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147B1 -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 Google Patents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147B1
KR101373147B1 KR1020120038112A KR20120038112A KR101373147B1 KR 101373147 B1 KR101373147 B1 KR 101373147B1 KR 1020120038112 A KR1020120038112 A KR 1020120038112A KR 20120038112 A KR20120038112 A KR 20120038112A KR 101373147 B1 KR101373147 B1 KR 10137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aterproof cover
air
filling
electromagnetic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631A (ko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정종대
이아름
진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대, 이아름, 진정숙 filed Critical 정종대
Priority to KR102012003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14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22Inflatable buoys with gas gener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8Jamming means, e.g. producing false ec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에 관한 것으로, 전자파가 통과하고, 방수기능을 가지며,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주입 및 배출동작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방수커버부(100)와;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에 고정 삽입되며, 레이더 전자파를 반사하는 전자파반사부(200)와;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과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외측을 걸어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고리부(210a, 201b)와;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내측에 공기 또는 액체가스를 외부에서 주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와; 상기 가스공급부(50)를 통해 주입된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배출조절부(60);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Sea Floating Type Anti-Missle Deception Reflector}
본 발명은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상에서의 적의 신형 유도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바닷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해상에 뜬 상태로 계류하여 작동되는 공기가 들어찬 풍선 형태를 갖는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 1(일본공개특허 제2002-0316693호)에 따른 레이다파 반사형 플로트가 서 있는 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0316693호는 수상 표류자용 피인지기구 레이다파 반사형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주입한 막대모양의 플로트의 내부에 레이더파를 반사하는 레이더반사재를 설치하고, 로프와 고정기구를 가지는 레이더파 반사형플로트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기술 2(일본공개특허 제2005-0082096호)에 따른 주머니 모양의 외측구조체(플로트,10)와 외측구조체에 설치된 공기주입구(11)와 전면에 금속층을 가지는 연질시트재(20a)로부터 되는 내부구조체(20) 및 로프(31)와 계지구(33)를 가지는 레이다파반사기구에 관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기술 3(한국등록특허 제 10-547,507호)에 따른 레이더전자파를 반사하는 리프렉팅부(20)와 리프렉팅부를 수납하는 외각발포체(30)를 가지는 레이더 리프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탄 기만체는 고가의 유도탄이 적으로부터의 직접적인 표적의 대상으로 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함정)에 탑재하여 해안에 투하하여 강한 반사파를 보내어 유도탄에 집중되는 공격을 회피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도탄 기만체는 크기가 대형으로, 통상 가로 2.4미터 세로 2.4미터의 제원으로 구성되며, 중량은 개당 160Kg에 달하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도탄 기만체를 선박주변에 투하하여 설치할 때는 6명 이상의 인력이 힘을 모아 선박 또는 유도탄이 설치된 인근 해양에 설치한다. 또한, 훈련시나 훈련 종료 후 회수하고자 할 때는 인력 20명 이상이 투입되어 힘을 모아 회수를 해야되어 과다한 인력의 낭비가 발생되고, 훈련의 효과를 반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유도탄 기만체는 그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구성하고 있어서, 회수시나 투하시 현측에 보관 및 취급이 어렵고, 작은 충격이나 부주의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이 쉽게 휘어지고 찌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유도탄 기만체로서의 기능성을 상실하고, 고가의 훈련장비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일단 유도탄 기만체로서의 기능성을 상실하였을 경우에는 추가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도탄 기만체는 부피가 매우 커서(약 6미터) 선박이나 함정에 탑재할 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공보 JP2002-0316693호, 발명의 명칭 "수상 표류자용 피인지기구 레이다파 반사형 플로트"
2. 일본 특허공개 공보 JP2005-82096호, 발명의 명칭 "레이다 반사파기구"
3.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547,507호, 발명의 명칭 "어업용 수동형 레이더 리플렉터"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훈련이나 실전 시 신속하게 해양에 투하하여 레이다의 탐지를 방해할 수 있는 반사파를 발생하고, 투하 및 회수시에 소요되는 인력의 낭비를 제거하기 위한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유도탄 기만체를 알루미늄등의 재질을 이용하지 않고, 저가로 제작하여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반사체로서의 기능에 충실한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탄 기만체의 크기를 획기적 줄여서 탑재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박의 운항에 여유를 갖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는, 전자파가 통과하고, 방수기능을 가지며,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주입 및 배출동작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방수커버부(100)와;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에 고정 삽입되며, 레이더 전자파를 반사하는 전자파반사부(200)와;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과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외측을 걸어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고리부(A, A' ~ L, L')와;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내측에 공기 또는 액체가스를 외부에서 주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와; 상기 가스공급부(50)를 통해 주입된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배출조절부(60);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달성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는, 레이다의 탐지로부터 선박 또는 비행체를 회피하기 위한 대유도탄 기만체로서, 내부에 전자파를 반사하기 위한 전자파반사부를 삽입한 방수커버부(400)와; 상기 방수커버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충진하여, 상기 전자파반사부와 방수커버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공급하여 충진하기 위한 가스충진부(440)와; 상기 가스충진부(4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충진된 가스를 개폐하기 위한 충진개폐구(410)와; 상기 방수커버부(400)의 내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충진개폐구(410)에 연결되고, 로프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충진개폐구(410)에 연장되는 상기 가스충진부(440) 내의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상기 전자파반사부와 방수커버부(400)를 충진하는 로프부(rope);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이나 실전 시 신속하게 해양에 투하하여 레이다의 탐지를 방해할 수 있는 반사파를 발생하고, 투하 및 회수시에 소요되는 인력의 낭비를 제거하기 위한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고가의 유도탄 기만체를 알루미늄등의 재질을 이용하지 않고, 저가로 제작하여 제조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고, 반사체로서의 기능에 충실한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유도탄 기만체의 크기를 획기적 줄여서 탑재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선박의 운항에 여유를 갖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또는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를 충진하여 공중이나 기타 공간에 띄움으로써 전자파탐지를 방해하고 회피할 수 있는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1에 의한 레이다파반사기구에 관한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 2에 의한 레이다파 반사형 플로트에 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 3에 의한 레이더 리플렉터에 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연결고리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이용하여 레이다의 탐지를 회피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유도탄 기만체의 자동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사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가스충진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부분 상세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유도탄 기만체를 보관하기 위해 수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연결고리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를 이용하여 레이다의 탐지를 회피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300)는, 전자파가 통과하고, 방수기능을 가지며,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주입 및 배출동작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는 방수커버부(100)와;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에 고정 삽입되며, 레이더 전자파를 반사하는 전자파반사부(200)와;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과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외측을 걸어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고리부(210a, 201b)와;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내측에 공기 또는 액체가스를 외부에서 주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와; 상기 가스공급부(50)를 통해 주입된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배출조절부(60);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부호 100은 방수커버부로, 적의 레이더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흡수시켜 통과하고, 해양에서 내부 삽입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수기능을 가지며,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주입 및 배출동작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한다. 즉, 풍선이나 애드벌룬의 형태로 팽창 및 수축하는 것이다. 그 재질은 방수 비닐 및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종래의 레이더기만체 보다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부호 200은 전자파반사부이며,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며, 레이더로부터 방사된 전자파를 반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파반사부(200)는 레이더(Radar)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반사할 수 있는 금속재질 또는 니켈재의 직물 및 합성섬유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자파반사부(200)는 다양한 방향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반사하기 위하여 적어도 4개 이상의 반사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12의 반사면(210A~210L)을 구성할 때 반사가 가장 활발하여, 적의 레이더 방사시 회피 및 기만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부호 (A, A' ~ L, L')는 연결고리부로,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과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외측을 걸어 연결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고리부(A,A' ~ L,L')는,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A~L)과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외측(A'~L')을 안정적으로 걸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반사면(210A~210L)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부호 50은 가스공급부로,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내측에 공기 또는 액체가스를 외부에서 주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장치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부(50)는, 공기(air) 또는 질소 또는 헬륨 가스 또는 이산화탄소(CO2)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방수커버부(100)와 전자파반사부(200)의 내부를 통해 주입하여 풍선형태로 팽창하도록 한다. 이는 풍선이나 애드벌룬의 구성과 형태와 같은 것이다.
부호 60은 가스배출조절부로, 상기 가스공급부(50)를 통해 주입된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부속 구성이다. 이때, 상기 가스배출조절부(60)는, 상기 방수커버부(100)와 전자파반사부(200)의 내부에 충진되는 공기 또는 액체가스의 양을 감지하고, 그 양의 과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하는 구성이다.
실제로 공기 또는 액체가스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고, 그 양이 과다할 경우에는 상기 가스배출조절부(60)의 밸브를 열어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커버부(100)의 내측에 고정되는 풍선 연결고리(A~A')는 철제의 링(ring) 형상으로 되고, 상기 전자파반사부(200)의 외측에 고정되는 반사체 연결고리(A~L)는 금속제 또는 비닐제의 링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부(100)는 해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로프(72)를 연결한 로프고정부(70)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로프고정부(70)는 닻 또는 철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형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는 사각형으로 하였지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로프(72)의 길이는 약 5[m] 길이로 하였으며, 로프고정부(70)는 약 20[Kg]의 무게를 갖는 철판으로 구성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의 레이더(Radar)가 전자파를 방사하는 것을 선박에서 감지하거나 인식하게 되면, 선박(500) 내에 탑재하여 보관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300)를 해양에 투하한다.
그리고 적의 레이더로부터 방사된 전자파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300)에 도달하여 이를 반사하게 되면, 이것을 적은 선박(500)이나 함정인 것으로 오인하여 사격을 하거나 공격행위를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아측의 선박이나 함정은 외부로 이탈하여 안전지대로 피신할 수 있고, 반격 또는 추가의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 예)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20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의 자동식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 사진이고,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가스충진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부분 상세사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유도탄 기만체를 보관하기 위해 수축한 상태와 보관케이스를 도시하는 사진을 각각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부호 200은 전자파반사부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7과 도 8에서는 전자파반사부(200)가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에서는 내부의 공기 또는 충진 가스를 뺀 후 수축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대유도탄 기만체는, 자체에 가스충진부를 구비하여 자동식으로 가스를 충진하여 작동하는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내부에 전자파를 반사하기 위한 전자파반사부를 삽입한 방수커버부(400)와; 상기 방수커버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충진하여, 상기 전자파반사부와 방수커버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공급하여 충진하기 위한 가스충진부(440)와; 상기 가스충진부(4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충진된 가스를 개폐하기 위한 충진개폐구(410)와; 상기 방수커버부(400)의 내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충진개폐구(410)에 연결되고, 로프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충진개폐구(410)에 연장되는 상기 가스충진부(440) 내의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상기 전자파반사부와 방수커버부(400)를 충진하는 로프부(rope);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대유도탄 기만체(500)의 각 구성부를 부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 400은 방수커버부로, 내부에 전자파를 반사하기 위한 전자파반사부를 삽입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방수커버부의 크기는 팽창시 직경 3[m] 정도가 적당하였다.
부호 410은 충진개폐구를 도시하며, 가스충진부(440)인 봄베(Bombe) 장치에 연결되어 봄베(Bombe)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상기 방수커버부(400)의 내부를 통과해 충진작동부에 연결되어 있다.
부호 420은 로프부(rope)를 도시하며, 헬륨가스나 이산화탄소 가스등을 충진하고 있다.
부호 425는 손잡이로, 적색표식으로 되어 상기 충진개폐구에 연결 구성한다.
부호 440은 가스충진부로, 수소나 산소, 액화 석유 가스 따위의 압축된 기체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데 쓰는 두꺼운 강철로 만든 용기로 구성하였다.
부호 450은 커버저장부로, 방수커버부(400)에 충진된 가스를 방출 또는 인출 후 접어서 보관하는 보관케이스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대유도탄 기만체(500)는 가스를 충진하여 공중에 띄운 후 탐지 레이더에서 발사하는 전자파를 반사하도록 한 후, 비행물체 또는 이동체를 대피시켜 작전 또는 반격 태세를 갖출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변경을 행할 수 있고, 그 재질이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범주에 드는 것들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50: 가스공급부 52: 가스조절밸브
55: 가스공급관(rope)
60: 가스배출조절부 62: 가스배출관
70: 로프고정부 72: 로프
100: 방수커버부 200: 전자파반사부
210A ~ 210L: 반사면
A, A' ~ L, L': 연결고리부
300: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350: 선박 또는 함정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레이다의 탐지로부터 선박 또는 비행체를 회피하기 위한 대유도탄 기만체에 있어서,
    내부에 전자파를 반사하기 위한 전자파반사부를 삽입한 방수커버부(400)와;
    상기 방수커버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충진하여, 상기 전자파반사부와 방수커버부에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공급하여 충진하기 위한 가스충진부(440)와;
    상기 가스충진부(4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충진된 가스를 개폐하기 위한 충진개폐구(410)와;
    상기 방수커버부(400)의 내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충진개폐구(410)에 연결되고, 로프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충진개폐구(410)에 연장되는 상기 가스충진부(440) 내의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상기 전자파반사부와 방수커버부(400)를 충진하는 로프부(rope);를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50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충진부(440)는,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를 주입하여 충진함으로써 공중으로 띄워 올릴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500).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부(400)는, 내부에 충진된 공기 또는 기체가스를 방출 혹은 인출한 후 이를 보관할 수 있는 커버저장부(450)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500).
KR1020120038112A 2012-04-12 2012-04-12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KR10137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12A KR101373147B1 (ko) 2012-04-12 2012-04-12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12A KR101373147B1 (ko) 2012-04-12 2012-04-12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31A KR20130115631A (ko) 2013-10-22
KR101373147B1 true KR101373147B1 (ko) 2014-03-12

Family

ID=4963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112A KR101373147B1 (ko) 2012-04-12 2012-04-12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05A (ko) 2016-07-21 2018-01-31 정종대 신호 기만용 휴대형 리플렉터 기만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768Y1 (ko) * 2014-04-23 2016-11-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산란 중심 특성을 활용한 부양식 모듈형 신호생성기
KR102475030B1 (ko) * 2022-06-22 2022-12-07 오상훈 태양열을 이용한 발광과 침수 방지용 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688A (en) * 1959-09-30 1990-1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egenerator
KR20100064154A (ko) * 2008-12-04 2010-06-14 방기환 영상표시장치를 갖는 벌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688A (en) * 1959-09-30 1990-1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egenerator
KR20100064154A (ko) * 2008-12-04 2010-06-14 방기환 영상표시장치를 갖는 벌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605A (ko) 2016-07-21 2018-01-31 정종대 신호 기만용 휴대형 리플렉터 기만체
KR102046013B1 (ko) * 2016-07-21 2019-11-18 정종대 신호 기만용 휴대형 리플렉터 기만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31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417A (en) Detonator net weapon
US80564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79462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rine deployment
US7418914B2 (en) Pre-positioning deployment system
CN207191347U (zh) 无人船用自动抛射救身圈装置
KR101373147B1 (ko) 해상 부유식 대유도탄 기만체 및 체공형 대유도탄 기만체
CN102269552A (zh) 潜筒导弹
US7779772B2 (en) Submarine short-range defense system
KR102753571B1 (ko) 잠수함의 드론 시스템
RU2349492C1 (ru)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CN103673760A (zh) 潜水式/浮力动力/滑翔(导弹/鱼雷)系统
CN201284005Y (zh) 深海潜艇导弹发射推进装置
RU2413156C1 (ru) Противовоздушный (противокорабе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мплекс позиционный подводный управляемый ("паук" ппу)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NO328120B1 (no) Radar-kamuflert reflektor
Williamson U-boat Tactics in World War II
CN116499317A (zh) 一种水下高压气泡弹
RU2399852C1 (ru) Во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0150285A2 (en) Combat submarine ballast system & ice hull
CN2875946Y (zh) 潜水隐身导弹艇
CN102923281A (zh) 潜伏式导弹发射平台
RU2309871C2 (ru) Двухмодульн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с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оснащенная оперативно-тактическим комплексом
RU2604248C2 (ru) Ракетная установка
CN104340346A (zh) 潜射式卫星制导海底导弹
JP2013124787A (ja) 舟艇捕獲装置
CN107764134A (zh) 水中核反应堆泄放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7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