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191B1 -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191B1
KR101372191B1 KR1020080119619A KR20080119619A KR101372191B1 KR 101372191 B1 KR101372191 B1 KR 101372191B1 KR 1020080119619 A KR1020080119619 A KR 1020080119619A KR 20080119619 A KR20080119619 A KR 20080119619A KR 101372191 B1 KR101372191 B1 KR 10137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witch unit
operation mode
theft
m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0847A (en
Inventor
손후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191B1/en
Publication of KR2010006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8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1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복수의 동작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텐션 리브가 형성된 절도산이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a vehicle, comprising: a slider vertically moved by operation of a lever;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moderation mountain formed with a tension rib protruding from the surfac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in each boundary section of the operation mode.

이에 의하여, 절도산의 기울기를 높이지 않기 때문에 부드러운 조작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도산에 텐션 리브를 형성하여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절도감이 향상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레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theft is not increased, a smooth operation feeling can be obtained, and the theft is improved at each interface section of the operation mod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by forming the tension ribs in the theft. The driver can move the lever to the desired operating mode.

Description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도산에 텐션 리브를 추가함으로써 각 동작 모드 간의 절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theft feeling between each operation mode by adding tension ribs to the theft.

일반적으로,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은 스티어링 휠 아래쪽의 스티어링 컬럼과 결착되는 부품으로서, 턴 시그널의 작동을 위한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과, 와이퍼 및 워셔액 작동 등을 위한 와이퍼 스위치 유닛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is a component that is bound to the steering column under the steering wheel, and may be divided into a turn signal switch unit for operating a turn signal, a wiper switch unit for wiper and washer fluid operation, and the like. .

종래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onventional turn signal switch unit 10 is as shown in FIG.

종래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10)은 운전자가 조작하면 힌지부(12)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레버(11)와, 레버(11)의 조작에 따라 스프링(14)에 탄성 지지되는 슬라이더(13)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13)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15)와, 슬라이더(13)와 접촉되며 각 동작 모드로 구분되는 절도산(117)이 구비된 하우징(116)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conventional turn signal switch unit 10 has a lever 11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the hinge part 12 when the driver operates, and a slider 13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1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11. A guide member 15 for guiding the slider 13 to move up and down, and a housing 116 provided with a theft mountain 117 in contact with the slider 13 and divided into respective operation modes.

레버(11)는 소정 각도씩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서 풀 좌회전(FULL LH TURN) - 좌측 차선 변경(LH LANE CHANGE) - 오프(OFF) - 우측 차선 변경(RH LANE CHANGE) - 풀 우회전(FULL RH TURN)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Lever 11 moves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to make full left turn (FULL LH TURN)-left lane change (LH LANE CHANGE)-OFF (OFF)-right lane change (RH LANE CHANGE)-full right turn (FULL RH TURN) Select the operation mode.

절도산(117)은,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과 골이 반복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a) and (b) of FIG. 2, the moderation mountain 117 is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a peak and a valley are repeated.

이와 같이, 운전자가 레버(11)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조작감에 대한 그래프는 도 2의 (c)와 같이 나타내어진다.As such, the graph of the feeling of operation when the driver moves the lever 1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hown as shown in FIG.

한편, 종래 와이퍼 스위치 유닛(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절도산(157)이 형성된 하우징(156)과 레버(51)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턴 시그널 스위치와 기능이 유사하므로 이하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겠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 wiper switch unit 50 is as shown in FIG. 3, except that the housing 156 and the lever 51 in which the theft mount 157 is formed have the same function as the turn signal switch. Therefore, only other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레버(51)는 소정 각도씩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서 미스트(MIST) - 오프(OFF) - 간헐(INT) - 저속(LO) - 고속(HI)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The lever 51 moves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angle to select an operation mode of mist (MIST)-off (OFF)-intermittent (INT)-low speed (LO)-high speed (HI).

이를 위해 하우징(156)에는 각 동작 모드로 구분되도록 산과 골로 이루어진 절도산(1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때 절도산(157)의 형상은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다.To this end, the housing 156 is formed with a mountain and valleys 157 made of mountains and valleys so as to be divided into respective operation modes, and the shape of the island 157 is shown in FIGS. 4A and 4B. same.

이와 같이, 운전자가 레버(51)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조작감에 대한 그래프는 도 4의 (c)와 같이 나타내어진다.In this way, a graph of the feeling of operation when the driver moves the lever 5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shown as shown in FIG.

그런데, 이러한 종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에 있어서는,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다른 동작 모드로 전환할 때 절도감이 약해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multi-function switch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de is weak when the switch from one operation mode to another operation mode is difficult to switch to the desired operation mode.

예를 들면,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10)의 경우, 오프(OFF)에서 좌측 차선 변 경(LH LANE CHANGE) 또는 우측 차선 변경(RH LANE CHANGE) 동작 모드로 조작시 원하는 동작 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오버턴 되어 풀 좌회전(FULL LH TURN) 또는 풀 우회전(FULL RH TURN) 동작 모드로 전환되어 버린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turn signal switch unit 10,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FF to the left lane change (LH LANE CHANGE) or the right lane change (RH LANE CHANGE) operation mode, the operation is not switched to the desired operation mode. It is turned to switch to FULL LH TURN or FULL RH TURN operating mode.

한편, 와이퍼 스위치 유닛(50)의 경우, 오프(OFF)에서 간헐(INT) 동작 모드로 조작시 저속(LO) 또는 고속(HI) 동작 모드로 넘어가 버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iper switch unit 50, the operation is switched to the low speed (LO) or the high speed (HI) operating mode when operating in the OFF (interactive) INT mode.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절도산(117, 157)의 기울기를 높일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이 절도산(117, 157)의 기울기를 높이게 되면 레버(11, 51)를 조작할 때 부드러운 조작감(smoothness)이 없어지는 한계가 있었다(절도감과 부르러운 조작감이 상충되는 문제).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inclination of the stealing mountains 117 and 157 may be increased, but if the inclination of the stealing mountains 117 and 157 is increased in this way, a smooth smoothness may be obtained when the levers 11 and 51 are operated. There was a limit to the disappearance (the problem of theft of theft and smooth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러운 조작감을 유지하면서 절도감을 향상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원활히 작동될 수 있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a vehicle that can be operated smoothly in the desired operating mode by the driver by improving the theft while maintaining a smooth operation feeling.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에 따라,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더와; 복수의 동작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텐션 리브가 형성된 절도산이 구비된 하우징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is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rating modes, and is achieved by a housing with a stealed mountain having tension rib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in each interface section of the operating mode.

여기서, 상기 텐션 리브는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절도산 및 상기 텐션 리브에 의해 세 부분이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nsion rib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the three parts by the stealing peak and the tension rib.

이 때, 상기 텐션 리브는 상기 슬라이더가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일방향으로 다른 동작 모드로 진행할 때 상기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tension rib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increases when the slider progresses from one operation mode to another in one direction.

상기 절도산은 산과 골이 반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산에서 상기 골로 이동하여 각 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떨림 노이즈가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ft mountain has a shape in which the mountain and the valley are repeated, and it is preferable that shaking noise is prevented when the slider moves from the mountain to the valley to enter each operation mo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도산의 기울기를 높이지 않기 때문에 부드러운 조작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도산에 텐션 리브를 형성하여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절도감이 향상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레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이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theft mountain is not increased, not only a smooth operation feeling can be obtained, but also the tension ribs are formed on the theft mountain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each slider. As the theft is improved,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is provided which can move the lever to the desired operation mod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종래에서 설명하고, 종래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은 스티어링 휠 아래쪽의 스티어링 컬럼과 결착되는 부품으로서, 턴 시그널의 작동을 위한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과, 와이퍼 및 워셔액 작동 등을 위한 와이퍼 스위치 유닛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is a component that is bound to a steering column under the steering wheel, and may be divided into a turn signal switch unit for operating a turn signal, a wiper switch unit for wiper and washer fluid operation, and the like.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 및 와이퍼 스위치 유닛은 절도산이 형성된 하우징만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urn signal switch unit and the wiper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housing in which the theft is forme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10)의 하우징(16)에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작 모드로 구분되며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슬라이더(13)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텐션 리브(18)가 형성된 절도산(17)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housing 16 of the turn signal switch unit 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and contacts the slider 13 at each boundary section of the operation mode. In order to increase the area, a theft mount 17 having a tension rib 18 protruding from the surface is provided.

즉, 종래의 절도산(117, 157)의 표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절도감이 약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절도산(17)의 표면은 텐션 리브(18)에 의해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더(13)가 절도산(17) 뿐만 아니라 텐션 리브(18)와도 접촉되어 접촉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절도감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at is, the surface of the conventional theft 117, 157 is made of a flat surface, the sense of theft is weak, while the surface of the denomination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ree-dimensionally constituted by the tension ribs 18, the slider 1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eft can be improved because the contact resistance is large because it is in contact with the tension rib 18 as well as the theft 17.

텐션 리브(18)는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를 중심으로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슬라이더(13)는 양측의 텐션 리브(18)와 절도산(17)에 의해 세 부분이 점 접촉되게 된다. The tension ribs 18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lider 13 as shown in FIGS. 6A to 6C, whereby the sliders 13 are connected to the tension ribs 18 on both sides. Three parts are brought into point contact by the stealing mountain 17.

여기서, 슬라이더(13)가 풀 좌회전(FULL LH TURN) 동작 모드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6의 (a)와 같이 절도산(17) 및 양측의 텐션 리브(18)와 L0 만큼 접촉되어 있고, 슬라이더(13)가 오프(OFF) 동작 모드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6의 (b)와 같이 절도산(17) 및 양측의 텐션 리브(18)와 L1 만큼 접촉되어 있다. 이 때, 텐션 리브(18)의 형상은 오프(OFF) 동작 모드에 있을 때의 접촉 면적(L1)이 풀 좌회전(FULL LH TURN) 동작 모드일 때의 접촉 면적(L0)보다 크도록 형성된다.Here, when the slider 13 is in the FULL LH TURN operating mode, the slider 13 contacts L-shaped mountains 17 and the tension ribs 18 on both sides by L0 as shown in FIG. When the slider 13 is in the OFF operation mode, the slider 13 is in contact with the stealing peak 17 and the tension ribs 18 on both sides by L1 as shown in FIG. .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ension ribs 18 is formed such that the contact area L1 in the OFF operation mode i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L0 in the FULL LH TURN operation mode.

한편, 슬라이더(13)가 우측 차선 변경(RH LANE CHANGE) 동작 모드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6의 (c)와 같이 절도산(17) 및 양측의 텐션 리브(18)와 L2 만큼 접촉되어 있는데, 이 때 텐션 리브(18)의 형상은 L2가 L1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er 13 is located in the RH LANE CHANGE operation mode, the slider 13 is as large as theft 17 and both tension ribs 18 and L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tension ribs 18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L2 is larger than L1.

상기 구성에 의해, 운전자가 레버(11)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때 조작감에 대한 그래프는 도 5의 (c)와 같은데, 텐션 리브(18)가 슬라이더(13)가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일방향으로 다른 동작 모드로 진행할 때 슬라이더(13)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감이 종래 (a)'에서 (b)'로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With this arrangement, the graph of the feeling of operation when the driver moves the lever 1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as shown in Fig. 5 (c), where the tension ribs 18 are different in one direction from the slider 13 in one operation mode. Since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13 becomes large when advancing to the operation mod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operational feeling from (a) 'to (b)'.

즉,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의 조작감의 그래프 (b)'와 종래의 그래프 (a)'를 비교해 보면, 오프(OFF)에서 좌측 차선 변경(LH LANE CHANGE) 또는 우측 차선 변경(RH LANE CHANGE) 동작 모드의 경계면과, 좌측 차선 변경(LH LANE CHANGE)에서 풀 좌회전(FULL LH TURN) 동작 모드의 경계면, 우측 차선 변경(RH LANE CHANGE)에서 풀 우회전(FULL RH TURN) 동작 모드의 경계면에서 절도감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at is, comparing the graph (b) 'of the driver's operation fee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ventional graph (a)', the left lane change (LH LANE CHANGE) or the right lane change (RH LANE CHANGE) operation in the OFF (OFF) Theft of the mode and the boundary of the FULL LH TURN operation mode at the LH LANE CHANGE and the mode of the FULL RH TURN operation mode boundary at the RH LANE CHANGE It can be seen that it is clearly distinguished.

한편, 와이퍼 스위치 유닛(50)의 하우징(56)에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작 모드로 구분되며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슬라이더(13)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텐션 리브(58)가 형성된 절도산(57)이 구비되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housing 56 of the wiper switch unit 5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and contacts the slider 13 at each boundary section of the operation mode. In order to increase the area, a stealing mountain 57 is formed with a tension rib 58 protruding from the surface.

이 때, 텐션 리브(58)는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3)를 중심으로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의해 슬라이더(13)는 양측의 텐션 리브(58)와 절도산(57)에 의해 세 부분이 점 접촉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ension ribs 58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lider 13 as shown in FIGS. 8A to 8C, whereby the sliders 13 have tension ribs on both sides. 58) and the stealing mountain 57, the three parts are in point contact.

여기서, 슬라이더(13)가 미스트(MIST) 동작 모드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8의 (a)와 같이 절도산(57) 및 양측의 텐션 리브(58)와 L0' 만큼 접촉되어 있고, 슬라이더(13)가 오프(OFF)에서 간헐(INT) 동작 모드로 전환시 산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8의 (b)와 같이 절도산(57) 및 양측의 텐션 리 브(58)와 L1' 만큼 접촉되어 있다. 이 때, 텐션 리브(58)의 형상은 접촉 면적 L1'이 접촉 면적 L0'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Here, when the slider 13 is located in the mist (MIST) operating mode, the slider 13 is in contact with the moderation peak 57 and the tension ribs 58 on both sides by L0 'as shown in FIG. When the slider 13 is located at the mountain when the switch is switched from the OFF to the intermittent (INT) operation mode, the slider 13 is formed by theft mount 57 and the tension ribs at both sides as shown in FIG. 58) and L1 '.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ension ribs 58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area L1 'becomes larger than the contact area L0'.

한편, 슬라이더(13)가 간헐(INT)에서 저속(LO) 동작 모드로 전환시 산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8의 (c)와 같이 절도산(57) 및 양측의 텐션 리브(58)와 L2' 만큼 접촉되어 있고, 슬라이더(13)가 저속(LO)에서 고속(HI) 동작 모드로 전환시 산에 위치해 있는 경우 슬라이더(13)는 도 8의 (d)와 같이 절도산(57) 및 양측의 텐션 리브(58)와 L3' 만큼 접촉되어 있다. 이 때, 텐션 리브(58)의 형상은 L2'이 L1' 보다 크고 L3'이 L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lider 13 is located on the mountain when switching from the intermittent (INT) to the low speed (LO) operating mode, the slider 13 is theft mountain 57 and the tension ribs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58) is in contact with L2 ', and the slider 13 is located at the mountain when switching from the low speed (LO) to the high speed (HI) operating mode. 57) and the tension ribs 58 on both sides by L3 '.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ension ribs 58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L2 'is larger than L1' and L3 'is larger than L2'.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의 속도에 따라 조작력이 일정하였던 종래(도 4의 (c)의 P선 참조)와 달리, 슬라이더(13)가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일방향으로 다른 동작 모드로 진행할 때 슬라이더(13)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도록 텐션 리브(18, 58)의 형상이 이루어져 와이퍼의 속도에 따라 조작력이 비례하여 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도 7의 (c)의 Q선 참조).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er 13 proceeds from one operation mode to another operation mode in one direction, unlike in the conventional art (see P-line of FIG. 4C) in which the operating force was constant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wiper. The shape of the tension ribs 18 and 58 is increased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13 increases, and thus the operating force may be proportion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wiper (see Q line in FIG. 7C).

또한, 슬라이더(13)가 절도산(17, 57)의 산에서 골로 이동할 때 스프링(14)의 텐션에 의해 레버(11, 51)의 떨림 노이즈가 발생하였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더(13)가 산에서 골로 이동할 때 텐션 리브(18, 58)가 슬라이더(13)의 양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3)가 안내되므로 레버(11, 51)의 떨림 노이즈가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lider 13 moved from the mountain of the stealing mountains 17 and 57 to the valley, vibration noise of the levers 11 and 51 was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spring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er 13 is guided in the state where the tension ribs 18 and 58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lider 13 when moving from the peak to the goal, vibration noise of the levers 11 and 51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도산(17, 57)의 기울기를 높이지 않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조작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도산(17, 57)에 텐션 리 브(18, 58)를 형성하여 슬라이더(13)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절도감이 향상되므로, 운전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레버(11, 51)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stealing mountains 17 and 57 is not increased, not only a smooth feeling of operation can be obtained, but also the tension ribs 18 and 58 are formed in the stealing mountains 17 and 57.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13, the theft is improved in each boundary section of the operation mode, so that the driver can move the levers 11 and 51 in the desired operation mode.

도 1은 종래 차량의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turn signal switch unit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2의 (a)는 도 1의 절도산을 X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운전자가 각 동작 모드로 전환시 조작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FIG. 2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ltitude of FIG. 1 is viewed in the X direction,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a), and (c) is a change in operating force when the driver switches to each operation mode. Graph showing.

도 3은 종래 차량의 와이퍼 스위치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wiper switch unit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4의 (a)는 도 1의 절도산을 X 방향으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운전자가 각 동작 모드로 전환시 조작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A)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1 in the X direc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a), (c) is a change in the operating force when the driver switches to each operation mode Graph showing.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 중 턴 시그널 스위치의 절도산을 도시한 전개도, (b)는 (a)의 C-C선 단면도, (c)는 운전자가 각 동작 모드로 전환시 조작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Figure 5 (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theft of the turn signal switch of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line of (a), (c) is the driver in each operation mode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perating force when switching to.

도 6의 (a)는 풀 좌회전(FULL LH TURN)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오프(OFF)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는 우측 차선 변경(RH LANE CHANGE)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6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theft while in the full left turn mode, (b) is a view in which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theft while in the OFF mode of operation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a theft mountain when in the RH LANE CHANGE operation mode.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 중 와이퍼 스위치의 절도산을 도시한 전개도, (b)는 (a)의 D-D선 단면도, (c)는 운전자가 각 동작 모드로 전환시 조작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Figure 7 (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theft of the wiper switch of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D line of (a), (c) is the driver in each operation mode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operating force when switching.

도 8의 (a)는 미스트(MIST)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오프(OFF)에서 간헐(INT)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c)는 간헐(INT)에서 저속(LO)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d)는 저속(LO)에서 고속(HI)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슬라이더가 절도산과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8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a moderation mountain when in the MIST operation mode, and FIG. 8B is a view in which the slider is stealed when switching from OFF to intermittent INT mo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ntact with a mountain, (c) is a sectio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a moderation mountain when switching from intermittent (INT) to a low speed (LO) operating mode, and (d) shows a state where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a low speed (LO) (HI)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where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the grand theft when switching to the operating mod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 : 턴 시그널 스위치 유닛 11, 51 : 레버10: turn signal switch unit 11, 51: lever

12 : 힌지부 13 : 슬라이더12: hinge portion 13: slider

14 : 스프링 15 : 안내 부재14 spring 15 guide member

16, 56 : 하우징 17, 57 : 절도산16, 56: housing 17, 57: theft

18, 58 : 텐션 리브18, 58: tension rib

Claims (4)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더와;A slider which is vertically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복수의 동작 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동작 모드의 각 경계면 구간에서 상기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텐션 리브가 형성된 절도산이 구비된 하우징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A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and has a stealing mountain formed with a tension rib protruding from a surfac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in each boundary section of the operation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텐션 리브는 상기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절도산 및 상기 텐션 리브에 의해 세 부분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The tension rib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is in contact with the three parts by the stealing mountain and the tension rib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텐션 리브는 상기 슬라이더가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일방향으로 다른 동작 모드로 진행할 때 상기 슬라이더와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The tension rib is a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slider increases in size when the slider proceeds from one operation mode to another operation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절도산은 산과 골이 반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산에서 상기 골로 이동하여 각 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 떨림 노이즈가 방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유닛.The stealing mountain has a mountain and a valley repeating shape, the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shaking noise is prevented when the slider moves from the mountain to the goal to enter each operation mode.
KR1020080119619A 2008-11-28 2008-11-28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KR101372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619A KR101372191B1 (en) 2008-11-28 2008-11-28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619A KR101372191B1 (en) 2008-11-28 2008-11-28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847A KR20100060847A (en) 2010-06-07
KR101372191B1 true KR101372191B1 (en) 2014-03-07

Family

ID=423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619A KR101372191B1 (en) 2008-11-28 2008-11-28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19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71U (en) * 1992-08-19 1994-03-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Vehicle direction indicator
JP2001229788A (en) 2000-02-17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ver switch and complex switch using the same
JP2005153777A (en) 2003-11-27 2005-06-16 Tokai Rika Co Ltd Direction indicating device for vehicle
KR20060079682A (en) * 2005-01-03 2006-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ever over-run preventing apparatus of wiper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71U (en) * 1992-08-19 1994-03-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Vehicle direction indicator
JP2001229788A (en) 2000-02-17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ver switch and complex switch using the same
JP2005153777A (en) 2003-11-27 2005-06-16 Tokai Rika Co Ltd Direction indicating device for vehicle
KR20060079682A (en) * 2005-01-03 2006-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ever over-run preventing apparatus of wiper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847A (en)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396B1 (en)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for vehicles
JP4464846B2 (en) Switch device
JP2005504685A (en) Signal generator for adjus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shift device
KR101372191B1 (en) Multi-function switch unit of vehicle
US6333475B1 (en) Lever switch, compound switch having the lever switch, and vehicle using the lever switch
KR100365192B1 (en) Stick shift, especially a steering column switch for motor vehicles
EP1638119B1 (en) Movable contact of slide switch
JP5938554B2 (en) Lever switch
JP4349071B2 (en) Lever switch
JP3944376B2 (en) Lever switch for vehicle
JP2005310519A (en) Lever switch for vehicle
JP2008234934A (en) Switch device
US11004629B2 (en) Lever switch mounted on a vehicle
KR20060103225A (en) Circuit unit device
US11040651B2 (en)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for vehicles
KR200457186Y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100877959B1 (en) Dual detent pin
KR1014812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0593287B1 (en) Winker lever
KR200492553Y1 (en) A shift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JP2001171384A (en) Shift lever device
JP2023183868A (en) Lever switch, display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KR100718570B1 (en) A wiper switch device for vehicle
JP2013006535A (en) Shift device
KR20070112963A (en) Automobile multi-functio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