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211B1 - Sowing machine - Google Patents

So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211B1
KR101373211B1 KR1020130099444A KR20130099444A KR101373211B1 KR 101373211 B1 KR101373211 B1 KR 101373211B1 KR 1020130099444 A KR1020130099444 A KR 1020130099444A KR 20130099444 A KR20130099444 A KR 20130099444A KR 101373211 B1 KR101373211 B1 KR 101373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handle
small
pair
small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청노
Original Assignee
윤청노
홍천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청노, 홍천군 filed Critical 윤청노
Priority to KR102013009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2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2Spades; Shov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wing machine which comprises the following: first and second handles installed to be separated and approached to each other using an elastic supporting bar; a pair of spades opening and closing by the location of the handles by being combined to each lower side of the handles, and inserting the seeds underground; and a large scale seed injection unit installed in between the handles to supply the seeds to the spades.

Description

파종기{SOWING MACHINE}Planter {SOW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간단한 구조로 서로 다른 크기의 씨앗을 선택적으로 파종할 수 있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er capable of selectively planting seeds of different sizes with a simple structure.

농번기철이 되면 밭에서는 콩, 감자, 옥수수 등 다양한 씨앗을 파종하게 된다. 이 때, 밭의 크기가 큰 경우 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을 하게 되나, 적은 면적의 밭의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파종을 하게 된다. When the farming season arrives, the fields are sowing various seeds such as beans, potatoes and corn. 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field is large, sowing is done using a seeding machine, but in the case of a small area of the field, the user directly sows.

파종기는 공개특허 제2012-0100200호 "종자를 등간격으로 파종 가능하게 하는 파종기"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 파종기는 모터와 같은 구동력을 이용해 사용하게 되므로 가격이 고가이고 사용방법이 복잡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Planters have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100200, "Sowing machine which enables the seed sowing at equal intervals." Conventional planters are used using the same driving force as the motor, so the price is expensive and the method of use is complicated and thus is not widely used.

한편, 수작업으로 파종을 하기 위해서는 호미나 삽을 이용해 밭에 홈을 파고 거기에 씨앗을 삽입한 후 흙을 매꾸는 방식이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이에 파종작업은 사용자에게 엄청난 육체적 피로감을 제공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w by hand, digging a groove in the field using a homina or shovel, inserting seeds there and then replenishing the soil is repeated. The seeding work thus provides a great physical fatigue to the user.

특히, 호미를 이용해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며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장시간 작업시 허리와 어깨 등에 무리를 주게 된다.
In particular, because the hoe moves while sitting in a sitting state, it will give a back to the shoulders and shoulders when working for a long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체적 피로를 최소화하면서 수작업으로 씨앗을 파종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planter having a simple structure that can seed seeds manually by minimizing physical fatigu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자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씨앗 외에 옥수수와 같이 크기가 작은 씨앗도 선택적으로 파종할 수 있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eding plant capable of selectively sowing seeds, such as corn, in addition to seeds of a relatively large siz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번에 파종되는 씨앗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er that can control the amount of seeds sown at one tim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파종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기는, 탄성지지바에 의해 서로 이격 또는 접근 가능하게 배치된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패쇄되며 씨앗을 지면에 삽입하는 한 쌍의 삽과;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삽으로 상기 씨앗을 공급하는 대형씨앗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planter. The seed dri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handle and a second hand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or accessible from each other by an elastic support bar; A pair of shovels respective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handles, the pair of shovels being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andles and inserting seeds into the grou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andl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rge seed input unit for supplying the seed with the pair of shove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손잡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삽으로 크기가 작은 소형씨앗을 공급하는 소형씨앗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mall seed input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and for supplying small seeds with a pair of shove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형씨앗투입부는, 상기 제2손잡이에 결합되며 소형씨앗이 내부에 수용되는 소형씨앗저장부와; 상기 소형씨앗저장부와 상기 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소형씨앗을 일정량씩 상기 삽으로 공급하는 씨앗수용공이 형성된 소형씨앗배출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2손잡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형씨앗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소형씨앗배출부를 회전시켜 소형씨앗이 상기 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손잡이연동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ll seed input unit, the small seed storage unit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nd the small seed is accommodated therein; A small seed discharg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small seed storage part and the shovel and having a seed receiving hole for supplying the small seed to the shovel by a predetermined amount;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mall seed discharging portion handle interlock drive unit for rotating the small seed discharg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andles so that the small seed is discharged to the shovel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연동구동부는,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절첩 및 회동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ndle linkag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that is fold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형씨앗배출부는, 상기 손잡이연동구동부에 의해 회동되며 일측에 상기 소형씨앗이 일정량 수용되는 씨앗배출공이 일정크기 형성된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씨앗배출공의 입구크기를 조절하는 수용공조절부재와; 상기 수용공조절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부재고정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mall seed discharge unit, the rotating housing is rotated by the handle interlocking drive unit and the seed discharge hol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ize to accommodate a certain amount of the small seed on one side; A receiving hole adjust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housing to adjust an inlet size of the seed discharge hole; It includes a control member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hole control member.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력 없이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를 가압하고 해제하는 동작에 의해 파종삽이 땅을 파고 씨앗을 매립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립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손잡이를 가압하고 씨앗을 공급하는 과정만 하면 되므로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The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the operation of the seeding shovel digging the ground and embedding the seeds by the user presses and releases a pair of handles without a separate driving force such as a motor. Therefore, the user can move sequentially while standing up, pressurizing the handle and only needing to supply the seed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또한, 크기가 작은 소형씨앗을 공급하는 소형씨앗투입부가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종하고자 하는 씨앗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대형씨앗투입부와 소형씨앗투입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손잡이의 가압동작으로 파종이 진행되므로 사용이 간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small seed input unit for supplying a small seed with a small size can be selectively used a large seed input unit and a small seed input un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ed to be sown by the user. In this case as well, the seeding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handle may be easy to use.

더욱이 소형씨앗의 경우 사용자가 씨앗을 공급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일정량씩 파종삽으로 공급되므로 사용자의 작업량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Moreover, in the case of small seeds, the user's workload can be further reduced because the seed is automatically supplied with a seeding shovel at a predetermined amount without the user having to supply the seed.

또한, 소형씨앗의 1회 공급량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파종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e-time supply of small seeds can be easily adjust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when sowing.

또한, 씨앗뿐만 아니라 고추모종, 옥수수모종과 같이 모종의 형태도 파종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well as seeds can be sown seedlings, such as pepper seedlings, corn seedling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를 이용해 대형씨앗을 파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소형씨앗투입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소형씨앗투입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소형씨앗투입부의 씨앗투입량 조절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sowing large seeds using a pla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a small seed input portion of the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mall seed input unit of the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ed input amount adjustment process of the small seed input portion of the pla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파종기(1)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lanter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는 별도의 구동력 없이 수작업에 의해 씨앗을 지면에 매립하여 파종한다. 이를 위해 파종기(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가압손잡이(100)와, 가압손잡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땅을 파고 씨앗을 땅으로 공급하는 파종삽(200)과, 가압손잡이(100)에 결합되어 파종삽(200)으로 씨압을 공급하는 대형씨앗투입부(300)와, 가압손잡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소형씨앗을 파종삽(200)으로 공급하는 소형씨앗투입부(40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plant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nted by embedding the seeds in the ground by manual work without a separate driving force. To this end, the planter 1 is a pressure knob 100 that the user grips by hand, a seeding shovel 200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knob 100 to dig the ground and supplies seeds to the ground, and the pressure knob 100 Large seed input unit 300 is coupled to the seed sowing 200 to supply seed pressure, and a small seed input unit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ressure knob 100 to supply the small seed to the seeding shovel 200 ).

가압손잡이(100)는 하부는 한 쌍의 삽(210,220)에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힘을 인가한다. 가압손잡이(10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호 이격 또는 접근 되는 제1손잡이(110) 및 제2손잡이(120)와,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를 서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바(130)를 포함한다. The pressing knob 100 is coupled to a pair of shovels 210 and 220, respectively, and the user grips by hand to apply force. The pressing handle 100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and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to be spaced apart or approached by the user's pressure.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bar 130.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는 각각 하부영역이 제1삽(210)과 제2삽(220)에 고정되고, 상부는 자유단의 상태로 배치된다. 탄성지지바(130)는 양단이 각각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에 결합된다. 탄성지지바(130)는 토션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되어 한 쌍의 손잡이(110,120)가 이격된 상태,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삽(200)이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 A lower region of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is fixed to the first shovel 210 and the second shovel 220, respectively, and an upper end thereof is disposed in a free end state. Both ends of the elastic support bar 130 are coupled to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respectively. The elastic support bar 1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to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that is, the seeding insert 200 is closed as shown in FIG. 2.

이 때, 각 손잡이(111,120)의 상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절곡된 절곡바(117)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손으로 절곡바(117)를 잡은 상태로 힘을 인가하기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each handle (111,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ending bar 117 bent to facilitate the user gripping. As a result, it may be easier for the user to apply the force while holding the bending bar 117 by hand.

사용자가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를 내측으로 가압하면, 한 쌍의 손잡이(110,120)의 상부영역은 서로 접근하고, 상대적으로 하부영역은 이격되게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삽(210,220)이 개방되고 삽(210,220) 내부의 씨앗(S)이 지면으로 공급되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inwardly, the upper regions of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approach each other, and the force acts to relatively space the lower regions. Accordingly, a pair of shovels 210 and 220 are opened and the seeds S inside the shovels 210 and 220 are supplied to the ground.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호퍼결합고리(111,121)와 링크결합고리(113)가 각각 배치된다. 호퍼결합고리(111,121)에는 대형씨앗투입부(300)가 고정되고, 링크결합고리(113)에는 손잡이연동구동부(430)의 제1링크(431)가 결합된다.
Hopper coupling rings 111 and 121 and link coupling rings 113 are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110 and 120, respectively. The large seed input part 300 is fixed to the hopper coupling rings 111 and 121, and the first link 431 of the handle linkage driving part 430 is coupled to the link coupling ring 113.

파종삽(200)은 가압손잡이(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파종삽(200)은 제1손잡이(110)에 결합되는 제1삽(210)과, 제2손잡이(120)에 결합되는 제2삽(220)과, 제1삽(210)과 제2삽(220)이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결합축(230)을 포함한다. Seeding shovel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ing knob (100). The seeding shovel 200 includes a first shovel 210 coupled to the first handle 110, a second shovel 220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120, a first shovel 210 and a second shovel. It includes a coupling shaft 230 for supporting the 220 to rotate.

제1삽(210)과 제2손잡이(120)는 가압손잡이(100)의 가압여부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닫혀진 상태이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회동된다. 제1삽(210)과 제2삽(220)은 땅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가 날카롭게 형성된다. The first shovel 210 and the second handle 120 ar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is closed as shown in FIG. 2 or the lower part is opened as shown in FIG. 3 depending on whether the pressure knob 100 is pressed. do. The first shovel 210 and the second shovel 220 are sharply formed in the lower part so that the first shovel 210 and the second shovel 220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결합축(230)은 제1삽(210)과 제2삽(220)이 한 쌍의 손잡이(110,120)의 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지지한다.
The coupling shaft 230 supports the first insert 210 and the second insert 220 to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대형씨앗투입부(300)는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 사이에 배치되어 씨앗(S)이 파종삽(20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대형씨앗투입부(300)는 하부에 배출구(320)가 형성된 투입주머니(310)의 형태로 구비된다. 투입주머니(310)는 양측이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120)의 호퍼결합고리(111,121)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The large seed input unit 30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to guide the seed S to be supplied to the seeding shovel 200. Large seed input portion 3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jection bag 310 is formed with an outlet 320 in the lower portion. Both sides of the input bag 310 are coupled to the hopper coupling rings 111 and 121 of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handle 120 to fix a position.

사용자는 대형씨앗투입부(300)로 일정량의 씨앗(S)을 투입하고, 씨앗(S)이 배출구(320)를 통해 파종삽(200)으로 공급되면, 가압손잡이(100)를 가압하게 된다. 대형씨앗투입부(300)는 사용자가 서서 작업을 하게 될 때 허리를 구부려 파종삽(200)으로 직접 씨앗(S)을 공급하는 체력적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즉, 기립된 상태로 대형씨앗투입부(300)로 씨앗을 공급하면 투입주머니(310)를 따라 안내되어 파종삽(200)으로 이동되게 된다. The user inputs a certain amount of seeds S into the large seed input unit 300, and when the seeds S are supplied to the seeding shovel 2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320, the pressure knob 100 is pressurized. Large seed input unit 300 may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supplying the seed (S) directly to the seeding shovel 200 by bending the waist when the user is standing. That is, when the seed is supplied to the large seed input unit 300 in a standing state, the seed is guided along the input bag 310 and moved to the seeding shovel 200.

이 때, 투입주머니(310)의 배출구(320)는 파종삽(200)의 바로 위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씨앗(S)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320 of the input bag 310 is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seeding insert 200 can prevent the external separation of the seed (S).

여기서, 투입주머니(310)를 통해 씨앗 뿐만 아니라 고추 모종이나 옥수수 모종과 같은 모종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종할 작물의 종류에 따라 씨앗 또는 모종을 선택적으로 투입주머니(310)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Here, the seedlings, such as pepper seedlings or corn seedlings can be supplied through the bag 310. Accordingly, the user may selectively supply seeds or seedlings through the input bag 310 according to the type of crop to be sown.

소형씨앗투입부(400)는 제2손잡이(120)에 결합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씨앗을 파종삽(200)으로 일정량씩 공급한다. 앞서 설명한 대형씨앗투입부(300)는 사용자가 직접 일정량의 씨앗을 공급해줘야 하나 소형씨앗투입부(400)는 많은 량의 소형씨앗을 한꺼번에 저장하고, 자동으로 일정량이 파종삽(200)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작업량이 줄어들게 된다. The small seed input unit 400 is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120 to supply a seed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to the seeding shovel 200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large seed input unit 300 described above should provide the user with a certain amount of seeds directly, but the small seed input unit 400 stores a large amount of small seeds at once and automatically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to the seeding shovel 200. Controlled. This reduces the workload of the user.

소형씨앗투입부(400)는 소형씨앗(S2)이 내부에 저장되는 소형씨앗저장부(410)와, 소형씨앗(S2)을 파종삽(200)으로 공급하는 소형씨앗배출부(420)와, 가압손잡이(1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소형씨앗배출부(4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연동구동부(430)를 포함한다. The small seed input unit 400 is a small seed storage unit 410 in which the small seed S2 is stored therein, and a small seed discharge unit 420 for supplying the small seed S2 to the seeding shovel 200, And a handle interlocking driving part 430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small seed discharging part 420 depending on whether the pressing handle 100 is pressurized.

소형씨앗저장부(410)는 내부에 소형씨앗(S2)이 수용되는 저장본체(411)와, 저장본체(4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소형씨앗배출부(420)로 소형씨앗(S2)을 공급하는 배출부연결관(413)을 포함한다. 저장본체(411)는 원통형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형씨앗(S2)이 수용된다. 저장본체(411)의 상부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씨앗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small seed storage unit 41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main body 411 that accommodates the small seed (S2)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main body 411 to supply the small seed (S2) to the small seed discharging unit 420. It includes an outlet connection pipe 413. The storage body 4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housing shape to accommodate the small seed (S2)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411 is provided with a cover to block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and to prevent seed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출부연결관(413)은 저장본체(411)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장형성된다. 배출부연결관(413)의 내부로 소형씨앗배출부(420)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배출부연결관(413)의 하부는 개방형성된다. 이에 의해 배출부연결관(413)을 통해 소형씨앗배출부(420)로 씨앗이 공급된다. The outlet connection pipe 413 is extend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body 411. The small seed discharge part 420 is rotatably received into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connection pipe 413 is open. Thereby, the seed is supplied to the small seed discharging part 420 through the discharging part connecting pipe 413.

저장본체(411)는 본체지지프레임(415)에 의해 제2손잡이(120)에 위치가 고정된다. 배출부연결관(413)도 제2손잡이(120)에 고정된다. The storage body 411 is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handle 120 by the body support frame 415.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is also fixed to the second handle (120).

여기서, 배출부연결관(413)의 하부에는 브러쉬(417)가 배치된다. 브러쉬(417)은 소형씨앗배출부(420)로 배출되는 소형씨앗의 표면을 접촉하며 씨앗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씨앗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Here, the brush 417 is disposed below the outlet connecting pipe 413. The brush 417 contacts the surface of the small seed discharged to the small seed discharging part 420 and prevents the seed from being damaged. It also removes foreign material from the seed surface.

도 4는 소형씨앗배출부(42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씨앗배출부(420)는 배출부연결관(41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하우징(421)과, 회전하우징(421)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커버(425)와, 회전하우징(421)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공조절부재(426)와, 수용공조절부재(426)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연결고리(427)와, 수용공조절부재(426)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부재고정부재(428)를 포함한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small seed discharging unit 420. As shown, the small seed discharging part 420 may include a rotary housing 421 rotat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connector tube 413, a side cover 425 coupled to a side of the rotary housing 421,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ment member 426 accommodated inside the rotating housing 421, the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ring 427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ment member 426, and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ment member 426 It includes an adjusting member fixing member 428.

회전하우징(421)은 배출부연결관(413)에 회전축(4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하우징(421)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일정각도로 씨앗배출공(423)이 형성된다. The rotating housing 4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let connecting pipe 413 by the rotation shaft 437. Rotating housing 4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c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eed discharge hole 42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연결관(413)으로부터 공급된 소형씨앗(S2)이 씨앗배출공(423)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씨앗배출공(423)의 체적만큼 소형씨앗(S2)이 회전하우징(421) 내부에 수용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우징(421)의 회전에 의해 소형씨앗(S2)이 파종삽(200)으로 공급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small seed S2 supplied from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is discharged to the seed discharge hole 423. Accordingly, the small seeds S2 are accommodated inside the rotating housing 421 by the volume of the seed discharge hole 423, and the small seeds S2 are seed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housing 421 as shown in FIG. 6. The shovel 200 is to be supplied.

이 때, 배출부연결관(413)의 길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삽(200)이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하우징(421)의 씨앗배출공(423)을 커버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출부연결관(413)의 단부가 회전하우징(421)의 접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씨앗배출공(423)을 커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배출부연결관(413)을 통해 소형씨앗(S2)이 회전하우징(421)으로 배출될 때는 씨앗배출공(423)을 커버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우징(421)이 회전하면 씨앗배출공(423)이 배출부연결관(413)의 하부로부터 벗어나며 개방되게 되므로 소형씨앗(S2)이 파종삽(200) 내부로 이동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is formed to cover the seed discharge hole 423 of the rotary housing 421 in the state that the seeding shovel 200 is open as shown in FIG. desirable. That is, the end of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is preferably formed extending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ry housing 421 to cover the seed discharge hole (423). As a result, when the small seed S2 is discharged into the rotary housing 421 through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the seed discharge hole 423 is covered, and the rotary housing 421 is rotat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seed discharge hole 423 is open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the small seed (S2) is moved into the seeding shovel (200).

회전하우징(421)의 내주면에는 수용공조절부재(426)가 수용되는 조절부재삽입홀(421a)이 형성된다. 조절부재삽입홀(421a)에 수용공조절부재(426)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housing 421 is formed with an adjustment member insertion hole 421a in which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ment member 426 is accommodated.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ment member 426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adjustment member insertion hole 421a.

회전하우징(421)의 외주면에는 수용공조절부재(426)와 결합되는 조절부재연결고리(427)가 이동되는 고리이동슬릿(421b)가 일정길이 형성된다. 조절부재연결고리(427)는 고리이동슬릿(421b)를 통해 수용공조절부재(426)의 고리결합공(426a)에 결합된다.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housing 421, a ring moving slit 421b to which the adjusting member connecting ring 427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ing member 426 is move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The adjusting member connecting ring 427 is coupled to the ring coupling hole 426a of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ing member 426 through the ring moving slit 421b.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조절부재연결고리(427)를 가압하여 수용공조절부재(42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수용공조절부재(426)를 회전시켜 씨앗배출공(42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ing member 426 by pressing the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ring 427 protruding to the outside. Rotating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ing member 426 can adjust the size of the seed discharge hole (423).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재연결고리(427)를 고리이동슬릿(421b)의 최하부에 배치시키면 소형씨앗배출부(420)의 입구크기가 가장 크게 유지된다. 이에 의해 씨앗배출공(423)으로 유입되는 소형씨앗의 양이 가장 많게 유지된다. 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부재연결고리(427)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용공조절부재(426)의 선단이 씨앗배출공(423)의 입구를 일부영역 커버하여 입구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씨앗배출공(423)으로 유입되는 소형씨앗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As shown in FIG. 7A, when the adjusting member connecting ring 427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ing moving slit 421b, the inlet size of the small seed discharging part 420 is maintained to be the largest. As a result, the amount of small seeds introduced into the seed discharge hole 423 is most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b) when the user moves the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ring 427 upwards, the tip of the receiving hole adjusting member 426 covers the inlet of the seed discharge hole 423 to cover a partial region The entrance size is reduced. Therefore, the amount of small seeds introduced into the seed discharge hole 423 is reduced.

이러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는 파종삽(200)으로 공급되는 소형씨앗(S2)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user can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small seed S2 supplied to the seeding shovel 200.

한편, 조절부재연결고리(427)를 이동시킨 후, 수용공조절부재(426)의 위치는 조절부재고정부재(428)를 이용해 고정한다. 조절부재고정부재(428)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게 형성된다. 조절부재고정부재(428)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수용공조절부재(426)가 회전되고, 조절부재고정부재(428)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수용공조절부재(426)를 접촉지지하여 수용공조절부재(426)의 위치가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moving the adjusting member connecting ring 427,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hole adjusting member 426 is fixed using the adjusting member fixing member 428. The adjusting member fixing member 428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by screwing. When the adjusting member fixing member 428 is moved upward, the receiving hole adjusting member 426 is rotated, and when the adjusting member fixing member 428 is moved downward, the receiving hole adjusting member 426 is supported to contact and adjust the receiving hole. The position of the member 426 is fixed.

손잡이연동구동부(430)는 한 쌍의 손잡이(110,120)의 위치에 연동하여 회전하우징(421)이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손잡이연동구동부(430)는 서로 절첩 및 회전되게 결합된 제1링크(431) 및 제2링크(433)를 포함한다. The handle interlocking drive unit 430 transmit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rotary housing 421 is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The handle linkage driving part 430 includes a first link 431 and a second link 433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folded and rotated.

제1링크(431)는 제1손잡이(110)에 일단이 결합되고, 제2링크(433)는 회전축(437)에 의해 회전하우징(421)에 결합된다. 제1링크(431)와 제2링크(433)는 연동축(435)에 의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431 is coupled to the first handle 110, and the second link 433 is coupled to the rotary housing 421 by the rotation shaft 437. The first link 431 and the second link 433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n interlocking shaft 435.

제1링크(431)와 제2링크(4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110,120)를 가압하면 연동축(435)이 하부로 이동되고 서로 접혀지게 된다. 이 때, 연동축(435)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2링크(433)가 이동되고, 제2링크(433)에 결합된 회전축(437)이 회전하면서 회전하우징(421)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first link 431 and the second link 433 are disposed in an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2, 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presses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the linkage shaft 435. ) Is moved downward and folded together. At this time, the second link 433 moves while the linkage shaft 435 moves downward, and the rotating housing 421 moves counterclockwise while the rotation shaft 437 coupled to the second link 433 rotates. Don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1)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seed dril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사용자는 파종기(1)를 이용해 파종할 씨앗의 크기를 고려하여 대형씨앗투입부(300)를 이용할지 소형씨앗투입부(400)를 이용할지 결정한다. The user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large seed input unit 300 or the small seed input unit 40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eed to be seeded using the seeding machine 1.

감자씨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씨앗을 파종할 경우 사용자는 기립한 상태에서 양손을 한 쌍의 손잡이(110,120)에 각각 배치한다. 그리고 씨앗을 파종할 위치에 파종삽(200)을 가압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삽(200)이 일정깊이 지면 하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대형씨앗투입부(300)로 씨앗(S)을 공급한다. 씨앗(S)은 투입주머니(310)를 타고 이동하여 파종삽(200) 내부에 위치한다. When seeding a relatively large seed, such as potato seeds, the user places both hands in a pair of handles 110 and 120 in an upright position. Then, by pressing the seeding shovel 200 in the position to seed the seed so that the seeding shovel 20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elow a certain depth as shown in FIG. In that state it supplies the seeds (S) to the large seed injection unit (300). Seed (S) is carried in the injection bag 310 is located in the seeding shovel (200).

한 쌍의 손잡이(110,120)를 내측으로 가압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210)과 제2삽(220)이 서로 결합축(230)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하부영역이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내부의 씨앗(S)이 지면(G)으로 공급되게 된다. When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are pressed inwards,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shovels 210 and 220 rotate about the coupling shaft 230 and open the lower region. . Then, the seed S inside is supplied to the ground (G).

사용자는 손잡이(110,1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압력을 해제하면 탄성지지바(13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손잡이(110,12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110,120)가 복귀되면서 한 쌍의 삽(210,220)도 오무라들게 되며 씨앗(S)이 위치한 상부 영역의 흙을 모아 씨앗(S)을 커버하게 된다.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force while moving the handles 110 and 120 upward,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bar 130. Then, as the handles 110 and 120 are returned, a pair of shovels 210 and 220 are also retracted to cover the seeds S by collecting soil in the upper region where the seeds S are located.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위치를 이동하며 씨앗(S)을 지면(G)에 파종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기립된 상태로 한 쌍의 손잡이(110,120)만 가압 또는 가압해지 하면 되므로 허리를 구부리지 않아 육체적인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 moves the position and sows the seeds S to the ground G. At this time, since the user only needs to press or press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in an upright state, the user may not bend the waist to minimize physical fatigue.

한편, 사용자가 콩이나 옥수수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씨앗을 파종하고자 할 경우, 소형씨앗저장부(410)에 소형씨앗(S2)을 저장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plant seeds of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beans or corn, and stores the small seeds (S2) in the small seed storage unit 410.

그리고, 한 쌍의 손잡이(110,120)를 가압하면 손잡이연동구동부(4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우징(421)이 회전하며 소형씨앗(S2)이 지면에 매립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120)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하우징(421)은 배출부연결관(413)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소형씨앗(S2)이 파종삽(200) 내부로 공급된다. When the pair of handles 110 and 120 are pressed, the rotating housing 421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interlocking drive 430 and the small seeds S2 are embedded in the ground.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rotating housing 421 rotates clockwise from the discharge connection pipe 413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s 110 and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supplied.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110,120)를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삽(200)이 개방되면서 소형씨앗(S2)이 지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손잡이연동구동부(43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우징(42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씨앗배출공(423)으로 소형씨앗(S2)이 공급되게 된다.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handle (110, 120), as shown in Figure 6, the seeding seed 200 is opened while the small seed (S2) is discharged to the ground. At the same time, the rotary housing 42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interlocking driving part 430, and the small seed S2 is supplied to the seed discharge hole 423.

여기서, 씨앗배출공(423)으로 공급되는 소형씨앗(S2)의 공급량은 고리이동슬릿(421b)을 따라 사용자가 조절부재연결고리(427)를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조절부재(426)를 회전시켜 씨앗배출공(423)의 입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소형씨앗(S2)의 1회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supply amount of the small seed (S2) supplied to the seed discharge hole 423 can be adjusted by the user to move the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ring 427 along the ring moving slit (421b). That is, as shown in FIG. 7,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seed discharge hole 423 by rotating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ing member 426, the one-time supply amount of the small seed S2 may be adjus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력 없이 사용자가 한 쌍의 손잡이를 가압하고 해제하는 동작에 의해 파종삽이 땅을 파고 씨앗을 매립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립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이동하며 손잡이를 가압하고 씨앗을 공급하는 과정만 하면 되므로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by the user to press and release a pair of handles without a separate driving force such as a motor so that the seeding shovel digging the ground and embedding the seeds. Therefore, the user can move sequentially while standing up, pressurizing the handle and only needing to supply the seed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또한, 크기가 작은 소형씨앗을 공급하는 소형씨앗투입부가 함께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종하고자 하는 씨앗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대형씨앗투입부와 소형씨앗투입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동일하게 손잡이의 가압동작으로 파종이 진행되므로 사용이 간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small seed input unit for supplying a small seed with a small size can be selectively used a large seed input unit and a small seed input uni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ed to be sown by the user. In this case as well, the seeding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handle can be used easily.

더욱이 소형씨앗의 경우 사용자가 씨앗을 공급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일정량씩 파종삽으로 공급되므로 사용자의 작업량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Moreover, in the case of small seeds, the user's workload can be further reduced because the seed is automatically supplied with a seeding shovel at a predetermined amount without the user having to supply the seed.

또한, 소형씨앗의 1회 공급량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파종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e-time supply of small seeds can be easily adjust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when sowing.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파종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Embodiments of the pla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파종기 100 : 가압손잡이
110 : 제1손잡이 111 : 호퍼결합고리
113 : 링크결합고리 120 : 제2손잡이
121 : 호퍼결합고리 123 : 소형씨앗지지프레임
130 : 탄성지지바 200 : 파종삽
210 : 제1삽 220 : 제2삽
230 : 결합축 300 : 대형씨앗투입부
310 : 투입주머니 320 : 배출구
400 : 소형씨앗투입부 410 : 소형씨앗저장부
411 : 저장본체 413 : 배출부연결관
415 : 본체지지프레임 420 : 소형씨앗배출부
421 : 회전하우징 421a : 조절부재삽입홀
421b : 고리이동슬릿 423 : 씨앗배출공
425 : 측면커버 425a : 회전축삽입공
426 : 수용공조절부재 426a : 고리결합공
427 : 조절부재연결고리 428 : 조절부재고정부재
430 : 손잡이연동구동부 431 : 제1링크
433 : 제2링크 435 : 연동축
437 : 회전축
1: planter 100: pressurized handle
110: first handle 111: hopper coupling ring
113: link coupling ring 120: the second handle
121: hopper coupling ring 123: small seed support frame
130: elastic support bar 200: seeding shovel
210: first shovel 220: second shovel
230: coupling shaft 300: large seed input portion
310: input bag 320: outlet
400: small seed input unit 410: small seed storage unit
411: storage body 413: discharge connector
415: main body support frame 420: small seed discharge part
421: rotating housing 421a: adjusting member insertion hole
421b: ring slit 423: seed discharge ball
425: side cover 425a: rotation shaft insertion hole
426: accommodation hole control member 426a: ring coupling hole
427: adjusting member connecting ring 428: adjusting member fixing member
430: handle linkage drive unit 431: the first link
433: second link 435: interlocking shaft
437: axis of rotation

Claims (5)

삭제delete 탄성지지바에 의해 서로 이격 또는 접근 가능하게 배치된 제1손잡이 및 제2손잡이와;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개방 또는 패쇄되며 씨앗을 지면에 삽입하는 한 쌍의 삽과;
상기 한 쌍의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삽으로 상기 씨앗을 공급하는 대형씨앗투입부와;
상기 제2손잡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삽으로 크기가 작은 소형씨앗을 공급하는 소형씨앗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A first handle and a second hand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or accessible from each other by an elastic support bar;
A pair of shovels respective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handles, the pair of shovels being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andles and inserting seeds into the ground;
A large seed inpu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andles and supplying the seed with the pair of shovels;
Combined to one side of the second handle and the seeding plant comprising a small seed input portion for supplying a small size of the small seed with the pair of shove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씨앗투입부는,
상기 제2손잡이에 결합되며 소형씨앗이 내부에 수용되는 소형씨앗저장부와;
상기 소형씨앗저장부와 상기 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소형씨앗을 일정량씩 상기 삽으로 공급하는 씨앗수용공이 형성된 소형씨앗배출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2손잡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소형씨앗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소형씨앗배출부를 회전시켜 소형씨앗이 상기 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손잡이연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mall seed input portion,
A small seed storage unit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and accommodated therein;
A small seed discharg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small seed storage part and the shovel and having a seed receiving hole for supplying the small seed to the shovel by a predetermined amount;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mall seed discharging portion handle interlock drive unit for rotating the small seed discharg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andles so that the small seed is discharged to the shovel Pla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연동구동부는,
상기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절첩 및 회동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handle interlocking drive unit,
And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which are fold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and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씨앗배출부는,
상기 손잡이연동구동부에 의해 회동되며 일측에 상기 소형씨앗이 일정량 수용되는 씨앗배출공이 일정크기 형성된 회전하우징과;
상기 회전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씨앗배출공의 입구크기를 조절하는 수용공조절부재와;
상기 수용공조절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절부재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mall seed discharge portion,
A rotating housing rotatably formed by the handle interlocking driving unit a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ize of a seed discharge hole at which one side of the small seed is accommodated;
A receiving hole adjusting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housing to adjust an inlet size of the seed discharge hole;
And a planting member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hole adjusting member.
KR1020130099444A 2013-08-22 2013-08-22 Sowing machine KR101373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44A KR101373211B1 (en) 2013-08-22 2013-08-22 Sow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444A KR101373211B1 (en) 2013-08-22 2013-08-22 Sow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211B1 true KR101373211B1 (en) 2014-03-12

Family

ID=5064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444A KR101373211B1 (en) 2013-08-22 2013-08-22 Sow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211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73Y1 (en) * 2015-11-02 2016-07-05 이배동 The seeding device
KR20160002578U (en) * 2015-01-15 2016-07-25 장병진 planter
KR20170093018A (en) 2016-02-04 2017-08-14 한재헌 Tractor seeding machine
KR20170099268A (en) 2016-02-23 2017-08-31 한재헌 Manual type seeding machine
KR20170003269U (en) 2016-03-11 2017-09-20 한재헌 Non-powered seeding machine
KR20170003409U (en) 2016-03-23 2017-10-11 한재헌 The circular plate is attached to the plow seeding machine
KR20170126749A (en) 2016-05-10 2017-11-20 한재헌 Peanut supply for seeding machine
KR101869462B1 (en) * 2018-02-28 2018-06-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eedling transplanta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849Y1 (en) * 2000-07-13 2000-12-15 이두희 Seedling transplanter
KR200434507Y1 (en) 2006-09-30 2006-12-21 최기봉 Transplantator for young plant of vegetables
KR20080004305U (en) * 2007-03-29 2008-10-02 최기봉 Multi-Breed Seeder and 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849Y1 (en) * 2000-07-13 2000-12-15 이두희 Seedling transplanter
KR200434507Y1 (en) 2006-09-30 2006-12-21 최기봉 Transplantator for young plant of vegetables
KR20080004305U (en) * 2007-03-29 2008-10-02 최기봉 Multi-Breed Seeder and 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78U (en) * 2015-01-15 2016-07-25 장병진 planter
KR200483389Y1 (en) 2015-01-15 2017-05-10 장병진 planter
KR200480773Y1 (en) * 2015-11-02 2016-07-05 이배동 The seeding device
KR20170093018A (en) 2016-02-04 2017-08-14 한재헌 Tractor seeding machine
KR20170099268A (en) 2016-02-23 2017-08-31 한재헌 Manual type seeding machine
KR20170003269U (en) 2016-03-11 2017-09-20 한재헌 Non-powered seeding machine
KR20170003409U (en) 2016-03-23 2017-10-11 한재헌 The circular plate is attached to the plow seeding machine
KR20170126749A (en) 2016-05-10 2017-11-20 한재헌 Peanut supply for seeding machine
KR101869462B1 (en) * 2018-02-28 2018-06-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Seedling transplant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211B1 (en) Sowing machine
KR100794259B1 (en) A seeder
KR102228840B1 (en) A seeding machine
KR20200005509A (en) Manual Seeder for Automatic Seeding
KR101881004B1 (en) Manual type seeding machine
KR20160097575A (en) planter
KR20150108726A (en) Seeding apparatus
KR200432384Y1 (en) handcart-type seeder
CN210202434U (en) Novel gardening seeder
CN108040548A (en) Quantitative seeder
CN211064111U (en) Seeder for corn planting
KR100571703B1 (en) A hand-operated seeding apparatus
KR200480773Y1 (en) The seeding device
CN207099638U (en) A kind of maize fine sowing fertilizer applicator
KR200346863Y1 (en) Seeding machine
KR20210103357A (en) Seed supply case for sowing
CN107836168B (en) Peanut planter
KR200309550Y1 (en) Seeding machine
KR200329334Y1 (en) A rice seed sowing machine
KR20100004697U (en) Seeder
KR101874614B1 (en) Pencil-type seed planter
KR20120000898U (en) A hand-operated seedingapparatus
CN108925180A (en) A kind of slotting hole seeding apparatus in the soft gardens ground of portable precision type
KR200360825Y1 (en) A sowing machine for a small seed
CN107711002B (en) Soybean s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