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779B1 -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 Google Patents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779B1
KR101372779B1 KR1020130157193A KR20130157193A KR101372779B1 KR 101372779 B1 KR101372779 B1 KR 101372779B1 KR 1020130157193 A KR1020130157193 A KR 1020130157193A KR 20130157193 A KR20130157193 A KR 20130157193A KR 101372779 B1 KR101372779 B1 KR 10137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bucket body
wall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국
Original Assignee
김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국 filed Critical 김민국
Priority to KR102013015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779B1/ko
Priority to PCT/KR2014/007710 priority patent/WO20150937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5Piston pumps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 고정형 분무기가 개시되는 것으로, 외측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진 외측 경사면(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수용되며 바닥면에 물배출부(12)가 구비되는 물통체(10)와; 상기 물통체(10)의 상부가 인입되어 덮어지는 덮개홈(21)이 하면에 요입되어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걸림돌부(22)가 구비되어 상면에 휴대폰이나 지갑 등의 물품이 올려지는 선반체(20)와; 상기 물통체(10)의 외측 경사면(11)에 대응되는 내측 경사면(31)이 상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를 가압하는 가압부(32)가 돌출되며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33)가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33)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작동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를 통해 배출된 물이 담겨지는 분사체(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용변을 본 후 화장지에 분사된 물을 적시어 청결하게 닦을 수 있어 비데가 없는 화장실에서도 청결한 세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물티슈를 휴대하고 다니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화장지에 물을 적실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용변처리를 깔끔하고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이나 지갑, 태블릿PC, 책 등을 선반에 올려놓으며 용변 후 물이 적셔진 화장지를 이용하여 항문을 청결하고 깔끔하게 닦아 낼 수 있다.

Description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wall fixing type water spray with shelf}
본 발명은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에 고정하여 화장실 등에서의 용변을 본 후 청결하게 닦아 내도록 하고 화장지에 분사되는 물기를 적셔 물티슈로 사용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선반에 의해 간단한 휴대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나 학교, 유치원, 학원, 상가건물, 휴게소와 같은 공공장소의 화장실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좌변기는 비데가 설치된 고급형과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일반형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비데가 설치된 좌변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비데를 이용하여 청결하게 세정을 할 수 있는 반면에,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좌변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화장지만으로 닦아 내기 때문에 뒤처리의 청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사용자들의 경우 물티슈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좌변기를 이용하고 난 후의 청결을 위해 물티슈로 뒤처리를 하고 있으나, 대개의 사용자들이 물티슈를 휴대하지 않고 있으며 특히 남성들의 경우에는 물티슈를 전혀 휴대하지 않음에 따라 용변을 보고 난 후의 뒤처리에 대한 청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저귀를 차고 있는 유아의 경우에는 용변을 본 기저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물티슈를 이용하여 유아의 엉덩이 주변을 닦아내어야 하지만 미처 물티슈를 휴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제대로 닦아내지 못함으로써 유아의 피부질환을 유발시키게 된다.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202930호인 물 분사 수단이 구비된 화장지 케이스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화장지 케이스에 있어서, 화장지가 감겨있는 중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나사, 상기 회전나사에 의해서 배출된 화장지에 물을 분사시키는 수단으로 구비되어 화장지에 물기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 화장지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지에 간편한 동작으로 물기를 제공하도록 하고, 화장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중심축에 회전나사를 연결하여 회전나사를 회전시켜 필요로 하는 화장지를 배출시킴으로써 화장지를 손으로 잡아 당겨 사용하는 불편함을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화장지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물이 분사되어 화장지에 물이 묻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되지 않은 화장지측으로 공급되는 물이 번지게 되어 감겨진 화장지 전체가 번진 물에 의해 젖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화장지를 다 사용하고 난 후에는 다시 화장지를 교체하여야 하는 바, 화장지를 권취시키는 수단이 물통이 구비된 하우징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화장지를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고 또한 물통의 물을 보충하고자 할 때 하우징 내부에 권취된 화장지측으로 물이 떨어지게 되어 권취된 화장지가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변을 보고자 할 때 휴대폰 등과 같은 물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예컨대 선반 등이 필요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장실의 경우 이러한 선반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변을 보기 위해 바지를 내리는 과정에서 바지 주머니에 넣어진 휴대폰이나 지갑 등이 변기 속으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물론, 별도의 선반을 화장실 내부 벽면에 설치할 수 있으나, 대개의 화장실의 공간이 협소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좁은 공간에 선반을 설치할 경우 공간활용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09-0011144호(2009.11.02 공개)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02930호(2000.08.31 등록)
본 발명은 간단한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비데가 없는 화장실에서 화장지에 간단하게 물을 적시어 청결하게 신체 부위를 닦아 내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물의 교체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물통의 상부에 선반을 구비하여 휴대폰이나 지갑, 태블릿PC, 책 등의 물품을 선반에 올려놓을 수 있어 용변을 보기 위해 바지를 내리는 과정에서 휴대폰이나 지갑 등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선반이 구비된 벽 고정형 분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선반이 구비된 벽 고정형 분무기는, 외측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진 외측 경사면이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며 바닥면에 물배출부가 구비되는 물통체와; 상기 물통체의 상부에 인입되어 덮어지는 덮개홈이 하면에 요입되어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걸림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부의 타측 끝단에 상기 물통체의 표면을 닦아내는 스크래치부가 형성되며 상면에 휴대폰이나 지갑 등의 물품이 올려지는 선반체와; 상기 물통체의 외측 경사면에 대응되는 내측 경사면이 상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내측 상면에 상기 물통체의 물배출부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통공되며 내부에 상기 끼움구멍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물통체의 물배출부가 결합되고 하부에 물유출구멍이 구비된 가압부가 돌출되며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작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체의 물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물이 담겨지는 분사체와; 상기 분사체를 벽면에 고정하는 벽면 고정브라켓이 상기 분사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벽면 고정브라켓은, 상기 분사체의 후면으로부터 분사체와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분사체의 후면에는, 상기 분사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부가 구비된 탈착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벽면 고정브라켓은, 상기 탈착구의 체결돌부가 끼워지는 끼움홈부와 이 끼움홈부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피스가 체결되는 피스구멍이 통공되어, 상기 분사체와 벽면 고정브라켓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분사체의 분사부는, 상기 분사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내측 상부에 물유입공과 하부에 물배출공이 각각 구비되는 연통구멍과; 상기 연통구멍의 물유입공에 위치되는 제1차단밸브 및 상기 연통구멍의 물배출공에 위치되는 제2차단밸브와; 상기 연통구멍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체의 작동부는, 상기 연통구멍의 내부에 횡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단에 밀착되는 밀착면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체의 외측에 노출되는 분사버튼과 상기 밀착면과 분사버튼을 연결하는 연결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분사체의 분사버튼을 눌러주면 물통체에 수용된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용변을 본 후 화장지에 분사된 물을 적시어 청결하게 닦을 수 있어 비데가 없는 화장실에서도 청결한 세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물티슈를 휴대하고 다니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화장지에 물을 적실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용변처리를 깔끔하고 청결하게 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폰이나 지갑, 태블릿PC, 책 등을 선반에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용변 후 물이 적셔진 화장지를 이용하여 항문을 청결하고 깔끔하게 닦아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의 후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에 의해 물이 분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의 물 배출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이 구비된 벽 고정형 분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선반이 구비된 벽 고정형 분무기는, 외측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진 외측 경사면(11)이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며 바닥면에 물배출부(12)가 구비되는 물통체(10)와, 상기 물통체(10)의 상부에 인입되어 덮어지는 덮개홈(21)이 하면에 요입되어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걸림돌부(22)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부(22)의 타측 끝단에 상기 물통체(10)의 표면을 닦아내는 스크래치부(20a)가 형성되며 상면에 휴대폰이나 지갑 등의 물품이 올려지는 선반체(20)와, 상기 물통체(10)의 외측 경사면(11)에 대응되는 내측 경사면(31)이 상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내측 상면에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가 끼워지는 끼움구멍(31a)이 통공되며 내부에 상기 끼움구멍(31a)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가 결합되고 하부에 물유출구멍(32a)이 구비된 가압부(32)가 돌출되며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33)와 상기 분사부(33)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작동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를 통해 배출된 물이 담겨지는 분사체(30)와, 상기 분사체(30)를 벽면에 고정하는 벽면 고정브라켓(40)이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물통체(10)는, 내부가 중공된 통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통체(10)의 내부에 물을 충진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물통체(10)를 거꾸로 뒤집어 물배출부(12)가 상부측으로 위치되도록 한 다음 물 배출부(12)를 통해 물통체(10)의 내부로 물을 부워 충진하면 된다.
또한, 물통체(10)를 분사체(30)에 결합하는 방법은,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가 하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물통체(10)를 거꾸로 뒤집은 다음, 물배출부(12)를 분사체(30)의 내측 상면에 통공된 끼움구멍(31a)에 끼우면 된다.
이와 같이 끼움구멍(31a)측으로 끼워진 물배출부(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체(30)의 가압부(32)에 결합되며 물배출부(12)를 통해 쏟아지는 물은 상기 가압부(32)의 물유출구멍(32a)을 통해 분사체(30)의 내부로 충진된다.
상기 물통체(10)와 선반체(20) 및 분사체(30)는 재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물통체(10)의 외측 경사면(11)과 분사체(30)의 내측 경사면(31)은 서로 밀착되어 경사각도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별도의 록킹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물통체(10)를 분사체(3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통체(10)의 내부에 물을 보충할 경우 분사체(30)로부터 물통체(10)만을 분리한 후 수도전을 이용하여 물통체(10)에 물을 보충한 다음, 다시 분사체(30)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물통체(10)에 물 보충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물통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선반체(20)는, 선반체(20)의 덮개홈(21)이 물통체(10)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물통체(1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선반체(20)의 상면에 휴대폰 등과 같은 간단한 휴대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이 때 선반체(2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걸림돌부(22)에 의해 올려진 휴대물품이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선반체(2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스크래치부(20a)는 상기 물통체(10)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한 것으로, 투명성을 갖는 물통체(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물기 또는 습기를 닦아냄으로써 물통체(10)의 내부를 쉽게 알 수 있어 물의 수위를 식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체(20)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스크래치부(20a)에 밀대(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밀대(50)는 상기 밀대(5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결합홈(51)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래치부(20a)에 결합시켜 구비되며, 밀대(50)만을 따로 스크래치부(20a)로부터 분리하여 거울의 물기 제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선반체(20)에 두루마리 화장지를 걸어 사용할 수 있는 화장지걸이가 더 구비되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장지를 상기 분사체(30)의 하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분사체(30)의 작동부(34)를 눌러 분사부(33)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여 화장지에 물을 적실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화장실의 경우에도 화장지에 물을 묻혀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용변 후 깔끔하고 청결하게 닦아낼 수 있다.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에는,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부(35)가 구비된 탈착구(3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벽면 고정브라켓(40)은, 상기 탈착구(36)의 체결돌부(35)가 끼워지는 끼움홈부(41)와 이 끼움홈부(41)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42)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피스(P)가 체결되는 피스구멍(43)이 통공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체(30)와 벽면 고정브라켓(40)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구멍(4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P)가 체결되어 본 발명인 벽 고정형 분무기를 벽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탈착구(36)와 벽면 고정브라켓(40)을 이용하여 분사체(30)를 벽면에 설치하는 구조는,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면에 벽면 고정브라켓(40)을 위치한 후 벽면 고정브라켓(40)의 피스구멍(43)측으로 피스(P)를 박아 벽면 고정브라켓(40)을 벽면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벽면 고정브라켓(40)을 벽면에 고정한 후, 상기 벽면 고정브라켓(40)의 끼움홈부(41)와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에 구비된 탈착구(36)의 체결돌부(35)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분사체(30)를 기울여 위치한 다음 체결돌부(35)를 끼움홈부(41)에 끼우고 분사체(30)를 돌려 분사체(30)가 벽면 고정브라켓(40)에 대해 수직되게 위치하면 간단하게 분사체(30)와 벽면 고정브라켓(40)이 결합 고정된다.
이 때, 분사체(30)의 탈착구(36)에 구비된 체결돌부(35)가 벽면 고정브라켓(40)의 걸림턱(42)에 위치되어 체결돌부(35)가 걸림턱(42)에 걸어지기 때문에 분사체(30)를 다시 역 방향으로 돌리지 않고서는 분사체(30)가 벽면 고정브라켓(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분사체(30)의 분사부(33)는, 상기 분사체(30)의 내부와 연통되고 내측 상부에 물유입공(331)과 하부에 물배출공(332)이 각각 구비되는 연통구멍(333)과, 상기 연통구멍(333)의 물유입공(331)에 위치되는 제1차단밸브(334) 및 상기 연통구멍(333)의 물배출공(332)에 위치되는 제2차단밸브(335)와, 상기 연통구멍(33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배출공(33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3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336)은, 직사분사 또는 연무분사가 가능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일반적인 분무기의 분사노즐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분사체(30)의 작동부(34)는, 상기 연통구멍(333)의 내부에 횡설되는 스프링(341)과, 상기 스프링(341)의 일단에 밀착되는 밀착면(342)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체(30)의 외측에 노출되는 분사버튼(343)과 상기 밀착면(342)과 분사버튼(343)을 연결하는 연결편(34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체(30)의 작동부(34)를 구성하는 분사버튼(343)을 누르면, 상기 연결편(344)에 의해 상기 밀착면(342)이 스프링(341)을 눌러주면서 분사부(33)의 제1차단밸브(334)는 승강되고 제2차단밸브(335)는 하강되면서 연통구멍(333)의 물유입공(331)과 물배출공(332)이 개방되어 물이 분사노즐(336)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또한, 눌러진 분사버튼(343)을 놓으면, 눌러진 스프링(341)이 밀착면(342)을 밀어내어 분사버튼(343)이 눌러지기 전 상태로 빠르게 복귀되는 바, 이 때 승강된 제1차단밸브(334)는 하강되고 하강된 제2차단밸브(335)는 승강되어 개방된 물유입공(331)과 물배출공(332)을 다시 차단한다.
상기 분사버튼(343)의 눌러짐에 의해 제1차단밸브(334)가 승강되고 제2차단밸브(335)가 하강되는 이유는, 분사버튼(343)이 눌러질 때 밀착면(342)이 연통구멍(333) 내부의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연통구멍(333)의 상부에 구비된 물유입공(331)의 제1차단밸브(334)는 상부방향으로 밀려 승강되고 연통구멍(333)의 하부에 구비된 물배출공(332)에 구비된 제2차단밸브(335)는 하부방향으로 밀려 하강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물통체 11 : 외측경사면
12 : 물배출부 13 : 투시창
20 : 선반체 21 : 덮개홈
22 : 걸림돌부 30 : 분사체
31 : 내측 경사면 32 : 가압부
33 : 분사부 34 : 작동부
35 : 체결돌부 36 : 탈착구
40 : 벽면 고정브라켓 41 : 끼움홈부
42 : 걸림턱 43 : 피스구멍
50 : 밀대 51 : 슬라이딩 끼움홈
331 : 물유입공
332 : 물배출공 333 : 연통구멍
334 : 제1차단밸브 335 : 제2차단밸브
336 : 분사노즐 341 : 스프링
342 : 밀착면 343 : 분사버튼
344 : 연결편

Claims (5)

  1. 외측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퍼진 외측 경사면(11)이 구비되고 물이 수용되며 바닥면에 물배출부(12)가 구비되는 물통체(10)와;
    상기 물통체(10)의 상부에 인입되어 덮어지는 덮개홈(21)이 하면에 요입되어 구비되고 상단 일측에 걸림돌부(22)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부(22)의 타측 끝단에 상기 물통체(10)의 표면을 닦아내는 스크래치부(20a)가 형성되며 상면에 휴대폰이나 지갑 등의 물품이 올려지는 선반체(20)와;
    상기 물통체(10)의 외측 경사면(11)에 대응되는 내측 경사면(31)이 상부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내측 상면에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가 끼워지는 끼움구멍(31a)이 통공되며 내부에 상기 끼움구멍(31a)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가 결합되고 하부에 물유출구멍(32a)이 구비된 가압부(32)가 돌출되며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33)와 상기 분사부(33)를 통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작동부(34)가 구비되며 상기 물통체(10)의 물배출부(12)를 통해 배출된 물이 담겨지는 분사체(30)와;
    상기 분사체(30)를 벽면에 고정하는 벽면 고정브라켓(40)이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형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고정브라켓(40)은,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으로부터 분사체(30)와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형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에는,
    상기 분사체(3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체결돌부(35)가 구비된 탈착구(3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벽면 고정브라켓(40)은,
    상기 탈착구(36)의 체결돌부(35)가 끼워지는 끼움홈부(41)와 이 끼움홈부(41)로부터 연장되는 걸림턱(42)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피스(P)가 체결되는 피스구멍(43)이 통공되어,
    상기 분사체(30)와 벽면 고정브라켓(40)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형 분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30)의 분사부(33)는,
    상기 분사체(30)의 내부와 연통되고 내측 상부에 물유입공(331)과 하부에 물배출공(332)이 각각 구비되는 연통구멍(333)과;
    상기 연통구멍(333)의 물유입공(331)에 위치되는 제1차단밸브(334) 및 상기 연통구멍(333)의 물배출공(332)에 위치되는 제2차단밸브(335)와;
    상기 연통구멍(333)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배출공(33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3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분사체(30)의 작동부(34)는,
    상기 연통구멍(333)의 내부에 횡설되는 스프링(341)과;
    상기 스프링(341)의 일단에 밀착되는 밀착면(342)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체(30)의 외측에 노출되는 분사버튼(343)과 상기 밀착면(342)과 분사버튼(343)을 연결하는 연결편(34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형 분무기.
  5. 제1항에 있어서,
    선반체(20)의 상기 스크래치부(20a)에는,
    상기 스크래치부(20a)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끼움홈(51)이 요입된 밀대(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고정형 분무기.
KR1020130157193A 2013-12-17 2013-12-17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KR10137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93A KR101372779B1 (ko) 2013-12-17 2013-12-17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PCT/KR2014/007710 WO2015093715A1 (ko) 2013-12-17 2014-08-20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93A KR101372779B1 (ko) 2013-12-17 2013-12-17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779B1 true KR101372779B1 (ko) 2014-03-11

Family

ID=50648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193A KR101372779B1 (ko) 2013-12-17 2013-12-17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2779B1 (ko)
WO (1) WO201509371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15A (ko) * 2010-08-19 2012-02-29 윤상진 액체 분사기 및 이에 적용되는 디스펜서
KR20120059046A (ko) * 2010-11-30 2012-06-08 신영록 향수 자동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775A (ja) * 1994-03-14 1995-10-03 Yusaku Fujii トイレットペーパー加湿器
KR200202930Y1 (ko) * 2000-06-23 2000-11-15 이정구 물 분사 수단이 구비된 화장지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15A (ko) * 2010-08-19 2012-02-29 윤상진 액체 분사기 및 이에 적용되는 디스펜서
KR20120059046A (ko) * 2010-11-30 2012-06-08 신영록 향수 자동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715A1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3351B (zh) 具有隐式再填充开口的液体分配器
US7543339B1 (en) Modular bidet, cartridge based liquid dispenser and blow-dryer system
US3865271A (en) Dispenser and liquid applicator for toilet paper, paper towels, and the like
US9801506B2 (en) Wet/dry sheet dispenser with dispensing cup
CN2933277Y (zh) 用水的家用器具
US20120248140A1 (en) Portable hand sanitation dispenser
EP1809217A4 (en) CLEANING SYSTEM FOR A COLOSTOMY BAG
CA28417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istening sanitary paper products
EP3203890B1 (en) Multifunctional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fluid compositions
US8584904B2 (en) Liquid soap dispenser for dispensing a mixture of a dish cleaning liquid soap and water
US9084514B1 (en) Foot scrubbing apparatus
KR101372779B1 (ko) 선반이 구비된 벽고정형 분무기
US9955826B2 (en) Foaming dispenser for toilet paper
TWI549643B (zh) 攜帶式小便器
KR101321907B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US8403578B2 (en) Portable dishwashing apparatus
CN205658825U (zh) 一种卫浴柜
FR2670661A1 (fr) Dispositif distributeur de liquide mural et interchangeable.
US20070023455A1 (en) Dispensing apparatus
CN107468020B (zh) 一种使用方便的大容量易清洗筷子
KR101538226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WO2017184915A1 (en) Liquid dispenser for a sink faucet
WO2022159131A1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and housing assembly
KR200410634Y1 (ko) 소독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수(洗手)장치
KR200292319Y1 (ko) 물비누와 샴푸가 내장된 바디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