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95B1 - 금강경 청자 전탑 - Google Patents

금강경 청자 전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295B1
KR101371295B1 KR1020120105032A KR20120105032A KR101371295B1 KR 101371295 B1 KR101371295 B1 KR 101371295B1 KR 1020120105032 A KR1020120105032 A KR 1020120105032A KR 20120105032 A KR20120105032 A KR 20120105032A KR 101371295 B1 KR101371295 B1 KR 10137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adon
pagoda
sutra
tower
gumganggy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고
Original Assignee
박용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고 filed Critical 박용고
Priority to KR102012010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강경 청자 전탑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을 열 경우 상기 부처님이 보여지며, 가로길이 외경(A1)은 3060mm, 가로길이 내경(A2)은 2780mm, 세로길이 외경(B1)은 3060mm, 세로길이 내경(B2)은 2780mm, 높이(A3)는 2000mm로 형성되는 감실; 및 상기 감실이 형성된 층과 각층의 탑신부 4면에 불교 경전 금강경을 써넣고 새기기 위해 청자전(U1) 또는 청자전(U2)에 불교 경전 금강경의 한자씩이 붓으로 써넣고 새겨서 형성되어 형성되는 금강경 면; 을 포함함으로써, 통도사의 도자 대장경, 해인사의 팔만대장경 등에 비견되는 불교적 크나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현존 석탑이나 모전 석탑은 탑의 구조적인 아름다움만을 강조하나 청자 전탑은 탑신 청자전에 불교 경전 금강경을 전 하나 하나에 붓으로 써넣어 그 전으로 축조함으로써 그 탑의 가치와 불심 그리고 불자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불경을 붓으로 쓰고 새겨 넣을 때 사용하는 묵은 불에 타지 않고 오랜 세월 지워지지 않을 유약 형태의 안료를 사용한다.

Description

금강경 청자 전탑{Gumganggyung celadon zhuanta}
본 발명은 금강경 청자 전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존 전탑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하절기의 탑 낙수면 등에 잡초가 자라거나 퇴적물이 쌓여 탑을 훼손할 우려가 있으나 청자 전탑은 청자전을 구워낼 때 유약을 입혀 구워냄으로써 전의 표면이 유리면처럼 매끄러워 퇴적물이 쉽게 쌓이지 아니할 뿐아니라 잡초의 뿌리가 쉽게 활착할 수 없으며 또한 청자의 그 찬란한 비색은 물론 천년 그 이상이 지나도 그 모습은 원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강경 청자 전탑에 관한 것이다.
불탑(佛塔)은 부처의 사리 보관을 위함으로 초기에는 사찰(寺刹)의 중심부(中心部)에 위치(位置)하며 경배(敬拜)의 대상(對象)으로서 사찰의 필수 구조물이며 4세기경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해 내려온 이래 여러 가지 형태의 불탑이 축조되었으며 상당수는 소실되든가 파손되어 흔적만이 남아있는 것도 있으나 경주 불국사의 다보탑과 석가탑과 같이 유구한 세월을 견뎌내어 민족의 보물로서 경배의 대상인 탑들도 많이 있다.
불교 전래 초기에는 목탑이 주류를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하나 목재의 특성상 불에 취약하고 내구성면에서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석탑이나 모전 석탑이 탑의 주류로 발전한 바 있다.
한편, 고려 의종 때 고려 청자기와가 개발되어 궁궐을 지으면서 임금이 명을 내려 청자기와를 만들어 올리라 명하며 청자에는 신비한 기가 있으니, 첫째로 나라에 액운을 없애 주고 둘째로 화재를 막아주고 셋째로 낙뢰를 피한다 전해진다. 이 불가사의한 청자에 불교 경전인 금강경 5,149자에 의미를 부여하여 붓으로 쓰고 새겨 구워서 찬란한 이 나라 불교문화를 시방 세계에 널리 알리며 보고 듣고 느끼며 지존하신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모든 불자가 성불할 수 있도록 한 이름하여 신비한 청자 금강경 전탑에 관한 것이다. 고려청자 항아리나 기타 작품 등 수 많은 청자 진품 등이 국가의 문화 유산으로서 귀하게 대접받으며 많은 사람에게 감동과 우리 문화의 대표라는 자긍심을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더 나아가, 우리 문화의 대표인 청자는 우리 민족의 자긍심이며 그 화려하고 아름다운 비색은 일본이나 중국 등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인 부러움의 대상인바 청자 개발에 투자한 36년의 세월 속에 국보로 지정된 여러 사찰의 석탑이나 모전 석탑 그리고 전탑 등을 연구하던 중 불교의 팔만대장경이나 경주 불국사의 다보탑과 석가탑 등에 필적할만한 가치를 지닌 청자 전탑 구축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관련기술문헌]
1. 납골당이 내장된 석탑(A STONE TOWER EQUIPPED WITH CHARNEL HOUS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08436호)
2. 사찰용 인등석탑(A Prayer light pagoda for buddhist temple)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182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현존 전탑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하절기의 탑 낙수면 등에 잡초가 자라거나 퇴적물이 쌓여 탑을 훼손할 우려가 있으나 청자 전탑은 청자전을 구워낼 때 유약을 입혀 구워냄으로써 전의 표면이 유리면처럼 매끄러워 퇴적물이 쉽게 쌓이지 아니할 뿐아니라 잡초의 뿌리가 쉽게 활착할 수 없으며 또한 청자의 그 찬란한 비색은 물론 청자전 표면에 쓰고 새겨 넣은 금강경 한자 한자 모두 천년 그 이상이 지나도 그 모습은 원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강경 청자 전탑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1차로 소성 완료한 전돌 하나하나에 금강경 5,149자를 한글자 씩 붓으로 쓰고 새겨 넣어 2차 소성을 거쳐 만드는 것으로 제공한다.
또한, 내부 감실은 존엄 지존의 공간으로서 부처님을 모시는 공간으로 형성하여 불공 및 예불을 드리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은, 문의 맞은편에 부처님을 모시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문을 열 경우 상기 부처님이 보여지며, 가로길이 외경(A1)은 3060mm, 가로길이 내경(A2)은 2780mm, 세로길이 외경(B1)은 3060mm, 세로길이 내경(B2)은 2780mm, 높이(A3)는 2000mm로 형성되는 감실; 및 전탑 각층의 탑신 부위에 불교 경전 금강경을 붓으로 쓰고 새겨넣기 위해 청자전(U1) 또는 청자전(U2)에 불교 경전 금강경(5,149자)의 한자씩이 붓으로 써넣고 새겨서 형성되어 형성되는 금강경 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실 및 상기 금강경 면은, 각층 탑신부 4면에 형성되며, 감실 내부 벽면이 청자도판으로 탱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실의 벽면을 이루는 청자 도판은 695mm*1800mm*18mm 규격 사이즈가 12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실의 바닥을 이루는 청자 도판은 695mm*1390mm*18mm 규격 사이즈가 8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실 내부의 벽면에 둘러쳐지는 청자 도판으로 벽체를 마감하는데, 청자 도판의 규격은 가로 길이가 695mm, 높이가 2000mm, 그리고 두께가 18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실에 형성된 상기 문의 폭(C1)는 720mm, 그리고 높이(C2)로 72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자전 기반의 전탑은, 5층으로 형성되며, 옥개 및 낙수면을 제외한 탑신 부위 상에서 불교 경전 금강경의 한자씩이 새겨진 청자전 각각은 놓여진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타입의 청자전 중 두 개가 길이 방향의 중앙에 놓여 무게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타입의 청자전은 청자전(U1)와 청자전(U2)으로 길이관계의 비율이 2 : 1(140mm*280mm*두께50mm : 70mm*280mm*두께5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자전 기반의 전탑 상에 형성된 지붕돌 부위는, 하나의 청자전의 하부에는 상기 하나의 청자전의 전체 길이 중 전단으로부터 1/3(약90mm) 되는 지점에 하부의 청자전의 전단이 위치하고, 상기 하나의 청자전의 상부에도 상기 1/3되는 지점에 상부의 청자전의 전단이 위치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들여쌓기와 내쌓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자전(U1)과 상기 청자전(U2) 각각은, 흙을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850℃에서 12시간 1차로 구워 만든 청자전으로 1차 소성을 마친 후 금강경 한자한자를 써넣고 새겨 청자 유약을 바른 후 1,350℃ 고온에서 12시간 2차 소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탑신 및 옥개 낙수면에 상기 청자전(U1)과 상기 청자전(U2)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층마다의 탑신의 중앙 부위에는 탱화를 삽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도사의 도자 대장경, 해인사의 팔만대장경 등에 비견되는 불교적 크나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현존 석탑이나 모전 석탑은 탑의 구조적인 아름다움만을 강조하나 금강경 청자 전탑은 탑신 청자전에 불교 경전 금강경을 전 하나 하나에 붓으로 써넣고 새겨 그 청자전으로 축조함으로써 그 탑의 가치와 불심 그리고 불자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에서의 감실의 구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금강경 청자 전탑에서의 감실문의 외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금강경 청자 전탑에 금강경을 써넣고 새긴 청자전을 축조하여 구현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에 사용되는 청자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에 사용되는 청자전의 전돌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에서의 감실(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금강경 청자 전탑에서의 감실문(100)의 외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금강경 청자 전탑 내부의 공간인 감실(龕室: 100)은 부처를 상징하는 유물(遺物)을 모시는 탑(塔)의 내부 공간(內部 空間)이다. 중국(中國)의 경우 감실의 내부에 계단을 두어 상부까지 올라갈 수 있는 구조이나 한국(韓國)은 약간의 감실 외 전혀 내부 공간을 두지 않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에서의 감실(100)은 한국형으로 형성된다.
감실(100)은 전탑 내부 공간으로서 부처님을 모시는 공간이 중앙에 형성된 문(30)의 맞은편에 형성되어 문(30)을 열 경우, 부처님(20)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 전탑은 단지 부처님을 모시는 일반적 공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은 기단 1층 내부 공간 전체를 불화를 그리거나 조각한 대형 청자 도판 여러 장으로 벽면을 두르고 바닥 역시 대형 청자 도판 여러장으로 장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벽면을 이루는 청자 도판은 695*1800*18mm 규격 사이즈가 12장으로 형성되며, 바닥을 이루는 청자 도판은 695*1390*18mm 규격 사이즈가 8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실(100) 내부의 장식을 형성하여 부처님을 모시는 공간을 화려하고 존엄 있게 장식하여, 부처님을 더 한층 존엄 숭상토록 하고자 한다.
한편, 감실(100)의 내부는 금강경 청자 전탑의 1층에 형성되어 탑신 내부 공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여기서 감실(100)의 가로길이 외경(A1)은 3060mm, 가로길이 내경(A2)은 2780mm, 세로길이 외경(B1)은 3060mm, 세로길이 내경(B2)은 2780mm, 높이(A3)는 2000mm로 형성된다. 이때 감실 내부 벽면에 둘러쳐지는 청자 도판으로 벽체를 마감하는데, 청자 도판의 규격은 가로 길이가 695mm, 높이가 2000mm, 그리고 두께가 18mm로 형성된다. 즉 감실(100)은 청자전으로 형성된 외부벽(10)을 기준으로 외경과 내경이 구분된다.
한편, 감실(100)의 외부의 문(30)의 가로길이(C1)는 720mm, 그리고 세로길이(C2)로 720mm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벽면을 두를 수 있는 대형 청자 도판을 도시하였으며, 규격이 세로길이가 1800mm, 가로길이가 700mm, 그리고 두께가 18mm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서의 금강경 청자 전탑에 구현되는 한 쪽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1)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에 사용되는 청자전의 구조와 내어 쌓기와 들여 쌓기의 한 예이며 전의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의 모양이 요철로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금강경 청자 전탑(1)의 한 쪽면에는 불교 경전 금강경을 새기기 위해 청자전(U1) 또는 청자전(U2)에 불교 경전 금강경의 한자씩이 새겨져서 형성되어 금강경 면(2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금강경 면(200)은 감실(100)이 형성된 1층에 전체적으로 둘러쳐져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 둘러쳐져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금강경 청자 전탑(1)은 도 4와 같이 5층으로 형성가능하며, 금강경 면(200) 상에서 불교 경전 금강경의 한자씩이 새겨진 청자전(U1)과 청자전(U2) 각각은 놓인 상부 또는 하부에 U1 또는 U2 타입의 청자전 중 두 개가 길이 방향의 중앙에 놓여 무게를 받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과 같이 X1의 위치에 있는 청자전(U1)의 하부에는 X21의 위치에 있는 청자전(U2)와 X21의 위치에 있는 청자전(U1)가 만나는 지점이 X1의 위치에 있는 청자전(U1)의 중앙(c)과 수직으로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지붕돌(300) 부위는 청자전(U1)의 하부에는 청자전(U1)의 전체 길이 중 전단으로부터 1/3 되는 지점에 하부의 청자전(U1)의 전단이 놓인다. 그리고 청자전(U1)의 상부에도 동일하게 1/3되는 지점에 상부의 청자전(U1)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청자전(U1)와 청자전(U2)의 길이관계는 2:1로 형성된다.
도 5b에서 전돌에 홈을 형성하고, 몰탈을 삽입하여 전돌을 서로 쌓는 것으로, 몰탈을 삽입함으로 진동을 방지하고, 서로 밀착시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청자전(U1)과 청자전(U2)는 흙을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850℃에서 12시간 1차로 구워 만든 청자전으로 1차 소성을 마친 후 우리나라 고유의 청자 유약을 바른 후 1,350℃ 고온에서 12시간 2차 소성함으로써 돌보다 단단하며 그 어떤 탑의 소재보다도 화려한 색감을 가진 전탑의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청자전(U1)과 청자전(U2)는 불교의 여러 경전 중 많은 불자가 숭상하는 금강경 5,149자를 전 하나 하나에 붓으로 써넣고 그 전을 구워냄으로써, 그 전 및 그 글자가 영원불변의 탑 소재가 되며 그 자재로 축조한 영원불변의 전탑을 바라보며 혹은 탑을 돌아보면서 불심을 키우고 불자로서의 무한한 깨달음을 키워 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금강경 청자 전탑(2)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금강경 청자 전탑(2)은 2층으로 형성되며, 금강경 면(200)이 1층 전단에 형성된다.
한편, 금강경 면(200)은 청자전(U1)와 청자전(U2)의 조합으로 6행으로 형성되는 것의 예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외부벽
20: 부처님상
30: 문
100: 감실
200: 금강경 면
300: 지붕돌

Claims (10)

  1. 문의 맞은편 단에 부처님을 모시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문을 열 경우 상기 부처님이 보여지며, 가로길이 외경(A1)은 3060mm, 가로길이 내경(A2)은 2780mm, 세로길이 외경(B1)은 3060mm, 세로길이 내경(B2)은 2780mm, 높이(A3)는 2000mm로 형성되는 감실; 및
    상기 감실이 형성된 층 및 각층 탑신 부위 4면에 불교 경전 금강경을 써넣기 위해 청자전(U1) 또는 청자전(U2)에 불교 경전 금강경(5,149자)의 한자씩이 새겨져서 형성되어 형성되는 금강경 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실 및 상기 금강경 면은,
    탑의 1층에 탑신부에 형성되며, 감실 내부 벽면이 청자도면으로 탱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실의 벽면을 이루는 청자 도판은 695mm*1800mm*18mm 규격 사이즈가 12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감실의 바닥을 이루는 청자 도판은 695mm*1390mm*18mm 규격 사이즈가 8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실 내부의 벽면에 둘러쳐지는 청자 도판으로 벽체를 마감하는데, 청자 도판의 규격은 가로 길이가 659mm, 높이가 2000mm, 그리고 두께가 18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실에 형성된 상기 문의 가로길이(C1)는 720mm, 그리고 세로길이(C2)로 720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자전 기반의 전탑은,
    5층으로 형성되며, 금강경 면 상에서 불교 경전 금강경의 한자씩이 붓으로 써넣고 새겨 구워낸 청자전 각각은 놓여진 상부 또는 하부에 다른 타입의 청자전 중 두 개가 길이 방향의 중앙에 놓여 무게를 받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른 타입의 청자전은
    청자전(U1)와 청자전(U2)으로 길이관계의 비율이 2 : 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청자전 기반의 전탑 상에 형성된 지붕돌 부위는,
    하나의 청자전의 하부에는 상기 하나의 청자전의 전체 길이 중 전단으로부터 1/3 되는 지점에 하부의 청자전의 전단이 위치하고,
    상기 하나의 청자전의 상부에도 상기 1/3되는 지점에 상부의 청자전의 전단이 위치의 전단이 위치하도록 하여 들여쌓기와 내쌓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청자전(U1)과 상기 청자전(U2) 각각은,
    흙을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850℃에서 12시간 1차로 구워 만든 청자전으로 1차 소성을 마친 후 금강경 한자 한자를 각전 하나하나에 써넣고 청자 유약을 바른 후 1,350℃ 고온에서 12시간 2차 소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강경 면은,
    상기 청자전(U1)과 상기 청자전(U2)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강경 청자 전탑.
KR1020120105032A 2012-09-21 2012-09-21 금강경 청자 전탑 KR101371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32A KR101371295B1 (ko) 2012-09-21 2012-09-21 금강경 청자 전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032A KR101371295B1 (ko) 2012-09-21 2012-09-21 금강경 청자 전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295B1 true KR101371295B1 (ko) 2014-03-13

Family

ID=5064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032A KR101371295B1 (ko) 2012-09-21 2012-09-21 금강경 청자 전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865Y1 (ko) * 1998-04-10 2001-02-01 오재국 납골당이 내장된 석탑
KR20030091087A (ko) * 2003-10-31 2003-12-01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환경도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0745162B1 (ko) * 2007-01-04 2007-08-01 진성호 다층구조 접합에 의한 이미지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8425B1 (ko) * 2010-01-15 2012-04-26 주식회사 비젼세라믹 발색 물질을 이용하여 착색 점토 벽돌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착색 점토 벽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865Y1 (ko) * 1998-04-10 2001-02-01 오재국 납골당이 내장된 석탑
KR20030091087A (ko) * 2003-10-31 2003-12-01 주식회사 대성아이디 환경도자블록의 제조방법
KR100745162B1 (ko) * 2007-01-04 2007-08-01 진성호 다층구조 접합에 의한 이미지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8425B1 (ko) * 2010-01-15 2012-04-26 주식회사 비젼세라믹 발색 물질을 이용하여 착색 점토 벽돌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착색 점토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81418A (zh) 一种颜色釉玲珑瓷的制备方法
Ivashko et al. Ways of performance and preservation of monumental art works on the facades of architectural monuments of the 19th-early 20th century
Mitchell The display of script and the uses of painting in Longobard Italy
KR101371295B1 (ko) 금강경 청자 전탑
Pugachenkova 'Ishrat-Khāneh and Ak-Saray, Two Timurid Mausoleums in Samarkand
Bakhriddinovna et al. Architectural Ceramics of Ancient Samarkand
Yardımcı The glazed tile techniques of the Seljuk and Beylik periods
Topličić-Ćurčić et al. Architecture and ceramic materials, development through time: Ceramic tiles and ceramic roof tiles
Al Omari et al. The general model of golden horde architectural décor
Ćurĉić Gordana Topliĉić-Ćurĉić, Ana Momĉilović-Petronijević
Miqayelyan Dadivank as an example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rtsakh school of architecture
Matloob Tomb of Tahir Khan Nahar in Sitpur: An Analysis of its Architectural Features and Decorative Elements
DEMİRARSLAN et al. AN OVERVIEW OF TILE ART IN TURKISH ARCHITECTURE.
CN217711339U (zh) 一种古建筑修复的仿古砖
Liping A Study of Dali-Sukhothai Cross-cultural Ceramic Art Creation
KR20190109128A (ko) 청자 타일 및 그 제조방법
Wang Color Research of Chi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Song Dynasty
Nikravesh et al. Structure of the New Julfa Churches of Isfahan after the Migration of Armenians in the Safavid Era
Vella et al. The Eternal Youth of Capalbio’s ‘Monsters’: A Planned and Preventive Conservation Project
Bilal et al. Kashi-kari at the Mosque Wazir Khan Lahore
Solovyev RELIGIOUS INTERIORS OF MOSCOW STATE PERIOD (LATE 14th-17th CENTURIES)
La Notte The painted facades and the urban landscape of Bisceglie, Italy. Notes of history and restoration
Kalay The land of symbols Korean roof tiles
CN104947899B (zh) 一种立体艺术瓷砖和其加工工艺及其应用
JPH03469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