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980A -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980A
KR20160131980A KR1020160145399A KR20160145399A KR20160131980A KR 20160131980 A KR20160131980 A KR 20160131980A KR 1020160145399 A KR1020160145399 A KR 1020160145399A KR 20160145399 A KR20160145399 A KR 20160145399A KR 20160131980 A KR20160131980 A KR 2016013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sion
customer
agreement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980A/ko
Publication of KR2016013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09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for lines also used for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 서버에 업데이트된 동의 약관의 최신 버전과 단말에서 동의한 동의 약관의 버전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서 동의한 동일 버전의 약관을 중복하여 단말에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하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는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단말 디렉토리 넘버,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저장해두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최신 버전의 약관에 동의된 경우에 바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외에는 최신 버전의 약관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VERIFYING METHOD FOR CLAUSE VERSION INFORMATION ON CLIENT APPROVAL AND TERMINAL THEROF}
본 발명은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 서버에 업데이트된 동의 약관의 최신 버전과 단말에서 동의한 동의 약관의 버전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서 동의한 동일 버전의 약관을 중복하여 단말에 제공하는 일 없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단말에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고 사업의 한 분야로,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내에 광고를 삽입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서비스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내 노출되는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 사업자는 각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광고(personalized advertisement)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이용행태 또는 위치 정보를 활용하기를 원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의 이용행태 또는 위치 정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정보 활용에 대한 사용자 동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단말기에서는 광고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시 사용자 정보 활용 동의를 위한 고객 동의용 약관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동의를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하면 단말은 동의 여부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알려준다.
고객 동의용 약관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데, 버전이 바뀌면 사용자 동의를 다시 받아야 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동의한 약관의 버전 정보를 갖고 있지 않아, 버전이 바뀌면 최신 버전을 내려 주기 위해 동의 약관을 다시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는 자신이 동의한 버전과 동일한 버전인 경우에도 동의 약관을 다시 제공받아 확인해야 하는 절차의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동일한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여러 번 확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 동의용 약관과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요청 시에,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고객 동의용 약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요청받으면,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거나, 동의한 약관이 최신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의 확인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해당 사용자 단말의 약관에 대한 동의 여부를 저장하기 위한 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열의 상기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상기 약관 버전란에 동의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상기 동의란에 해당 버전에 대해서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의 확인 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확인하여 해당 단말 디렉토리 넘버의 최신 버전의 동의란에 고객이 해당 버전의 약관에 대해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업데이트 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 기재를 위한 열을 생성하여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고객 동의용 약관의 동의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의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공된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동의하는 경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고객이 해당 약관의 버전에 동의했음을 기록해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과정; 검색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의 최신의 약관 버전에 해당하는 동의란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 기재를 위한 열을 생성하여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최신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관련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고객 동의용 약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이 저장되어 있는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거나, 동의한 약관이 최신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의 확인 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해당 사용자 단말의 약관에 대한 동의 여부를 저장하기 위한 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열의 상기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상기 약관 버전란에 동의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상기 동의란에 해당 버전에 대해서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의 확인 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확인하여 해당 단말 디렉토리 넘버의 해당 버전의 동의란에 해당 버전에 대해서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업데이트 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 기재를 위한 열을 생성하여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받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고객 동의용 약관의 동의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의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동의하는 경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고객이 해당 약관의 버전에 동의했음을 기록해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과정; 검색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의 최신의 약관 버전에 해당하는 동의란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 기재를 위한 열을 생성하여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최신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서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동의한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바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일한 약관을 여러 번 확인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동의한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서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이 동의한 약관과 동일한 버전임에도 다시 약관을 제공함에 따라 발생하던 부하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객 동의용 약관 정보 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객 동의용 약관이 업데이트 됨에 따라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객 동의용 약관 정보 확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고객 동의용 약관 정보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온라인 마켓(120), 서비스 제공 장치(1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100)은 각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로서,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와 같은 오픈 플랫폼으로 구축되어 있고, 오픈 플랫폼 상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embedded)되어 있거나, 온라인 마켓(120)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 상에서 플랫폼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는 예컨대,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광고일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의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위치기반서비스(LBS) 서버(미도시)에 단말 디렉토리 번호를 전달하여 해당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위치정보에 기반한 광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기반서비스 서버로부터 단말기(100)가 "서울시 중구 충무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구축된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서울시 중구 충무로"에 위치한 상점, 음식점 등에 관한 광고 정보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정보는 "*백화점 5% 할인 쿠폰"의 쿠폰 정보 또는 "##피자 신제품 출시 이벤트" 등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GPS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면 GPS 모듈에서 획득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전송되고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수신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광고 제공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노출되는 광고를 볼 수 있다. 이때, 노출되는 광고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하단과 같은 일부 영역에 노출된다.
사용자의 이용 행태를 바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사용자 단말(100)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이용 행태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설치된 쇼핑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가방을 자주 쇼핑하게 되면, 이때 사용자가 여러 상품 카테고리 중 가방 카테고리를 자주 클릭하게 되므로 이러한 이용 행태가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전송되고,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그 사용자에게 백화점 또는 마트의 가방 할인 행사 광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마켓(120)은 운영자가 입력한 다양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가, 특정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선택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온라인(online)을 통해 그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고객 동의용 약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약관에 동의한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동의한 약관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고,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할 때, 고객이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을 확인함으로써 버전을 확인하지 못했던 기존 방식에서 발생했던 문제인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의한 약관과 동일한 버전에 대한 약관을 또 다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3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통신부(132), 제어부(134), 메모리부(136), 서비스 제공부(138)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부(132)는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134)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요청 시에,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을 확인하여 최신 버전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서비스 제공부(138)에 지시한다.
메모리부(136)는 단말기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 메모리부(136)는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고객 동의용 약관 및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저장한다.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포함한다.
다음 표 1은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일 예이다.
단말 디렉토리 넘버 약관 버전 동의
010-3333-1111 0.9 T
010-3333-2222 0.9 Y
표 1에서, 동의란에 표시된 T는 고객 동의를 한 적이 있지만, 해당 약관의 버전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T라고 마크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경우 해당 약관의 버전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야 한다.
한편, 동의란에 표시된 Y는 해당 약관의 버전에 대해서 고객이 동의한 경우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Y라고 마크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경우 최신 버전의 약관을 제공하지 않고, 바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면 된다.
상기 테이블을 참고하면, MDN 010-3333-1111은 동의란에 T라고 마크되어 있으며, 이는 이전 약관에 대해서 고객 동의를 한 적이 있지만 약관 버전 0.9 에 대해서는 고객 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MDN 010-3333-1111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134)는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기 전에 버전 0.9의 약관을 MDN 010-3333-1111에 제공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의 MDN 010-3333-2222은 약관 버전 0.9에 대해 Y라고 마크되어 있으며, 이는 약관 버전 0.9에 대해서 고객 동의를 한 경우이므로, MDN 010-3333-2222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134)는 최신 약관 버전을 다시 제공할 필요 없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면 된다.
이처럼, 제어부(134)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최신 버전의 약관에 대해 동의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34)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업데이트 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정보를 위한 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한다.
다음 표 2는 약관버전이 0.9에서 1.0으로 업데이트되어 표 1의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업데이트 한 예이다.
단말 디렉토리 넘버 약관 버전 동의
010-3333-1111 1.0 T
010-3333-2222 1.0 T
010-3333-1111 0.9 T
010-3333-2222 0.9 Y
상기 테이블을 참고하면, 최신 약관 버전 1.0에 대해 기 저장된 MDN 010-3333-1111, 010-333-2222에 대해 새로운 열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새로운 열이 생성되면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는 기 저장되어 있던 단말 디렉토리 넘버들이 기재되고 약관 버전란에는 최신 약관의 버전이 기재되며, 동의란에는 이전 버전에서 고객 동의를 한 적이 있지만, 해당 약관의 버전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임을 의미하는 T가 기재된다.
이후, MDN 010-3333-2222 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최신 약관 버전 1.0에 대해선 T라고 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최신 약관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MDN 010-3333-2222 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된 최신 약관 버전 1.0의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하면, 표 3과 같이 동의란에 T가 Y로 변경된다.
단말 디렉토리 넘버 약관 버전 동의
010-3333-1111 1.0 T
010-3333-2222 1.0 Y
010-3333-1111 0.9 T
010-3333-2222 0.9 Y
또한, 서비스 제공부(138)는 제어부(134)의 지시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면,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에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의 MDN을 조회한다(S100).
조회된 MDN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검색하여 동의 여부를 확인한다(S110).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동의란에 동의했음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S140).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동의란에 동의했음이 확인되는 경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S120).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이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S130).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이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S140).
이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S150).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했음이 확인되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소정 시간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필요에 따라 고객 동의용 약관을 업데이트한다. 고객 동의용 약관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불필요하게 최신 약관이 제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데이터도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데이터 업데이트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고객 동의용 약관을 업데이트한다(S200). 업데이트된 약관 버전이 최신 약관 버전이 된다.
다음, 서비스 제공 장치(130)는 최신 약관 버전에 대한 정보 기재를 위해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열을 생성한다(S210).
생성된 열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 약관 버전, 동의 상태를 저장한다(S220). 이때 동의란에는 이전 버전에 대해 동의하였음을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30)가 사용자 단말(100)이 동의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서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100)이 동의한 약관의 버전에 상관없이 최신 버전의 약관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일한 버전의 약관을 중복해서 제공받게 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사용자 단말이 동의한 버전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동의한 약관 정보가 없거나, 즉 최초 접속이거나, 사용자가 동의한 약관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에만 최신 버전의 약관을 제공하게 되어, 사용자는 동일한 약관을 여러 번 확인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성을 높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100: 단말기 110: 통신망
120: 온라인 마켓 130: 서비스 제공 장치
132: 통신부 134: 제어부
136: 메모리부 138: 서비스 제공부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관련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고객 동의용 약관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해당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요청되면,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이 저장되어 있는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거나, 동의한 약관이 최신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동의한 적이 없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의 확인 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해당 사용자 단말의 약관에 대한 동의 여부를 저장하기 위한 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열의 상기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란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상기 약관 버전란에 동의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상기 동의란에 해당 버전에 대해서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동의 확인 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을 확인하여 해당 단말 디렉토리 넘버의 해당 버전의 동의란에 해당 버전에 대해서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업데이트 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 기재를 위한 열을 생성하여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요청받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고객 동의용 약관의 동의 여부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동의된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조회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고객 동의용 약관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최신 버전의 고객 동의용 약관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동의하는 경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 고객이 해당 약관의 버전에 동의했음을 기록해 두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은,
    단말 디렉토리 넘버(MDN), 약관 버전,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값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해당하는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과정;
    검색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의 최신의 약관 버전에 해당하는 동의란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 상기 고객 동의용 약관 저장 테이블의 최신 버전에 대한 동의 여부 기재를 위한 열을 생성하여 생성된 열의 단말 디렉토리 넘버란에 기 저장된 단말 디렉토리 넘버를 기재하고, 약관 버전란에 업데이트된 최신 약관의 버전을 기재하고, 동의란에 이전 버전에 대해서만 동의하였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동의용 약관의 버전 정보 확인 방법.
KR1020160145399A 2016-11-02 2016-11-02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KR20160131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99A KR20160131980A (ko) 2016-11-02 2016-11-02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99A KR20160131980A (ko) 2016-11-02 2016-11-02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404A Division KR20130033497A (ko) 2011-09-05 2011-09-05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980A true KR20160131980A (ko) 2016-11-16

Family

ID=5754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99A KR20160131980A (ko) 2016-11-02 2016-11-02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78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78A1 (ko) * 2021-03-12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727B1 (en) Network access tiered based on application launcher installation
US9542498B2 (en) Provision of applications to mobile devices
US9871888B2 (en) Adaptive function-based dynamic application extension framework
US8752044B2 (en) User experience and dependency management in a mobile device
CN103890726B (zh) 应用程序安装系统
US20100262959A1 (en) Revocation of application on mobile device
US20140244803A1 (en) Integrated app store apparatus, a method of providing an application in the apparatus, and an integrated app store system
CN105282254A (zh) 一种识别应用分发渠道的方法及系统
US92860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based application management
CN106897086A (zh) 用于升级机器人操作系统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669315B1 (ko) 가상 액세스 모듈 배포 장치 및 방법
KR100983240B1 (ko) 무선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001216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mobile advertising service
CN100428824C (zh) 对移动终端进行主动查询维护的方法
US10673951B2 (en) Migration between device-management services
KR20160131980A (ko)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KR20130100863A (ko) 범용 접근을 위한 멤버십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5157539A1 (en) State information session token
KR101779397B1 (ko) 온라인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 관리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079461B1 (ko) 리소스 설치 및 관리 시스템 및 리소스 설치 및 관리 방법
KR20130033497A (ko) 고객 동의용 약관 버전 정보 확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단말기
CN109428944A (zh) 促进定向内容传送的方法、设备、系统和存储介质
JP2003058450A (ja) 情報配信装置
JP628900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ユーザ端末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1836231A (zh) 通过计算机化的卡服务共享的可个性化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