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046B1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046B1
KR101374046B1 KR1020120154949A KR20120154949A KR101374046B1 KR 101374046 B1 KR101374046 B1 KR 101374046B1 KR 1020120154949 A KR1020120154949 A KR 1020120154949A KR 20120154949 A KR20120154949 A KR 20120154949A KR 101374046 B1 KR101374046 B1 KR 101374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control
ballasting
valv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태
표태성
천상규
안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20154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6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및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하는 밸러스트관리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밸러스트탱크 내 수위에 따른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및 그에 연동한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통합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입력한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바탕으로 탱크계측부, 밸브제어부 및 밸러스트관리부가 통합되어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오작동의 우려를 없애고 관리편의성을 증대시키며, 밸러스팅워밍업단계-밸러스팅단계-밸러스팅정지단계 및/또는 디밸러스팅워밍업단계-디밸러스팅단계-디밸러스팅정지단계에 따른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자동으로 제어되고,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이루어진 시간과 장소를 기록,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An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Ballast Treatment Device and Integrate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및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하는 밸러스트관리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밸러스트탱크 내 수위에 따른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및 그에 연동한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통합 제어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입력한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바탕으로 탱크계측부, 밸브제어부 및 밸러스트관리부가 통합되어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써 오작동의 우려를 없애고 관리편의성을 증대시키며, 밸러스팅워밍업단계-밸러스팅단계-밸러스팅정지단계 및/또는 디밸러스팅워밍업단계-디밸러스팅단계-디밸러스팅정지단계에 따른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자동으로 제어되고,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이루어진 시간과 장소를 기록,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밸러스트수(ballast water)란 선박이 짐을 싣지 않고 운항하는 경우에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의 밸러스트 탱크에 채우는 해수를 의미한다. 국제교역량의 증가와 함께 해상운송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선박 수의 증가 및 대형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어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밸러스트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외래 해양생물종들로 인한 토착 해양생태계의 피해 발생 사례 역시 증가하고 있는바,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4년도에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의 밸러스트수와 침전물의 통제와 관리에 대한 국제협약'이 완성되어 2009년부터 발효되고 있다.
종래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으로 선박에 밸러스트수를 처리하기 위한 각종 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여과, 전기분해, 자외선 조사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장치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아래 표시한 특허문헌을 참조하면, 종래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에서는 여과부와 자외선처리부를 이용한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을 관리하는 제어부와 별도로, 시스템 전반에 걸쳐 설치된 각종 밸브에 대한 상태 체크 및 개폐 신호는 별도의 VRC(Valve Remote Control system)에서 관장하고, 밸러스트탱크 내 수위 및 용량에 대한 계측관리는 CMS(Cargo Monitoring System)에서 관장하는 별도의 분리운영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 대한 조작과 별도로 상기 VRC에 대한 조작 및 상기 CMS에 대한 조작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관리,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어관리가 복잡해지고 오작동의 우려가 커지게 된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0839호(2010. 06. 07. 공개)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특히, 상기 제어부에 대한 조작, VRC에 대한 조작 및 CMS에 대한 조작을 따로 진행하는 경우에 있어 밸러스팅워밍업단계-밸러스팅단계-밸러스팅정지단계 및/또는 디밸러스팅워밍업단계-디밸러스팅단계-디밸러스팅정지단계의 진행에 따른 시쿼스(sequence)를 일일이 관리자가 정확하게 맞추어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정확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처음부터 다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선박이 운항하면서 수행하는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의 각종 수행과정이 이루어진 시간과 장소는 별도로 통합 기록,저장,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역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및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하는 밸러스트관리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밸러스트탱크 내 수위에 따른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및 그에 연동한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통합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리자가 입력한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바탕으로 탱크계측부, 밸브제어부 및 밸러스트관리부가 통합되어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서 오작동의 우려를 없애고 관리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러스팅워밍업단계-밸러스팅단계-밸러스팅정지단계 및/또는 디밸러스팅워밍업단계-디밸러스팅단계-디밸러스팅정지단계에 따른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자동으로 제어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이루어진 시간과 장소를 기록,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은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하는 밸러스트관리부; 상기 탱크계측부, 밸브제어부 및 밸러스트관리부 간의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선박의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따른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이 통합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탱크계측부는 밸러스트탱크 내에 채워진 밸러스트수의 수위 또는 용량 상태를 체크하는 탱크계측모듈과, 상기 탱크계측모듈을 통해 확인한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하는 탱크정보전송모듈과,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부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를 체크하고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밸브제어모듈과, 상기 밸브제어모듈을 통해 확인한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하는 밸브정보전송모듈과,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밸브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제어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는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밸러스트제어모듈과,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 및 밸브정보전송모듈에서 전송된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에 전송하는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과,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시스템은 선박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지피에스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수관리부는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작업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은 탱크계측부로부터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되는 탱크정보송수신단계; 밸브제어부로부터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되는 밸브정보송수신단계;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탱크계측부 또는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여, 선박의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따른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이 통합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가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제어결정단계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한 경우,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 및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탱크와 연결된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와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가동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에 대한 개방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정지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제어결정단계에서 디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한 경우,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 및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탱크와 연결된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와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가동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와 밸러스트탱크의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 및 여과부와 자외선처리부 사이의 우회관로에 설치된 우회밸브에 대한 개방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와 밸러스트탱크의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 및 여과부와 자외선처리부 사이의 우회관로에 설치된 우회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정지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디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은 지피에스모듈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위치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되는 위치정보송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작업정보모듈을 통해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및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하는 밸러스트관리부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밸러스트탱크 내 수위에 따른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및 그에 연동한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통합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관리자가 입력한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바탕으로 탱크계측부, 밸브제어부 및 밸러스트관리부가 통합되어 자동으로 제어됨으로서 오작동의 우려를 없애고 관리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밸러스팅워밍업단계-밸러스팅단계-밸러스팅정지단계 및/또는 디밸러스팅워밍업단계-디밸러스팅단계-디밸러스팅정지단계에 따른 각종 밸브의 개폐과정이 일률적으로 자동으로 제어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이루어진 시간과 장소를 기록,저장,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탱크계측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의 밸브제어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1의 밸러스트관리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팅워밍업단계시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7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팅단계시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밸러스팅정지단계시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9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디밸러스팅워밍업단계시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10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디밸러스팅단계시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11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서 디밸러스팅정지단계시 물의 순환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은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10);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20);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제어)하는 밸러스트관리부(30); 상기 탱크계측부(10), 밸브제어부(20) 및 밸러스트관리부(30) 간의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40);를 포함하여, 선박의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따른 밸러스팅(Ballasting) 및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이 통합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탱크계측부(10)는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구성으로, 통상적으로 CMS(Cargo Monitoring System)라는 용어로 사용되곤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CMS가 밸러스팅(Ballasting) 및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을 (제어)관리하는 구성과 별개로 이원화되어 수동으로 관리자에 의해 따로 계측,조작되어야 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상기 탱크계측부(10)가 후술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 및/또는 밸브제어부(20)와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자동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게 한다(구조적으로 상기 탱크계측부(10)에 의해 밸러스트관리부(30) 및 밸브제어부(20)가 통합적으로 관리제어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밸브제어부(20)와도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밸러스트관리부(30)에서 통합적으로 관리제어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탱크계측부(10)는 주로 밸러스트관리부(30)와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이를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함). 이를 위해 상기 탱크계측부(10)는 밸러스트탱크(70) 내에 채워진 밸러스트수의 수위 또는 용량 상태를 체크하는 탱크계측모듈(110)과,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을 통해 확인한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하는 탱크정보전송모듈(120)과, 밸러스트관리부(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정보수신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은 밸러스트탱크(70) 내에 채워진 밸러스트수의 수위 또는 용량 상태를 체크하는 구성으로,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밸러스트수의 용량(중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활용하여 밸러스트탱크(70) 내에 채워진 밸러스트수의 수위 또는 용량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 의해 체크된 밸러스트탱크(70) 내 현재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정보는 후술할 탱크정보전송모듈(120)을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로 전송되어 정보가 공유되며, 후술할 밸러스트관리부(30)에서 생성된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 또는 특정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요청신호가 후술할 제어정보수신모듈(130)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서는 수신된 요청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서 측정한 계측정보를 토대로 계측수위와 기준수위의 대비를 통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 여부의 결정과정 및 해당 작업과 연계된 각종 밸브에 대한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120)은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을 통해 확인한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12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후술할 밸러스트관리부(30)의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을 통해 수신되어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제공되게 된다.
상기 제어정보수신모듈(130)은 밸러스트관리부(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수신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 생성된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 또는 특정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요청신호는 제어정보전송모듈(33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상기 제어정보수신모듈(130)에 전송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제어정보수신모듈(130)은 이를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 전송(제공)하여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체크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밸브제어부(20)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통상적으로 VRC(Valve Remote Control system)라는 용어로 사용되곤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VRC가 밸러스팅(Ballasting) 및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을 (제어)관리하는 구성과 별개로 이원화되어 수동으로 관리자에 의해 따로 조작되어야 하는 구조에서 탈피하여, 상기 밸브제어부(20)가 후술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통합적으로 관리제어하는 밸러스트관리부(30)와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자동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게 한다(다른 예로, 구조적으로 상기 탱크계측부(10)에 의해 밸러스트관리부(30) 및 밸브제어부(20)가 통합적으로 관리제어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탱크계측부(10)와도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밸러스트관리부(3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어하는 예로 설명하도록 함). 이를 위해 상기 밸브제어부(20)는 구체적으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를 체크하고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밸브제어모듈(210)과,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을 통해 확인한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하는 밸브정보전송모듈(220)과, 후술할 밸러스트관리부(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는 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를 체크하고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설치 및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취수밸브(511), 배수밸브(521), 밸러스트밸브(611), 디밸러스트밸브(621), 우회밸브(831), 유입밸브(711), 유출밸브(721) 등의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상태를 체크하고 해당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의해 체크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는 후술할 밸브정보전송모듈(220)을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로 전송되어 정보가 공유되며, 후술할 밸러스트관리부(30)에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과 연계된 제어신호가 후술할 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과 연계된 각종 밸브에 대한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정보전송모듈(220)은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을 통해 확인한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밸브정보전송모듈(22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후술할 밸러스트관리부(30)의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을 통해 수신되어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제공되게 된다.
상기 제어정보수신모듈(230)은 후술할 밸러스트관리부(3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제공)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 생성된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는 제어정보전송모듈(33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상기 제어정보수신모듈(230)에 전송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한 제어정보수신모듈(230)은 이를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제공)하여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는 선박의 밸러스팅(Ballasting) 및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을 관리(제어)하는 구성으로, 선박의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위해 탑재되는 여과부(81)(이는 필터를 활용한 여과방식으로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자외선처리부(82)(이는 자외선 조사방식으로 밸러스트수에 포함된 미생물 등을 살균하게 된다) 등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 여부, 작동 순서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제어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통합(제어)관리하는 구성이 각종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VRC와 별개로 이원화되어 운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가 후술할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상태확인과 개폐를 제어하는 상기 밸브제어부(20)와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자동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가 기 설정된(입력된)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의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탱크계측부(10)로부터 계측되어 전송된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이 기준 수위 또는 용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하여 제어관리하게 되고,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디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하여 제어관리하게 되며, 이러한 밸러스팅 작업이나 디밸러스팅 작업이 이루어진 시간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이 이루어진 장소에 관한 데이터(정보)도 별도의 지피에스(GPS)모듈(90)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관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는 구체적으로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밸러스트제어모듈(310)과,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120) 및 밸브정보전송모듈(220)에서 전송된 밸러스트냉크()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전송하는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과,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 생성된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정보전송모듈(330)과, 선박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지피에스모듈(90)로부터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각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관리하는 작업정보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은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선박의 밸러스트수의 처리를 위해 탑재되는 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워밍업 및 작동 여부, 작동 순서 등을 총괄적으로 관리,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은 기 설정된(입력된)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의 기준 수위 또는 용량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서 계측되어 탱크정보전송모듈(120)을 통해 전송된 현재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이 기준 수위 또는 용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하여 해당 작업(밸러스팅워밍업작업-밸러스팅작업-밸러스팅정지작업)을 제어관리하게 되고,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디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하여 해당 작업(디밸러스팅워밍업작업-디밸러스팅작업-디밸러스팅정지작업)을 제어관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은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의해 체크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을 통해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과 연계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을 통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계측수위와 기준수위의 대비를 통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 여부의 결정과정과 해당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과 연계된 각종 밸브에 대한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은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120) 및 밸브정보전송모듈(220)에서 전송된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계측부(10)의 탱크계측모듈(110)을 통해 계측된 밸러스트탱크(70) 내 현재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12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상기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에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을 통해 확인된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가 상기 밸브정보전송모듈(22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상기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에 전송되면, 상기 정보를 수신한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은 이를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전송(제공)하여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 수신된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선박의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여부 및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은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 밸러스트탱크(70) 내 수위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해 생성된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에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탱크계측부(10)의 제어정보수신모듈(130)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제어부(20)의 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 제공되게 된다.
상기 작업정보모듈(340)은 선박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지피에스모듈(90)로부터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각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관리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업정보모듈(340)은 위성으로부터 특정 시간에 선박이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지피에스모듈(90)로부터 선박에서 수행되는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각 과정들이 수행된 위치 및/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필요시 특정 작업이 이루어진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 탱크계측부(10), 밸브제어부(20) 및 밸러스트관리부(30) 간의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4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와 밸브제어부(20) 간을 연결시켜 양자 간의 정보(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0)로는 시리얼(serial)기반의 보편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MODBUS 프로토콜(Protocol) 등을 이용하여 정보(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에 따라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의 결정 및 해당 작업과 연계된 각종 밸브에 대한 제어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상기 통합제어시스템을 활용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을 위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은 탱크계측부(10)로부터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되는 탱크정보송수신단계(S1); 밸브제어부(20)로부터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되는 밸브정보송수신단계(S2);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밸러스트관리부(30)로부터 선박의 밸러스팅(Ballasting)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탱크계측부(10) 또는 밸브제어부(20)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송수신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정보송수신단계(S1)는 탱크계측부(10)로부터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되는 과정으로, 상기 탱크계측부(10)의 탱크계측모듈(110)을 통해 계측된 밸러스트탱크(70) 내 현재 밸러스트수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120)-인터페이스부(40)-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을 통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제공되게 되며,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수신된 특정 밸러스트탱크(70) 내 현재 수위 또는 용량을 기 설정(입력)된 기준 수위 또는 용량과 대비하여 선박의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여부를 결정하고 해당 작업에 대한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밸브정보송수신단계(S2)는 밸브제어부(20)로부터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되는 과정으로, 상기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을 통해 확인한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밸브정보전송모듈(220)-인터페이스부(40)-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320)을 통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 제공되게 되며,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수신된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선박의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S4)는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밸러스트관리부(30)로부터 선박의 밸러스팅(Ballasting)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탱크계측부(10) 또는 밸브제어부(20)에 전송되는 과정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결정단계(S41) 이후, 밸러스팅 작업의 경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21),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22), 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S423)로, 디밸러스팅 작업의 경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31),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32), 디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S4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결정단계(S41)는 밸러스트탱크(70)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가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 여부를 판단(결정)하는 과정으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기 설정된(입력된)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의 기준 수위 또는 용량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탱크계측모듈(110)에서 계측되어 탱크정보전송모듈(120)을 통해 전송된 밸러스트탱크(70) 내 현재 수위 또는 용량이 기준 수위 또는 용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하여 해당 작업과정(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21),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22), 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S423))을 제어관리하게 되고, 기준 수위 또는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디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하여 해당 작업과정(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31),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32), 디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S433))을 제어관리하게 된다. 또한, 특정 밸러스트탱크(70)에 대한 밸러스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다른 밸러스트탱크(70)에 대한 계측정보를 상기 탱크계측부(10)에 요청하여 다른 밸러스트탱크(70)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21)는 상기 제어결정단계(S41)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한 경우, 수취한 바닷물에 대한 실제 밸러스팅 작업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에 대한 예열 및 예비운전과정이 이루어지는 워밍업(warming-up)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각종 밸브들에 대한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밸러스팅 작업의 워밍업 작업에 대한 수행을 결정한 다음, 바닷물을 취수하는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 및 바닷물(또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수를 저장하는 밸러스트탱크(70)와 연결되어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와 밸러스트탱크(70)에 저장되어 있던 밸러스트수가 배출을 위해 이동하는 통로인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와 유출구(72)에 각각 설치된 유입밸브(711)와 유출밸브(721)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84)에 대한 가동신호를 생성하여(도 6 참조),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인터페이스부(40)-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밸러스팅(Ballasting)을 위한 워밍업(warming-up) 작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운전 및 예열시키기 위해 실제 바닷물을 수취하여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운전시키기는 하지만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탱크(70)에 저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이를 위해 밸러스트탱크(70)로 연결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와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와 유출구(72)에 각각 설치된 유입밸브(711)와 유출밸브(72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유입될 수 있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바닷물을 취수하는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 및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배출하는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개방신호 및 펌프(84)에 대한 가동신호를 통해, 상기 취수구(51)를 통해 유입된 바닷물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및 자외선처리부(82))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처리된 후 상기 배수구(5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22)는 상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21) 이후에 수취한 바닷물에 대한 실제 밸러스팅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각종 밸브들에 대한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21) 이후에 실제 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수행을 결정한 다음, 바닷물의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폐쇄신호와,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에 설치된 유입밸브(711)에 대한 개방신호를 생성하여(도 7 참조),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인터페이스부(40)-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실제 밸러스팅(Ballasting) 작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인 여과부(81)와 자외선처리부(82) 등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탱크(70) 내에 저장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이를 위해 상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1) 이후에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배출되는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바다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밸러스트탱크(70)로 연결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에 설치된 유입밸브(711)에 대한 개방신호를 통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거치면서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상기 밸러스트라인(61)을 따라 이동하여 유입구(71)를 통해 밸러스트탱크(70) 내에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S423)는 상기 밸러스팅(Ballasting) 작업이 정지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각종 밸브들에 대한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밸러스팅 작업의 정지를 결정한 다음, 바닷물의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개방신호와,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에 설치된 유입밸브(711)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84)에 대한 정지신호를 생성하여(도 8 참조),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인터페이스부(40)-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밸러스팅(Ballasting) 작업에 대한 정지는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의 추가적인 유입을 차단하면서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가 천천히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쿨링(Cooling)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이를 위해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에 설치된 유입밸브(71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가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바닷물의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개방신호를 통해 상기 취수구(51)에서 취수된 바닷물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거쳐 배수구(52)로 배수되면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가동을 급작스럽게 멈추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펌프(84)를 서서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통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천천히 작동을 멈출 수 있게(쿨링(Cooling)작업) 한다.
상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31)는 상기 제어결정단계(S41)에서 디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한 경우, 밸러스트탱크(70) 내의 밸러스트수에 대한 실제 디밸러스팅 작업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에 대한 예열 및 예비운전과정이 이루어지는 워밍업(warming-up)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각종 밸브들에 대한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디밸러스팅 작업의 워밍업 작업에 대한 수행을 결정한 다음, 바닷물을 취수하는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 및 바닷물(또는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개방신호와,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와 밸러스트탱크(70)에 저장되어 있던 밸러스트수가 배출을 위해 이동하는 통로인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와 유출구(72)에 각각 설치된 유입밸브(711)와 유출밸브(721)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84)에 대한 가동신호를 생성하여(도 9 참조),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인터페이스부(40)-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디밸러스팅(De-Ballasting)을 위한 워밍업(warming-up) 작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운전 및 예열시키기 위해 실제 바닷물을 수취하여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운전시키기는 하지만 처리된 밸러스트수를 밸러스트탱크(70)에 저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이를 위해 밸러스트탱크(70)로 연결되는 통로인 밸러스트라인(61)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611)와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 및 밸러스트탱크(70)의 유입구(71)와 유출구(72)에 각각 설치된 유입밸브(711)와 유출밸브(72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밸러스트탱크(70)로 이동/유입될 수 있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바닷물을 취수하는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 및 처리된 밸러스트수가 배출하는 배수구(52)에 설치된 배수밸브(521)에 대한 개방신호 및 펌프(84)에 대한 가동신호를 통해, 상기 취수구(51)를 통해 유입된 바닷물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처리된 후 상기 배수구(52)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32)는 상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31) 이후에 밸러스트탱크(70) 내의 밸러스트수에 대한 실제 디밸러스팅 작업이 수행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각종 밸브들에 대한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31) 이후에 실제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수행을 결정한 다음, 바닷물의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에 대한 폐쇄신호와, 밸러스트탱크(70)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유출되는 통로인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와 밸러스트탱크(70)의 유출구(72)에 설치된 유출밸브(721) 및 여과부(81)와 자외선처리부(82) 사이의 우회관로(83)에 설치된 우회밸브(831)에 대한 개방신호를 생성하여(도 10 참조),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인터페이스부(40)-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실제 디밸러스팅 작업은 밸러스트탱크(70) 내의 밸러스트수가 디밸러스트라인(62)을 따라 이동하여 자외선처리부(82)를 거쳐 살균된 후 바다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이를 위해 상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S431) 이후에 바닷물의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바닷물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밸러스트탱크(70)의 유출구(72)에 설치된 유출밸브(721)와 밸러스트탱크(70) 내에서 밸러스트수가 유출되는 통로인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 및 여과부(81)와 자외선처리부(82) 사이의 우회관로(83)에 설치된 우회밸브(831)에 대한 개방신호를 통해 밸러스트탱크(70)에서 유출된 밸러스트수가 디밸러스트라인(62)을 따라 이동하여 우회관로(83)를 통해 자외선처리부(82)를 거치면서 살균된 후 바다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S433)는 상기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이 정지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각종 밸브들에 대한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 디밸러스팅 작업의 정지를 결정한 다음, 상기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와 밸러스트탱크(70)의 유출구(72)에 설치된 유출밸브(721) 및 여과부(81)와 자외선처리부(82) 사이의 우회관로(83)에 설치된 우회밸브(831)에 대한 폐쇄신호와, 바닷물의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에 대한 개방신호와, 펌프(84)에 대한 정지신호를 생성하여(도 11 참조), 상기 제어정보전송모듈(330)-인터페이스부(40)-제어정보수신모듈(230)을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모듈(21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210)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해당 작업에 연동된 각종 밸브들의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에 대한 정지는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의 추가적인 배출을 차단하면서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가 천천히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쿨링(Cooling)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30)의 밸러스트제어모듈(310)에서는 이를 위해 상기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S432) 직후에, 상기 디밸러스트라인(62)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621)와 밸러스트탱크(70)의 유출구(72)에 설치된 유출밸브(72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밸러스트탱크(70) 내 밸러스트수가 추가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킨 다음, 바닷물의 취수구(51)에 설치된 취수밸브(511)에 대한 개방신호 및 여과부(81)와 자외선처리부(82) 사이의 우회관로(83)에 설치된 우회밸브(831)에 대한 폐쇄신호를 통해 상기 취수구(51)에서 취수된 바닷물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여과부(81), 자외선처리부(82) 등)를 거치게 하면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가동을 급작스럽게 멈추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펌프(84)를 서서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통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천천히 작동을 멈출 수 있게(쿨링(Cooling)작업)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합제어시스템을 활용한 밸러스팅(Ballasting) 또는 디밸러스팅(De-Ballasting) 작업을 위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은 지피에스모듈(90)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위치 및/또는 시간정보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되는 위치정보송수신단계(S3)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S4)는 작업정보모듈(340)을 통해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게 된다.
상기 위치정보송수신단계(S3)는 지피에스모듈(90)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위치 및/또는 시간정보가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30)에 전송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S4)는 작업정보모듈(340)을 통해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게 된다. 즉, 상기 작업정보모듈(340)에서는, 위성으로부터 특정 시간에 선박이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지피에스모듈(90)로부터 선박에서 수행되는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각 과정들이 수행된 위치 및/또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필요시 특정 작업이 이루어진 시간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탱크계측부 110: 탱크계측모듈
120: 탱크정보전송모듈 130: 제어정보수신모듈
20: 밸브제어부 210: 밸브제어모듈
220: 밸브정보전송모듈 230: 제어정보수신모듈
30: 밸러스트관리부 310: 밸러스트제어모듈
320: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 330: 제어정보전송모듈
340: 작업정보모듈 40: 인터페이스부
51: 취수구 511: 취수밸브
52: 배수구 521; 배수밸브
61: 밸러스트라인 611: 밸러스트밸브
62: 디밸러스트라인 621: 디밸러스트밸브
70: 밸러스트탱크 71: 유입구 711: 유입밸브
72: 유출구 721: 유출밸브
81: 여과부 82: 자외선처리부
83: 우회관로 831: 우회밸브
84: 펌프 90: 지피에스모듈

Claims (14)

  1.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을 관리하는 탱크계측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제어부;
    선박의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을 관리하는 밸러스트관리부;
    상기 탱크계측부, 밸브제어부 및 밸러스트관리부 간의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선박의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따른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이 통합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계측부는 밸러스트탱크 내에 채워진 밸러스트수의 수위 또는 용량 상태를 체크하는 탱크계측모듈과, 상기 탱크계측모듈을 통해 확인한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하는 탱크정보전송모듈과,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는 제어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부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를 체크하고 개폐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밸브제어모듈과, 상기 밸브제어모듈을 통해 확인한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하는 밸브정보전송모듈과,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밸브제어모듈에 전송하는 제어정보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는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밸러스트제어모듈과, 상기 탱크정보전송모듈 및 밸브정보전송모듈에서 전송된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에 전송하는 탱크/밸브정보수신모듈과, 상기 밸러스트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제어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5. 제 1 내지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시스템은
    선박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지피에스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수관리부는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작업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6. 탱크계측부로부터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되는 탱크정보송수신단계;
    밸브제어부로부터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되는 밸브정보송수신단계;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 및 각종 밸브의 개폐상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에 대한 제어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탱크계측부 또는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제어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여, 선박의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따른 밸러스팅 및 디밸러스팅 작업이 통합으로 연동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밸러스트탱크의 수위 또는 용량에 대한 계측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밸러스트관리부가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제어결정단계에서 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한 경우,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 및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탱크와 연결된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와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가동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에 대한 개방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정지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제어결정단계에서 디밸러스팅 작업을 결정한 경우,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 및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밸러스트탱크와 연결된 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밸러스트밸브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 및 밸러스트탱크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입밸브와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가동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디밸러스팅워밍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와 밸러스트탱크의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 및 여과부와 자외선처리부 사이의 우회관로에 설치된 우회밸브에 대한 개방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상기 디밸러스팅정보송수신단계 이후에, 상기 밸러스트관리부로부터 바닷물의 취수구에 설치된 취수밸브에 대한 개방신호와, 디밸러스트라인에 설치된 디밸러스트밸브와 밸러스트탱크의 유출구에 설치된 유출밸브 및 여과부와 자외선처리부 사이의 우회관로에 설치된 우회밸브에 대한 폐쇄신호와, 펌프에 대한 정지신호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브제어부에 전송되는 디밸러스팅정지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14. 제 6 내지 1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제어방법은
    지피에스모듈로부터 측정된 선박의 위치정보가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밸러스트관리부에 전송되는 위치정보송수신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정보송수신단계는 작업정보모듈을 통해 선박의 밸러스팅 작업 또는 디밸러스팅 작업의 모든 과정이 수행된 위치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방법.
KR1020120154949A 2012-12-27 2012-12-27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49A KR101374046B1 (ko) 2012-12-27 2012-12-27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49A KR101374046B1 (ko) 2012-12-27 2012-12-27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046B1 true KR101374046B1 (ko) 2014-03-12

Family

ID=5064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49A KR101374046B1 (ko) 2012-12-27 2012-12-27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0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4274B2 (en) * 2016-04-05 2019-02-26 Techcross Co. Ltd.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50164A (ko) * 2019-10-28 2021-05-0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887A (ja) * 1996-09-17 1998-04-07 Shinkurushima Dock:Kk 船舶のバラストタンクの液面監視による注排水制御方法
JP2011202704A (ja) 2010-03-25 2011-10-13 Okm:Kk バルブ制御システム
KR101276131B1 (ko) 2012-04-12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팅 시스템 및 그의 자동 밸러스팅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887A (ja) * 1996-09-17 1998-04-07 Shinkurushima Dock:Kk 船舶のバラストタンクの液面監視による注排水制御方法
JP2011202704A (ja) 2010-03-25 2011-10-13 Okm:Kk バルブ制御システム
KR101276131B1 (ko) 2012-04-12 2013-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밸러스팅 시스템 및 그의 자동 밸러스팅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4274B2 (en) * 2016-04-05 2019-02-26 Techcross Co. Ltd.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50164A (ko) * 2019-10-28 2021-05-07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2263655B1 (ko) * 2019-10-28 2021-06-0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022B2 (en) Wastewater ballast system and method
KR101374046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통합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ITMI20111127A1 (it) Metodo e sistema modulare per la sterilizzazione di acque di zavorra
KR20070043110A (ko)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KR101997435B1 (ko) 탱크간 평형수 이동제어 시스템
KR101372414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자동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69099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운전 장치 및 방법
KR101906640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101910691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20140020817A (ko) 선박 및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1205960B1 (ko) 담수 및 해수를 이용할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KR20160124688A (ko) 멀티제어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KR20220068129A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20140093812A (ko) 전기분해식 밸러스트 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122271B1 (ko) 선박용 식수공급장치
KR20140085028A (ko) 분사부를 이용하는 스마트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1427478B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의 해수 유동 조절 시스템
US10214274B2 (en) Ballast water treatment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10057365A (ko) 선박의 평형수 필터 우회 제어 방법
CN114057258A (zh) 压载水处理装置
CN110431113A (zh) 压载水处理装置以及压载水处理方法
KR101901476B1 (ko) 평형수 서비스 전용 육상 설비
KR101609628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JP2022141023A (ja) 収容型水処理システム及び収容型水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弁制御方法
KR20190019711A (ko) 잠수함의 유압장비 해수 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