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822B1 - 증기터빈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증기터빈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822B1
KR101373822B1 KR1020120104778A KR20120104778A KR101373822B1 KR 101373822 B1 KR101373822 B1 KR 101373822B1 KR 1020120104778 A KR1020120104778 A KR 1020120104778A KR 20120104778 A KR20120104778 A KR 20120104778A KR 101373822 B1 KR101373822 B1 KR 10137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uide
flow
steam turbin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실
황재현
현중섭
송기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0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6Double casings; Measures against temperature strain 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30Exhaust heads, chamb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70Shape
    • F05D2250/73Shape asymme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증기터빈의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며 압력이 회복되어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구성된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는 유입된 증기가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배출되도록 구성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 출구에 연결되어 배출된 증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 및, 상기 내부케이싱과 증기가이드가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에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기에 충분한 증기의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외부케이싱에서 상부 유동공간이 형성된 단면은 가로와 세로의 비가 2:1인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되어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진동과 압력손실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고, 증기터빈의 출력과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기터빈 배기장치{EXHAUST SYSTEM OF STEAM TURBINE}
본 발명은 증기터빈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터빈의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며 압력이 회복되어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구성된 증기터빈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기터빈은 화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증기터빈에서는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고 유동하면서 발전기에 연결된 터빈을 회전시켜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화력발전소에는 예컨대,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에 따라 고압 증기터빈과 중압 증기터빈 및 저압 증기터빈 등이 하나 이상 사용된다.
고압 증기터빈의 경우에는 보일러의 과열기에서 생성된 고온고압의 증기가 유입되고, 중압 증기터빈에는 고압 증기터빈을 통과한 중온중압의 증기가 보일러의 재열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고온중압의 상태로 유입되며, 저압 증기터빈에는 중압 증기터빈을 통과한 저온저압의 증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증기터빈은 모두 발전기에 연결되어 증기의 유동으로 인한 증기터빈의 구동으로 발전을 하게 된다.
한편, 저압 증기터빈을 통과한 증기는 복수기로 유입되어 냉각됨으로써 액체로 된다. 그리고, 저압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복수기로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도7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터빈 배기장치(10)가 사용된다.
이러한 증기터빈 배기장치(10)는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가이드(20)와 외부케이싱(30)을 포함한다. 증기가이드(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블레이드(B)가 연결된 회전축(A)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블레이드(B)와 교대로 배치되는 고정 블레이드(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외부케이싱(30)은 내부케이싱(IC)과 증기가이드(20)가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기(도시되지 않음)가 하부에 연결된다. 이외에, 증기터빈 배기장치(10)는 회전축(A)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베어링콘(BC)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내부케이싱(IC)에 유입된 증기는 회전축(A)과 내부케이싱(IC)이 이루는 환형의 유동공간을 하나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B)와 고정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유동하여 회전축(S)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증기는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증기가이드(20)에 유입된다.
증기가이드(20)에 유입된 증기는 증기가이드(20)에 의해서 회전축(A)의 축방향에서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외부케이싱(30)의 유동공간(S1,S2)으로 배출되고, 외부케이싱(30)의 유동공간(S1,S2)을 유동한 후 복수기에 유입된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가이드(20)의 하부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증기가이드(20)에 의해서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후 외부케이싱(30)의 하부 유동공간(S2)을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된다.
또한, 증기가이드(20)의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증기가이드(20)에 의해서 회전축(A)의 외측반경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후 외부케이싱(30)의 상부 유동공간(S1)으로 배출되고 다시 복수기가 위치한 아래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추가로 전환된 후 복수기에 유입된다.
종래, 이러한 증기터빈 배기장치(10)의 증기가이드(20)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좌우로는 대칭이지만 상하로는 대칭이 아니었다. 이에 따라, 증기가이드(2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유동이 추가의 유동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싱(30)의 상부 유동공간(S1)으로 유동하기 보다는, 추가의 유동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외부케이싱(30)의 하부 유동공간(S2)으로 집중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증기 유동의 편중현상에 의해서 증기 유동에 의해서 작용되는 힘이 불균형을 이루어서 진동이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에 의해서 증기의 유동분포가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회전축(A)에 수직인 외부케이싱(30)의 단면의 형상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타원형이기 때문에, 외부케이싱(30)의 상부 유동공간(S1)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서도, 외부케이싱(30)의 하부 유동공간(S2)으로 증기의 유동이 집중되며 증기의 유동분포가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케이싱(30)의 전면을 이루는 단부벽(31)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서도, 외부 케이싱(30)의 상부 유동공간(S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증기가이드(20)로부터 외부 케이싱(30)의 상부 유동공간(S1)으로 배출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마찰 또는 선회에 의해서 불균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증기의 유동분포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증기유동의 압력손실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증기터빈 배기장치(10)를 유동하는 증기의 압력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가 복수기에 유입되어, 증기터빈의 출력이 감소되고 열효율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되어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진동과 압력손실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증기터빈의 출력과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증기터빈 배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되어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증기터빈 배기장치에 포함되는 증기가이드와 외부케이싱을 구성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는 유입된 증기가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배출되도록 구성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 출구에 연결되어 배출된 증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 및, 상기 내부케이싱과 증기가이드가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가이드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에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기에 충분한 증기의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상기 외부케이싱에서 상부 유동공간이 형성된 단면은 가로와 세로의 비가 2:1인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외부케이싱에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기에 충분한 증기의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축에 수직한 외부케이싱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전면을 이루는 단부벽은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가이드는 내부케이싱의 출구로부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배출된 증기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유동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며, 상하좌우로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가이드는 내부케이싱의 출구에 연결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가이드입구; 가이드입구에 연결되며 증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 및 방향전환부에 연결되어 유동방향이 전환된 증기가 외부케이싱의 유동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출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입구 단부에서의 접선은 회전축과 제1가이드각을 이루며, 가이드출구 단부에서의 접선은 회전축과 제2가이드각을 이루고, 제2가이드각은 제1가이드각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각은 0°내지 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각은 75°내지 95°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하부에 복수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터빈 배기장치에 포함되는 증기가이드의 형상과 외부케이싱의 형상을 개선하여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되어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진동과 압력손실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증기터빈의 출력과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일실시예의 증기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일실시예의 증기가이드에서의 유속분포를 전산유체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의 (b)는 종래의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증기가이드에서의 유속분포를 전산유체해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일실시예의 증기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일실시예의 증기가이드의 제1가이드각을 O°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가이드각을 변화시킨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일실시예에서의 압력회복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은 종래의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8은 도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9는 종래의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증기가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증기터빈 배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되어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증기터빈 배기장치에 포함되는 증기가이드와 외부케이싱을 구성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가이드(200)와 외부케이싱(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가이드(200)는 유입된 증기가 회전축(A)을 회전시키고 배출되도록 구성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터빈의 최종단 회전 블레이드(B)가 구비되며 최종단 회전 블레이드(B)를 통과한 증기가 배출되는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은 증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은 예컨대, 보일러(도시되지 않음)의 과열기(도시되지 않음)나 재열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증기터빈(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B)가 연결되며 발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회전축(A)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싱(IC)에는 회전 블레이드(B)와 교대로 하나 이상의 고정 블레이드(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에 유입된 증기는 회전축(A)과 내부케이싱(IC) 사이에 형성되며 출구로 갈수록 면적이 증가되는 환형 유동공간을 하나 이상의 회전 블레이드(B)와 고정 블레이드를 통과하면서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발전기에 연결된 회전축(A)이 회전되어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에 유입되고 유동하면서 회전축(A)을 회전시킨 증기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에 연결된 증기가이드(200)와,회전축(A)의 단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베어링콘(BC)에 의해서 그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증기가이드(200)는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회전축(A)의 축방향으로 배출된 증기가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유동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증기가이드(200)는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으로부터 배출되어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증기가이드(20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하좌우로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가이드(200)는 상하좌우로 대칭인 환형이며 증기의 유동방향이 회전축(A)의 축방향으로부터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전환되도록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기가이드(200)가 상하좌우로 대칭이기 때문에,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회전축(A)의 회전축 방향으로 배출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도4의 (b)의 상하로 비대칭인 종래의 증기가이드(20)를 사용할 때와 같이 어느 일 방향, 예컨대 복수기가 위치하는 아래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비교적 균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의 유동분포가 불균일함으로써 증기의 유동에 의해서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에 작용되는 힘이 불균형을 이루어서 발생되는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증기가이드(200)는 가이드입구(210), 방향전환부(220) 및, 가이드출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는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다.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와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가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나 너트 등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방향전환부(220)는 가이드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즉, 증기의 유동방향을 회전축(A)의 축방향에서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방향전환부(220)는 도1과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A)의 축방향에서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굽어진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방향전환부(220)는 곡면이 아닌 하나 이상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증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방향전환부(220)가 가이드입구(210)에 연결되는 구성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입구(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가이드출구(230)는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방향전환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부(220)에 의해서 유동방향이 전환된 증기가, 즉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증기가, 후술할 외부케이싱(300)의 유동공간(S1,S2)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출구(230)가 방향전환부(22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방향전환부(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입구(210) 단부에서의 접선과 회전축(A)은 제1가이드각(α)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가이드출구(230) 단부에서의 접선과 회전축(A)은 제2가이드각(β)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각(β)은 제1가이드각(α)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으로부터 회전축(A)의 축방향으로 배출된 증기는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 제1가이드각(α)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부(220)에 의해서 회전축(A)의 외측 반경방향으로 방향전환된 증기는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를 통해 외부케이싱(300)의 유동공간(S1,S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각(α)은 0°내지 5°일 수 있다. 제1가이드각(α)이 0°미만이면,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아래로 경사지게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유동이 오히려 가이드입구(210)에 의해서 방해받아서, 증기유동의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증기유동의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방향전환부(220)에서 전환되어야할 증기의 유동각도가 커지게 되어, 이에 의해서도 증기유동의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증기유동의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 단부에서의 접선과 회전축(A)이 이루는 각이 일반적으로 0°에 가깝기 때문에, 제1가이드각(α)이 5°를 초과하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를 따라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방향전환부(220)에 의해서 방향전환되지 못하고,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 유입된 증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가이드(200)의 방향전환부(220)를 따라 유동하면서 자연스럽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베어링콘(BC)을 따라 유동하는 증기와 충돌하면서 증기가이드(200)를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증기유동의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으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의 증가에 따른 압력손실의 증가 없이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 유입되어 유동하도록 하는 제1가이드각(α)은 0°내지 5 °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2가이드각(β)은 75°내지 95°일 수 있다. 제2가이드각(β)이 75°미만인 경우에도,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의 하부로부터 배출되어 후술할 외부케이싱(300)의 하부 유동공간(S2)으로 유동하는 증기는, 일반적으로 복수기가 외부케이싱(300)의 하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추가의 방향전환 없이 복수기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의 상부로부터 배출되어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을 유동하는 증기는 외부케이싱(300)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기에 유입되기 위해서 추가의 방향전환을 해야하기 때문에, 제2가이드각(β)이 75°미만이면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에서의 방향전환각도가 크게 된다.
그리고,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의 상부로부터 배출되어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을 유동하는 증기는 후술할 외부케이싱(300)의 전면을 이루는 단부벽(310)에 충돌하여 방향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증기유동의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가이드각(β)이 9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의 상부로부터 배출되어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을 유동하는 증기는 증기가이드(200)에 의해서 충분히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활하게 추가의 방향전환을 하면서 복수기에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의 하부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필요 이상으로 증기가이드(200)에서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서 외부케이싱(300)의 하부 유동공간(S2)을 유동하여 증기터빈의 입구나 복수기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유동의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증기하여 압력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의 증가에 따른 압력손실의 증가 없이 외부케이싱(300)의 유동공간(S1,S2)을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2가이드각(β)은 75°내지 95 °가 바람직하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L은 가이드입구(210)와 가이드출구(230)를 잇는 가상선의 길이이고, γ는 L과 회전축(A)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L은 내부케이싱(IC)의 출구 내경의 절반이 바람직하고, γ는 45°가 바람직함이 전산유체해석을 통하여 나타났다.
한편, 도6에 도시된 그래프는 제1가이드각(α)을 0°로 고정한 상태에서, 제2가이드각(β)을 24.62°내지 82.76°로 변화시키는 경우에,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입구(210)에서의 단면적(Ain)과 가이드출구(230)에서의 단면적(Aout) 비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의 일실시예에서의 압력회복계수(Cp)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압력회복계수(Cp)는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12076555993-pat00001
여기에서, PE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출구에서의 증기의 정압이고, PIC는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서의 정압이며, PT는 전압을 나타낸다.
이러한 증기압력계수는 증기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는 정도와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의 정도를 나타낸다.
압력회복계수(Cp)가 음의 값을 가지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서의 정압(PIC)이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의 출구에서의 증기의 정압(PE)보다 큰 것을 나타내며, 이는 증기가 증기터빈 배기장치(100)를 유동하면서 압력회복, 즉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지 않았으며,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비교적 많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서의 정압(PIC)이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의 출구에서의 증기의 정압(PE)보다 크기 때문에, 증기터빈에서 증기가 비교적 많이 팽창하지 못하여서 증기터빈의 출력이 감소하고 열효율이 감소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압력회복계수(Cp)가 양의 값을 가지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서의 정압(PIC)이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의 출구에서의 증기의 정압(PE)보다 작은 것을 나타내며, 이는 증기가 증기터빈 배기장치(100)를 유동하면서 압력회복, 즉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었으며,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비교적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서의 정압(PIC)이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의 출구에서의 증기의 정압(PE)보다 작기 때문에, 증기터빈에서 증기가 비교적 많이 팽창하여 증기터빈의 출력이 증가하고 열효율이 증가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가이드각(α)이 0°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각(β)이 증가하면 압력회복계수(Cp)가 양의 값으로 증가함을 할 수 있다. 즉, 증기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었으며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비교적 적고, 증기터빈의 출력이 증가하고 열효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외부케이싱(30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케이싱(IC)과 증기가이드(200)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싱(30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기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부케이싱(300)의 하부에 복수기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기가 연결되는 외부케이싱(300)의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부케이싱(300)의 하부에 한정되지는 않고,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부케이싱(300)에는 전술하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가이드(200)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공간(S1,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케이싱(300)도 전술한 증기가이드(200)와 같이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으로부터 배출되어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각형,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이었던 외부케이싱(300)의 단면보다 아래의 표1과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면적이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이었던 외부케이싱(30)의 단면보다 증기가 유동하는 충분한 유동공간(S1,S2)이 외부케이싱(300)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증기의 추가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이 종래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 특히 추가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에서의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증기유동의 선회강도 또는 난류운동에너지가 감소하여 압력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증기가 외부케이싱(300)의 유동공간(S1,S2)을 유동하면서 압력이 회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증기터빈의 출력이 증가하고 열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아래의 표1은 증기가이드(200)의 형상은 종래의 증기가이드(20)의 형상과 같이, 즉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는 대칭이나 상하는 비대칭으로 하고,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 형상만을 아래의 도면과 같이 변경시키면서 압력회복계수(Cp)와 출력증가율 및 내부케이싱(IC) 출구의 증기속도 변동폭을 계산하여, 종래의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와 비교한 것이다.
여기에서, ① 형상은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이 반타원형인 경우이고, ② 형상은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이 반원형인 경우이며, ③ 형상과 ④ 형상은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로, ④가 ③보다 높이가 더 높은 경우이다.
Figure 112012076555993-pat00002
형상 외부케이싱 단면적(m2) 압력회복계수 출력증가율(%) 내부케이싱 출구의 증기속도 변동폭(%)
①형상
(경사진 단부벽)
16 -0.10 0
①형상
(수직한 단부벽)
16 -0.07 0.075 -45 ~ +55
②형상 18 -0.03 0.175 -46 ~ +50
③형상 20 -0.01 0.225 -43 ~ +50
④형상 23 +0.01 0.275 -43 ~ +50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의 형상 변경만으로도, 외부케이싱(300) 내에 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공간(S1,S2), 특히 상부 유동공간(S1)이 형성되어 압력회복계수(Cp)가 음이 아닌 양으로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가 증기터빈 배기장치(100)를 유동하면서 압력회복, 즉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었으며,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비교적 적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증기터빈에서 증기가 비교적 많이 팽창하여 증기터빈의 출력이 증가하고 열효율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래의 표2는 증기가이드(200)의 형상을 상하좌우로 대칭인 형상으로 한 상태에서, 표1에서와 같이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의 형상을 ②번 형상과 ④번 형상으로 변경했을 경우의 압력회복계수(Cp)와 출력증가율, 진동개선율 및, 내부케이싱(IC) 출구의 증기속도 변동폭을 계산하여 종래의 증기터빈 배기장치(100)와 비교한 것이다.
형상 외부케이싱 단면적(m2) 압력회복계수 출력증가율(%) 진동개선율(%) 내부케이싱 출구의 증기속도 변동폭(%)
①형상
(경사진 단부벽)
16 -0.10 0 0
②형상 18 0.21 0.775 -40 ~ +48
④형상 23 0.30 1.0 300~500 -34 ~ +41
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을 반원형으로 변경하고, 즉 ②형상으로 변경하고 증기가이드(200)의 형상을 상하좌우로 대칭인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압력회복계수(Cp)가 양으로 되고 출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증기가 증기터빈 배기장치(100)를 유동하면서 압력회복, 즉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었으며,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비교적 적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증기터빈에서 증기가 비교적 많이 팽창하여 증기터빈의 출력이 증가하고 열효율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회전축(A)에 수직한 외부케이싱(300)의 단면을 사각형으로 변경하고, 즉 ④ 형상으로 변경하고 증기가이드(200)의 형상을 상하좌우로 대칭인 형상으로 변경하면 양의 압력회복계수(Cp)가 증가하고 출력이 증가하며 진동이 개선되고 내부케이싱(IC) 출구의 증기속도 변동폭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증기가 증기터빈 배기장치(100)를 유동하면서 압력회복, 즉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환원되었으며, 마찰손실과 선회유동으로 인한 압력손실이 비교적 적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증기터빈에서 증기가 비교적 많이 팽창하여 증기터빈의 출력이 증가하고 열효율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외부케이싱(300)의 전면을 이루는 단부벽(31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직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기가이드(200)의 가이드출구(230)의 단부와 단부벽(310)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증기가이드(200)로부터 배출되어 외부케이싱(300)의 유동공간(S1,S2), 특히 증기가이드(200)의 상부로부터 배출되어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을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즉, 외부케이싱(300)의 상부 유동공간(S1)을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표1에서 ① 형상에서 외부케이싱(300)의 단부벽(310)을 수직하게 하는 것만으로도, 종래의 증기터빈 배기장치(10)보다 압력회복계수(Cp)가 증가하고 출력의 증가가 이루어짐을 보고 알 수 있다.
미설명부호 'C'는 중앙선을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사용하면, 증기터빈으로부터 배출되어 증기터빈 배기장치를 유동하는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증기터빈 배기장치의 진동과 압력손실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고, 증기터빈의 출력과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증기터빈 배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100 : 증기터빈 배기장치 20,200 : 증기가이드
210 : 가이드입구 220 : 방향전환부
230 : 가이드출구 300 : 외부케이싱
310 : 단부벽 IC : 내부케이싱
A : 회전축 B : 회전 블레이드
BC : 베어링콘 C : 중앙선
S1 : 상부 유동공간 S2 : 하부 유동공간

Claims (10)

  1. 유입된 증기가 회전축(A)을 회전시키고 배출되도록 구성된 증기터빈의 내부케이싱(IC) 출구에 연결되어 배출된 증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증기가이드(200); 및
    상기 내부케이싱(IC)과 증기가이드(200)가 내부에 구비되며 복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증기가이드(200)에 의해서 가이드된 증기가 유동하여 복수기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동공간(S1,S2)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케이싱(300)에 증기의 유동분포가 균일하면서 압력이 회복되기에 충분한 증기의 유동공간(S1,S2)이 형성되도록, 상기 회전축(A)에 수직한 상기 외부케이싱(300)에서 상부 유동공간(S1)이 형성된 단면은 가로와 세로의 비가 2:1인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300)의 전면을 이루는 단부벽(310)은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증기가이드(200)는 상기 내부케이싱(IC)의 출구로부터 상기 회전축(A)의 축방향으로 배출된 증기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유동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며, 상하좌우로 대칭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가이드(200)는
    상기 내부케이싱(IC)의 출구에 연결되어 증기가 유입되는 가이드입구(210);
    상기 가이드입구(210)에 연결되며 증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부(220); 및
    상기 방향전환부(220)에 연결되어 유동방향이 전환된 증기가 상기 외부케이싱(300)의 유동공간(S1,S2)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가이드출구(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입구(210) 단부에서의 접선은 상기 회전축(A)과 제1가이드각(α)을 이루며,
    상기 가이드출구(230) 단부에서의 접선은 상기 회전축(A)과 제2가이드각(β)을 이루고,
    상기 제2가이드각(β)은 제1가이드각(α)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각(α)은 0°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각(β)은 75°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300)의 하부에 복수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터빈 배기장치.
KR1020120104778A 2012-09-20 2012-09-20 증기터빈 배기장치 KR10137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78A KR101373822B1 (ko) 2012-09-20 2012-09-20 증기터빈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778A KR101373822B1 (ko) 2012-09-20 2012-09-20 증기터빈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822B1 true KR101373822B1 (ko) 2014-03-11

Family

ID=5064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778A KR101373822B1 (ko) 2012-09-20 2012-09-20 증기터빈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8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404A (ja) 2000-08-10 2002-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排気室及びタービン排気室における排気旋回流の回収方法
JP2006017015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
JP2006083801A (ja) 2004-09-17 2006-03-30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低圧排気室
KR20120090789A (ko) * 2011-01-14 2012-08-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증기 터빈의 배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404A (ja) 2000-08-10 2002-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ビン排気室及びタービン排気室における排気旋回流の回収方法
JP2006017015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蒸気タービン
JP2006083801A (ja) 2004-09-17 2006-03-30 Hitachi Ltd 蒸気タービン低圧排気室
KR20120090789A (ko) * 2011-01-14 2012-08-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증기 터빈의 배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965B1 (ko) 회전자 장치
Nasir Design of high efficiency cross-flow turbine for hydro-power plant
US20110206526A1 (en) Vertical-axis wind turbine having logarithmic curved airfoils
Sharma et al. Performance measurement of a two-stage two-bladed Savonius rotor
JP2012145081A (ja) 蒸気タービンの排気装置
JP201604458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US20180180018A1 (en) Vaned wheel for a turbine, and power generation device
CN104747239A (zh) 复合单螺杆膨胀机
JP6954739B2 (ja) 発電機用のロータ
US8916986B2 (en) Impulse air turbine arrangement for use with a reversing bi-directional air flow in a wave power plant
JP2009216082A (ja) 同軸ローターウインドミル及び流れの運動エネルギーを増大させる方法
KR101373822B1 (ko) 증기터빈 배기장치
CN112041543B (zh) 蒸汽涡轮设备及联合循环设备
US20120114492A1 (en) Method of modifying a steam turbine
JPS597784A (ja) 風力増強装置
CN107725285B (zh) 一种风力机尾流消散装置
IT202000028685A1 (it) Compressore per ciclo a co2 con almeno due stadi di compressione in cascata al fine di assicurare condizioni supercritiche
ES2729207A1 (es) Turbina para aprovechamiento de flujo bidireccional
JP5726236B2 (ja) ターボ機械用のディフューザ
RU2614298C2 (ru) Паровая турбина
RU2492353C1 (ru) Высокоэффективна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модульного типа и модуль ветрогенератора для нее
DE10028053C2 (de) Strömungskraftmaschine zur Nutzung geringer Druckdifferenzen
Chen et al. Performance of an open ducted type very low head cross-flow turbine
Dzida et al. Thermodynamic analysis of a generation IV SCWR nuclear power plant cycle
CN108204257B (zh) 一种高参数无配置汽水分离再热器的核电汽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