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01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01B1
KR101370901B1 KR1020070049523A KR20070049523A KR101370901B1 KR 101370901 B1 KR101370901 B1 KR 101370901B1 KR 1020070049523 A KR1020070049523 A KR 1020070049523A KR 20070049523 A KR20070049523 A KR 20070049523A KR 101370901 B1 KR101370901 B1 KR 10137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ded
data
data block
data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526A (ko
Inventor
김용호
공태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8/0022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130157A1/en
Priority to US12/596,363 priority patent/US8738982B2/en
Publication of KR20080094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16Time-frequency-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 Acknowledgment)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은,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49523
데이터 통신 방법, 난수 선형 부호화, 수신긍정확인 신호, 셀 경계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Method of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SAW(Stop And Wait) ARQ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GBN(Go-Back-N) ARQ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SR(Selective Repeat) ARQ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정보를 가공하고 해석하는 방법이 동작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일례로서, IEEE 802.16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계층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라 계수 행렬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라 계수 행렬을 전송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예를 들어, 이동 단말)의 데이터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통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전달함에 따라 수신측(예를 들어, 기지국)은 이를 수신하려고 하는데, 데이터 전송 실패가 발생하게 되면 송신측으로 해당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 요구를 하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의 재전송 기법으로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이 있다.
ARQ 방식이란 데이터 수신 후에 수신측에서 상기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했는지를 수신긍정확인/수신부정확인(Acknowledgment/Non-Acknowledgment) 신호를 통해 송신측에 알려주고, 송신측이 NACK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의 데이터 재전송 방식이다. ARQ 방식에는 SAW(Stop-and-wait) ARQ, GBN(Go-back-N) ARQ, 및 SR(Selective-repeat) ARQ의 세 가지 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SAW(Stop And Wait) ARQ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AW ARQ 방식에서 송신측은 데이터 전송 후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기다린다. 송신측은 ACK 신호가 수신되면 새로운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고, NACK 신호가 수신되면 이전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frame)만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전달된 것을 확인한 후에 다음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 방식은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AC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프레임을 전송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 1에서 수신측이 데이터를 수신한 후 ACK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하 는 도중에 상기 ACK 신호에 오류가 있거나 채널 환경에 따라 메시지가 유실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송신측은 데이터를 전송한 후부터 송신측이나 수신측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ACK/N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수신측이 제대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전의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도 1에서 A는 송신측을, B는 수신측을 나타낸다.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프레임의 전송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에서, 프레임은 'fr'로 표기하였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GBN(Go-Back-N) ARQ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GBN ARQ 방식은 응답 메시지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는 방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도중 제 3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수신측에서 제 3 프레임의 ACK 신호가 송신측에 전송되지 못하였으므로, 송신측은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다 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제 3프레임의 데이터부터 재전송하게 된다.
상기 방법은 프레임마다 순번(sequence number)을 부여하고 관리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구현이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올바르게 수신된 데이터를 단지 이전 순번(sequence number)의 전송이 안 된 데이터가 있다고 해서 모두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SR(Selective Repeat) ARQ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R ARQ 방식은 데이터를 계속 전송하다가 NACK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만 재전 송하는 방식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측에서 제 2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NACK 신호를 송신측에 전송한다. NACK 신호를 수신한 송신측은 상기 NACK 신호가 나타내는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재전송하여,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법 또한, 프레임마다 순번을 부여하고 관리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구현이 복잡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신뢰성이 보장된 일련의 정보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재전송 방법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시 시간 지연이 길어질 수 있다. 이는 통신망 자원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데이터 전송시 유선 또는 무선상에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의 재전송 요청을 위해 많은 정보들이 전달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수신측이 원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보장할 수 없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셀의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예를 들어, 이동 단말), 또는 두 개 이상의 수신측과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송신측은 열악한 무선 구간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송신측은 낮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밖에 없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신측(예를 들어, 기지국)간의 정보 교환과 송신측과 수신측들의 복잡한 신호 교환을 하였었다.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이 통신 과정에서 자원의 낭비 및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이 또는 두 개 이상의 수신측과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이 불필요한 자원 이용을 최소화하면서 송신측 및 수신측의 성능을 높이는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련의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최소의 지연 시간을 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서 일련의 데이터 정보의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 전송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지연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의 경계 또는 두 개 이상의 수신측(예를 들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송신측(예를 들어, 이동 단말)에게 최소한의 간단한 신호 교환으로도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셀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수신측에 전송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셀 경계 또는 두 개 이상의 수신측과 통신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한 송신측이 전송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상기 두 개 이상의 수신측들이 서로 공유하여, 어느 하나의 수신측에 전달된 데이터 블록에 오류가 있더라도 다른 하나의 수신측에 전달된 데이터 블록으로써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 Acknowledgment)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상기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 Non-Acknowledgment)를 수신하면 상기 원본 데이터를 다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에서 수신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를 송신측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 Acknowledgment)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원본 데이터를 다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여기서 쓰이는 세부사항을 나타내는 용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무선 시스템은 물론 유 선 시스템에도 폭넓게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정보를 가공하고 해석하는 방법이 동작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일례로서, IEEE 802.16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 계층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송신측의 상위계층(IP layer, ATM, Ethernet 등)은 CS(Conversgence Sublayer) SAP(Service Access Point)를 통해 데이터를 SDU(Service Data Unit)의 형태로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um Access Control) SAP를 통해 MAC CPS(Common Point Sublayer)로 전달한다.
MAC CPS에서는 SDU 형태로 전달된 데이터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라 MAC PDU(Protocol Data Unit)로 가공된다. 가공된 MAC PDU는 보안 부계층(Privacy Sublayer)에서 보안 암호(security encryption)가 추가로 부가된 후 PHY(physical) SAP를 통해 물리 계층으로 전달된다. 물리 계층은 가공된 PDU를 무선 또는 유선 구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위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인 SDU가 MAC CPS에서 가공된 MAC PDU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용어도 사용될 수 있다.
수신측의 물리계층은 무선 또는 유선 구간으로 송신측에서 전송된 MAC PDU를 수신하여 PHY SAP를 통해 MAC CPS에 이를 전달한다. 상기 MAC CPS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통해 원래 정보 데이터를 복원한다. 상기 복원된 데이터는 MAC SAP를 통해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또한, 수신측에서 데이터 수신 상태에 따라 ARQ 동작을 수행하여 ACK/NACK(Acknowledgment/Non-Acknowledgment)을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과 데이터 재전송 방법이 쓰일 수 있는 영역은 MAC CPS이다. MAC CPS에서 데이터 처리, 즉 데이터의 부호화, 복호화 등의 데이터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또한, MAC CPS에서 데이터 재전송 방법인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들 중 데이터 재전송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도 역시 MAC CPS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프로토콜 스택에서 볼 수 있듯이, 계층별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처리가 수행된다. 필요에 따라 헤더 등이 데이터의 일정 부분에 추가될 수 있다. 비록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가 가공되어 다른 계층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각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다르므로 같은 계층에서만 해당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계층끼리 통신을 주고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MAC CPS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과 데이터 재전송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으로 간략히 설명한다.
도 4에서 쓰인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과 데이터 재전송 방법이 사용되는 일례를 나타낸 것일 뿐이며, 다른 용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재전송 방법이 RLC(Radio Link Layer) 계층에서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이 제 1 기지국의 셀의 경계에 위치하거나 또는 두 개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제 1 기지국의 셀과 제 2 기지국의 셀 경계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기지국의 신호와 상기 제 2 기지국의 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두 개의 기지국(또는 수신측)은, 즉,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위 라우터(router) 또는 기지국의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서로 연결이 되어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기지국 중 하나가 서빙 기지국(또는, 마스터 기지국)이 되어 다른 기지국을 제어하고,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송수신 기기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는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randomized linear coding)이다.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은, 송신측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사용된다. 송신측은 상위계층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로 분할한다. 송신측 에서 분할된 데이터 블록들을 부호화(coding) 하기 위한 계수 행렬(coefficient matrix)을 생성하며, 상기 분할된 데이터 블록들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생성된 상기 계수행렬을 곱하거나 기타 여러 연산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은 이와 같은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는 난수 선형 복호화 방법(randomized linear decoding)이다. 난수 선형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난수 선형 복호화 방법은, 수신측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사용된다. 수신측은 송신측으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한다. 또한 송신측으로부터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상기 계수행렬을 수신한다. 수신측에서는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과 상기 계수행렬의 역행렬을 이용하거나 다른 다양한 연산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난수 선형 복호화 방법은 이와 같은 데이터 처리 방법이다.
난수 선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서 사용되는 계수행렬은 송신측 또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일정 범위에서 결정한 난수(random number)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난수란, 송신측이 또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협의를 통해 일정 범위(예를 들어, 0~255)의 수를 정하여, 상기 일정 범위의 수에서 무작위로 숫자를 추출해내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계수행렬은 계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시드(seed) 값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난수 선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은 본 발명에서 예시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정의한 용어에 불과하며, 기타 상기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위계층에서 전달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s: Protocol Data Units)로 가공된다.
상기 PDU들을 본 명세서에서는 원본 데이터 블록(original data block, 이하 'blk')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위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인 SDU를 크기 s(size)인 작은 데이터 블록으로 나누고 그 중 n개를 선택하여 데이터 블록 집합을 구성한다. 이를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original data block set)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는 데이터 처리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데이터 블록을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coded block, 이하 'coded blk')이라 부르기로 한다. 다만, 도 6a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다른 형태의 용어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안되는 난수 선형 부호화 및 복호화(Random liner coding and decoding) 방법을 사용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과 해석 방법은 통상적인 수학적 계산 방법이 아닌 유한필드(finite-field) 계산법을 이용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합리적 해석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른 계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유한필드란, 곱셈에 대한 단위원이 존재하고 영이 아닌 원소가 곱셈에 대하여 역원을 갖는 가환환을 필드(field)라 하며 특히, 그 원소의 수가 유한한 필 드(finite field)을 말한다. 유한필드는 갈로이스 필드(Galois field)라고도 하며, 크기는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1
으로 나타내고,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2
으로 표기한다.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계산 방법인 상기 유한영역 즉, 갈로이스 필드에 대한 계산법을 살펴본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3
인 유한영역은 데이터 한 개의 단위가 바이트(byte)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4
를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형태의 갈로이스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한 필드에서의 덧셈과 곱셈을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5
를 예로 설명한다. 유한 필드에서의 덧셈과 곱셈은 배타적 논리합(XOR)과 같다. 즉 비트 대 비트의 더하기와 빼기는 비트들을 XOR하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XOR의 간단한 연산은 1+1=0, 1+0=1이 된다. 곱셈의 계산에 있어서, 우선 초기 다항식(primitive polynomial)을 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 다항식으로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6
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다항식은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이므로 다른 다항식을 초기 다항식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곱셈은 두 개의 수를 나타내는 다항식의 곱으로 차수가 14인 다항식이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는 유한 필드의 차수를 넘지 못하므로 두 다항식을 곱한 후에 상기 정한 초기 다항식으로 나누어 차수를 낮춰 주어 유한 필드의 최대 차수를 넘지 않도록 해야한다. 183과 83을 곱하는 예를 설명한다. 183을 유한 필드에서 다항 식으로 나타내면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7
이고, 83은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8
이다. 이 두 다항식을 곱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09
즉,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0
가 된다. 따라서, 상기 결과값을 유한 필드의 값으로 표현하기 위해 초기 다항식으로 나누면, 그 나눈 나머지가 최종 결과값이 된다. 즉,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1
따라서, 상기 결과 값을 십진수로 표현하면 238이 된다.
이하, 상기 살펴본 계산 방법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호화(coding) 및 복호화(decoding) 방법의 일례를 상세히 서술한다.
원본 데이터 블록(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2
)의 가공을 통해 만들어지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3
)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4
여기서,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5
행렬을 계수로 이루어진 계수 행렬이라 한다. 수학식 1은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계수 행렬을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우선, 계수행렬의 크기는 상기 설정한 데이터 블록 집합의 데이터 블록 개수(n)에 맞춰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6
으로 정의한다.
계수 행렬을 생성하는 일 실시예로서, 난수로서 계수를 구성한다. 즉, 송신측이 또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협의를 통해 일정 범위(예를 들어, 0~255)의 수를 정하여, 상기 일정 범위의 수에서 무작위로 숫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다만, 계수행렬을 생성시 한번에 전체 행렬을 생성할 수 있으나, 행렬의 행 별로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7
행렬을 생성하여 각각 부호화하고 난 후에, 상기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8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Figure 112007037356948-pat00019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무작위로 숫자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시드(seed)값을 송신측과 수신측이 공유하여, 수신측이 상기 시드 값만 알고 있으면 송신측에서 생성된 계수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IEEE 802.16 시스템의 경우에는 MAC 헤더에 포함된 연결 식별자(CID: Connection ID) 정보와 숏시드(short seed)를 조합하여 이를 시드(seed)로 사용하여 계수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로서, 난수 선형 부호화(random linear coding) 방법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살핀다. 예를 들어, 원본 데이터 블록의 크기가 100 바이트(byte)이고, n의 값으로 5가 선택되었다면, 계수 행렬의 크기는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0
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송신측에서 일정 범위(예를 들어, 0~255)의 숫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생성된 계수 행렬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1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계수 행렬인 행렬과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2
)을 결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3
)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4
난수 선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으로써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구하는 예를 보았다. 하나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은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원본 데이터 블록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원본 데이터 블록을 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면, 상기 예시와 같이 계수 행렬의 첫 번째 행과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모든 데이터 블록들이 곱해져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5
) 행렬의 첫 번째 행인 E1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계수 행렬의 두 번째 행과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모든 데이터 블록들이 곱해져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6
행렬의 두 번째 행인 E2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7
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각 데이터 블록은 바이트(byte) 단위로 연산이 이루어진다. 가령, S1의 첫 번째 값이 ASCII 값으로 80을 가지고, S2의 첫 번째 값은 ASCII 값으로 81, S3의 첫 번째 값 은 ASCII 값으로 82, S4의 첫 번째 값은 ASCII 값으로 83, S5의 첫번째 값은 ASCII 값으로 84를 가질 때, 부호화 행렬의 첫 번째 행인 E1의 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1=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8
상기 데이터 블록을 부호화하는 방법은 다음 수학식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29
수학식 2를 살펴보면, coded _ blk j 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일반식을 나타내고, C ji 는 계수 행렬의 일반식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blk i 는 원본 데이터 블록(original data block)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일반화된 수식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로서,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호화된 행렬은 계수행렬과 원본 데이터 행렬의 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은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일부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이 유실되거나 오류가 생겨 원본 데이터의 복원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계수 행렬을 다시 생성하여 원본 데이터와 조합하여 만들어진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측에 전송하면 상기 유실된 데이터에 불구하고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로서, 난수 선형 복호화(random linear decoding) 방법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살핀다.
수신측에서 난수 선형 복호화(Random linear decoding)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decoding)하는 경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를 원본 데이터 블록의 개수인 n 개(예를 들어, 5개)까지 수신해야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다만,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수신시에 수신 순서에는 상관이 없으나,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에는 영향을 받는다.
즉,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데이터 블록이 수신될 때 blk 2, blk 0, blk 1 등의 순서로 수신되어도 데이터 복원에는 문제가 없으나, 데이터 블록의 개수(n)를 5로 가정한다면 데이터 블록을 5개 모두 수신해야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측은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blk 3, blk 4를 모두 수신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데이터 블록들이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에 대한 데이터 재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수신측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블럭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이외에 부호화하는데 사용한 계수 행렬이 필요하다. 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수신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계수 행렬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b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라 계수 행렬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계수 행렬을 전송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로서 행렬의 각 계수 값들을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헤더(encoded data block header)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수신측은 상기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 경우 아무런 연산 없이도 빠르게 계수 행렬을 재구성할 수 있다. 계수 행렬을 데이터 블록 헤더에 포함하는 예시는 도 6b와 같다.
도 6c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라 계수 행렬을 전송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행렬을 전송하는 다른 방법은 계수 행렬을 만드는데 필요한 시드(seed) 값을 전송함으로써, 수신측에서 상기 시드(seed) 값을 이용하여 계수를 재구성한 뒤에 계수행렬을 만들게 된다. 상기 시드 값을 전송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로서 상기 시드 값들을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헤더(encoded data block header)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시드 값을 데이터 블록 헤더에 포함하는 예시는 도 6b와 같다.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은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측에 전송되며, 수신측에서는 이를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으로 해석하기 위해 다음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복호화(decoding) 절차를 수행한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0
수신측에서는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 집합의 개수(n)의 크기 만큼, 즉 n 개 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게 되면 상기 수학식 3을 통해 원본 데이터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1
행렬은 상기 데이터 블록 헤더에 포함되어 수신된 계수 또는 시드(seed) 값을 통해 재생성된 계수 행렬의 역행렬을 의미한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2
행렬을 구하기 위해 역행렬인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3
행렬을 구하지 않고, 가우시안 소거법(Gaussian Elimin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행렬을 구할 수도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이 전송 도중에 채널 환경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열화되거나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수신측은 송신측에 다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전송 요구를 하고, 수신측은 원본 데이터 블록을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수신측은 통신 개시 시점 혹은 그 이전에 송신측과 상호 협의가 이뤄진, 또는 통신 중 수신한 데이터 블록에 지시된 수(예를 들어, 상기 n)만큼의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부호화 방법을 통해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난수 선형 부호화 및 복호화(decoding)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복호화하는 것을 나타내는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송신측에서 수신측에 'HELLOWORLD'라는 내용을 전송하고자 할 때, 원본 데이터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4
), 계수 행렬(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5
), 데이터 블록 개수(n)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S1 = "HELLO"
S2 = "WORLD"
n = 2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6
이때, 데이터 블록 내의 각 글자들을 ASCII 값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S1 = 72, 69, 76, 76, 79
S2 = 87, 79, 82, 76, 68
원본 데이터 블럭 집합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7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8
)의 데이터 블록 E1, E2는 원본 데이터 블록 S1 및 S2와 계수 행렬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본 데이터 블록의 정보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수신측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수신하여, 원본 데이터 블록을 복호화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7037356948-pat00039
즉, 수신측은 상기 수학식 3을 사용하여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
Figure 112007037356948-pat00040
)을 복원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해 수신측에서 재해석한 정보는 송신측에서 보내려고 했던 정보와 동일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정보의 가공과 해석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난수 선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의 계산 과정은 상술한 유한필드(finite-field), 즉, 갈로이스 필드에서 계산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도 5에서 예시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 단말(A)과 기지국들(B, C)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은 송신측의 다양한 변형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기지국들은 수신측들의 다양한 변형 중 하나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 단말(송신측)은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은 도 6a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인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상위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 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를 3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에 따라 3개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포함한 부호화된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0)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coded block set 0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기지국을 서빙(또는, 마스터) 기지국으로, 제 2 기지국을 인근 기지국이라 가정한다. 다만 상기 표현 및 가정은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뿐 가변적인 개념이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coded block set 0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은 마지막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coded blk 2)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 후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상기 coded blk 2까지 정상적으로 수신을 마치고, 상기 제 2 기지국에서도 상기 coded blk 2까지 모두 수신하였다.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와 같은 3개의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 부호화된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데이터 블록 3개를 모두 수신하였으므로, 원본 데이터의 복호화가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호화는 도 6a에서 설명한 난수 선형 복호화 방 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원본 데이터의 복원에 성공한,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에서 송신측인 상기 이동 단말에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전송한다. 다만,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서빙 기지국 외에도 인근 기지국인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타이머 구간 동안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원본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original block set 1)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1)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coded block set 1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부호화된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1)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제 1 기지국은 상기 coded blk 0을 수신하였으나 상기 제 2 기지국은 데이터 수신 중 무선 또는 유선상에서 상기 coded blk 0이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1이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으나,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을 수신하였다. coded blk 2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 수신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제 1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의 실시예에서처럼 상위 라우터나 기지국의 컨트롤러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 블록 또는 여러 가지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1이 유실되었더라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coded blk 1을 전달받아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복원해 낼 수 있다. 상기 제 2 기지국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coded blk 0을 전달받아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은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성공적으로 복원하였으므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므로 송신측인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 도중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일부를 유실하더라도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유실에 불구하고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부호화된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단말은 마지막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인 coded blk 2를 송신하고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상기 이동 단말은 타이머 구간 내에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ACK 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다음 부호화된 제 3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2)을 도 6a에서 예시한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부호화된 제 3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2)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모두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복원하였다. 다만,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ACK 신호를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송하였으나, 무선 또는 유선상에서 ACK 신호가 유실되었다.
상기 이동 단말은 타이머를 작동시켰으나, 타이머 구간 동안 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복원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부호화된 제 3 데이터 블록 집합을 구성하는데 사용한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에 새로운 계수 행렬을 생성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상기 계수 행렬은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수 행렬을
Figure 112007037356948-pat00041
행렬로 전체로서 생성할 수도 있고,
Figure 112007037356948-pat00042
행렬로 행 별로 생성하여 조합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다시 부호화한 데이터 블록 blk 0' 및 blk 1'를 ACK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기지국들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blk 0'를 수신한 경우, 이전 복원에 성공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정보가 다시 전달된 것이므로, 다시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ACK 신호를 수신하면, 다음 부호화된 제 4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3)을 구성한다. 다만, 전송 지연으로 인해 상기 이동 단말이 ACK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이미 상기 이동 단말은 coded blk 1'를 생성하여 수신측인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따라서 coded blk 1'에 대해, 상기 제 1 기지국은 다시 잉여 ACK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잉여 ACK 신호에 대해, 상기 이동 단말에서는 이미 상기 coded block set 3을 생성하였으므로, 상기 잉여 ACK 신호를 무시하거나 폐기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ded block set 3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1, coded blk 2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은 유선 또는 무선상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0, coded blk 1이 유선 또는 무선상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고, coded blk 2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에서 예시한 것처럼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coded block set 3을 전송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모두 coded blk 0이 유실되어 수신할 수 없다. 그러므로, 도 6a에 설명한 바에 따라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은 원본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 필요한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개수인 3개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다.
상기 이동 단말은 coded blk 2를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ACK 신호를 기다린다. 그러나, 상기 제 1 기지국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 중 어느 하나에서도 원본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 개수(n)인 3개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어 ACK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ACK을 수신하지 못한 채, 상기 타이머의 타이머 구간은 만료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AC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재구성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AC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0'를 수신한 경우 서로 독립적인 전체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3개를 만족하므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은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은 ACK 신호의 전송 지연 때문에, ACK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coded blk 1'를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이미 복호화에 성공한 이전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내용을 다시 수신하였으므로, 수신된 coded blk 1'에 대응하여 다시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coded blk 1'에 대한 ACK 신호는 잉여 ACK 메시지로서 송신측인 상기 이동 단말은 이를 무시하거나 폐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이동 단말이 기지국으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예시 중 상향링크(uplink)의 경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이동 단말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이다.
상기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기지국들 사이에서 자원 협상을 통해서 무선 자원 등을 할당받아야 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기지국들 사이에서 제어신호 등의 교환을 통해, 기지국들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받게 된다(S801). 이때,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공통된 식별자(Identifictaion) 또는 공통된 영역을 이용한다. 예를 들 어, CDMA 기반의 통신환경이라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공통된 코드(code)를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한다. 그리고 OFDMA 기반의 통신환경이라면 서브 캐리어(subcarrier), 심볼(symbol)로 구성된 공통된 영역을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할당받은 공통된 식별자 또는 공통된 영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므로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에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준비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매체접속제어 계층(MAC)으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들을 구성한다(S802).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들을 부호화한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은 바람직하게는 도 6a에서 설명한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한다(S8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n)를 3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 등을 서로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을 인근 기지국으로 가정한다. 다만, 상기 가정은 가변적인 개념이므로, 서빙 기지국과 인근 기지국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각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현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자원 등을 통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때마다 다시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804). 이때, 선택적으로 시스템 상황이나 송수신측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은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 집합의 개수(n)의 수만큼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상기 블록들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기 설정한 데이터 블록의 개수(n) 3개에 해당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모두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805).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은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묶어 복호화(decoding) 과정을 수행한다(S806).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송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총 6개이나, 상기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각각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수를 말하므로, 중복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기 설정한 n 값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 1 기지국에 수신된 독립적인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3개이므로 원본 데이터의 복원이 가능하다.
상기 복호화 과정은 여러 복호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a를 통해 설명한 난수 선형 복호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복호화 과정(S806)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복원된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S807).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송하고자 했던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전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S805의 타이머 구간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하였으므로, 다음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이용하여 도 8에서의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는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uplink)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이다.
상기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기지국들 사이에서 자원 협상을 통해서 무선 자원 등을 할당받아야 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기지국들 사이에서 제어신호 등의 교환을 통해, 기지국들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받게 된다(S901). 이때,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공통된 식별자(Identifictaion) 또는 공통된 영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CDMA 기반의 통신환경이라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공통된 코드(code)를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한다. 그리고 OFDMA 기반의 통신환경이라면 서브 캐리어(subcarrier), 심볼(symbol)로 구성된 공통된 영역을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할당받은 공통된 식별자 또는 공통된 영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일실시예에서 쓰인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들이므로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에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준비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매체접속제어 계층(MAC)으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들을 구성한다(S902).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들을 부호화한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은 바람직하게는 도 6a에서 설명한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한다(S9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각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현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자원 등을 통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S904).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들 간에 서로 데이터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전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이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기지국들로 전송하는 경우에, coded blk 1 은 상기 제 1 기지국에는 전송이 되었으나, 상기 제 2 기지국에는 무선 구간 등에서 유실되었다. coded blk 1은 상기 제 1 기지국에서는 유실되어 수신되지 못했으나, 상기 제 2 기지국에서는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을 수신한 후 바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coded blk 2는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모두에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2를 수신한 후 바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904).
다만, 상기 S904 단계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는 즉시 각각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상술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시스템 상황이나 주변 통신환경 또는 응용 프로그램 등에 따라 상기 제 2 기지국은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모두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기 설정한 데이터 블록의 개수(n) 3개에 해당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모두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905).
상술한 동작과 같이,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제 1 기지국은 유실된 상기 coded blk 1을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재전송 받지 않더라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바로 전달받을 수 있다. 이로써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에서의 원본 데이터 복원 절차가 더욱 간략해지고,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에서 데이터 전송시 유실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이동 단말에 재전송을 요청하지 않고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아 원본 데이터의 복원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유실된 상기 coded blk 1을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받아 원본 데이터 블록의 복호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906).
상기 제 1 기지국이 수신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는 총 4 개이다(coded blk 0, coded blk 2, coded blk 1, coded blk 2). 그러나, 상기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각각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수를 말하므로, 중복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기 설정한 n 값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렇더라도, 상기 제 1 기지국은 각각 서로 독립적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인 3개를 만족하므로 원본 데이터 블록으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복호화가 완료되면 복원된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S907). 타이머 구간(S905) 동안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은, 자신이 전송하고자 했던 3개(n)의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 블록이 정상적으로 상기 기지국들에 전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다음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구성하고, 상기 도 8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 통신 방 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은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향링크(uplink)의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하는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여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는 경우에 데이터 통신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이동 단말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동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이다.
상기 이동 단말이 기지국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기지국들 사이에서 자원 협상을 통해서 무선 자원 등을 할당받아야 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기지국들 사이에서 제어신호 등의 교환을 통해, 기지국들로부터 무선 자원을 할당받게 된다(S1001). 이때,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공통된 식별자(Identifictaion) 또는 공통된 영역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CDMA 기반의 통신환경이라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공통된 코드(code)를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한다. 그리고 OFDMA 기반의 통신환경이라면 서브 캐리어(subcarrier), 심볼(symbol)로 구성된 공통된 영역을 상기 이동 단말에 할당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할당받은 공통된 식별자 또는 공통된 영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므로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에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전달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준비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매 체접속제어 계층(MAC)으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가공하여 하나 이상의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들을 구성한다(S1002).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들을 부호화한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은 바람직하게는 도 6a에서 설명한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으로 부호화한다(S1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를 3으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각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현재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무선 자원 등을 통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S1004).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 등을 서로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을 인근 기지국으로 가정한다. 다만, 상기 가정은 가변적인 개념이므로, 서빙 기지국과 인근 기지국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한 부호화된 coded blk 0은 상기 제 1 기지국에서는 수신하였으나, 상기 제 2 기지국에서는 무선 또는 유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한 coded blk 1은 상기 제 1 기지국에서는 무선 또는 유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으나, 상기 제 2 기지국에서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을 수신한 후 바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한 coded blk 2는 유선 또는 무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상기 제 1 , 제 2 기지국 모두에서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S1004 단계에서와 달리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각각 수신할 때마다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하지 않고,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인 3개 만큼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모두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기 설정한 데이터 블록의 개수(n) 3개에 해당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모두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1005).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전달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조합하여 데이터 블록 집합을 구성한다. 그러나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복원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블록의 개수 3개를 만족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각각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수를 말하므로, 중복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기 설정한 n 값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이 갖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는 2 개이므로(coded blk 0, coded blk 2), 상기 제 1 기지국은 원본 데이터의 복호화에 성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에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ACK 신호를 전송할 수 없고, 상기 타이머 구간은 만료된다(S1006).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채 타이머 구간이 만료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기지국들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한다. 따라서,상기 이동 단말은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coded blk 0', coded blk 1')을 다시 생성한다(S1007).
상기 이동 단말은 coded blk 0'을 다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coded blk 0'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1008).
상기 coded blk 0'을 수신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기 설정한 데이터 블록의 개수(n) 3 만큼의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확보하여(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0'),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복원에 성공하게 된다(S1009).
상기 제 1 기지국은, 복원된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복원에 성공한 후에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S1011).
다만, 상기 이동 단말은, 전송 지연으로 인해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coded blk 1'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S1010).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는 이전에 이미 복원에 성공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것과 동일한 데이터 정보이므로 다시 잉여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잉여 ACK 신호에 대해 이를 무시하거나 폐기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한 후에 다음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구성하고, 도 8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도 5에서 예시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 단말(A)과 기지국들(B, C)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은 송신측의 다양한 변형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기지국들은 수신측의 다양한 변형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동 단말(송신측)은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은 도 6a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인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상위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를 3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에 따라 서로 독립적인 3개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포함한 부호화된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0)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부호화된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또는, 마스터 기지국), 제 2 기지국을 인근 기지국이라 가정한다. 다만 상기 표현 및 가정은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뿐 가변적인 개념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마지막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상기 coded block set 0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0 및 coded blk 2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 그러나 coded blk 1에는 오류가 검출되어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을 복원하는 과정에 쓸 수 없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은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에는 오류가 있어 원본 데이터 블록 집합의 복원에 쓸 수 없고, coded blk 2는 유선 또는 무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에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전달한다.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제 1 기지국에 수신된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방법은,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할 때마다 바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 2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에 해당하는 3개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모두 수신한 후에 전송하는 경우가 있다.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은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기 설정된 개수(n)인 3개 만큼 모두 수신하였으므로 원본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을 복원할 수 있다. 복호화에 성공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에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지국이 전송한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은 다음 부호화된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1)을 구성한다.
상기 coded block set 1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2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은 수신하였지만 오류가 검출되었고, coded blk 1은 유선 또는 무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제 2 기지국는 coded blk 2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 및 coded blk 1은 수신하였지만 오류가 검출되어 원본 데이터 블록의 복원에 사용할 수 없다.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수신한 데이터 외에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 역시 서로 공유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측들인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된 데이터 블록에 모두 오류가 검출되거나, 하나는 유실되고 다른 하나는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2 기지국은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 Non-Acknowledgment)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다만, 상기 제 1 기지국이 전송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모두 유선 또는 무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기지국은 N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다. 이때는 상기 이동 단말에서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상기 과정에서는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이 coded blk 0, coded blk 1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상기 이동 단말에 NACK 신호를 두 개 전송한다. 상기 NACK 신호들을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은 제 2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NACK 신호만큼 새롭게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생성한 다시 부호화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부호화된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모두 전송한 후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한 coded blk 0', coded blk 1'을 수신한 즉시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달한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부호화된 제 2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n)인 3 개만큼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 1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원본 데이터를 복원하는 데 필요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는,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로서 3 개를 만족해야한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새롭게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을 수신하면,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3개가 되므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에 수신긍정확인 신호(ACK)을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한 후에 원본 데이터로부터, 도 6a의 과정을 거쳐 부호화된 제 3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2)을 구성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데이터 통신 방법을 계속 수행한다. 또한, 도 11에서도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상세한 실시예가 있을수 있으나, 반복되는 내용이 많은 만큼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도 8 내지 도 10에 서와 같이 유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 단말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들과는 달리, 송신측인 이동 단말에 타이머가 없다. 또한 수신한 부호화한 데이터 블록 집합에 오류가 검출되더라도 NACK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다만, 오류가 발생하여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 블록 집합을 폐기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AC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계속 생성한다.
도 12에서는, 도 5에서 예시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 단말(A)과 기지국들(B, C)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은 송신측의 다양한 변형 중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기지국들은 수신측의 다양한 변형 중 하나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송신측)은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단말은 도 6a에서 설명한 데이터 처리 방법 중 하나인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상위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를 3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난수 선형 부호화 방법에 따라 3 개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포함한 부호화된 제 1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0)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coded block set 0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 coded blk 2)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또는, 마스터 기지국)으로, 제 2 기지국을 인근 기지국이라 가정한다. 다만 상기 표현 및 가정은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뿐 가변적인 개념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ded block set 0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0 및 coded blk 2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수신한 coded blk 1에는 오류가 검출되어 원본 데이터의 복원에는 사용할 수 없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은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은 수신시 오류가 검출되었고, coded blk 2는 유선 또는 무선 구간에서 유실되어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은 도 5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인 상기 제 1 기지국에 수신된 coded blk 0, coded blk 1을 전달한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수신하는 즉시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인 3개 만큼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모두 수신한 후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oded blk 1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이 수신한 서로 독립적인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인 3개가 되므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에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을 전송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전송 지연으로 인해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기존의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coded blk 0'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coded blk 0'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다만, 도 12에서는 상기 coded blk 0'이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모두 수신되었으나, 모두 오류가 검출되었으므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은 이를 폐기하거나 무시한다.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이 전송하고자 했던 데이터 블록들이 모두 정상적으로 전송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는 도 6a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제 2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coded block set 1)을 구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coded block set 1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1, coded blk 2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은 전송 도중 유선 또는 무선상에서 유실되어 수신하지 못하였다. 상기 제 2 기지국은 coded blk 1, coded blk 2는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으나, coded blk 0은 수신하였지만 오류가 검출되어 원본 데이터 복원에는 쓰이지 못한다.
비록 상기 제 1 기지국과 상기 제 2 기지국이 도 5와 같이 연결되어 서로 데 이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더라도, 상기 제 1 기지국에서는 coded blk 0이 유실되었고 상기 제 2 기지국에서는 coded blk 0에 오류가 발생하여 복호화에 사용할 수 없다. 결국,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제 2 기지국로부터, 상기 제 2 기지국이 수신한 데이터 블록들을 전달받더라도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다. 이는 상기 제 2 기지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은 처음에 상기 coded block set 1을 생성한 후에도, AC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새로이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coded blk 0', coded blk 1')을 생성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생성된 coded blk 0', coded blk 1'를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coded blk 0'을 수신하는 경우, 복호화하는데 필요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 블록의 개수(n)를 만족하는 서로 독립적인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3개이므로, 원본 데이터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지국은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ACK 신호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은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 부호화된 제 3 데이터 블록(coded block set 2)을 준비하여, 상기 도 12에서 설명한 통신 방법을 수행한다.
다만, 전송 지연으로, 상기 ACK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되기 전에, 상기 이동 단말은 coded blk 1'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제 1 기지국은 coded blk 1'를 수신한 경우, 이미 복원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내용이므로, 이를 알리는 잉여 ACK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에 전송한 다. 상기 이동 단말은 이미 부호화된 제 3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잉여 ACK 신호를 무시하거나 이를 폐기한다.
또한, 도 12에서도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상세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반복되는 내용이 많은 만큼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유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셀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이 또는 두 개 이상의 수신측과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셀 경계에 위치한 송신측이 불필요한 자원 이용을 최소화하면서 송신측 및 수신측의 성능을 높이는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송신측이 수신측에 데이터를 전송시, 상기 데이터가 유선 또는 무선상에서 유실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송신측에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 요구 없이도 수신측 간의 데이터 정보의 공유 및 교환으로 신속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난수 부호화 및 난수 복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일련의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최소의 지연 시간을 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개시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본 발명에서 제안한 데이터 통신 방법에 사용시 오류 처리 과정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지연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전부가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긍정확인 신호(ACK: Acknowledgment)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각각이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 Non-Acknowledgment)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중 마지막 데이터 블록 전송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송신측이 상기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원본 데이터로부터 재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은, 상기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난수 선형 부호화(Random linear coding)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상기 원본 데이터를 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부호화하여 생성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의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통신 시스템에서의 수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으로부터 전송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수신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상기 제 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전부가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상기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각각이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 Non-Acknowledgment)를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서 상기 전송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난수 선형 복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복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전부가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긍정확인 신호(ACK: Acknowledgment)를 수신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각각이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 Non-Acknowledgment)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를 수신하면 상기 원본 데이터를 다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에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중 마지막 데이터 블록 전송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송신측이 상기 수신긍정확인 신호(ACK)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원본 데이터로부터 재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은, 상기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상기 원본 데이터를 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부호화하여 생성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은, 난수 선형 부호화(Random linear coding) 방 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의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측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을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포함된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전부가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긍정확인 신호(ACK: Acknowledgment)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원본 데이터를 다시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하나 이상의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제 1 기지국 및 상기 제 2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 각각이 수신측에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대한 응답으로써 수신부정확인 신호(NACK: Non-Acknowledgment)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집합은 원본 데이터를 데이터 블록 집합 단위로 부호화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은, 난수 선형 부호화(Random linear coding)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상기 원본 데이터를 계수 행렬을 이용하여 부호화하여 생성되고,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들은 서로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은 제 1 기지국 및 제 2 기지국 중 하나 이상의 셀 경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070049523A 2007-04-19 2007-05-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KR10137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2215 WO2008130157A1 (en) 2007-04-19 2008-04-18 Method of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596,363 US8738982B2 (en) 2007-04-19 2008-04-18 Method of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288607P 2007-04-19 2007-04-19
US60/912,886 2007-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526A KR20080094526A (ko) 2008-10-23
KR101370901B1 true KR101370901B1 (ko) 2014-03-26

Family

ID=4015469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487A KR101366332B1 (ko) 2007-04-19 2007-05-08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재전송 방법
KR1020070049522A KR101405927B1 (ko) 2007-04-19 2007-05-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KR1020070049523A KR101370901B1 (ko) 2007-04-19 2007-05-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KR1020070061627A KR101366263B1 (ko) 2007-04-19 2007-06-22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정보전송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487A KR101366332B1 (ko) 2007-04-19 2007-05-08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재전송 방법
KR1020070049522A KR101405927B1 (ko) 2007-04-19 2007-05-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627A KR101366263B1 (ko) 2007-04-19 2007-06-22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방법 및 정보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397118B2 (ko)
KR (4) KR101366332B1 (ko)
WO (2) WO2008130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1044B1 (en) * 2008-01-18 2016-08-24 ST-Ericsson SA Method of communication, in particular with capability of frame abortion or retransmission indication,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based on frames, and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ode
JP2009303052A (ja) * 2008-06-16 2009-12-24 Fujitsu Ltd 無線基地局、無線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0005181A2 (en) * 2008-06-16 2010-01-14 Lg Electronics Inc. Cooperative symbol level network coding in multi-channel wireless networks
FR2933557B1 (fr) * 2008-07-02 2013-02-08 Airbus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 protection de l'integrite de donnees transmises sur un reseau
KR101666894B1 (ko) * 2009-01-05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레인징 정보 전송 방법 및 그 단말
KR101605323B1 (ko) * 2009-01-07 201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선형부호화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8396024B2 (en) * 2009-01-27 2013-03-12 Motorola Mobility Llc Cooperative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access points to improve data integrity
CN101841399B (zh) * 2009-03-16 2013-08-0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多基站协作接收网络中实现同步上行harq进程的方法和装置
CN201869369U (zh) 2009-04-23 2011-06-1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基站和无线发射/接收单元
KR101527974B1 (ko) * 2009-04-30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접속 제어방법
US8774112B2 (en) 2009-06-07 2014-07-08 Lg Electronics Inc. Method in which user equipment performs random access in a carrier aggreg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610261B (zh) * 2009-06-26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统固网用户接入ims域的方法和系统
JP5482900B2 (ja) * 2009-08-20 2014-05-07 富士通株式会社 多地点協調伝送を用いて受信されるパケットに対するnack送信への遅延導入
CN102783237A (zh) 2010-03-01 2012-11-1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执行混合每个站和每个流上行链路分配的方法和设备
US9082127B2 (en) 2010-03-31 2015-07-14 Cloudera, Inc. Collecting and aggregating datasets for analysis
US9144090B2 (en) * 2010-03-31 2015-09-22 France Telecom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emissio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874526B2 (en) 2010-03-31 2014-10-28 Cloudera, Inc. Dynamically processing an event using an extensible data model
US9081888B2 (en) 2010-03-31 2015-07-14 Cloudera, Inc. Collecting and aggregating log data with fault tolerance
US9317572B2 (en) 2010-03-31 2016-04-19 Cloudera, Inc. Configuring a system to collect and aggregate datasets
US8755432B2 (en) 2010-06-30 2014-06-17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audio positioning using dynamically optimized audio 3D space perception cues
US8917774B2 (en) * 2010-06-30 2014-12-23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coded content using dynamically optimized conversion
US10326978B2 (en) 2010-06-30 2019-06-18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presentations with 3D audio positioning
US9591374B2 (en) 2010-06-30 2017-03-07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coded content using dynamically optimized conversion for 3D movies
DE102010032218A1 (de) * 2010-07-26 2012-01-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paketvermittelten Datenübertragung, insbesondere zwischen einem Transportmittel und einer mit dem Transportmittel kommunizierenden Infrastruktur
US8738795B2 (en) * 2010-08-23 2014-05-27 Cisco Technology, Inc. Media-aware and TCP-compatible bandwidth sharing for video streaming
KR101741154B1 (ko) * 2010-11-10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형 이동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이동 단말, 차량형 이동 중계기 및 매크로 기지국의 통신 방법
US8934408B2 (en) * 2010-12-08 2015-01-13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proportional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rate random access
US8830908B2 (en) * 2011-02-18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fallback access schemes
US8396072B2 (en) 2011-02-21 2013-03-12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traffic congestion avoida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07226B2 (en) * 2011-03-10 2015-08-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conges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880592B2 (en) 2011-03-31 2014-11-04 Cloudera, Inc. User interface implementation for partial display update
KR20140054045A (ko) * 2011-07-14 2014-05-0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M2m 통신에 대한 레인징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008992A1 (en) * 2011-07-14 2013-0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2m rang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37322A1 (zh) * 2011-09-16 2013-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分片接收和发送的方法以及分片接收和发送的装置
US9128949B2 (en) 2012-01-18 2015-09-08 Cloudera, Inc. Memory allocation buffer for reduction of heap fragmentation
KR101974900B1 (ko) * 2012-01-19 201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방법 및 장치
US9172608B2 (en) 2012-02-07 2015-10-27 Cloudera, Inc. Centralized configuration and monitoring of a distributed computing cluster
US9405692B2 (en) 2012-03-21 2016-08-02 Cloudera, Inc. Data processing performance enhancement in a distributed file system
US9338008B1 (en) 2012-04-02 2016-05-10 Clouder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release of secret information over a network
US9842126B2 (en) 2012-04-20 2017-12-12 Cloudera, Inc. Automatic repair of corrupt HBases
US9753954B2 (en) 2012-09-14 2017-09-05 Cloudera, Inc. Data node fencing in a distributed file system
GB2509519B (en) * 2013-01-04 2018-02-14 Broadcom Corp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cknowledgements
US9307419B1 (en) * 2013-03-07 2016-04-0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ata transmission throughput for a wireless access node
US9342557B2 (en) 2013-03-13 2016-05-17 Cloudera, Inc. Low latency query engine for Apache Hadoop
US9673841B2 (en) * 2013-03-15 2017-06-06 Quanta Computer, Inc. Error-correcting code
US9477731B2 (en) 2013-10-01 2016-10-25 Cloudera, Inc. Background format optimization for enhanced SQL-like queries in Hadoop
US9934382B2 (en) 2013-10-28 2018-04-03 Cloudera, Inc. Virtual machine image encryption
US9690671B2 (en) 2013-11-01 2017-06-27 Cloudera, Inc. Manifest-based snapshots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US9747333B2 (en) 2014-10-08 2017-08-29 Cloudera, Inc. Querying operating system state on multiple machines declaratively
US20170265230A1 (en) * 2016-03-14 2017-09-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Backoffs
US10568130B2 (en) 2016-12-22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multiple types of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transmission utilization
KR101934638B1 (ko) * 2017-05-12 2019-01-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행렬 분해를 이용한 저복잡 네트워크 코딩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인코딩 장치 및 방법
WO2020047707A1 (zh) * 2018-09-03 2020-03-12 深圳花儿数据技术有限公司 分布式存储系统的数据编码、解码及修复方法
US11863319B2 (en) * 2020-03-20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 network cod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1722A1 (en) * 2004-05-07 2005-11-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hybrid-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es
US20050251721A1 (en) * 2004-05-04 2005-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Publ) Incremental redundanc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788A (en) * 1902-01-17 1902-04-15 James C Mccoy Metallurgical crane.
US5384777A (en) 1993-04-19 1995-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medium access control scheme for wireless LAN
ATE221710T1 (de) * 1995-10-23 2002-08-15 Nokia Corp Verfahren zur paketdatenübertragung mit hybridem fec/arq-type-ii-verfahren
US6369756B1 (en) * 2000-03-28 2002-04-09 Nokia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he usage of an antenna array beamforming technique
US6977888B1 (en) 2000-09-14 2005-12-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ybrid ARQ for packet data transmission
US6654926B1 (en) 2000-10-11 2003-11-25 Itran Communications Ltd. Soft decision maximum likelihood encoder and decoder
US6914949B2 (en) * 2000-10-13 2005-07-05 Time Doma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otential interference in an impulse radio
DE60143969D1 (de) * 2000-12-22 2011-03-10 Research In Motion Ltd System und verfahren zum navigieren durch information mit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gerät
US7027462B2 (en) 2001-01-02 2006-04-11 At&T Corp. Random medium access methods with backoff adaptation to traffic
CN100467491C (zh) 2001-01-17 2009-03-11 生物质转化有限责任公司 植物材料破碎成为易于水解的纤维素颗粒
DE10296698B4 (de) * 2001-04-24 2007-07-12 Intel Corporation, Santa Clar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dieren und Dekodieren von Daten mit unterschiedlichen Modulationsschemata und Kodierungen und einem ARQ-Protokoll
US7047473B2 (en) * 2001-05-14 2006-05-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SE0103506D0 (sv) 2001-10-19 2001-10-19 Ericsson Telefon Ab L M HARQ stall avoidance
KR100876765B1 (ko) * 2002-05-1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US7352722B2 (en) * 2002-05-13 2008-04-01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link imbal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671849B2 (en) * 2002-05-14 2003-12-30 Motorola, Inc. Reliability-based type-II hybrid ARQ scheme
JP2006515973A (ja) 2003-01-11 2006-06-0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トラヒック分散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GB2399988B (en) 2003-03-28 2005-05-25 Motorola Inc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network congestion therein
US7013143B2 (en) 2003-04-30 2006-03-14 Motorola, Inc. HARQ ACK/NAK cod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during soft handoff
US7321940B1 (en) * 2003-06-30 2008-01-22 Cisco Technology, Inc. Iterative architecture for hierarchical scheduling
EP1557967B1 (en) * 2004-01-22 2008-03-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HARQ retransmission timing control
ATE418822T1 (de) * 2004-04-01 2009-01-15 Panasonic Corp Interferenzverminderung bei wiederholungsübertragungen im aufwärtskanal
US20050249296A1 (en) 2004-05-04 2005-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cremental redundanc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50250497A1 (en) 2004-05-05 2005-11-10 Amitava Ghosh Acknowledgement method for ACK/NACK signaling to facilitate UE uplink data transfer
US7643549B2 (en) * 2004-09-28 2010-01-05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evice having a hardware accelerator to support equalization processing
EP1699158A1 (en) 2005-03-02 2006-09-06 Evolium S.A.S. A method for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HARQ retransmission scheme for data transmission, a base station and a program therefor
US20060251015A1 (en) 2005-05-06 2006-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ARQ feedback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JP4824953B2 (ja) 2005-06-23 2011-11-3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並びに移動局及び基地局
US8347161B2 (en) * 2005-09-23 2013-01-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IMO system performing hybrid ARQ and re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0745140B1 (ko) * 2005-09-23 2007-08-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을 수행하는 다중 안테나 송수신장치 및 이의 재전송 방법
EP1938641A1 (en) * 2005-10-17 2008-07-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Uplink cell chan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7826404B2 (en) 2005-11-04 2010-11-02 Intel Corporation Dynamic packet error manage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EP1976309B9 (en) * 2005-12-28 2015-07-29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obile terminal for base station switching in HSDPA
US20070153923A1 (en) 2005-12-30 2007-07-05 Zhouyue Pi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ink adaptation schem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009538B (zh) * 2006-01-26 2011-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重传方法及装置
US7664198B2 (en) * 2006-03-21 2010-02-16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using rateless codes
KR100875888B1 (ko) * 2006-03-24 200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전송 요청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13904B1 (ko) 2006-04-1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US20080107197A1 (en) 2006-11-07 2008-05-08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ransmission grant of a multi-input multi-output user equipment in a network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80253326A1 (en) 2007-04-13 2008-10-16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ous adaptive harq
US8717979B2 (en) * 2007-10-25 2014-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lexing multiple unsolicited grant service (UGS) users onto a same radio resource
US20090168708A1 (en) 2007-12-26 2009-07-02 Motorola, Inc. Techniques for maintaining quality of service for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1721A1 (en) * 2004-05-04 2005-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Publ) Incremental redundancy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50251722A1 (en) * 2004-05-07 2005-11-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hybrid-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332B1 (ko) 2014-02-21
KR20080094528A (ko) 2008-10-23
US8738982B2 (en) 2014-05-27
US8397118B2 (en) 2013-03-12
WO2008130159A1 (en) 2008-10-30
KR101366263B1 (ko) 2014-02-21
KR20080094525A (ko) 2008-10-23
KR20080094523A (ko) 2008-10-23
KR20080094526A (ko) 2008-10-23
US20100112957A1 (en) 2010-05-06
US8170049B2 (en) 2012-05-01
US20100131817A1 (en) 2010-05-27
US20100135210A1 (en) 2010-06-03
WO2008130157A1 (en) 2008-10-30
KR101405927B1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9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US1090394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transmission using HARQ
US90656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AC protocol data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542961B (zh) 在通信网络中加密数据
Lu et al. Efficient network coding for wireless broadcasting
JP200918875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暗号化及び復号化方法並びに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CN101652951A (zh) 重发请求发送方法及接收端装置
KR20090122986A (ko) 패킷통신방법 및 수신측 장치
EP2782281A1 (en) Data transmission using rateless coding
CN101964703A (zh) 一种数据重传方法和系统
KR101647373B1 (ko) 무선접속 시스템에서의 랜덤 선형 부호화를 이용한 데이터 재전송 방법
CN106209565B (zh) 一种基于喷泉码的隧道可靠传输方法及装置
CN108270523B (zh) 带内密钥协商传输方法及传输系统
KR101526972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난수선형부호화를 이용한 통신방법
KR20100003578A (ko) 자동 재전송 요구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의 연동방법
JP4012543B2 (ja) 無線lanのエラー制御
EP2930852B1 (en) Constructing a reliable data stream
US20090147764A1 (en) Method for encoding data blocks
WO2014101214A1 (zh) 译码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