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317B1 -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 Google Patents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317B1
KR101373317B1 KR1020120035412A KR20120035412A KR101373317B1 KR 101373317 B1 KR101373317 B1 KR 101373317B1 KR 1020120035412 A KR1020120035412 A KR 1020120035412A KR 20120035412 A KR20120035412 A KR 20120035412A KR 101373317 B1 KR101373317 B1 KR 10137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gear box
mowing
cutting e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3097A (ko
Inventor
김판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죽암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죽암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죽암기계
Priority to KR102012003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3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62Othe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우어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삭날이 마련된 예초부와, 절삭날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절삭날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프레임 또는 구동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예초부의 예초작업시 상기 프레임 또는 구동부로의 충격 전달을 감소시키는 완충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우어는 완충유닛에 의해 예초작업시 프레임 및 구동부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충격에 의한 프레임 또는 구동부의 파손 및 결함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Mower having shock absorber unit}
본 발명은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우어의 이동시, 모우어의 본체 및 동력전달 기어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우어(mower)는 목초 등을 예취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우어는 일반적으로 트랙터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트랙터의 엔진 회전축에 연결되는 동력인출장치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070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우어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하부 및 하부와 인접되는 적어도 일 측면이 예초 대상인 목초가 유입될 수 있게 개방 형성된 함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목초를 절단하는 다수의 디스크와, 상기 하우징을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크의 테두리의 일 측 및 이와 대응되는 타 측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바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모우어는 회전하는 디스크에 의해 목초가 예취되고, 예취된 목초는 가이드 바에 의해 밀려 드럼 사이로 흡입된 후 모우어와 연결된 트랙터가 이동함에 따라 다시 지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예취작업은 트랙터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우어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한 진동 및 트랙터의 이동에 따라 지면의 요철 및 장애물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충격이 하우징 및 구동부에 전달되어 하우징 및 구동부가 파손되거나 결함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절삭용 디스크에 의한 예초작업시, 프레임 및 구동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우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삭날이 마련된 예초부와, 상기 절삭날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절삭날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상기 프레임 또는 구동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되며, 상기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예초부의 예초작업시 상기 프레임 또는 구동부로의 충격 전달을 감소시키는 완충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스키드바와, 상기 스키드바와 상기 프레임 또는 동력전달부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키드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우어는 상기 스키드바가 상기 프레임 또는 동력전달부에 대해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스키드바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 또는 동력전달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판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삽입부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스키드바는 상기 예초부의 예초 진행방향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우어는 완충유닛에 의해 예초작업시 프레임 및 구동부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충격에 의한 프레임 또는 구동부의 파손 및 결함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우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우어의 완충유닛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모우어의 완충유닛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우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우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우어(100)는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삭날이 마련된 예초부(300)와, 상기 디스크들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400)과,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상기 지면에 접촉하여 예초부(300)의 예초작업시 구동유닛(400)으로의 충격전달을 감소시키는 완충유닛(500)을 구비한다.
프레임(200)은 연결부(201)에 의해 트렉터와 같은 농기계에 결합되며,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202)과, 예초부(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202)의 전방에 설치된 지지대(203)를 갖는다. 상기 지지대(203)는 하우징(202)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우징(202)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프레임(200)은 연결부(201)를 통해 농기계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농기계에 지지된다. 연결부(201)는 농기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예초작업 전에, 예초 대상지역으로 이동시에는 프레임(200)을 농기계에 밀착되도록 회동시키고, 예초작업 시에는 프레임(200)을 지면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예초부(300)는 지지대(203)에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절삭날을 구비한다. 절삭날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유닛(400)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유닛(400)은 절삭날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절삭날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를 구비한다.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로부터 전원 또는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로서, 하우징(202)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동력전달부(420)는 지지대(203)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기어박스(421)와,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일단은 구동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기어박스(421) 내에 회전가능하게 인입된 제1회전축(431)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회전축(431)의 타단 하측의 기어박스(42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전축(432)와, 제1 및 제2회전축(431,432) 사이에 설치되며, 제1회전축(431)의 회전력을 제2회전축(432)으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430)와, 제2회전축(432)과 각 절삭날들 사이에 설치되어 제2회전축(432)의 회전력을 각 절삭날들에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440)를 구비한다.
기어박스(421)는 제1회전축(431)의 타단 및 제2회전축(432)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본체(422)와, 본체(422)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된 덮개(423)를 구비한다. 이때, 제2회전축(432)은 하단부에 후술되는 제2전달부재(440)의 구동스프로킷(441)이 설치될 수 있도록 본체(422)의 하면에 관통되게 설치된다.
본체(422)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덮개(423)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제1플랜지부재(424)가 하단부에 형성된다. 덮개(423)는 제2회전축(432)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스프로킷(44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절삭날에 대향되는 측면에는 제2전달부재(440)가 관통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423)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본체(422)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된 제2플랜지부재가 상단부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플랜지부재의 관통공에 관통되게 삽입된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본체(422)의 하측에 덮개(423)를 고정시킨다.
제1전달부재(430)는 상기 제1회전축(431)의 타단에 체결된 제1베벨기어(433)와, 상기 제1베벨기어(433)와 치합되며, 상기 제2회전축(432)의 상단에 체결된 제2베벨기어(434)를 구비한다.
제2전달부재(440)는 제2회전축(432)의 타단에 체결된 구동스프로킷(441)과, 절삭날들의 회전축에 각각 체결된 피동스프로킷(미도시)과, 구동스프로킷과 피동스프로킷 사이에 설치된 전달체인(미도시)을 구비한다. 전달체인은 기어박스(421)의 관통구를 통해 피동스프로킷에 연결된다.
구동부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제1회전축(431)에 전달되고, 제1회전축(431)의 회전력은 제1전달부재(430)를 통해 제2회전축(432)으로 전달된다. 제2회전축(432)은 제2전달부재(440)를 통해 각 절삭날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절삭날을 회전시킨다.
완충유닛(500)은 기어박스(421) 하방에 위치하며, 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스키드바(510)와, 스키드바(510)와 기어박스(421) 사이에 설치되어 스키드바(5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20)와, 스키드바(510)가 기어박스(42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530)을 구비한다.
스키드바(510)는 예초부(300)의 예초 진행방향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스키드바(510)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스키드바(510)는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전단부가 지면의 요철에 걸리거나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 파손 및 결함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키드바(510)는 기어박스(421)에 대향되는 상면에 탄성부재(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돌기(5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52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을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돌기(511)가 삽입되어 스키드바(510)에 고정되며, 상단부는 삽입돌기(511)에 대향되는 기어박스(421)의 덮개(423) 하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탄성부재(520)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탄성부재(520)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2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유닛(530)은 스키드바(510)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534)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판(531)과, 슬라이딩판(531)들에 각각 대향되는 본체(422)의 제1플랜지부재(424)의 전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3플랜지부재(532)들과, 상기 제3플랜지부재(532)들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딩홈(534)에 삽입되는 삽입부재(533)들을 구비한다.
슬라이딩판(53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덮개(423)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스키드바(5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슬라이딩판(531)은 상단부가 제1플랜지부재(424)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520)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플랜지부재(532)는 제1플랜지부재(424)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라이딩판(531)의 슬라이딩홈(534)에 대향되는 위치에 삽입부재(533)가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구(535)가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3플랜지부재(532)가 본체(422)의 제1플랜지부재(424)에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3플랜지부재(532)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덮개(423)의 제2플랜지부재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삽입부재(533)는 제3플랜지부재(532)의 관통구(535)와 슬라이딩판(531)의 슬라이딩홈(534)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볼트를 제3플랜지부재(532)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너트와, 제3플랜지부재(532)의 관통구(535)와 슬라이딩판(531)의 슬라이딩홈(534)에 관통된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볼트가 슬라이딩홈(5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고정너트를 구비한다.
고정볼트는 제1 및 제2너트(535,536)가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538)와, 나사부(538)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3플랜지부재(532)의 관통구(535)보다 큰 단면을 갖는 헤드부(537)를 구비한다. 또한, 제2너트(536)는 슬라이딩홈(534)의 폭보다 더 큰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플랜지부재(532)의 관통구(535)에 고정볼트의 나사부(538)를 관통되게 삽입하고, 나사부(538)에 제1너트(535)를 체결하여 고정볼트를 제3플랜지부재(532)에 고정시킨다. 고정된 고정볼트의 나사부(538)를 슬라이딩판(531)의 슬라이딩홈(534)에 관통되게 삽입시키고, 단부에 제2너트(536)를 체결하여 고정볼트의 단부가 슬라이딩홈(5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완충유닛(500)의 기어박스(421)의 하측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완충유닛(50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200)의 하우징(202) 또는 절삭날 외측의 지지부재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완충유닛(500)은 기어박스(421) 하측에 설치되어 지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 및 충격 전달을 완화되어 프레임(200) 및 구동유닛(400)의 파손 및 결함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본 발명의 모우어(100)는 프레임(200)을 농기계로부터 지면 방향으로 회동시켜 절삭날을 작업위치에 위치시킬 때, 완충유닛(500)이 지면과 구동유닛(400) 사이에 완충역할을 하여 프레임(200) 및 구동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우어
200: 프레임
300: 예초부
400: 구동유닛
500: 완충유닛
510: 스키드바
520: 탄성부재
530: 가이드유닛
531: 슬라이딩판
533: 삽입부재

Claims (5)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절단하는 다수의 절삭날이 마련된 예초부와;
    상기 절삭날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절삭날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상기 동력전달부에 지지되며,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예초부의 예초작업시 상기 구동부로의 충격 전달을 감소시키는 완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기어박스와,
    상기 구동부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기어박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인입된 제1회전축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회전축의 타단 하측의 상기 기어박스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와,
    상기 제2회전축과 절삭날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절삭날들에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제1회전축의 타단 및 제2회전축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하면을 관통하게 설치된 상기 제2회전축 및 제2전달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유닛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예초부의 예초 진행방향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스키드바와,
    상기 스키드바와 기어박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박스에 대해 상기 스키드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스키드바가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기어박스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상기 스키드바 상면에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본체와 덮개의 접촉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소정길이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기어박스에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딩판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볼트와, 상기 슬라이딩홈에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폭보다 더 큰 단면을 갖는 고정너트가 마련된 삽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바는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어.
KR1020120035412A 2012-04-05 2012-04-05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KR10137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12A KR101373317B1 (ko) 2012-04-05 2012-04-05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12A KR101373317B1 (ko) 2012-04-05 2012-04-05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97A KR20130113097A (ko) 2013-10-15
KR101373317B1 true KR101373317B1 (ko) 2014-03-26

Family

ID=4963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412A KR101373317B1 (ko) 2012-04-05 2012-04-05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3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132A (en) 1975-10-23 1978-06-13 Clayson N.V. Mower-conditioner
JPH10210837A (ja) * 1997-01-29 1998-08-11 Hokkaido Kaihatsukyoku Kensetsu Kikai Kousakushiyochiyou 遊星型草刈装置
JPH10229719A (ja) * 1997-02-14 1998-09-02 Kuhn Sa 切断機構と支持構造体との間の振動の伝導を完全または部分的に防止する装置を有する草刈り機
KR200453320Y1 (ko) * 2010-12-15 2011-04-20 박재경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132A (en) 1975-10-23 1978-06-13 Clayson N.V. Mower-conditioner
JPH10210837A (ja) * 1997-01-29 1998-08-11 Hokkaido Kaihatsukyoku Kensetsu Kikai Kousakushiyochiyou 遊星型草刈装置
JPH10229719A (ja) * 1997-02-14 1998-09-02 Kuhn Sa 切断機構と支持構造体との間の振動の伝導を完全または部分的に防止する装置を有する草刈り機
KR200453320Y1 (ko) * 2010-12-15 2011-04-20 박재경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097A (ko)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707B1 (en) Balanced reciprocating, brush cutting, mower attachment
US4244163A (en) Device for reducing the width of windrows formed by a mower
KR101373317B1 (ko)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WO2019051572A1 (pt) Rolo e conjunto de rolos para uma máquina de colher, máquina de colher e plataforma de colheita
US10412885B2 (en) Rotary cutterbar module end cap
US10412884B2 (en) Cutterbar module structure
US10398079B2 (en) Disk guard support
KR101362432B1 (ko) 개폐커버를 구비한 모우어 컨디셔너
KR101343643B1 (ko) 잔디 채취기
EP2533624B1 (en) Header of a harvester
US10412883B2 (en) Joint for rotary cutterbar
US10412886B2 (en) Debris diverter for rotary cutterbar
JP6918336B2 (ja) 草刈り機
KR200432380Y1 (ko) 예초기용 칼날
KR200174581Y1 (ko) 제초기용 칼날설치 구조
KR101341167B1 (ko) 모우어의 작물세움장치
CN201022273Y (zh) 旋转式狼针草除芒机
KR200253187Y1 (ko) 농기계용 예취기
CN216218821U (zh) 一种atv前置割草机
US3485021A (en) Protective device for rotary cutters
JPS6313987Y2 (ko)
JP3836870B1 (ja) 農作業機
JP2012175906A (ja) 草刈り作業機
KR20170041110A (ko) 이동성이 증대된 예초기
CN105248036A (zh) 一种多功能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