세차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정수장치의 운용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의 정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를 이용한 정수 작용시 밸브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를 이용한 다기능 용도 작용시 밸브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는 프레임(100)과, 1차 필터부(200)와, RO 필터부(300)와, 메인유로(400)와, 가압펌프(500)와, 가솔린 엔진(600)과, 압력조절밸브(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정수장치의 틀을 구성하며, 각종 구성품이 결합되는 부위이다.
상기 프레임(100)은 복수의 가로바와 세로바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프레임(100)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도시되는 않았지만, 바퀴에는 바퀴의 구름을 구속하는 스토퍼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1차 필터부(200)는 원수에 유입된 이물질을 1차로 거르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1차 필터부(200)는 세디먼트 필터(210)와, 카본필터(2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세디먼트 필터(210)는 입자가 큰 이물질 예컨대, 자연의 원수에서는 모래와 같은 물질을 1차로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세디먼트 필터(210)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211)에는 강이나 하천의 원수가 세디먼트 필터(210)로 유입되는 관로를 제공하는 호스(H)가 결합된다.
상기 호스(H)는 유연한 재질임이 바람직하며, 원수에 잠기는 호스(H)의 단부에는 스트레이너(strainer)(S)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이너(S)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최초로 걸러주어, 세디먼트 필터(210)에 형성된 유입부(211)의 관로가 폐색되는 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카본필터(220)는 세디먼트 필터(21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를 재차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카본 필터(220)는 통상 이물질을 흡착하고 원수에 포함된 화학 물질의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여과수단에 있어서 숯과 유사한 원리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RO(Reverse Osmosis) 필터부(300)는 1차 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의 세균, 중금속, 발암물질 이온성물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프레임(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통상 가정용 정수기에 사용되는 UF(Ultra Filteration) 필터의 경우 그 기공의 크기는 0.01 ~ 0.1 마이크론이지만, 휴대용 정수기에 사용되는 RO 필터의 기공은 0.0001 ~ 0.001마이크론이므로 여과력의 차이는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즉, 자연 원수를 여과하여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과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RO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RO 필터부(300)는 역삼투압 방식을 이용한 필터로서, 정수된 물과 폐수를 각각 배출하는 정수유로(310)와 드레인유로(320)를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성한다.
이때, 드레인 유로(320)의 단부에는 체크밸브(32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압력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드레인 유로(32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메인유로(400)는 1차 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RO 필터부(300)로 유송되는 관로를 형성하며, 1차 필터부(200)와 RO 필터부(300)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메인유로(400)에는 1차 필터부(200)와 RO 필터부(300)를 연결하는 관로 이외에, 메인유로(400)의 외측으로 처리수가 배출될 수 있는 다용도 관로(410)가 추가로 설치된다.
즉, 1차 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유송되는 메인유로(400)는 RO 필터부(300)를 향한 관로와 메인유로(400)의 외측으로 처리수가 배출되는 다용도 관로(4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메인유로(400)로부터 다용도 관로(410)가 분기되는 부위에는 개폐밸브(420)가 설치된다.
개폐밸브(420)는 1차 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의 관로를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개폐밸브(420)는 RO 필터부(300) 측으로 형성된 관로와, 다용도 관로(410)를 번갈아가며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유로(400)에는 압력배출유로(430)가 형성된다.
압력배출유로(430)는 후술하는 가압펌프의 과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메인유로(400)와 드레인 유로(320)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압력배출유로(4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가압펌프(500)는 원수를 흡입하여 RO 필터부(300)로 가압시키는 역할을 하며, 메인 유로(400) 상에 설치된다.
이때, 가압펌프(500)는 휴대용 정수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플런저식 펌프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가솔린 엔진(600)은 가압펌프(500)의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며, 가압펌프(500)의 일측에 설치된다.
가솔린 엔진(600)은 명칭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전원이 아닌 가솔린을 동력원으로 하며, 가압펌프(500)의 펌핑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가솔린 엔진(600)과 가압펌프(500) 간에 결합구조는 기존에 공지된 엔진 펌프간에 결합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가솔린 엔진(600)에 의한 가압펌프(500)의 최대 압력은 35kg/㎠ 정도이다.
다음으로, 압력조절밸브(700)는 가압펌프(500)에 대한 과압을 방지하여 가압펌프(500)뿐만 아니라 RO 필터부(3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조절밸브(700)는 제1압력조절밸브(710)와 제2압력조절밸브(720)로 구성된다.
제1압력조절밸브(710)는 휴대용 정수장치 본연의 정수작용시 가압펌프(500)로부터 RO 필터부(300)로 전해지는 수압을 조절하며, 드레인 유로(320)에 설치된다.
예컨대, 가압펌프(500)의 최대 압력이 그대로 RO 필터부(300)에 전달될 경우 정수량은 늘어날 수 있으나, 지속적인 수압에 의해 RO 필터부(30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제1압력조절밸브(710)를 이용해 드레인 유로(32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가압펌프(500)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압력조절밸브(720)는 휴대용 정수장치가 정수 작용이 아닌 다른 용도, 즉 다용도 관로(410)를 이용하여 소화기 또는 세차 용도 등으로 사용될 경우 가압펌프(500)의 과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휴대용 정수장치가 소화기 또는 세차 용도 등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메인유로(400) 중 RO 필터부(300)측으로 통하는 유로가 폐쇄됨으로써, 메인유로(400)의 우회유로를 형성하는 압력배출유로(430)를 통해 가압펌프(500)의 압력을 해소해야하는 바, 제2압력조절밸브(720)를 이용해 메인유로(400)의 우회유로인 압력배출유로(430)의 개폐량을 조절함으로써 과압으로 인한 가압펌프(5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메인유로(400) 상에는 메인유로(400)를 통해 유송되는 처리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G)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휴대용 정수장치가 정수 작용을 실시하는 경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원수가 제공되는 강이나 하천 주변에 휴대용 정수장치가 제공된다.
이후, 호스(H)를 1차필터부(200)의 유입부(211)에 연결시키고, 스트레이너(S)를 원수에 침강시킨다.
다음으로, RO 필터부(300)에 설치된 정수유로(310)의 단부는 별도의 정수통에 배치하고, 드레인 유로(320)의 단부는 휴대용 정수장치의 일측 지면이나 강으로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개폐밸브(420)를 이용하여 다용도 관로(410)는 폐쇄시키고 RO 필터부(300) 측으로 통하는 메인 유로(400)를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제2압력조절밸브(720)를 이용해 압력배출유로(430)는 폐쇄시키고, 제1압력조절밸브(710)를 이용하여 드레인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제1압력조절밸브(710)를 이용한 드레인 유로(320)의 개폐량은 압력게이지(G)를 통해 가압펌프(500)의 압력이 10kg/㎠ ~ 12g/㎠ 정도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정수장치를 세팅한 상태에서, 가솔린 엔진(600)의 동력을 발생시키면, 가압펌프(500)의 펌핑력에 의해 강이나 하천의 원수는 스트레이너(S)를 거쳐 여과된 후 호스(H)를 통해 유입된 후 1차필터부(200)에서 여과된다.
1차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는 가압펌프(500)의 가압 작용에 의해 메인유로(400)를 통해 RO 필터부(300)로 압송된 후 최종적으로 여과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RO 필터부(300)에서 여과되는 과정에서의 처리수 일부는 드레인 유로(320)를 거쳐 체크밸브(321)를 통해 배출되어 버려지게 되고, 처리수 나머지는 정수유로(310)를 통해 정수통으로 배출되어 식수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정수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제1압력조절밸브(710)를 조절해가며 RO 필터부(30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65ℓ의 가솔린양 기준으로 1시간에 125ℓ의 정수량을 처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정수처리장치는 정수 작용 이외에도 가압펌프의 펌핑력을 이용한 수압을 이용해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개폐밸브(420)를 이용하여 메인유로(400) 중 RO 필터부(300)로 통하는 유로를 폐쇄시키고, 1차필터부(200)와 다용도 관로(410) 사이의 관로를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제2압력조절밸브(720)를 개방하여 압력배출유로(430)와 드레인 유로(320) 사이의 관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압력배출유로(430)의 개폐량은 압력게이지(G)를 통해 가압펌프(500)의 압력이 30kg/㎠ ~ 35kg/㎠ 정도로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한 가압펌프(500)의 적정한 압력 유지는 압력배출유로(430)를 통해 물이 배출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력배출유로(43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체크밸브(321)에 의해 드레인 유로(320) 측으로 역류되는 일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다용도 관로(4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수압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분사장치(A)를 다용도 관로(410)에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건(gun) 타입의 분사장치(A)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다용도 관로(410)를 사용하여 정수 작용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강이나 하천의 원수가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휴대용 정수장치가 배치된 주변의 어떠한 물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가솔린 엔진(600)을 가동하면, 가압펌프(500)의 흡입력에 의해 물은 1차필터부(200)를 통해 메인유로(400)로 유송되고, 1차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는 가압펌프(500)의 가압에 의해 다용도 관로(41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개페밸브(420)에 의해 RO 필터부(300) 측으로 통하는 메인유로(400)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1차필터부(200)를 통해 여과된 처리수는 개방되어 있는 다용도 관로(41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후, 처리수는 건 타입의 분사장치(A)를 통해 배출되어 세차 또는 소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는 가솔린 엔진을 이용하여 가압펌프에 동력을 제공하여 설치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정수 작용 이외에 소화, 세차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범위가 한정되지 않아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1차필터부
300 : RO 필터부 310 : 정수유로
320 : 드레인 유로 400 : 메인유로
410 : 다용도 관로 420 : 개폐밸브
430 : 압력배출유로 500 : 가압펌프
600 : 가솔린 엔진 700 : 압력조절밸브
710 : 제1압력조절밸브 720 : 제2압력조절밸브
H : 호스 S : 스트레이너
G : 압력게이지 A : 분사장치

Claims (5)

  1. 정수장치의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된 1차 필터부;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며, 1차 필터부를 통해 걸러진 물을 최종적으로 여과시키는 RO 필터부;
    상기 1차 필터부와 RO 필터부 사이를 연결하며, 1차 필터부를 거친 물이 RO 필터부로 유송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 설치되며, 원수를 흡입하여 가압하는 펌핑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상기 펌프에 설치되며, 펌프의 펌핑력에 대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솔린 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유로에는 메인유로의 외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다용도 관로가 더 형성되고, 메인유로와 다용도 관로의 분기점에는 상기 메인유로 및 다용도 관로를 번갈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O 필터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정수유로 및 드레인 유로가 설치되고,
    드레인 유로 상에는 RO 필터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에는 상기 드레인 유로와 연결되는 압력배출유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압력배출유로에는 가압펌프의 과압을 해소하기 위해 압력배출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2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배출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드레인 유로로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드레인 유로에는 체크밸브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는 원수가 1차필터부로 유입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호스가 연결되고, 원수에 잠긴 호스의 단부에는 스트레이너(strainer)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방식의 휴대용 정수장치.



KR1020120122106A 2012-10-31 2012-10-31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KR10137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106A KR101374856B1 (ko) 2012-10-31 2012-10-31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106A KR101374856B1 (ko) 2012-10-31 2012-10-31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856B1 true KR101374856B1 (ko) 2014-03-17

Family

ID=5064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106A KR101374856B1 (ko) 2012-10-31 2012-10-31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3337A1 (zh) * 2018-10-26 2020-04-30 常州鱼尾科技有限公司 便携自动水过滤器
KR102273700B1 (ko) * 2020-12-18 2021-07-06 손현수 소방 기능을 갖는 정수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234U (ko) * 1989-09-06 1991-04-25
JPH03122175U (ko) * 1990-03-22 1991-12-13
US5632892A (en) 1995-10-19 1997-05-27 Mechanical Equipment Company, Inc. Portable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plant
JP3045234U (ja) 1997-05-09 1998-01-27 鐘紡株式会社 カバー付き可搬型飲料水精製装置
JP3122175U (ja) 2005-06-13 2006-06-08 古賀 久美子 災害用緊急移動式浄水装置
KR100856188B1 (ko) 2004-08-11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프로덕츠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234U (ko) * 1989-09-06 1991-04-25
JPH03122175U (ko) * 1990-03-22 1991-12-13
US5632892A (en) 1995-10-19 1997-05-27 Mechanical Equipment Company, Inc. Portable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plant
JP3045234U (ja) 1997-05-09 1998-01-27 鐘紡株式会社 カバー付き可搬型飲料水精製装置
KR100856188B1 (ko) 2004-08-11 2008-09-03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프로덕츠 휴대용 정수기
JP3122175U (ja) 2005-06-13 2006-06-08 古賀 久美子 災害用緊急移動式浄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3337A1 (zh) * 2018-10-26 2020-04-30 常州鱼尾科技有限公司 便携自动水过滤器
KR102273700B1 (ko) * 2020-12-18 2021-07-06 손현수 소방 기능을 갖는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35220Y (zh) 便携式人工动力泵超滤净水器
JP2010221206A (ja) 携行型浄水キット
KR101374856B1 (ko) 무전원 방식의 다용도 휴대용 정수장치
JP2711242B2 (ja) 非常用飲料水供給システム
CN207002472U (zh) 一种臭氧消毒的饮用水净化装置
CN203593668U (zh) 一种移动式野外应急供水系统
JP2012096183A (ja) 海水及び淡水両用浄水装置
JP3174016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CN101279779A (zh) 一种应急用方便饮水机
CN207520864U (zh) 一种自渗透装置
CN2910907Y (zh) 能够全部回用浓水的水处理装置
KR200471430Y1 (ko) 휴대용 충전식 역삼투압 정수장치
WO2016183765A1 (zh) 可在线防污的船舶压载水处理系统及船舶压载水处理方法
CN104743703A (zh) 一种适用于震后灾区的无动力应急净水器
JPH10277539A (ja) 浄水器および非常用浄水機とその洗浄方法
CN205367983U (zh) 一种小分子团水生成设备
CN104310627B (zh) 一种便携式抗堵塞生饮水器
CN106554098B (zh) 便携式海水淡化器
KR20160121292A (ko) 휴대용 수동식 정수기
JPH10156344A (ja) 浄水器、造水機およびその洗浄方法
JP3890533B2 (ja) 緊急時用浄水装置
JP2007144354A (ja) 無電力逆浸透膜稼働装置
CN205313222U (zh) 一种新型生活用水处理装置
WO2007072127A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treatment of drinking water and process therefor
CN208603942U (zh) 一种野外污水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