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063B1 - 차량용 진공 펌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진공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063B1
KR101371063B1 KR1020120040821A KR20120040821A KR101371063B1 KR 101371063 B1 KR101371063 B1 KR 101371063B1 KR 1020120040821 A KR1020120040821 A KR 1020120040821A KR 20120040821 A KR20120040821 A KR 20120040821A KR 101371063 B1 KR101371063 B1 KR 10137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otor shaft
vacuum pump
protrusion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004A (ko
Inventor
정기호
이장호
이승용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06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5/00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 F04C25/02Adaptations of pumps for special use of pumps for elastic fluids for producing hig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진공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로터;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모터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에는 상기 중공의 직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중공에 수용된 부분 중 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와 모터의 결합력이 향상되어서 로터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진공 펌프{Vacuum Pu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진공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진공 펌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제동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 펌프가 마련된다.
통상의 진공 펌프는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등과 연결되어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에 있는 공기를 빼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진공 펌프의 구성은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고속 회전을 하여 그 주위를 저압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등으로부터 공기를 빼내는 로터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부스터나 진공챔버 내부 압력의 공기 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이 되는 경우, 모터가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진공 챔버나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의 공기를 그 외부로 빼내어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펌프는 모터의 회전력이 로터에 전달되면서 모터와 로터의 결합력이 부족해서 로터가 회전되는 동안에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었다. 이렇게 발생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서 진공 펌프에 고열이 발생된다거나, 사용자가 자동차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등의 다양한 불편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로터와모터의 결합력을 향상시켜서 로터와 모터의 결합에 의해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진공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모터 샤프트를 로터에 결합할 때에,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로터;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모터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에는 상기 중공의 직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중공에 수용된 부분 중 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중공은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와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경부는 상기 소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모터 샤프트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은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중공의 중간 부위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돌출부가 중간 부위를 고정하고,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로터;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모터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은 상기 중공의 직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중공의 중간 부위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모터 샤프트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모터 샤프트에는 상기 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터와 모터의 결합력이 향상되어서 로터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모터 샤프트를 로터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공 펌프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공 펌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공 펌프의 부분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비교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의 정단면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공 펌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공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펌프(1)는 펌프유닛(100)과, 상기 펌프유닛(100) 상부에 챔버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유닛(100)의 하측에 연결되어 모터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펌프유닛(100)은 로터부(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 및 상부 플레이트(130)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부(110)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로터부(110)는 캠링(102) 내부에 설치된다. 로터부(110)는 로터(110a)와, 상기 로터(110a)에 구비된 슬롯에 삽입되는 베인(1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링(102)에는 로터(110a) 회전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방열돌기(102a)가 구비된다.
캠링(102) 하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상에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기 위한 흡입구(122)와 배출구(124)가 이격 배치되고, 캠링(102) 상측에는 상부 플레이트(130)가 구비된다.
챔버부(200)는 인너캡(210)과 아웃터캡(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너캡(210)은 상부 플레이트(130)의 상측을 커버하고, 아웃터캡(220)은 인너캡(210)의 상측을 커버하며 모터유닛(300)에 고정된다.
상기 인너캡(210)과 아웃터캡(220)은 모터유닛(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게 설치된다.즉, 인너캡(210)으로 배출된 공기가 아웃터캡(300)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인너캡(210)과 아웃터캡(220)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인너캡(210)과 아웃터캡(220)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인너캡(210) 또는 아웃터캡(220)의 재질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너캡(21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아웃터캡(220)은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소음 감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유리하다. 왜냐하면, 인너캡(210)은 고주파의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 압력 변동에 따른 떨림이 적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저주파의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아웃터캡(220)이 딱딱한 특성을 갖는 경질의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인너캡(210)에는 모터유닛(300)의 상면에 고정되기 위해 상기 인너캡(210)의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플랜지(216)에 통공(214)이 구비된다.
펌프유닛(100)의 하면에는 상기 펌프유닛(100)이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진동 저감과, 고압의 배출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400)가 설치된다.
패킹부재(400)는 상기 펌프유닛(100)이 상기 모터유닛(300)에 설치될 때, 최초 두께의 30% 이상 압축되면서, 상기 펌프유닛(100)와 상기 모터유닛(300)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패킹부재(400)는 펌프유닛(100)의 하측면에서 댐핑의 역할과, 씰링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400)는 흡입구(122)와 연통된 패킹홀(410)이 구비된다.
모터유닛(300)의 내부에는 모터(31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310)는 하측에 구비된 고정캡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진공 펌프의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모터유닛(300)에 관한 도면인데, 상기 모터유닛(300)의 상측에는 모터 샤프트(312)가 상기 모터유닛(30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상단에는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회전력이 상기 로터(110a)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핀(도 4에 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 안착홈(314)이 마련된다. 상기 안착홈(314)은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지름 방향으로 소정 깊이 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는 중공(140)이 형성된 로터(110a) 및 상기 중공(140)에 삽입되는 모터 샤프트(312)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샤프트(312)는 상기 모터(310)에 마련된 회전축으로, 상기 모터(3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일부가 상기 중공(14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로터(110a)와 체결이 이루어져 상기 로터(11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중공(140)에는 상기 중공(140)의 직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돌출부(150)가 배치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중공(140)의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감소된다.
상기 돌출부(150)는 전체적으로 환형의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중공(14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중공(140)의 중심을 향해서 동일한 정도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140)은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160)와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경부(160)의 내부 직경(D2)는 상기 소경부(162)의 내부 직경(D3)보다는 크다.
특히 상기 대경부(160)는 상기 소경부(162)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작업자가 상기 모터 샤프트(312)를 상기 대경부(160)를 통해서 상기 돌출부(150)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상기 모터 샤프트(312)를 상기 중공(140)에 삽입할 때에는 구멍의 크기가 큰 것이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대경부(160)와 상기 소경부(16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대경부(160)와 상기 소경부(162)의 경계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150)의 내주면 직경(D1)은 상기 대경부(160)의 내주면 직경(D2)와 상기 소경부(162)의 내주면 직경(D3)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모터 샤프트(312)는 상기 돌출부(150)에 의해서 상기 중공(140)에 수용된 부분 중 일부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312)를 상기 로터(110a)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로터(110a)의 상기 중공(140)에 삽입된 모든 면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돌출부(150)와 접촉한 면만을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로터(110a)와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접촉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이 감쇠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중공(140) 내부로 상기 모터 샤프트(312)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중공(140)의 내주면과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외주면 사이에 공차가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상기 모터 샤프트(312)와 상기 로터(110a)의 접촉 면적이 불필요하게 커지면, 그에 따른 접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상기 모터 샤프트(312)는 상기 중공(140)의 중간 부위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 샤프트(312)가 상기 로터(110a)의 전체 높이(H1) 중에서 중간 위치(H2)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롤링(rolling)과 같은 형태의 진동의 진폭이 적은 위치에서 상기 로터(110a)와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터(110a)를 높이 방향의 중심을 갖는 축을 기준으로 봤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병진 운동의 회전 중심은 상기 로터(110a)의 중간 위치(H2)가 된다. 따라서 중심축에서 멀어질 수록 발생되는 진동의 폭이 커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 샤프트(312)와 상기 로터(110a)가 상기 로터(110a)의 중간 위치(H2)에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상기 안착홈(314)에는 핀(33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상기 안착홈(314)에 상기 핀(330)이 설치된 후에, 상기 모터 샤프트(312)를 상기 중공(140)에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대경부(160)의 직경은 상기 핀(330)의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330)의 길이는 상기 안착홈(314)의 길이, 즉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직경보다 크다. 왜냐하면 상기 모터 샤프트(312)가 회전될 때에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회전력이 상기 로터(110a)에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돌출부(150)에는 상기 핀(330)이 삽입되는 삽입홈(15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52)은 상기 안착홈(314)에 대응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상기 삽입홈(152)은 상기 중공(140)의 전체 높이(H1)과 비교해서 중간 높이(H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 샤프트(312)가 상기 중공(140)의 중간 부위 또는 그 이상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홈(152)의 위치도 상기 모터 샤프트(312)에 대응되도록 중간 높이(H2)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중공(140)의 중간 높이(H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5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돌출부(150)의 중간 부위, 즉 상기 돌출부(150)의 중심이 상기 중공(140)의 중간 높이(H2)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샤프트(312)는 상기 돌출부(150)가 중간 부위를 고정하고, 상기 돌출부(15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는 상기 돌출부(15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터 샤프트(312)와 상기 로터(110a) 간에 불필요하게 접촉 면적이 늘어나서, 상기 모터 샤프트(312)와 상기 돌출부(150) 사이에 접촉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모터 샤프트(312)는 상기 돌출부(150)와 접촉에 의해서 고정되고, 다른 부분에서는 상기 로터(110a)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돌출부(150)가 상기 모터 샤프트(312)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핀(33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모터 샤프트(312)와 상기 로터(110a)는 실질적으로 상기 돌출부(150)를 매개로 서로 결합되는데, 상기 핀(330)의 두께 보다 넓은 두께를 갖는 면적으로 상기 돌출부(150)가 상기 모터 샤프트(312)를 고정해야 충분한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결과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에서 좌측의 '개선 전'이라고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종래 차량용 진공 펌프를 구동할 때에 대략 70.49dB의 소음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실험 결과인 우측의 '개선 후'를 살펴보면 차량용 진공 펌프를 구동할 때에 대략 65.61dB의 소음이 발생하였고, 따라서 대략 5dB의 소음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개선 전'과 '개선 후'의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회전속도, 상기 로터(110a)의 크기,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크기 등은 서로 동일하고,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에 관한 부분만이 개선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펌프의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해서, 상기 중공(140)이 상기 대경부(160)와 상기 소경부(162)를 포함하는 대신, 함몰부(170)를 구비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모터 샤프트(312)는 상기 함몰부(170)가 아닌 상기 돌출부(150)에 의해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17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직경(D4)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170)는 상기 돌출부(150)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함몰부(170)의 직경(D4)은 상기 돌출부(150)의 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한편 상기 함몰부(170)의 직경은 상기 핀(330)의 길이보다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함몰부(170)를 통해서 상기 핀(330)이 결합된 상기 모터 샤프트(312)가 상기 중공(140)으로 인입되는데, 인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차량용 진공 펌프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도로를 따라 주행하다가 전방 차량의 제동을 확인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밝으면, 차량에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진공 펌프(1)가 작동된다.
진공 펌프(1)는 부스터 백(미도시)에 필요한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모터(310)에 구비된 모터 샤프트(312)가 회전되고, 모터 샤프트(312) 결환된 로터(110a)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모터 샤프트(312)가 회전되면 상기 핀(330)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핀(330)은 상기 삽입홈(152)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상기 로터(110a)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샤프트(312)의 회전력을 상기 로터(110a)에 전달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인, 상기 핀(330), 상기 삽입홈(152) 및 상기 돌출부(150)의 위치가 상기 로터(110a)의 전체 높이(H1)에 대해서 중간 높이(H2)이기 때문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왜냐하면 중간 높이(H2)에서는 상기 로터(110a)가 높이 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 인해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마모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차량용 진공 펌프를 초기에 사용할 때에는 마모가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이 작을 수 있으나, 사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기 로터(110a)의 모서리 부분의 마모가 증가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인(110b)은 로터(110a)의 회전에 의해 캠링(102)의 내주면과 마찰 되면서 슬롯홀을 따라 이동되고, 공기 유입구(320)를 통해 진공생성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로터(110a)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발생 되는 마찰열은 캠링(102)으로 전도되고, 방열돌기(102a)에 의해 외측으로 방열 된다.
로터(110a)가 고속 회전되면서 공기 유입구(320)와 흡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유입 공기는 로터(110a)에 의해 압축되고, 배출구(124)로 배출된다. 로터(110a)가 고속회전되기 때문에, 배출공기는 배출구(124)로 배출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압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배출구(124)를 경유하여 인너캡(210)의 내측 영역으로 배출된다. 배출공기는 캠링(102)의 외주면과 인너캡(210)의 내주면 사이의 영역을 따라 이동되고, 상부 플레이트(13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된다.
인너캡(210) 내부에서 배출공기의 흐름은 난류 형태로 이루어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너캡(210)의 원주 방향과 수직 방향(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펌프유닛 140: 중공
150: 돌출부 160: 대경부
162: 소경부 170: 함몰부
200: 챔버부 300: 모터유닛

Claims (21)

  1. 중공이 형성된 로터;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모터 샤프트; 및
    상기 모터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로터에 전달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에는 상기 중공의 직경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중공에 수용된 부분 중 일부가 고정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핀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핀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마련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돌출부가 중간 부위를 고정하고,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부에서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부와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경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소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 직경은 상기 대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모터 샤프트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중공의 중간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전체적으로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샤프트는 상기 중공의 중간 부위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진공 펌프.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040821A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진공 펌프 KR10137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821A KR101371063B1 (ko)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진공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821A KR101371063B1 (ko)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진공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04A KR20130118004A (ko) 2013-10-29
KR101371063B1 true KR101371063B1 (ko) 2014-03-10

Family

ID=49636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821A KR101371063B1 (ko) 2012-04-19 2012-04-19 차량용 진공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0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5393A (ja) * 1989-05-19 1990-12-18 Hitachi Ltd スクリユーロータおよびスクリユー真空ポンプ
JPH10216562A (ja) * 1997-02-05 1998-08-18 Tomy Seiko:Kk 遠心分離機
JP2000270505A (ja) * 1999-03-17 2000-09-29 Seiko Epson Corp 回転子およ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
US6250809B1 (en) * 1999-12-28 2001-06-26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Bearing structures for a motor ro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5393A (ja) * 1989-05-19 1990-12-18 Hitachi Ltd スクリユーロータおよびスクリユー真空ポンプ
JPH10216562A (ja) * 1997-02-05 1998-08-18 Tomy Seiko:Kk 遠心分離機
JP2000270505A (ja) * 1999-03-17 2000-09-29 Seiko Epson Corp 回転子およ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
US6250809B1 (en) * 1999-12-28 2001-06-26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Bearing structures for a motor r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04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0600A1 (en) Scroll compressor
KR100953626B1 (ko) 차량용 진공펌프
JP2011064166A (ja) ピストンポンプ
KR101371063B1 (ko) 차량용 진공 펌프
JP6036780B2 (ja) 圧縮機
JP5554122B2 (ja) 真空ポンプ
CN100491734C (zh) 单叶片真空泵
KR101738929B1 (ko) 전동 진공 펌프
KR20040171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WO2015076001A1 (ja) 負圧ポンプ及び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
KR101206926B1 (ko) 차량용 진공펌프
KR101347742B1 (ko) 펌프유닛 및 차량용 진공 펌프
JP4022773B2 (ja) ベーンポンプ
JP3753199B2 (ja) アキシャルピストンポンプ
US6734586B2 (en) Alternator having vacuum pump capable of improving cooling characteristic
KR101346117B1 (ko) 소음저감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진공펌프
CN206206157U (zh) 旋转式压缩机和用于旋转式压缩机的压缩机构
KR20160082605A (ko) 전동 진공 펌프
JP2006022794A (ja) 車両用真空ポンプ
KR20170001492U (ko) 소음 저감이 가능한 차량용 진공펌프
KR20070060395A (ko) 파워 스티어링용 베인 펌프구조
KR20210155422A (ko) 리저버 일체형 진공 펌프
JP6618343B2 (ja) 圧縮機
KR20170001491U (ko) 밀폐성이 향상된 차량용 진공펌프
JP6036781B2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