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614B1 - Pencil-type seed planter - Google Patents

Pencil-type seed 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614B1
KR101874614B1 KR1020160128977A KR20160128977A KR101874614B1 KR 101874614 B1 KR101874614 B1 KR 101874614B1 KR 1020160128977 A KR1020160128977 A KR 1020160128977A KR 20160128977 A KR20160128977 A KR 20160128977A KR 101874614 B1 KR101874614 B1 KR 10187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s
inner case
seed
lower por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8194A (en
Inventor
왕담희
김소연
류도상
박성환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14B1/en
Publication of KR2018003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또는 초소형의 씨앗을 작업자가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하고 남은 씨앗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슬형 씨앗 파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종부재에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씨앗의 토출 수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균일하게 씨앗을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씨앗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씨앗의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화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 자체가 간단하고 사용과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하여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소규모 재배농가에 널리 보급할 수 있어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type seed planter which enables a small or very small seed to be easily sowed without buried in the hands of a worker, to prov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seeds to be discharged is controlled by constituting the stopper on the seeding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seeds can be uniformly sown. In addition, seeds having the same size may be formed as one unit, and the seeds may be standardized by using a plurality of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of seed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In addition, the structure itself is simple, easy to use, portable and easy to use,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so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to small-scale cultivators, thereby contributing to income increase.

Description

펜슬형 씨앗 파종기{Pencil-type seed planter}{Pencil-type seed planter}

본 발명은 볼펜형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형 또는 초소형의 씨앗을 작업자가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하고 남은 씨앗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pen type seed dr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sized or small-sized seed drill capable of easily sowing a worker's hands without buried so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 type seed sowing machine.

일반적으로 무, 배추와 같은 채소, 혹은 콩, 옥수수, 팥, 메밀, 참깨, 좁쌀, 파 등과 같은 작물의 파종은 토양의 표층에 적당한 깊이의 파종공간을 형성하고, 파종공간에 적정 개수의 씨앗(종자)을 뿌린 후 토양을 덮어 파종공간을 메워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Generally, sowing of crops such as radish, Chinese cabbage, or crops such as soybean, corn, red bean, buckwheat, sesame, millet, and wave forms a suitable seeding space at the surface layer of the soil, and a proper number of seeds Seeds) and cover the soil to fill the sowing space.

이러한 파종 작업은 통상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사용한 수 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그런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Such sowing work is usually carried out by using an agricultural equipment such as a hummi, and so far, most farmers have used such a method.

그러나, 호미 등과 같은 농기구를 이용한 파종작업은 작업자가 구부려 앉은 자세에서 이동하면서 골을 판 후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씨앗을 뿌리고 다시 흙을 덮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시간이 경과 할수록 작업자의 무릎 관절과 허리에 무리가 가해져서 장시간 작업이 어렵고, 작업 능률도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owing work using an agricultural equipment such as a hummi requires the operator to repeat the process of covering the soil with the seeds sprinkled with the back bent after the golfer moves from the sitting position to the bent position. As time passes, the worker's knee joint and waist So that it is difficult to work for a long time and the work efficiency is low.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서도 균일한 파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종기가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1의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99582호 "다품종 파종기", 특허문헌 2의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93644호 "다품종 파종기"가 제안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proposed a seeding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a uniform seeding operation without bending the waist as described above.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9582 "Multi-variety seeder" of Patent Document 1, Patent No. 10-2007-0093644 entitled " Multi-variety seeder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다품종 파종기는 파종할 씨앗의 깨어짐 현상이 발생하며 파종하는 구멍이 흙으로 막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ulti-variety seeders, breakage of the seed to be sown is caused and the seeding hole is clogged with soil.

또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학습 효과, 정서적 안정 및 장식적인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관상용 화초를 파종시 상기와 같은 파종기는 크기가 너무 커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ornamental plants are sown in order to obtain learning effects, emotional stability and decorative effects in a home or off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owing machines are not so large in size.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관상용 화초를 파종시 손가락 등으로 흙을 파고 그 속에 씨앗을 파종하고 있다.
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when seeding the ornamental plant, the soil is sown with a finger or the like and the seed is sown therein.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관상용 화초의 씨앗은 소형 또는 초소형으로 크기가 너무 작아 꺼내 잡기 불편하고, 씨앗을 파종시 씨앗의 수량이 일정하게 파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seeds of the ornamental plants described above are small or very small in size, so that they are too inconvenient to take ou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eds can not be sown at a constant rate when sowing the seeds.

특허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99582호 "다품종 파종기"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9582 entitled " 특허문헌 2 :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93644호 "다품종 파종기"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93644 entitled "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소형 또는 초소형의 씨앗을 작업자가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하고 남은 씨앗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펜슬형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seeding small or very small seeds by allowing workers to sow seeds easily without putting soil on hand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encil-type seed sowing machine.

특히, 파종부재에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씨앗의 토출 수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균일하게 씨앗을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펜슬형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rticular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pencil-type seed sowing machine capable of uniformly sowing seeds because the number of seeds discharged is controlled by forming a stopper on the sowing member.

그리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씨앗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씨앗의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화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펜슬형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pencil seed seeder which can be standardized by constituting seeds having the same size as one unit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of seeds, .

또한, 구조 자체가 간단하고 사용과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하여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소규모 재배농가에 널리 보급할 수 있어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펜슬형 씨앗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tself is simple, simple to use, portable and easy to use, easy to use anyone, and cheap manufacturing cost,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to small-scale growers, so a new type of pencil seed seeder can contribute to increase income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중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20)와; 상기 외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되는 내부케이스(30)와;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케이스(30)를 하강 작동시키는 푸쉬 버튼(40)과;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구(50)와; 상기 내부케이스(30)와 지지구(5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 버튼(40)에 의해 하강된 상기 내부케이스(30)를 탄성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와;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씨앗(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71)을 가지며, 하부에 씨앗(100)이 토출되는 투출구(72)를 갖는 파종부재(70) 및; 상기 내부케이스(3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60)와 지지구(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 버튼(40)의 작동으로 상기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된 씨앗(100)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푸쉬부재(80)를 포함하여, 상기 푸쉬 버튼(40)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30)가 하강하면 상기 파종부재(70)의 토출구(72)를 통해 씨앗(100)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outer case made of a hollow tube; An inner case 30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20 to be vertically operated; A push button 4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projecting upward from the outer case 20 to lower the inner case 30; A support 5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An elastic member (60)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30) and the support (50) for lifting the inner case (30) lowered by the push button (40) with an elastic force; And has a receiving space 72 for accommodating the seed 100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72 through which the seed 100 is discharg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eeding member 70; The push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 support 50.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40 allows the accommodating space 71 And the discharge port 72 of the seeding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72 of the inner case 30 when the inner case 30 is lowered by the push button 40, And the seeds 100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ed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서 상기 파종부재(70)는 씨앗(100)의 토출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nci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ing member 70 includes a stopper 73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seed 10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서 상기 스토퍼(73)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 씨앗(100)이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홀(7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ncil seeding s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7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 through hole 731 is formed so that the seed 100 can pass through the cent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서 상기 파종부재(70)의 토출구(72)는 상기 스토퍼(73)의 관통홀(731)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nci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ort 72 of the seeding member 70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731 of the stopper 73.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서 상기 파종부재(70)는 동일한 크기(100)를 갖는 씨앗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씨앗(100)의 크기가 각각 다른 복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하되, 씨앗(100)의 크기가 다른 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nci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ing member 70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s each having a seed 100 having the same size (100) and having different sizes of the seeds 100, (100) ar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서 상기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되는 씨앗(100)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enci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s 1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71 of the seeding member 70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 의하면, 소형 또는 초소형의 씨앗을 작업자가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하고 남은 씨앗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nci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low small or very small seeds to be easily sowed without buried hands in the hands, Can be provided.

특히, 파종부재에 스토퍼를 구성함으로써 씨앗의 토출 수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균일하게 씨앗을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amount of seeds discharged is controlled by constituting the stopper on the seeding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seeds can be uniformly sown.

그리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씨앗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씨앗의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화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eeds having the same size may be formed as one unit, and the seeds may be standardized by using a plurality of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of seed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구조 자체가 간단하고 사용과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하여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소규모 재배농가에 널리 보급할 수 있어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tself is simple, easy to use, portable and easy to use,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so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to a small scale farmer, thereby contributing to income increa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의 작동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ncil seed s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encil seed s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ncil seed s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pencil seed s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S. 1 to 4,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 of specific elements and functions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10)는 중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20)와, 외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되는 내부케이스(30)와, 내부케이스(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케이스(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케이스(30)를 하강 작동시키는 푸쉬 버튼(40)과,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구(50)와, 내부케이스(30)와 지지구(50) 사이에 위치되고, 푸쉬 버튼(40)에 의해 하강된 내부케이스(30)를 탄성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와,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케이스(20)의 하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씨앗(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71)을 가지며, 하부에 씨앗(100)이 토출되는 투출구(72)를 갖는 파종부재(70) 및 내부케이스(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부재(60)와 지지구(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푸쉬 버튼(40)의 작동으로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된 씨앗(100)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푸쉬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4, a pencil seed seeder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ase 20 formed of a hollow tube, A push button 4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projecting upward from the outer case 20 to lower the inner case 30, And an inner case 30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30 and the support 50 and which is lowered by the push button 40 to lift the inner case 30 by an elastic force, And an elastic member 60 which is formed in a con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and has a receiving space 71 for receiving the seed 100 therein, The seeding member 70 having the outlet 7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earth (50), it comprises a push member 80, which to discharge the seeds 10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71 of the planting member 70 by operation of the push-button (40).

외부케이스(20)는 중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1)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 상에는 결합부(22)가 형성되어 파종부재(70)와 결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 결합되도록 결합부(22)를 구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uter case 20 is formed of a hollow tube and has an engagement protrusion 21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engaging portion 22 formed at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be engaged with the seeding member 7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22 is configured to be screwed, but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외부케이스(20)를 관체로 구성하였지만, 내부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 예로, 도심에서도 화초(식물)를 키우는 아이들에게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자연친화적인 나뭇잎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ase 20 is formed of a tubular body, but the inside may be hollow, and the outside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the city center, children who grow plants (plants) will be able to form a nature-friendly leaf shape so that they can feel nature.

내부케이스(30)는 외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관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개방된 상부의 내주면 상에는 푸쉬 버튼(40)이 결합되도록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진다.
The inner case 30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20 and is formed to be vertically operated. The inner case 30 is formed of a tube having an open top and a closed bottom. At this time, an engagement groove 31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ed upper part so that the push button 40 is engaged.

한편, 내부케이스(30)를 내부가 가득 찬 상태로 형성하지 않고, 관체로 형성하는 것은 무게를 가볍게 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case 3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out forming the inner case 30 in a filled state, the weigh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푸쉬 버튼(40)은 내부케이스(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케이스(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케이스(30)를 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서 내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와 돌출부(41)의 하부에 외부케이스(20)의 걸림턱(21)에 의해 걸리도록 형성되는 플랜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ush button 4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projects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ase 20 to lower the inner case 30. And a flange 42 formed to be caught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21 of the outer case 20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41. The protrusion 41 protrudes upward.

한편, 푸쉬 버튼(40)의 플랜지(42)의 하측은 내부케이스(3)의 결합홈(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결합구(43)가 형성되어 진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42 of the push button 40 is form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31 of the inner case 3 and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43 for coupling therewith.

지지구(50)는 외부케이스(2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억지끼움으로 고정하였지만, 나사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upport member 50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ase 20, 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50 is fixed by interference fit but may be screwed.

탄성부재(60)는 내부케이스(30)가 푸쉬 버튼(40)의 작동에 의해 하강하면 탄성력으로 내부케이스(30)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케이스(30)와 지지구(5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탄성부재(6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The elastic member 60 is for lifting the inner case 30 with an elastic force when the inner case 30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4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30 and the support 50 do.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6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spring.

파종부재(70)는 내부에 수용된 씨앗(100)을 파종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 파종부재(70)는 내부에 수용된 씨앗(100)을 동일한 크기별로 분류하여 동일한 크기를 갖는 씨앗(100)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크기가 다른 씨앗(100)으로 구성되는 유닛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이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The seeding member 70 is for seeding the seeds 100 accommodated therein and is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At this time, the seeding member 70 includes a plurality of seeds 100 each having the same size by dividing the seeds 100 housed therein into one unit, So that any one of the two is select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상술한 파종부재(70)는 하부가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씨앗(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71)을 가지며, 하부에 씨앗이 토출되는 토출구(72)를 갖고, 상부는 외부케이스(20)의 결합부(22)와 결합되도록 결합부(74)를 갖는다. 그리고, 수용공간(71)에는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씨앗(100)의 토출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3)가 구성되어 진다.
The seeding member 70 has a lower cone shape and has a receiving space 71 for receiving the seeds 100 therein. The seeding member 70 has a discharge port 72 through which seeds are discharged. 20 so as to engage with the engaging portion 22. The engaging portion 74 of the engaging portion 2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2. [ In the receiving space 71, a stopper 73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seed 10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스토퍼(73)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 수용공간(71)에 수용된 씨앗(100)이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홀(731)이 형성되어 진다.
The stopper 73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 through hole 731 is formed on the center side so that the seed 10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71 can pass through.

파종부재(70)의 토출구(72)는 스토퍼(73)의 관통홀(731)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는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한 씨앗(100)이 토출구(72)를 통해 용이하게 흙에 심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discharge port 72 of the seeding member 70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731 of the stopper 73. [ This is for the seed 10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731 of the stopper 73 to be easily planted in the soil through the discharge port 72.

한편,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되는 씨앗(1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하여 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어 진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는 깔때기(75)가 형성되고, 깔때기(75)의 상부에 동일한 크기의 씨앗(100)이 배치되고, 깔때기(75)를 통과하는 씨앗(1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The seeds 10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71 of the seeding member 70 are arranged in a line and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72 through the through hole 731 of the stopper 73. 3, the funnel 75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71 of the seeding member 70, the seed 100 of the same size is disposed on the funnel 75, The seeds 10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731 of the stopper 73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731 of the stopper 73.

푸쉬부재(80)는 내부케이스(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탄성부재(60)와 지지구(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푸쉬 버튼(40)의 작동으로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된 씨앗(100)을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케이스(30)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봉(81)과, 연결봉(81)의 하부에 결합되고,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푸쉬구(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ush member 8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 support 5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40 allows the accommodating space 70 A connecting rod 81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81 for discharging the seed 100 accommodated in the seeding chamber 71, And a push-in hole 82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ush-in hole 82.

한편, 푸쉬부재(80)는 내부케이스(30)의 폐쇄된 하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의 폐쇄된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ush member 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losed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may be screwed to the closed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에 의하면, 소형 또는 초소형의 씨앗(100)을 작업자가 손에 흙을 묻히지 않고,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하고, 파종하고 남은 씨앗(100)을 그대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ncil see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 or very small seeds 100 can be easily sown without the operator putting the soil on the hands, and the seeds 100 remaining after sowing can be stor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storage can be provided.

특히, 파종부재(70)에 스토퍼(73)를 구성함으로써 씨앗(100)의 토출 수량이 제어되기 때문에 균일하게 씨앗을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the stopper 73 is formed in the seeding member 70, so tha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seed 100 is controlled, and therefore the seed can be uniformly sown.

그리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씨앗(100)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씨앗(100)의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함으로써 규격화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seeds 100 having the same size can be formed as one unit, and the seeds 100 can be standardized by using a plurality of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provided.

또한, 구조 자체가 간단하고 사용과 휴대 및 관리가 간편하여 누구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소규모 재배농가에 널리 보급할 수 있어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tself is simple, easy to use, portable and easy to use, and can be easily used by anyon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so it can be widely distributed to a small scale farmer, thereby contributing to income increas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의 작동상태도로써 도 4를 참조하여 펜슬형 씨앗 파종기(1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콘 형상의 파종부재(70)를 씨앗을 심고자 하는 곳에 삽입하고, 푸쉬 버튼(4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내부케이스(30) 및 푸쉬부재(80)는 하강하면서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된 씨앗(100)을 하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씨앗(100)은 푸쉬부재(80)에 의해 하방향으로 밀려 낄때기(75)에서 일렬로 배치되어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하는 씨앗(100)은 하나씩 통과하게 되고,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한 씨앗(100)은 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어 진다. 이후, 탄성부재((60)의 탄성력으로 인해 내부케이스(30)는 상승하고, 이에 따라 푸쉬 버튼(40)도 상승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씨앗(100)을 하나씩 토출하도록 한다.
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pencil seed s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ng state of the pencil seed seeder 10 is described. The cone seeder 70 is seeded The inner case 30 and the push member 80 are lowered while pushing the seed 100 housed in the receiving space 71 of the seeding member 70 downward . The seeds 100 are arranged in a line in the unit 75 when they are pushed downward by the push member 80 and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731 of the stopper 73. [ The seed 10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731 of the stopper 73 passes one by one and the seed 10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731 of the stopper 7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72 . The inner case 30 is lift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60 so that the push button 40 also rises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씨앗 파종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encil seed seed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changes are possible.

10 : 펜슬형 씨앗 파종기
20 : 외부케이스 30 : 내부케이스
40 : 푸쉬 버튼 50 : 지지구
60 : 탄성부재 70 : 파종부재
71 : 수용공간 72 : 토출구
73 : 스토퍼 80 : 푸쉬부재
100 : 씨앗
10: Pencil seed sowing machine
20: outer case 30: inner case
40: push button 50:
60: elastic member 70: sowing member
71: accommodation space 72: outlet
73: stopper 80: push member
100: seed

Claims (6)

중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1)이 형성된 외부케이스(20)와;
상기 외부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관체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상부의 내주면 상에 결합홈(31)이 형성된 내부케이스(30)와;
상기 내부케이스(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케이스(30)를 하강 작동시키는 푸쉬 버튼(40)과;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구(50)와;
상기 내부케이스(30)와 지지구(5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푸쉬 버튼(40)에 의해 하강된 상기 내부케이스(30)를 탄성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0)와;
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씨앗(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71)을 가지며, 하부에 씨앗(100)이 토출되는 토출구(72)를 갖고, 상기 수용공간(71)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72)를 통해 토출되는 씨앗(100)의 토출 수량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73)를 갖는 파종부재(70) 및;
상기 내부케이스(3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60)와 지지구(5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쉬 버튼(40)의 작동으로 상기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에 수용된 씨앗(100)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푸쉬부재(80)를 포함하여,
상기 푸쉬 버튼(40)은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서 내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를 갖고, 상기 돌출부(41)의 하부에 상기 외부케이스(20)의 걸림턱(21)에 의해 걸리도록 형성되는 플랜지(4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42)의 하측에 상기 내부케이스(30)의 결합홈(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결합구(43)를 갖고,
상기 푸쉬부재(80)는 상기 내부케이스(30)의 하부와 결합되는 연결봉(81)을 갖고, 상기 연결봉(8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파종부재(70)의 수용공간(71)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푸쉬구(82)를 가지며,
상기 파종부재(70)의 스토퍼(73)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 씨앗(100)이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홀(731)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72)는 상기 스토퍼(73)의 관통홀(731)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71)에는 깔때기(75)가 형성되고, 상기 깔때기(75)를 통과하는 씨앗(1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73)의 관통홀(731)을 통과하고,
상기 푸쉬 버튼(40)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30)가 하강하면 상기 파종부재(70)의 토출구(72)를 통해 씨앗(100)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씨앗 파종기
An outer case 20 formed of a hollow tube body and having an engagement protrusion 21 formed on the upper side thereof;
An inner case 3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20 so as to be operated up and down and has an upper portion opened and a lower portion closed and a coupling groove 31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ed upper portion, Wow;
A push button 4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projecting upward from the outer case 20 to lower the inner case 30;
A support 5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An elastic member (60)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case (30) and the support (50) for lifting the inner case (30) lowered by the push button (40) with an elastic force;
And a discharge port 72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71 for receiving the seed 100 therein and discharging the seed 100 thereunder, A seeding member 70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71 and having a stopper 73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seed 100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72;
The push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is formed to penetrate the elastic member 60 and the support 50. The operation of the push button 40 allows the accommodating space 71 And a push member (80) for discharging the seed (100)
The push button 40 has a protrusion 41 inser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20 and protruding upward and the protrusion 41 protrudes upward from a lower end of the protrusion 41, The flange 42 has a flange 42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lange 42 and has a fitting hole 43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groove 31 of the inner case 30, Have,
The push member 80 has a connecting rod 81 to be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and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81.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space 71 of the seeding member 70 And has a push-in hole 8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ush-
The stopper 73 of the seeding member 70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and a through hole 731 is formed so that the seed 100 can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topper 73. The stopper 73 The funnel 75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71 and the seeds 100 passing through the funnel 75 are arranged in a line so that the stopper 73 The through hole 731 of the through hole 731,
Wherein when the inner case (30) is lowered by the pushbutton (40), the seeds (100)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72) of the seeding member (7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재(70)는 동일한 크기(100)를 갖는 씨앗을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씨앗(100)의 크기가 각각 다른 복수 개의 유닛으로 구성하되, 씨앗(100)의 크기가 다른 유닛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상기 외부케이스(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씨앗 파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eding member 7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s having different sizes of the seeds 100 and each of the seeds 100 having the same size 100 is formed as one unit, One of which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e (20).
삭제delete
KR1020160128977A 2016-10-06 2016-10-06 Pencil-type seed planter KR1018746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977A KR101874614B1 (en) 2016-10-06 2016-10-06 Pencil-type seed pla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977A KR101874614B1 (en) 2016-10-06 2016-10-06 Pencil-type seed pla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94A KR20180038194A (en) 2018-04-16
KR101874614B1 true KR101874614B1 (en) 2018-08-02

Family

ID=6208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977A KR101874614B1 (en) 2016-10-06 2016-10-06 Pencil-type seed pla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1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875A (en) * 2013-04-19 2014-11-13 孝一 森橋 Hand-held see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489B1 (en) * 1991-02-13 1992-10-17 김동호 Seeding machine
KR200399582Y1 (en) 2005-06-10 2005-10-27 최환철 A seeding machine for various seeds
KR20070093644A (en) 2006-03-14 2007-09-19 최기봉 Multi-breed sower
KR101239790B1 (en) * 2010-09-08 2013-03-06 한상준 Portable mini solid particles edu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9875A (en) * 2013-04-19 2014-11-13 孝一 森橋 Hand-held see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194A (en)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2467A (en) Manual sowing machine
KR102228840B1 (en) A seeding machine
US9795075B2 (en) Planting grid device
KR101874614B1 (en) Pencil-type seed planter
KR20160097575A (en) planter
KR20140142482A (en) Nursery seeder
KR102161879B1 (en) Portable Seeding Apparatus
KR102026779B1 (en) Potable seeder
KR20140002598U (en) Seeding machine
KR200428578Y1 (en) Seeder
CN104247600A (en) Row spacing adjustable hill planter
CN210202434U (en) Novel gardening seeder
CN206698896U (en) A kind of nursery seeding and seedling raising container
KR200480773Y1 (en) The seeding device
KR200427410Y1 (en) Cultivating apparatus for seeds
KR20130083870A (en) Observation kit of plant
KR20240023918A (en) Fertilizer supply device for planting seedlings
KR20200016618A (en) Seeding apparatus
CN220402334U (en) Vegetable seed disseminator
US774711A (en) Corn-planter.
CN108934317B (en) Hand-held type disseminator
KR200360825Y1 (en) A sowing machine for a small seed
CN207410731U (en) New hole tray on-demand device and the seeder using the device
CN209787810U (en) shovel hole seeder
KR200269328Y1 (en) Seeder for raise seedl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