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706B1 - 생계용 운반차량 - Google Patents

생계용 운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706B1
KR101373706B1 KR1020120124284A KR20120124284A KR101373706B1 KR 101373706 B1 KR101373706 B1 KR 101373706B1 KR 1020120124284 A KR1020120124284 A KR 1020120124284A KR 20120124284 A KR20120124284 A KR 20120124284A KR 101373706 B1 KR101373706 B1 KR 10137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ventilation
roof
vehic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근
Original Assignee
(주)금강차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차체 filed Critical (주)금강차체
Priority to KR102012012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계용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되되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을 담기 위한 케이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를 적재함에 적재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 적재함 내부의 환기와 송풍을 위해 상기 적재함의 후면과 지붕에 설치되는 환기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면의 상단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계용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계용 운반차량{TRANSPORTING TRUCK FOR CHICKEN}
본 발명은 생계용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되되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을 담기 위한 케이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를 적재함에 적재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 적재함 내부의 환기와 송풍을 위해 상기 적재함의 후면과 지붕에 설치되는 환기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면의 상단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계용 운반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축사에서 식용으로 사육되는 가축들은 식생활 문화의 개선과 서구화되어 가는 외식문화의 발달에 따라 그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식용 가축의 사육 또한 대량화, 기업화 되고 있다.
이러한 식용 가축들은 악취와 오물 등에 의한 영향을 덜 받는 도심지 외곽에서 주로 사육되고 있다. 그리고, 식용 가축들을 사육하는 사육농가에서는 사육된 가축을 식용 또는 경제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도살장 또는 가축시장 등으로 운반하기 위한 가축 운반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식용으로 사육되는 가축 가운데 닭은 쇠고기보다 단백질이 많아 100g중 20.7g이고, 지방질은 4.8g이며, 126kcal의 열량을 내는데 특히 비타민 B2가 많다. 그밖에 칼슘 4mg, 인 302mg, 비타민 A40 I.U., 비타민 B1 0.09mg, 비타민 B20.15mg등을 함유함과 동시에 글루탐산이 있기 때문에 맛있는 것이며, 여기에 여러가지 아미노산과 핵산맛 성분이 들어있어 강하면서도 산뜻한 맛을 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닭고기는 연하고 맛고 풍미가 담백하며 조리하기 쉽고 영양가도 높아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폭넓게 요리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닭고기를 보급하기 위해 양계장에서 다량 사육하여 보급하고 있다.
사육된 닭고기를 요리하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화물트럭 적재함에 창살 형태의 닭장을 형성하고, 닭장 내부에 살아있는 상태의 닭을 담아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창살 형태의 닭장을 이용하여 닭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화물트럭 적재함에 창살 형태의 닭장을 일체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닭 운송시 화물트럭의 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지상에서 화물트럭 적재함에 형성된 닭장 내부로 닭을 옮기는 과정에서 닭다리가 부러지거나 상해를 입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운송과정에서 닭 오염물(닭털, 닭똥)이 주변으로 떨어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이로인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가축(닭) 운반수단은 화물 차량의 화물칸을 적절하게 개조하여 사용하거나, 특정 가축에 맞도록 특수 목적 차량(특장차)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가축운반용 차량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9-81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가축 운반용 차량은 밀폐식 컨테이너 내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가축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하는 장소로 가축을 이동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차량은 단순한 자연 통풍식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및 습도에 강한 소, 돼지 등과 같은 가축의 이용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온도 및 습도, 공기의 오염도 등에 매우 민감한 닭과 같은 가축을 운반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닭과 같이 케이지(파레트)에 담아 운반해야하는 경우 상기 케이지를 지게차와 같은 운반장비를 이용해 운반해야 하는데 밀폐형의 컨테이너(적재함)가 운반차량은 운반장비를 통해 케이지를 적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적재함에 케이지를 상하 다단으로 적재할 때 하부에 놓여지는 케이지를 적재함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차량 주행 중 하부에 적재된 케이지와 상부에 적재된 케이지가 쓰러져 닭이 상해를 입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온도 및 습도, 공기의 오염도 등에 매우 민감한 닭과 같은 가축을 운반하기에 적절한 가축 운반용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닭과 같이 케이지에 투입한 다음 운반장비를 통해 적재함에 적재하는 작업이 용이한 가축 운반용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를 적재함에 적재할 때, 적재함 내부에 케이지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케이지가 쓰러지거나 닭이 상해를 입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닭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되되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을 담기 위한 케이지를 적재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를 적재함에 적재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붕과; 상기 적재함 내부의 환기와 송풍을 위해 상기 적재함의 후면과 지붕에 설치되는 환기부재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면의 상단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붕의 저면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삽입홈과;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 내부에 케이지를 다단으로 적재할 때 상기 제1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지붕이 승하강되면서 적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환기부재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판 측으로 상승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환기부재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 설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환기판와 환기판은 제1고정부재로 연결되며,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1고정부재는 제2고정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끝단에는 제2유압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와 결합된 제1고정부재가 상승하면서 환기판을 상승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은 가축의 깃털이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을 위한 망 형상의 제1차단막과, 우천이나 추위를 방지하고 내부의 보온을 위한 커튼형의 제2차단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차단막은 상기 적재함의 개방된 면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에 권취되면서 승하강되고, 상기 제2차단막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롤러에 권취되면서 승하강되며, 상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의 끝단에는 차량과 고정하기 위해 후크나 고리와 같은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에는 상기 적재함에 적재되는 케이지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케이지의 하단 외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생계용 운반차량은 지붕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적재함에 케이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출하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후면과 지붕에 구비되는 환기부재를 통해 환기와 송풍이 용이하므로 적재함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닭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를 적재함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차량 주행중 상기 케이지가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를 적재하기 위해 개방된 면에 설치된 차단막을 통해 적재함 내부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제1차단막 또는 제2차단막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계절이나 날씨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계용 운반차량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이 승하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부재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생계용 운반차량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계용 운반차량(100)은 닭을 운반할 수 있도록 소정 체적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닭을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해 구비되는 케이지(300)(파레트)를 지게차와 같은 운반장비를 통해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적재함(200)이 구비된다.
케이지(300)라 함은 다수의 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운반상자가 직사각 형상의 틀 안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배열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닭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반수단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200)의 개방된 면으로 상기 케이지(300)를 적재할 때 케이지(300)가 적재함(200)의 상단과 부딪히면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적재함의 상단 즉 지붕(400)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수직으로 프레임(410)이 결합되고, 상기 적재함의 각 모서리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 삽입홈(420)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모서리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41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유압실린더(4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430)는 상기 지붕의 저면 모서리에 설치된 프레임(410)과 연결되고 차량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유압실린더(430)의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지붕(400)을 상승시키고 로드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지붕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지붕(400)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총 4개의 프레임(410)이 설치되는데, 이중 하나의 프레임에 상기 제1유압실린더(430)를 설치하여 지붕(40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 프레임의 끝단마다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지붕을 승하강 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붕(400)을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유는 상기 적재함(200) 내부에 케이지(300)를 적재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하나의 층이 형성되도록 적재한 다음 그 위에 다시 케이지를 순차적으로 적재하게 되는데, 지게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먼저 적재되어 있는 케이지보다 높은 위치까지 들어올려야만 하므로 지게차에 의해 운반되는 케이지가 지붕과 부딪힐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210) 및 패드(44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적재함(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적재함에 적재되는 케이지(300)가 차량(100) 주행 중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21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210)는 상기 케이지(300)가 안착되는 위치에 결합되되 상기 케이지(300)의 하단 각 모서리의 중심과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좌우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케이지(300)가 쓰러지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와, 두께와, 길이의 사각 또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지가 적재되는 위치마다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100)의 운전석을 전방으로 기준으로 하였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200) 내부에는 2x5의 배열로 하나의 층을 형성하면서 케이지(300)가 적재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각 케이지(300)가 배열되는 위치마다 상기 고정구(210)를 결합하게 되면 첫 번째 층을 형성하는 케이지(300)들은 각 고정구(210)를 통해 적재된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차량 주행중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첫 번째 층을 형성하는 케이지(300)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두 번째 층을 형성하는 케이지를 적재할 때 하부 케이지와 동일한 위치에 가지런히 안착 될 수 있다.
상기 지붕(40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다단으로 케이지(300)를 적재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지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붕(400)의 저면이 두 번째 층에 적재된 케이지(300)의 상단에 부딪혀 지붕이나 케이지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지붕(400)의 저면에 고무 또는 외측이 코팅처리된 플라스틱과 같이 충격흡수가 가능한 패드(440)를 결합하고, 상기 패드(440)가 상기 지붕(400)의 저면과 케이지(30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지붕과 케이지 간의 이격거리를 차단하여 케이지가 차량 주행중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200) 내부의 환기와 송풍을 위해 상기 적재함의 후면과 지붕에 설치되는 환기부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계용 운반차량의 지붕(400)에 환기부재(500)가 설치된 상태 및 상기 환기부재(500)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환기부재(500)는 여름철과 같이 통풍이나 환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에 원활하게 통풍과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200)의 후면과 지붕(400)에 각각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설치된다.
상기 환기부재(500)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몸체(510)와, 상기 몸체 내부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고정판(520)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고정판(520) 측으로 상승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판(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환기판(530)은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된 환기판(530)과 제1고정부재(540)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상기 환기판(5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면서 복수개로 설치되므로 상기 제1고정부재(540)가 다단으로 복수개로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다단으로 설치된 복수의 제1고정부재(540)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고정부재(55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550)의 하부에는 제2유압실린더(560)가 설치되며,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끝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560)의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550)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550)와 결합된 제1고정부재(540)는 끝단에 결합된 환기판(530)을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560)를 통해 환기판의 상승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은 환기나 송풍을 위해 환기판(530)을 개방시켜야 하나 추운 날씨나 폭우 등의 요인으로 개방 면적을 조절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2유압실린더(560)의 로드가 몸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환기판이 상승할 수 있는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면서 개방면적을 최대화하고, 로드가 몸체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환기판이 원위치에 있게 되므로 개방면적이 최소화가 되고, 상기 로드가 빠져나올 때 원하는 위치에서 제2유압실린더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원하는 만큼 개방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상기 환기부재(500)가 지붕(400)에 설치된 상태만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적재함(200)의 후면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환기부재(500)가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6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막(600)은 상기 적재함(200)의 개방된 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면의 상단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적재함(200)의 개방면 상단에는 적재함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630)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막(600)은 가축의 깃털이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을 위한 망 형상의 제1차단막(610)과, 우천이나 추위를 방지하고 내부의 보온을 위한 커튼형의 제2차단막(620)으로 구성된다.
여름철에는 제1차단막(610)을 사용하여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환기와 통풍이 원활하도록 하고, 겨울철이나 장마철과 같이 기상요인으로 인해 내부의 보온이나 비가 유입되는 것을 피해야 할 경우에는 제2차단막(620)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630) 내부에는 상기 제1차단막(610)이 권취되는 제1롤러(611)와, 상기 제1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모터(612)와, 상기 제2차단막(620)이 권취되는 제2롤러(621)와, 상기 제2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구동모터(622)가 더 설치된다.
작업자는 현장상황이나 기후 또는 날씨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차단막(610)이나 제2차단막(620)을 사용하여 개방된 면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610)과 제2차단막(620)의 끝단에는 차량과 고정하기 위해 후크나 고리와 같은 고정수단(6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차단막(또는 제2차단막)이 차량에 고정되지 못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차량의 주행속도나 바람의 영향으로 심하게 흔들려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수단(640)을 차량에 걸어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차단막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지붕(4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적재함(200)에 케이지(300)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출하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적재함(200)의 후면과 지붕에 구비되는 환기부재(500)를 통해 환기와 송풍이 용이하므로 적재함 내부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닭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지(300)를 적재함(200)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차량 주행중 상기 케이지(300)가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2차단막(610,620)을 통해 적재함 내부의 노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계절이나 날씨의 변화에 따른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00 : 생계용 운반차량 200 : 적재함
210 : 고정구 300 : 케이지
400 : 지붕 410 : 프레임
420 : 프레임 삽입홈 430 : 제1유압실린더
440 : 패드 500 : 환기부재
510 : 몸체 520 : 고정판
530 : 환기판 540 : 제1고정부재
550 : 제2고정부재 560 : 제2유압실린더
600 : 차단막 610 : 제1차단막
611 : 제1롤러 612 : 제1구동모터
620 : 제2차단막 621 : 제2롤러
622 : 제2구동모터 630 : 하우징

Claims (7)

  1. 닭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되되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축을 담기 위한 케이지(300)를 적재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개방되는 적재함(200)과; 상기 적재함(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지(300)를 적재함에 적재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붕(400)과; 상기 적재함(200) 내부의 환기와 송풍을 위해 상기 적재함(200)의 후면과 지붕(400)에 설치되는 환기부재(500)와; 상기 적재함(200)의 개방된 면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된 면의 상단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붕(400)의 저면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프레임(410)과; 상기 적재함(200)의 각 모서리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4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4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삽입홈(420)과; 상기 적재함(200)의 각 모서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410)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제1유압실린더(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적재함(200) 내부에 케이지(300)를 다단으로 적재할 때 상기 제1유압실린더(430)에 의해 상기 지붕(400)이 승하강되면서 적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환기부재(5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상의 몸체(510)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판(520)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판(520) 측으로 상승하여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기판(530)으로 구성되되, 상기 환기부재(500)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 설치되고,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환기판(530)와 환기판(530)은 제1고정부재(540)로 연결되며, 다단으로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제1고정부재(540)는 제2고정부재(550)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550)의 끝단에는 제2유압실린더(560)가 설치되며, 상기 제2유압실린더(560)의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제2고정부재(550)가 수직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550)와 결합된 제1고정부재(540)가 상승하면서 환기판(530)을 상승시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600)은 가축의 깃털이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을 위한 망 형상의 제1차단막(610)과, 우천이나 추위를 방지하고 내부의 보온을 위한 커튼형의 제2차단막(6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차단막은 상기 적재함(200)의 개방된 면의 상단에 설치되는 하우징(6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모터(612)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611)에 권취되면서 승하강되고, 상기 제2차단막은 상기 하우징(6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모터(622)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롤러(621)에 권취되면서 승하강되며, 상기 제1차단막(610)과 제2차단막(620)의 끝단에는 차량과 고정하기 위해 후크나 고리와 같은 고정수단(640)이 구비되며,
    상기 적재함(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적재함(200)에 적재되는 케이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가 안착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케이지의 하단 외주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구(2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계용 운반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24284A 2012-11-05 2012-11-05 생계용 운반차량 KR10137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84A KR101373706B1 (ko) 2012-11-05 2012-11-05 생계용 운반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284A KR101373706B1 (ko) 2012-11-05 2012-11-05 생계용 운반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706B1 true KR101373706B1 (ko) 2014-03-13

Family

ID=5064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284A KR101373706B1 (ko) 2012-11-05 2012-11-05 생계용 운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335A (en) * 2016-05-20 2018-04-04 Parkhouse Country Estate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hicles
KR101933855B1 (ko) 2018-08-28 2018-12-31 김태일 재활용 쓰레기 수거차량용 적재장치
JP2021187285A (ja) * 2020-05-29 2021-12-13 有限会社小田切車体 鶏ゲージ積込み用トラック荷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6A (ko) * 1999-11-24 2000-04-06 장재선 가축 운반용 차량
KR200340446Y1 (ko) * 2003-11-05 2004-02-05 박길호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66A (ko) * 1999-11-24 2000-04-06 장재선 가축 운반용 차량
KR200340446Y1 (ko) * 2003-11-05 2004-02-05 박길호 차량의 승하강식 적재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335A (en) * 2016-05-20 2018-04-04 Parkhouse Country Estate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hicles
GB2554335B (en) * 2016-05-20 2019-10-09 Parkhouse Country Estates Ltd A hydraulic vehicular roof assembly
KR101933855B1 (ko) 2018-08-28 2018-12-31 김태일 재활용 쓰레기 수거차량용 적재장치
JP2021187285A (ja) * 2020-05-29 2021-12-13 有限会社小田切車体 鶏ゲージ積込み用トラック荷台
JP7029191B2 (ja) 2020-05-29 2022-03-03 有限会社小田切車体 鶏ゲージ積込み用トラック荷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8589T3 (es) Contenedor para pollos de engorde como componente de una unidad y de una disposición
US10080351B2 (en) Portable basket colony for growing and transport and method of use
CN102638970A (zh) 用于货车车载的活家禽运输单元
KR101373706B1 (ko) 생계용 운반차량
US20090007853A1 (en) Stackable tray system and method to load, transport, stun and singulate poultry
WO2018002901A1 (en) Container for hatching of incubated eggs in a poultry house
US3777710A (en) Automated systems for raising and transporting broilers
CN203590827U (zh) 一种生猪装运设备
US3695233A (en) Game bird transporting device
US20080302309A1 (en) Poultry car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killing poultry
CN201928807U (zh) 一种户外养鸡笼
CN205131052U (zh) 一种新型禽苗运输车
GB2063183A (en) Live birds handling equipment
CN105150911A (zh) 一种禽苗运输车用车厢
US11178853B2 (en) Poultry cage
US2734444A (en) Conveyances for the transporation of baby chicks
US2015925A (en) Trough
KR101566211B1 (ko) 가금류 운반차량
CN109421579A (zh) 一种雏苗运输车
CN218967595U (zh) 一种基于冷链配送的鸡蛋储存装置
CN207889612U (zh) 一种雏禽运输车的可移动货架结构
DK178270B1 (en) A method of ventilating unloadable broiler transport units on a broiler transport trailer, and a broiler transport trailer
DK178825B1 (en) Broiler Transport Unit
RU76607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молодняка птиц с защит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нижних воздуховодов
CN117864568A (zh) 一种表面防潮的瓦楞纸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