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485B1 -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485B1
KR101373485B1 KR1020120063443A KR20120063443A KR101373485B1 KR 101373485 B1 KR101373485 B1 KR 101373485B1 KR 1020120063443 A KR1020120063443 A KR 1020120063443A KR 20120063443 A KR20120063443 A KR 20120063443A KR 101373485 B1 KR101373485 B1 KR 101373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livery date
web server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247A (ko
Inventor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안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준 filed Critical 안형준
Priority to KR102012006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4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웹서버 또는 스마트폰에 인도일을 저장해 두고, 딜러들의 단말기로 전화가 수신되면 딜러들의 단말기가 자동으로 고객 여부를 판단해서 고객의 경우에는 웹서버로 인도일을 요청해서 딜러들의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객이 문의 시 즉시 답변하여 고객과의 신뢰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조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VECHILE ARRIVES DATE LOOKUP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객의 전화가 왔을 때 딜러의 스마트폰 프로그램이 이를 감지하여 미리 입력된 고객의 주문번호, 고객 이름 등을 활용하여 도매점 시스템에 접속한 후 소비자의 요청 가능한 정보를 미리 보여주어, 조회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이 소형 가전 등을 구입할 때는 소매점을 방문하여 당일 구입 혹은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수 일 내에 물건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경우 한 개의 모델도 다양한 사양의 자동차를 생산하는 환경에서 소매점(자동차 영업점) 주차장에 모든 사양의 차를 구비하고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사에 주문, 배송 및 소비자가 선택한 각종 악세사리의 장착 등으로, 차량을 인도받기까지 소형 가전에 비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차량 예상 인도일은 몇 달씩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를 유럽에 있는 소비자가 인도받거나, 역으로 유럽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를 한국의 소비자가 인도받으려면, 생산, 선적, 해상 이동, 하적, 세관 신고, 악세서리 장착 등의 절차에 따른 소요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인도받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인도일이 많이 소요되는 자동차를 구입한 소비자의 경우 구입 계약을 체결한 소매점 혹은 세일즈 맨에게 전화를 통해 예상 인도일을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도매점은 소매점을 위하여 판매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소매점에서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예상 인도일을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인도 관련 기술이 등록특허 10-0778391호(명칭:휴대단말장치의 차량 번호 조회방법)에 개시되어 있으며, 통상의 차량인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인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자동차를 구매한 고객에게서 예상 인도일의 요청을 하게 되면(S10~S30), 딜러는 해당 고객의 주문번호를 확인한 다음(S40) 단말기로 도매시스템에 접속한 다음(S50), 예상 인도일을 조회하고 난 다음 고객에게 답변을 해 주는 시스템이다(S60~S70).
즉, 고객으로부터 인도일을 문의받으면 전화를 대기 상태로 한 상태에서 조회한 결과를 알려주거나, 또는 전화를 끊은 후 조회한 결과를 알려주기 위하여 다시 통화하여야 한다.
이것은 통상의 도매점 시스템이 대부분 보안, 관리 문제, 도매점 정책, 소매점주들의 반대 등의 이유로 최종 소비자가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서 매번 전화를 받으면 고객 확인, 계약 및 주문번호 조회, 도매점 시스템 접속 및 예상 도착일에 대한 조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의 예상 인도일을 고객의 전화 수신과 동시에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시스템은,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성된 식별번호와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이 저장되어 있는 판매관리부를 구비한 웹서버, 및 상기 식별번호와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이 저장된 식별번호DB와, 인도일 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웹서버와 통신가능한 도매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매점단말기의 제어부는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전화번호와 연동된 고객의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식별번호DB에서 추출하여 상기 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웹서버는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식별번호와 연동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도일을 상기 판매관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도매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도매점단말기의 제어부는 수신된 인도일을 단말기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번호DB에 저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매점단말기는 인도일 조회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와, 상기 인도일 조회 또는 사용자 인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전화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이벤트감지부와,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주문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식별번호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을 저장하고 있는 식별번호 DB와, 수신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거나 인도일을 표시하는 단말기표시부, 및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벤트감지부에서 수신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앱부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수신된 전화번호와 연동된 식별번호를 상기 식별번호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웹서버에서 수신된 인도일을 상기 단말기표시부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번호DB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웹서버는 상기 도매점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을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부 및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로부터 식별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판매관리부로부터 해당 식별번호에 연관된 인도일을 추출하여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매점단말기의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감지부에서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웹서버와 통신가능한 상태에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사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거나, 또는 로그인 상태에서 상기 웹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화 수신 시 상기 웹서버와의 통신이 로그 오프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식별번호DB에 저장된 인도일을 보여주거나 또는 로그 인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웹서버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고객의 식별번호 별 인도일이 저장되어 있는 판매관리부를 구비한 웹서버와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고객의 성명별 고객의 식별번호와 인도일이 저장된 식별번호DB와, 인도일 조회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웹서버와 통신가능한 도매점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방법은, (a)상기 도매점단말기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상기 (a)단계에서 고객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고객 성명으로 인도일의 조회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상기 (b)단계에서 조회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성명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d)상기 웹서버는 수신된 전화번호, 고객 성명,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연동되는 인도일을 조회하여 상기 도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상기 도매점단말기는 수신된 인도일을 단말기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a)단계는 (a-1)상기 도매점단말기에서 전화를 수신하는 단계와, (a-2)수신된 전화에서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a-3)추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식별번호DB에서 검색하여 고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게 하고,
(c)단계는 (c-1)상기 (b)단계에서 조회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식별번호DB에서 상기 수신번호와 연동된 계약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 식별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단계는 (d-1)상기 도매점단말기로부터 전화번호, 고객성명, 또는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c-2)상기 전송된 전화번호, 고객성명, 또는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와 연동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도일을 상기 판매관리부로부터 판독하는 단계, 및 (c-3)상기 판독된 인도일을 상기 도매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고, 식별번호는 고객의 성명, 전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딜러가 고객으로부터 통화가 접수되면 자동으로 예상 인도일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문의 시 즉시 답변하여 고객과의 신뢰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조회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인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배송일 조회 시스템(100)은 고객의 전화번호 또는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와 연동되어 인도일을 저장하고 있는 웹서버(140)와, 고객으로부터 전화 수신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웹서버(140)에 해당 고객의 인도일을 자동으로 조회하여 표시하는 도매점단말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웹서버(140)는 고객의 식별번호별로 인도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후술하는 도매점단말기(130)로부터 인도일을 요청받으면 수신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인도일을 추출하여 도매점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웹서버가 인도일을 미리 계산하거나 입력에 의하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인도일 요청이 접수되면 물류상태를 보고 예상 인도일을 계산하여 추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통상의 웹서버에서는 차량의 물류상태(차량위치)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가지고 있다가 인도일(배송일) 조회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가 단계별 물류상태를 보고 일정을 계산하여 보여주고, 보여주었던 날짜를 웹서버에 History 로 남기거나, 웹서버가 앞으로 일어날 많은 계산에 대비해 정기적으로 미리 계산(Batch 작업)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보여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웹서버(140)는 고객의 이름이나, 전화번호, 계약번호, 계약한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식별번호로 저장하고 해당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인도일을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웹서버(140)는 인도일을 조회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저장하고 있다가 인증된 도매점단말기에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웹서버(140)는 도매점단말기(130)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DB(145)와, 고객의 식별번호별 인도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부(144)와, 웹서버의 사용자 인증부(143)와, 인도일을 도매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술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제어부(141), 그리고 도매점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웹서버(140)는 도매점단말기(13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설치 요구가 수신되면, 사용자 DB(145)와 사용자 인증부(143)를 통하여 인증을 받게 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도매점단말기가 억세스하면 인증을 통하여 인도일을 조회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 DB(145)는 도매점단말기 소유자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인증부(143)에서 데이터 요청시 관련 자료를 독출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증과정은 필요에 따라 도매점 단말기(130)의 접속권한을 설정하고자 할 때 도매점 단말기의 ID와 패스워드 등을 설정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판매관리부(144)는 고객의 이름이나, 전화번호, 계약번호, 계약한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식별번호로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차량의 인도일을 관리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계약번호는 도매점 즉 자동차 딜러 영업점에서 관리하는 계약서상의 번호를 말하며, 주문번호는 도매점 판매시스템을 통해 주문을 한 경우 도매점 판매시스템에서 생성한 주문시의 번호를 말하며, 차대번호는 제작사, 자동차의 특성, 제작관련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번호를 말한다.
따라서, 웹서버(140)는 자동차 생산공장, 도매점 판매시스템, 영업점 등 식별번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곳에서는 어디서나 접속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변경시 접속하여 추가 또는 정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판매관리부(144)는 도매점단말기(130)로부터 어떤 식별번호가 전송될지 모르므로 고객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식별번호로 정리하여 두고 예상 인도일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고객별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계약번호, 계약한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를 식별번호로 상호 연동되게 저장하고 여기에 인도일을 부여하게 되면 식별 가능한 어떤 번호가 수신되더라도 이와 연동된 인도일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서버제어부(141)는 무선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하여 식별번호가 수신되면 판매관리부(144)로부터 해당 식별번호에 연관된 인도일을 추출하여 무선인터페이스부(142)를 통하여 도매점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장치들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제어부(141)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도매점단말기(130)와 접속되면, 사용자 인증부(143)를 통하여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요구 시 사용자 인증 후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전송할 수도 있다.
도매점단말기(130)는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하며,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 등의 유선 단말기와 같이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매점단말기(130)는 자동차 판매 영업점의 단말기일 수도 있고, 딜러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즉, 도매점단말기(130)는 고객 단말기(120)로부터 인도일(배송일) 요청을 받을 수 있는 단말기를 총칭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매점단말기(130)는 WAN을 통하여 웹서버(140)와 통신하고 고객 단말기(120)와 음성 및/또는 영상통화를 수행하며, 자동차 구매 고객으로부터 전화가 수신되면 고객인지 유무를 판단하여 웹서버(140)로부터 인도일을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도록 인도일 조회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도매점단말기(130)는 인도일 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App)부(134)와, 키입력부(137)와, 이벤트감지부(135)와, 식별번호 DB(136)와, 단말기표시부(131)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인도일 조회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제어부(13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사용자앱(App)부(134)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후술하는 웹서버(140)에 접속하여 인도일 조회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웹서버(140)의 인증과정을 거쳐 인도일 조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웹서버(140)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굳이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137)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인도일 조회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별번호 DB(136)는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를 식별번호로 서로 연동되게 저장하고, 식별번호별 인도일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일 수 있으며, 단말기표시부(133)는 수신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거나 인도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한다.
또한 식별번호 DB(136)에 저장되는 식별번호 들은 고객이 자동차를 계약했을 때 딜러 영업점에서 관리하는 계약번호 혹은 도매점 판매 시스템을 통해 주문을 했을 때 판매시스템에서 생성한 주문 번호 등을 미리 스마트폰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웹서버(140)의 판매관리부(144)는 자동차 판매와 관련된 여러 부서에서 데이터 등록이 가능하므로, 웹서버(140)와의 연동을 통하여 데이터를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벤트감지부(135)는 전화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번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화번호 추출과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무선통신부(132)는 WAN을 통하여 웹서버(14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단말기제어부(131)는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화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웹서버(140)에 저장되어 있는 인도일을 수신받아 표시하도록 동작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제어부(131)는 전화가 수신되면 이벤트감지부(135)에서 수신된 전화번호를 추출하도록 하고, 사용자 앱부(134)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수신된 전화번호와 연동된 식별번호를 식별번호 DB(136)로부터 추출하여 웹서버(140)로 송신하고, 웹서버(140)에서 수신된 인도일을 단말기표시부(133)에 표시함과 동시에 식별번호DB(136)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식별번호DB(136)에 저장하는 것은, 도매점단말기가 웹서버에 접속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장 최근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고객이 문의하면 인도일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말기제어부(131)는 이벤트감지부(135)에서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웹서버(140)와 통신가능한 상태에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사용하여 웹서버(140)에 접속하거나, 또는 로그인 상태에서 웹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제어부(131)는 웹서버(140)와 접속이 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전화 수신 시 웹서버(140)와의 통신이 로그 오프상태로 판단되면, 식별번호DB(136)에 저장된 인도일을 보여주거나 또는 로그 인 화면을 표시하여 웹서버(140)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매점단말기를 이용한 배송일 조회 방법은, 먼저 단말기제어부(131)는 전화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화번호가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10~S220).
단계 S220에서의 고객여부 판단은 전화가 수신되어 이벤트감지부(135)에서 수신 전화번호가 추출되면, 단말기제어부(131)는 추출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식별번호DB(136)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리스트와 비교하여 고객인지 여부를 조회하게 된다.
단계 S220에서 조회결과 고객으로 판단되면 단말기제어부(131)는 사용자앱부(134)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수신된 전화번호에 연동된 고객성명을 추출하고(S230), 전화번호 및/또는 고객 성명으로 인도일의 조회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이러한 판단은 웹서버(140)에 등록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고객 성명이나 또는 전화번호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조회가 되지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단계 S240에서 전화번호 및/또는 고객 성명으로 인도일의 조회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전화번호 또는 고객 성명을 웹서버(140)로 전송(입력)하여 조회하게 된다(S280).
단계 S280에서 웹서버(140)는 전화번호 또는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조회를 요청받은 경우 판매관리부(144)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와 비교하여 해당하는 인도일을 추출하게 된다(S290).
이때 단계 S280에서 전화번호 또는 성명으로 조회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기제어부(131)는 식별번호 DB(136)에서 수신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식별번호 중 다른 번호를 추출한다(S250).
이때, 추출되는 번호는 주문번호(오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중 어느 하나 일수도 있고 모두 추출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230에서도 전화번호 및/또는 고객 성명으로 조회여부를 판단할 것이 아니라, 수신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식별번호 모두 추출하여 웹서버(1401)로 전송하고 웹서버(140)에서는 전송된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인도일을 추출하여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230부터는 웹서버와 도매점단말기간에 인도일을 조회하기 위한 조회정보가 약속되어 있으면 해당 식별번호로 인도일을 요청하고, 약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모든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인도일을 검색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추출된 식별번호를 웹서버(140)로 전송하면 웹서버에서는 수신된 전화번호, 고객 성명,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연동되는 인도일을 조회하여 도매점단말기(130)로 전송하게 된다(S260).
단계 S260에서 인도일을 수신받은 단말기제어부(131)는 해당 인도일을 단말기표시부(133)에 표시하도록 하고(S260), 도매상단말기를 소유한 딜러는 단말기표시부에 표시된 인도일을 보면서 고객과 전화를 계속 응대할 수 있게 한다(S270).
이로써 고객은 인도일이 궁금하여 전화를 했지만 딜러의 즉각적인 인도일 응대로 더욱 더 딜러를 신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20 : 고객단말기 130 : 도매점단말기
131 : 단말기제어부 134 : 사용자 앱부
135 : 이벤트감지부 136 : 식별번호 DB
140 : 웹서버 141 : 서버제어부
144 : 판매관리부

Claims (11)

  1. 삭제
  2.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고객의 식별번호와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이 저장되어 있는 판매관리부를 구비한 웹서버;및
    인도일 조회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부와, 전화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이벤트감지부와, 고객의 이름, 전화번호, 계약번호, 차대번호, 그리고 주문 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식별번호로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을 저장하고 있는 식별번호 DB와, 수신된 전화번호를 표시하거나 인도일을 표시하는 단말기표시부 및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벤트감지부에서 수신된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앱부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수신된 전화번호와 연동된 식별번호를 상기 식별번호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웹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웹서버에서 수신된 인도일을 상기 단말기표시부에 표시하는 단말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매점 단말기;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도매점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인터페이스부;
    상기 식별번호별 인도일을 저장하고 있는 판매관리부;및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로부터 식별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판매관리부로부터 해당 식별번호에 연관된 인도일을 추출하여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도매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매점단말기의 단말기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감지부에서 전화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웹서버와 통신가능한 상태에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사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거나, 또는 로그인 상태에서 상기 웹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매점단말기의 단말기제어부는
    전화 수신 시 상기 웹서버와의 통신이 로그 오프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식별번호DB에 저장된 인도일을 보여주거나 또는 로그 인 화면을 표시하여 상기 웹서버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63443A 2012-06-14 2012-06-14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3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443A KR101373485B1 (ko) 2012-06-14 2012-06-14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443A KR101373485B1 (ko) 2012-06-14 2012-06-14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247A KR20130140247A (ko) 2013-12-24
KR101373485B1 true KR101373485B1 (ko) 2014-03-13

Family

ID=4998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443A KR101373485B1 (ko) 2012-06-14 2012-06-14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4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005A (ja) * 1997-12-01 1999-06-18 Nitsuko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4355415A (ja) 2003-05-30 2004-12-16 Toyota Motor Corp 車両配送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配送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4005A (ja) * 1997-12-01 1999-06-18 Nitsuko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4355415A (ja) 2003-05-30 2004-12-16 Toyota Motor Corp 車両配送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配送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247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2124B2 (en) Automatic connected vehicle subsequent owner enrollment process
US10740989B2 (en) Automatic connected vehicle subsequent owner enrollment process
US1158055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ost-purchase media content to a subscriber
US9491586B2 (en) Wireless beacon and methods
US10366444B2 (en) Inventory management
CN104737192A (zh) 用于处理产品和服务数据的促销方系统及方法
KR101069744B1 (ko) 이동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80108022A (ko) 검색어와 최종 구매 데이터를 활용한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40059583A1 (en) Terminal management system
US20150106202A1 (en) Dynamic aggregation and management of mobile applications and application data
KR20150087723A (ko) 음식 주문 시스템 및 방법
US11687947B2 (en) Automatic connected vehicle enrollment
JP2010287071A (ja) 作業機械遠隔稼働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作業機械管理方法
CN108140163B (zh) 基于有源设备管理递送方法的通知
KR10137348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배송일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76781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platform
US11656862B2 (en) Updating of a domestic appliance
JP2017151572A (ja) 移動販売店舗位置情報等システム
KR101941246B1 (ko) 주행 상태별 차량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JP5957400B2 (ja) 情報端末、端末管理システム、端末管理方法およびインストール支援プログラム
JP7177017B2 (ja) 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GB2576780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vehicle systems
US11935334B2 (en) Center, update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19021044A (ja) インセンティブ付与システム及びインセンティブ付与方法
KR20160131980A (ko)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