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515B1 - 다중 동조 공명기 - Google Patents

다중 동조 공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515B1
KR101373515B1 KR1020110119739A KR20110119739A KR101373515B1 KR 101373515 B1 KR101373515 B1 KR 101373515B1 KR 1020110119739 A KR1020110119739 A KR 1020110119739A KR 20110119739 A KR20110119739 A KR 20110119739A KR 101373515 B1 KR101373515 B1 KR 10137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orifice plate
body portion
neck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988A (ko
Inventor
손채훈
김철진
이인호
민용호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14Architectures, e.g. special construction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fea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7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부 체적을 분할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에 장착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목부에 의해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과 연통되는 몸통부의 내측면에 멤브레인(Membrane)과 오리피스 플레이트, 오리피스 플레이트 형태의 멤브레인(Membrane) 및 멤브레인(Membrane)과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함께 장착하여 공명기 자체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고 유동관을 통해 전파되는 여러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나의 공명기를 통해 여러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동조 공명기{Acoustic resonators with multi-tuning functions}
본 발명은 다중 동조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유동관에 설치되는 다중 동조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저감장치는 이미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한가지로 흡음재를 사용하는 흡음형은 고주파영역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저주파 영역에서는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며, 또한 흡음재의 비산문제와 습기나 혹은 열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유동관의 형상변화로 인해 생겨나는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을 이용하여 음파를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반사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반사형으로는 배관의 단면적을 변화시킨 형태인 확장관이나 천공관을 이용한 모델들이 있다.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장치는 유동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명기를 배관에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실용신안등록 제225151호는 이와 같은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고안에서는 단일 주파수영역을 갖는 공명기가 설치되어 있어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소음을 제거할 수 없었다. 한편, 울림공간이 작은 공명기는 고주파영역을 가지고 울림 공간이 큰 공명기는 저주파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고주파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은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고, 저주파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유동관은 좁은 공간에 설치되므로 큰 공명기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때문에 저주파영역의 소음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최근 기술동향과도 거리가 멀었다.
본 발명은 공명기의 몸통부 내측 둘레면에 멤브레인과 오리피스 플레이트 및 멤브레인과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함께 장착하여 하나의 공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부 체적을 분할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에 장착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 상기 목부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멤브레인(Membrane)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Membrane)에는 동조주파수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홀이 존재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 체적을 분할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 상기 목부로 유입되어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로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는 제1멤브레인; 및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제2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목부에 의해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과 연통되는 몸통부의 내측면에 멤브레인(Membrane)과 오리피스 플레이트, 오리피스 플레이트 형태의 멤브레인(Membrane) 및 멤브레인(Membrane)과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함께 장착하여 공명기 자체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고 유동관을 통해 전파되는 여러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하나의 공명기를 통해 여러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몸통부에 장착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직경변화에 대한 이중동조 주파수의 흡음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몸통부에 장착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홀의 면적비 변화에 따른 이중동조 주파수의 흡음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와 일반적인 공명기의 흡음성능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와 일반적인 공명기 및 도 4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의 멤브레인에 홀을 형성하였을 때의 흡음률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와 도 1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의 흡음률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몸통부에 장착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직경변화에 대한 이중동조 주파수의 흡음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3은 도 1의 몸통부에 장착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홀의 면적비 변화에 따른 이중동조 주파수의 흡음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와 일반적인 공명기의 흡음성능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와 일반적인 공명기 및 도 4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의 멤브레인에 홀을 형성하였을 때의 흡음률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와 도 1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의 흡음률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100)는 목부(110)와, 몸통부(120)와, 오리피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목부(110)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10)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유동관(10)에는 상기 목부(110)가 장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유동관(10)과 상기 목부(110)가 연결된다.
상기 유동관(10)에 장착된 상기 목부(110)의 하부에는 몸통부(120)가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120)는 상기 목부(110)와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인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몸통부(12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120)의 내측 둘레면에는 오리피스 플레이트(130)가 장착된다.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는 상기 몸통부(120)의 확장공간인 내측 둘레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는 내부가 빈 도우넛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S2)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0687826-pat00001
또한, 상기 몸통부(120)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단면적(S1)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1090687826-pat00002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S2)에 대한 상기 몸통부(120)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S1)의 비(S2/S1)는 0 < S2/S1 < 0.16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120)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S1)에 대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S2)의 비(S2/S1)가 0.16 이상이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100)가 아닌 표면적이 증가된 일반적인 헬름홀츠(Helmholtz) 공명기의 특성을 가진다.
도 2는 도 1의 몸통부에 장착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직경변화에 대한 이중동조 주파수의 흡음률(두번째 주파수의 흡음률)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도 1의 몸통부에 장착된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면적변화에 대한 이중동조 주파수의 흡음률(두번째 주파수의 흡음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홀의 직경(d0)이 어느 이하로 작을 때 몸통부(120)의 직경(dc)이 클수록 흡음률이 증가하고,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홀의 직경(d0)이 어느 이상 크면 몸통부(120)의 직경(dc)이 작을수록 흡음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20)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S1)에 대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S2)의 비(S2/S1))가 작으면 작을수록 흡음율이 증가하는 것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200)는 목부(210)와, 몸통부(220)와, 멤브레인(Membrane;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부(210)와 상기 몸통부(22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10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몸통부(220)의 내측에는 멤브레인(230)이 장착된다. 상기 멤브레인(230)은 분리막으로써, 상기 몸통부(220)의 내측에서 상기 목부(210)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220)의 내측으로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상기 멤브레인(230)은 상기 몸통부(220)의 공동부분 중 상기 몸통부(220)의 중간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멤브레인(230)은 시중에 널리 유통되는 것으로서, 시중에 널리 통용되는 상기 멤브레인(230)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200)와 일반적인 공명기의 흡음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200)와 일반적인 공명기는 목부(210)와 몸통부(220)는 동일하며, 상기 몸통부(220)의 내측 공동부분인 상기 몸통부(220)의 중앙 내측 둘레면에 멤브레인(230)이 장착되는 점에서 차별화가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목부(210)를 통해 상기 몸통부(220)로 유입되는 음향 에너지가 확산됨에 따라 상기 몸통부(220)에 장착된 상기 멤브레인(230)에 음향 에너지가 흡수되어 첫 번째 동조주파수의 흡음률이 향상됨을 알 수 있고, 상기 멤브레인(230)의 질량 및 재질 변화에 따라서 2개 내지 3개의 주파수에 대해서 동조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다.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멤브레인(230) 1"을 장착 시에는 2개의 동조주파수가 형성되었고, "멤브레인(230) 2"를 장착 시에는 3개의 동조주파수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일반적은 공명기와 도 1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100) 및 도 4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200)의 멤브레인(230)에 홀을 형성하였을 때의 흡음성능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멤브레인(230)에 홀을 형성하면 그 형상이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와 홀을 형성한 멤브레인(230)의 차이점은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공명기는 하나의 주파수를 흡음하여 흡음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130)가 장착된 다중 동조 공명기(100)는 두 개의 주파수를 흡음하여 흡음률을 향상시키며, 홀을 형성한 멤브레인(230)이 장착된 다중 동조 공명기(200)는 세 개의 주파수를 흡음하여 흡음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홀을 형성한 메브레인(230)을 장착한 공명기는 일반 헬름홀츠 공명기보다 2개의 동조주파수를 추가적으로 형성시켜 총 3개의 동조주파수를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다중 동조 공명기(300)는 목부(310)와, 몸통부(320)와, 오리피스 플레이트(330)와, 제1멤브레인(340)과, 제2멤브레인(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목부(310)와 몸통부(320) 및 오리피스 플레이트(330)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몸통부(320)에 장착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330)의 상부에는 제1멤브레인(340)이 장착된다. 상기 제1멤브레인(340)은 상기 목부(310)로 유입되어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330)로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32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몸통부(320)에 장착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330)의 하부에는 제2멤브레인(350)이 장착된다. 상기 제2멤브레인(350)은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330)를 통과하여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320)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S2)을 구하는 식은 [수학식 1]과 동일하고, 상기 몸통부(320)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S1)을 구하는 식은[수학식 2]와 동일하며,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S2)에 대한 상기 몸통부(320)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S1)의 비(S2/S1)는 0 < S2/S1 < 0.16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멤브레인(340)과 상기 제2멤브레인(350)은 시중에 널리 유통되는 것으로서, 시중에 널리 통용되는 상기 제1, 2멤브레인(340,350)으로 사용함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300)와 도 1에 도시된 다중 동조 공명기(100)의 흡음성능의 결과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오리피스 플레이트(330)이 장착된 몸통부(320)의 상부와 하부에 제1멤브레인(340)과 제2멤브레인(350)를 장착하게 되면, 오리피스 플레이트(330)가 장착한 것에 비해, 추가적으로 두 개의 동조 주파수를 더 형성시킬 수 있고 각 주파수의 흡음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멤브레인(340)과 제2멤브레인(350)의 질량 및 두께를 변화시킴으로 인하여 흡음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목부에 의해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과 연통되는 몸통부의 내측면에 멤브레인(Membrane)과 오리피스 플레이트, 오리피스 플레이트 형태의 멤브레인(Membrane) 및 멤브레인(Membrane)과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함께 장착하여 공명기 자체의 물리적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고 유동관을 통해 전파되는 여러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나의 공명기를 통해 여러 주파수 영역의 소음을 감소시킴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30 : 유동관 100, 200, 300 : 다중 공조 공명기
110, 210, 310 : 목부 120, 220, 320 : 몸통부
230 : 멤브레인 130, 330 : 오리피스 플레이트
340 : 제1멤브레인 350 : 제2멤브레인

Claims (8)

  1.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부 체적을 분할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에 장착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내부가 빈 도우넛 형상인 다중 동조 공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의 비(S2/S1)는 0 < S2/S1 < 0.16의 범위를 갖는 다중 동조 공명기.
  4.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내측에 상기 목부로 유입되어 상기 몸통부의 내측으로 소산되는 음파의 흡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멤브레인(Membrane)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Membrane)에는 동조주파수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홀이 존재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Membrane)은 상기 몸통부의 공동부분 중 상기 몸통부의 중간 내측에 장착되는 다중 동조 공명기.
  6. 삭제
  7.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에 내부가 연통하도록 장착되는 목부;
    상기 목부로부터 연장되어 공명을 위한 확장공간을 형성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내부 체적을 분할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둘레면에 장착되는 오리피스 플레이트;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여 , 상기 목부로 유입되어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로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는 제1멤브레인; 및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소산되는 음파의 흡음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몸통부의 내측 하부에 장착되는 제2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다중 동조 공명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는 내부가 빈 도우넛 형상이며,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확장공간의 표면적에 대한 상기 오리피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빈 공간의 단면적의 비(S2/S1)는 0 < S2/S1 < 0.16의 범위를 갖는 다중 동조 공명기.
KR1020110119739A 2011-11-16 2011-11-16 다중 동조 공명기 KR10137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39A KR101373515B1 (ko) 2011-11-16 2011-11-16 다중 동조 공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739A KR101373515B1 (ko) 2011-11-16 2011-11-16 다중 동조 공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88A KR20130053988A (ko) 2013-05-24
KR101373515B1 true KR101373515B1 (ko) 2014-03-14

Family

ID=4866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739A KR101373515B1 (ko) 2011-11-16 2011-11-16 다중 동조 공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294B1 (ko) 2017-08-22 2019-03-11 (주)지오룩스 광산 안전관리를 위한 머신 러닝 기반 자립형 자동 비상 경보장치 및 방법
KR102510031B1 (ko) * 2020-08-21 2023-03-14 한국과학기술원 흡음 장치
DE102020216502A1 (de) 2020-12-22 2022-06-23 Mahle Anand Filter Systems Private Limited Schalldämmeinrichtung
KR102583152B1 (ko) * 2021-03-11 2023-10-04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음향 메타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2999A1 (en) * 2007-03-28 2010-08-26 David Shawn Marion Helmholtz reson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2999A1 (en) * 2007-03-28 2010-08-26 David Shawn Marion Helmholtz reso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988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133B1 (ko) 차량용 소음기
JP5866751B2 (ja) 音響共鳴体及び音響室
CN100334333C (zh) 排气消音装置
US8485310B2 (en) Silencing equipment for electric devices
KR101373515B1 (ko) 다중 동조 공명기
US20080041657A1 (en) Muffler duct
CN109346051A (zh) 内置穿孔板式亥姆霍兹共振器及基于其的低频宽带吸声结构
JPH05240120A (ja) レゾネータ
US9241211B2 (en) Tubular body, bass reflex port, and acoustic apparatus
US20180306191A1 (en) Supercharger inlet panels
US11310587B2 (en) Horn loudspeakers
KR20130068875A (ko) 박막과 흡음재를 포함하는 헬름홀츠 공명기 흡음장치
CN110230597A (zh) 压缩机壳体及压缩机
CN206522207U (zh) 空滤器总成
KR101937343B1 (ko) 소음기
JP2009264244A (ja) 消音装置
JP2008291827A (ja) 消音器
CN208572403U (zh) 一种喇叭前腔导音结构及其电子装置
KR101045761B1 (ko) 다공성 스크린이 구비된 헬름홀쯔형 공명기
JP2008223745A (ja) 吸気消音装置および消音方法
KR100820703B1 (ko) 레조네이터
CN103939179A (zh) 一种消声性能良好的阻抗复合式消声器
CN203796360U (zh) 一种阻抗复合式消声器
CN217423629U (zh) 降噪装置及燃气热水器
JP2005155502A (ja) レゾネ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