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495B1 - 목재 집성 장치 - Google Patents

목재 집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495B1
KR101374495B1 KR1020110126850A KR20110126850A KR101374495B1 KR 101374495 B1 KR101374495 B1 KR 101374495B1 KR 1020110126850 A KR1020110126850 A KR 1020110126850A KR 20110126850 A KR20110126850 A KR 20110126850A KR 101374495 B1 KR101374495 B1 KR 101374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movable
mov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665A (ko
Inventor
이승석
Original Assignee
이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석 filed Critical 이승석
Priority to KR1020110126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4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10Butting blanks of veneer; Joining same along edges; Preparatory processing of edges,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적층하고 압착시켜 집성하는 목재 집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구비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상부설치부와 하부설치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프레임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설치부와 하부설치부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기둥부와, 상기 고정기둥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이동기둥부와,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 사이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체결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집성부가 복수로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재 집성 장치에 따르면, 관통공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집성틀에 목재를 수직으로 적층시킨 후 집성할 수 있으며, 목재의 적층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초기에 설치된 공간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 집성 장치{Apparatus for Aggregating of Lumber}
본 발명은 목재 집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를 적층하고 압착시켜 집성하는 목재 집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성재는 목재를 서로 접착하여 제조한 것이다.
종래의 집성재 제작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베이스판(20), 성형틀(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그 상부에 성형장치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구성이고, 베이스판(20)은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평판 형상이며 작업대 역할을 하는 판인데, 상기 베이스판(20)에는 폭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21)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틀(30)은 수평부(31)와 수직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32)는 수평부(31)의 일단 부분에 용접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성형틀(30)은 상기 수평부(31)와 베이스판의 슬릿(21)을 관통하고 단부에 체결너트가 체결된 체결볼트를 통해 베이스판(2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베이스판(20), 성형틀(30)이 구비되면, 성형틀(30)의 수평부(31) 상부에서 작은 크기의 목재를 폭 방향으로 적층하면서 접착시킨다.
한편, 접착되는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성형틀(30)의 수직부(32)와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체결수단은 2개의 고정볼트(41, 41')와 고정지지판(42) 및 고정너트부재(43)로 구성된다.
목재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볼트(41, 41`)가 각각 위치하면서 목재를 지지하게 된다.
고정지지판(42)은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볼트(41, 41')가 각각 관통하게 되고, 체결시 상기 고정볼트(41, 41')의 머리와 접착된 목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고정너트부재(43)는 상기 고정볼트(41, 41')의 단부에 체결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너트부재(43)와 고정지지판(42)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하면 상기 고정지지판(42)이 목재를 가압하여 압착시킴으로써 집성재로 제작이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집성장치는 상하방향으로 확장이 되지 않아서 다양한 상하폭을 가지는 목재를 집성하는데 이용될 수 없으며, 적층되는 방향이 폭 방향으로 적층되어 작업을 위한 베이스판(20)이 폭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하므로, 작업 공간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1104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관통공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집성틀에 목재를 수직으로 적층시킨 후 집성할 수 있으며, 목재의 적층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초기에 설치된 공간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목재 집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 집성 장치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구비된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와 제2부재를 연결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상부설치부와 하부설치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프레임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설치부와 하부설치부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기둥부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기둥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기둥부와,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 사이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체결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집성부가 복수로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집성부는 상기 상부설치부와 하부설치부에 고정 결합된 하나 이상의 고정집성부와, 상기 상부설치부와 하부설치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동집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집성부의 고정기둥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고 하향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상부걸침부 및 하부걸침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걸침부에는 회전축 방향이 폭 방향이 되도록 롤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둥부 및 이동기둥부의 상단에는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고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상부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공과 상부이동공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가압공이 형성된 상부연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의 하단에는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하부고정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하부이동공이 형성된 하부연결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체결수단은 상기 가압공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연결부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상부고정공 및 하부고정공으로 고정체결수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기둥부에 체결되고, 상기 상부이동공 및 하부이동공으로 이동체결수단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이동기둥부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결공 중에 어느 하나에는 지지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압공의 하부는 상기 가압공 보다 폭 방향 길이와 길이방향 길이가 큰 끼움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성부에는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의 상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부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의 하부에 상기 이동기둥부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기둥부에 고정 결합된 하부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부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일측과 상기 고정기둥부 및 이동기둥부의 일측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1링크부와, 상기 상판부의 타측과 상기 고정기둥부 및 이동기둥부의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2링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에 상기 가압체결수단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고정기둥부 및 이동기둥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결합된 제1고정판부 및 제2고정판부와, 상기 제1고정판부 및 제2고정판부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된 제1이동체결수단과, 상기 제1고정판부 및 제2고정판부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된 제2이동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결공 중에 어느 하나에는 지지수단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높이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기둥부와 이동기둥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기둥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기둥부와는 폭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기둥부와 대응되도록 폭 방향으로 나사공인 테두리공이 관통 형성된 테두리브라켓과; 상기 테두리공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기둥부를 고정기둥부 쪽으로 가압하는 테두리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재 집성 장치에 따르면, 관통공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집성틀에 목재를 수직으로 적층시킨 후 집성할 수 있으며, 목재의 적층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초기에 설치된 공간 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이루는 집성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서 A 부분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2에서 X축 방향을 '길이방향', Y축 방향을 '폭 방향', Z축 방향을 '높이방향'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이루는 집성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 집성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제1기둥부(101) 및 제2기둥부(103)와, 상기 제1기둥부(101)와 제2기둥부(103)를 잇는 이격부(140),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기둥부(101) 및 제2기둥부(103)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써,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부재(110)와, 상기 제1부재(110)로부터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제2부재(120)와 제1부재(110) 사이에 각각 경사지게 구비된 지지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부(140)는 상기 제1부재(110)와 제1부재(110)를 연결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는 상기 제2부재(120)와 제2부재(120)를 연결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일측은 상기 제1부재(110)에, 타측은 상기 제2부재(120)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제1부재(110)의 하부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된 바퀴부(1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바퀴부(150)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는 위치 이동이 쉬워진다.
상기 집성틀(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의 측방에 폭 방향으로 결합된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는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고정집성부(230)는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의 측방으로 고정 결합되고,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는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의 측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집성부(230)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제1이동집성부(240)가 구비되고,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제2이동집성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에 폭 방향으로 결합되며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고정기둥부(231)와, 상기 고정기둥부(23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이동기둥부(232)와, 상기 고정기둥부(231)와 이동기둥부(232)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연결부(233)와, 상기 고정기둥부(231)와 이동기둥부(232)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연결부(23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의 내측면과 동일한 외측면을 갖는 중실의 막음부재(R)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막음부재(R)는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 억지 끼움 되거나 용접되어 고정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233)에는 상기 상부설치부(210)를 향하는 방향인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고정공(233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설치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상부이동공(23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고정공(2331)과 상부이동공(2335)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가압공(233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결부(234)에는 상기 하부설치부(220)를 향하는 방향인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하부고정공(234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설치부(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하부이동공(234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공(2331) 및 하부고정공(2341)으로 볼트 또는 나사 등의 고정체결수단(B1)을 각각 삽입시켜 상기 막음부재(R)에 체결시키고, 상기 상부이동공(2335) 및 하부이동공(2345)으로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이동체결수단(B3)을 각각 삽입시켜 상기 막음부재(R)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기둥부(231), 이동기둥부(232), 상부연결부(233) 및 하부연결부(234)는 서로 나사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기둥부(231), 이동기둥부(232), 상부연결부(233) 및 하부연결부(234)의 결합으로 인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간부(249)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기둥부(231)는 상부연결부(233) 및 하부연결부(234) 사이에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이동기둥부(232)는 상기 상부이동공(2335) 및 하부이동공(2345)에 의해 상부연결부(233) 및 하부연결부(234)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연결부(233)에는 상기 가압공(2333)을 관통하여 가압체결수단(B5)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은 상기 상부연결부(233)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부(233)의 하부로 돌출 구비된 가압체결수단(B5)에는 가압지지너트(N1)가 나사 체결되어 가압지지너트(N1)가 끼움홈(2339)에 삽입되어 회전이 안되는 상태에서 가압체결수단(B5)을 회전시키면 목재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상부연결부(233)에서 상기 가압공(2333)의 하부는 상기 가압공(2333) 보다 폭 방향 길이와 길이방향 길이가 큰 장홈 형상의 끼움홈(2339)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공(2333)은 2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2339)에 상기 가압지지너트(N1)가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연결부(233)와 상기 하부연결부(234)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에는 각각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체결공(23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의 지지체결공(2312) 중에 어느 하나에는 지지수단(B6)이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지지체결공(2312)과 지지수단(B6)은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집성부(230)의 고정기둥부(231) 측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상부결합판(236)과 하부결합판(237)이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부결합판(236)과 하부결합판(237)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결합판(236)은 상기 상부설치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결합판(237)은 상기 하부설치부(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결합판(236) 및 하부결합판(237)을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에 나사 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집성부(230)는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의 고정기둥부(231) 측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개방되고 하향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 상부걸침부(245) 및 하부걸침부(247)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걸침부(245)는 상기 상부설치부(210)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걸침부(247)는 상기 하부설치부(220)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걸침부(245)는 상기 고정기둥부(231)의 측면에 결합된 판 형상의 제1측판부(2451)와, 상기 제1측판부(2451)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수용판부(2453)와, 상기 수용판부(2453)의 단부로부터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2측판부(24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판부(2451)와 수용판부(2453)와 제2측판부(2455)로 인해 높이방향 상부로 오목한 수용홈부(2459)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걸침부(247)는 상기 상부걸침부(245)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기둥부(231)의 측면에 결합된 판 형상의 제1측판부(2471)와, 상기 제1측판부(2471)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수용판부(2473)와, 상기 수용판부(2473)의 단부로부터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의 제2측판부(247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판부(2471)와 수용판부(2473)와 제2측판부(2475)로 인해 높이방향 상부로 오목한 수용홈부(2479)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부(2459, 2479)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홈부(2459, 2479)로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가 각각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는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의 상부걸침부(245)에는 롤러부(246)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246)는 상기 수용홈부(2459)에 회전축 방향이 폭 방향이 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롤러부(246)의 일측과 타측은 지름이 커지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246)를 통해 상기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는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를 따라 이동되는데 소모되는 힘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롤러부(246)와 상부설치부(21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봉(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롤러부(246)가 상기 가이드봉의 상부에서 가이드봉을 따라 구름운동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가 이루어지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의 가압지지너트(N1)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이 높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체결수단(B3)의 체결을 느슨하게 하여 상기 이동기둥부(232)가 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집성할 목재(300)가 적층되는 높이를 감안하여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된 지지체결공(2312)으로 지지수단(B6)을 삽입시킨다.
이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착할 목재(30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감안하여 상기 상부설치부(210) 및 하부설치부(220)의 적당한 위치로 상기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에 형성된 수용공간부(249)로 목재(300)를 삽입시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도록 한다.
상기 목재(300)와 목재(30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지지수단(B6)은 목재(3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목재(300)의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이동기둥부(232)가 상기 고정기둥부(231)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가압하여 상기 이동기둥부(232)가 상기 적층된 목재(30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체결수단(B3)을 체결시켜 상기 이동기둥부(232)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의 단부가 목재(300)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압공(2333)을 따라서 가압체결수단(B5)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가압지지너트(N1)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상부연결부(233)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압지지너트(N1)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압체결수단(B5)도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지지너트(N1)는 하부로부터 상기 끼움홈(2339)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없게 된 상태에서 가압체결수단(B5)을 회전시켜 상부에서 목재(300)를 가압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압지지너트(N1)를 상기 끼움홈(2339)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을 회전시켜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적층된 목재(300)의 상부에서 가압하여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을 하부로 계속 이동시켜 상기 목재(300)가 가압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의 내부에서 적층된 목재(300)는 상기 이동기둥부(232)를 통해 측면으로 가압되고, 가압체결수단(B5)을 통해 상부에서 가압되어 집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3은 도 10에서 A 부분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는 제1실시예에서의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 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목재 집성 장치에서,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에 결합된 고정기둥부(541)와, 상기 고정기둥부(54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이동기둥부(542)와,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의 상부에 링크 결합된 상부연결부(543)와, 상기 이동기둥부(54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기둥부(541)에 고정 결합된 하부연결부(54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연결부(543)는 상판부(5431)와, 상기 상판부(5431)의 일측과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의 일측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1링크부(5432)와, 상기 상판부(5431)의 타측과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의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2링크부(54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부(5431)에는 가압체결수단(B5)이 높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은 상기 상판부(5431)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이동기둥부(542)가 상기 고정기둥부(542)를 향하여 이동되면 상기 상판부(5431)는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기둥부(542)가 상기 고정기둥부(542)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상판부(5431)는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45)가 구비된다.
상기 간격조절부(545)는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고정판부(5451) 및 제2고정판부(5453)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판부(5451) 및 제2고정판부(5453)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제1이동체결수단(B8)이 체결되고,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제2이동체결수단(B9)이 체결된다.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에는 상기 하부연결부(544)의 상부로 각각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체결공(5412)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결공(5412) 중에 어느 하나에는 지지수단(B10)이 삽입된다.
상기 하부연결부(544)의 일측은 상기 고정기둥부(541)의 일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부연결부(544)는 상기 지지체결공(54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조임부(N8), 제2이동조임부(N9) 및 지지조임부(N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고정판부(5451) 및 제2고정판부(5453)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의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이동조임부(N8), 제2이동조임부(N9) 및 지지조임부(N10)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기둥부(542)가 상기 고정기둥부(541)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적층된 목재(30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적층된 목재(300)의 상부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상판부(5431)는 상기 이동기둥부(542)가 폭 방향으로 이동될 때마다 일정하게 상하로 이동되므로,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은 목재(300)의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고정집성부(230), 제1이동집성부(240) 및 제2이동집성부(250)의 내부에서 적층된 목재(300)는 상기 이동기둥부(232)를 통해 측면으로 가압되고, 가압체결수단(B5)을 통해 상부에서 가압되어 압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간격조절부(545)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를 감싸도록 구비된 테두리브라켓(545a)과, 상기 테두리브라켓(545a)에 나사 결합되는 테두리체결부(54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두리브라켓(545a)은 높이방향으로 개구된 장방형상 구조이며, 상기 고정기둥부(541)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기둥부(542)와는 폭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브라켓(545a)에서 상기 이동기둥부(542)와 폭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폭 방향으로 나사공인 테두리공(545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공(545b)에 테두리체결부(545c)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이동기둥부(542)를 고정기둥부(541)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체결부(545c)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기둥부(542)를 고정기둥부(541) 쪽으로 가압시키면,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프레임 200: 집성틀
249: 수용공간부 300: 목재

Claims (7)

  1.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구비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제2부재(120)와 제2부재(120)를 연결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기둥부(231)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기둥부(23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기둥부(232)와, 상기 고정기둥부(231)와 이동기둥부(2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기둥부(231)와 이동기둥부(232) 사이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체결수단(B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집성부가 복수로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성부는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에 고정 결합된 하나 이상의 고정집성부(230)와,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이동집성부(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집성부(240)의 고정기둥부(231)에는 길이방향으로 개방되고 하향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상부걸침부(245) 및 하부걸침부(247)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걸침부(245)에는 회전축 방향이 폭 방향이 되도록 롤러부(24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부(231) 및 이동기둥부(232)의 상단에는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상부고정공(2331)이 형성되고,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상부이동공(2335)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공(2331)과 상부이동공(2335)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가압공(2333)이 형성된 상부연결부(233)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둥부(231)와 이동기둥부(232)의 하단에는 일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된 하부고정공(2341)이 형성되고, 타측에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하부이동공(2345)이 형성된 하부연결부(234)가 결합되고;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은 상기 가압공(2333)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연결부(233)의 하부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상부고정공(2331) 및 하부고정공(2341)으로 고정체결수단(B1)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기둥부(231)에 체결되고, 상기 상부이동공(2335) 및 하부이동공(2345)으로 이동체결수단(B3)이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이동기둥부(232)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기둥부(231)와 이동기둥부(232)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체결공(231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결공(2312) 중에 어느 하나에는 지지수단(B6)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공(2333)의 하부는 상기 가압공(2333) 보다 폭 방향 길이와 길이방향 길이가 큰 끼움홈(2339)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5.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이격구비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제2부재(120)와 제2부재(120)를 연결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높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된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프레임(100)과;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설치부(210)와 하부설치부(220)에 폭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고정기둥부(541)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기둥부(54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기둥부(542)와,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 사이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가압체결수단(B5)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집성부가 복수로 포함되며:
    상기 집성부에는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의 상부에 링크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는 상부연결부(543)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의 하부에 상기 이동기둥부(542)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기둥부(541)에 고정 결합된 하부연결부(544)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 사이의 폭 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45)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연결부(543)는 상판부(5431)와, 상기 상판부(5431)의 일측과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의 일측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1링크부(5432)와, 상기 상판부(5431)의 타측과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의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된 제2링크부(54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부(5431)에 상기 가압체결수단(B5)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나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545)는 상기 고정기둥부(541) 및 이동기둥부(542)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결합된 제1고정판부(5451) 및 제2고정판부(5453)와, 상기 제1고정판부(5451) 및 제2고정판부(5453)의 일측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된 제1이동체결수단(B8)과, 상기 제1고정판부(5451) 및 제2고정판부(5453)의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된 제2이동체결수단(B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높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체결공(541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결공(5412) 중에 어느 하나에는 지지수단(B10)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545)는 높이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고정기둥부(541)와 이동기둥부(542)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기둥부(541)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기둥부(542)와는 폭 방향으로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동기둥부(542)와 대응되도록 폭 방향으로 나사공인 테두리공(545b)이 관통 형성된 테두리브라켓(545a)과; 상기 테두리공(545b)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기둥부(542)를 고정기둥부(541) 쪽으로 가압하는 테두리체결부(545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재 집성 장치.
KR1020110126850A 2011-11-30 2011-11-30 목재 집성 장치 KR10137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50A KR101374495B1 (ko) 2011-11-30 2011-11-30 목재 집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50A KR101374495B1 (ko) 2011-11-30 2011-11-30 목재 집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65A KR20130060665A (ko) 2013-06-10
KR101374495B1 true KR101374495B1 (ko) 2014-03-13

Family

ID=4885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50A KR101374495B1 (ko) 2011-11-30 2011-11-30 목재 집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22U (ko) 2022-03-29 2023-10-06 전형률 목재 집성용 클램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352B1 (ko) * 2016-08-04 2017-01-09 대흥우드산업(주) 볼트 결합식 결구체를 갖는 수직기둥과 수평부재의 집성 원목 결합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27A (ko) * 1988-08-03 1990-03-23 아마다 미쯔아까 공작기계
KR970025871A (ko) * 1997-03-12 1997-06-24 이한우 톱밥 제조장치
KR20000011747U (ko) * 1998-12-08 2000-07-05 김형국 너트체결 및 분리용 지그
KR100758324B1 (ko) * 2006-07-14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927A (ko) * 1988-08-03 1990-03-23 아마다 미쯔아까 공작기계
KR970025871A (ko) * 1997-03-12 1997-06-24 이한우 톱밥 제조장치
KR20000011747U (ko) * 1998-12-08 2000-07-05 김형국 너트체결 및 분리용 지그
KR100758324B1 (ko) * 2006-07-14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나사부품 체결용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922U (ko) 2022-03-29 2023-10-06 전형률 목재 집성용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65A (ko)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7850B (zh) 一种汽车零部件存放架
JP3205872U (ja) 調整式フェンス
KR101374495B1 (ko) 목재 집성 장치
KR102173950B1 (ko) 패널용 수직 수평 보링 장치
EP2497386A1 (de) Höhenverstellbares Tischgestell, insbesondere für einen Bürotisch, und Tisch mit selbigem
JP3170804U (ja) マウンティングブラケット
KR101011267B1 (ko)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CN201960329U (zh) 一种产品型心的快速装配装置
CN211164416U (zh) 一种家具加工用木板铣槽固定夹具
CN206140622U (zh) 瓶盖模切机构
KR200478228Y1 (ko) 기둥 거푸집 밴드
US20140165860A1 (en) Level compensation device
CN208645126U (zh) 一种物料定位装置
CN205500106U (zh) 一种摆动装置
CN204339927U (zh) 竹片加工的打近距离双孔设备
CN209637248U (zh) 连接板打孔用的定位装置
CN211362061U (zh) 易定位地坎组装工装
CN107097263A (zh) 一种间距调节型收缩膜切割装置
CN204794525U (zh) 一种机床电机固定底座
CN213648882U (zh) 一种适用于包装盒生产的调节装置
CN114101441A (zh) 一种冲压机用减震冲压装置
CN207368504U (zh) 一种用于配电箱的分体式支架
CN212577297U (zh) 一种电缆桥架连接片冲孔装置
CN208854575U (zh) 一种可调节式的五金配件加工操作台
CN209381399U (zh) 一种产品侧面贴合辅料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